맨위로가기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Club Gimnàstic de Tarragona)는 1886년 창단된 스페인 타라고나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1914년 축구팀을 창단하여 프리메라리가에서 4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22시즌을 보냈으며, 코파 델 레이 4강 진출이 최고 성적이다. 2006-07 시즌 프리메라리가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고, 현재는 프리메라 페데라시온(3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탈루냐의 축구단 - 지로나 FC
    스페인 지로나를 연고로 하는 지로나 FC는 1930년 창단되어 오랜 기간 하위 리그를 전전하다 2017-18 시즌에 라리가에 처음 승격했으며, 에스타디 몬틸리비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2024-25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클럽 역사상 첫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을 달성했다.
  • 카탈루냐의 축구단 - RCD 에스파뇰
    RCD 에스파뇰은 1900년 바르셀로나에서 창단되어 스페인 선수만을 기용하는 정책을 고수했던 축구 클럽으로, 코파 델 레이 4회 우승과 UEFA컵 2회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FC 바르셀로나와 바르셀로나 더비라는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 1914년 설립된 축구단 - SE 파우메이라스
    SE 파우메이라스는 1914년 이탈리아계 브라질인에 의해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1914년 설립된 축구단 - 산타크루스 FC
    산타크루스 FC는 브라질 헤시피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페르남부카누에서 29회 우승하고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C에서 우승했으며, 홈 경기장은 조제 두 헤고 마시엘 경기장이다.
  • 프리메라 페데라시온 구단 - 말라가 CF
    말라가 CF는 스페인 말라가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재창단 후 UEFA 인터토토컵 우승과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재정 문제 속에서도 2024년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복귀했다.
  • 프리메라 페데라시온 구단 -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는 레알 마드리드의 리저브 팀으로, 과거 여러 이름으로 활동하며 코파 델 레이 준우승,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고, 이케르 카시야스, 라울 곤살레스, 구티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하며 유소년 육성에 기여하고 현재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 명칭힘나스틱 데 타라고나
전체 명칭클럽 힘나스틱 데 타라고나 S.A.D.
별칭Nàstic
Granes (적갈색)
Tarraconenses
창단1914년
경기장노우 에스타디 코스타 도라다, 타라고나, 카탈루냐, 스페인
수용 능력14,591석
회장조제프 마리아 안드레우
감독다니 비달
웹사이트힘나스틱 데 타라고나 공식 웹사이트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빨간색
하의: 흰색
양말: 검은색
원정 유니폼상의: 청록색
하의: 청록색
양말: 청록색
현재 시즌 정보
현재 시즌2023–24 힘나스틱 데 타라고나 시즌

2. 역사

클럽은 1886년 3월 1일, ''람블라 노바''에 있는 ''Cafè del Centre''에서 만난 15명의 사람들에 의해 창립되었다.[8] 초기 멤버 대다수는 상류층이었으며, 클럽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처음에는 체조를 장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8] 이후 클럽 회원들은 펜싱, 하이킹, 복싱, 사이클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조직했다. 1893년 7월에는 '''클루브 짐나스티코 데 타라고나''' ()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8] 1914년에는 "Club Olímpic de Tarragona"라는 지역 축구 클럽을 흡수하여 자체 축구팀을 결성하고, 올림픽의 이전 색상인 빨간색, 흰색, 검은색을 사용했다. 당시 팀은 "Avenida Catalunya"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1914년,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는 타라고나 지역 축구 클럽인 "클루브 올림피크"( Club Olímpicca)를 흡수하여 축구팀을 결성했다.[8] 이때부터 클럽은 올림피크의 이전 색상인 빨간색, 흰색, 검은색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아베니다 카탈루냐"(Avenida Catalunya)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1918년 1월, 짐나스틱은 캄피오나트 데 카탈루냐에 데뷔했고,[8] 1927년에는 2부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나스틱)는 1943-44 시즌 테르세라 디비시온에 참가했고, 다음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했다.[8] 1946-47 시즌에는 2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며 라 리가로 승격하는 쾌거를 이뤘다.[8] 같은 해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준결승에 진출, 이전 라운드에서 FC 바르셀로나를 꺾었으나 RCD 에스파뇰에게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8]

1947-48 시즌은 나스틱의 라리가 데뷔 시즌으로, 7위라는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8] 특히 1948년 1월 11일에는 베르나베우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3-1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레알 마드리드 원정 경기에서 승리한 최초의 팀이라는 기록을 세웠다.[8] 이후 두 시즌 더 라리가에 잔류했으나, 1949-50 시즌 CD 알코야노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며 강등되었다.[8]

짐나스틱은 1949-50 시즌 CD 알코야노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라 리가에서 강등된 후, 195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세군다 디비시온테르세라 디비시온을 오르내렸다. 1972년에는 홈구장을 누 에스타디로 이전했다.

56년 만인 2006-07 시즌,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는 다시 프리메라리가로 복귀했다.[8] 루이스 세사르 삼페드로 감독이 이끈 승격에는 베테랑 안토니오 피닐라와 알바노 비자리가 기여했다. 또한, 루벤 카스트로, 아리자 마쿠쿨라, 하비에르 포르티요 등이 영입되어 전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클럽은 38라운드 중 33라운드를 강등권에 머물렀고, 결국 한 시즌 만에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시즌 중반에 파코 플로레스로 감독이 교체되었지만, 팀의 순위를 크게 끌어올리지는 못했다.

2007년,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는 코파 카탈루냐 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에서 안토니오 피닐라와 타티 말도나도가 득점을 기록했다.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이하 짐나스틱)는 2007-08 시즌과 2008-09 시즌에 세사르 페란도의 지휘 아래 2부 리그에서 중위권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9-10 시즌과 2010-11 시즌에는 강등권 바로 위 단계에 머물렀다. 2011-12 시즌에는 42경기 중 단 6경기만 승리하며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다.

2012년 9월 12일, 짐나스틱은 AEC 만례우를 에우제니의 골로 꺾고 역사상 두 번째 코파 카탈루냐 우승을 차지했다. 2014-15 시즌에는 조 1위로 마친 후 플레이오프에서 SD 우에스카를 꺾고 2부 리그로 승격했다.

2018-19 시즌에는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어 2부 리그에서 4년간의 기록을 마감했다.

2. 1. 창립과 초기 (1886-1914)

클럽은 1886년 3월 1일, ''람블라 노바''에 있는 ''Cafè del Centre''에서 만난 15명의 사람들에 의해 창립되었다.[8] 초기 멤버 대다수는 상류층이었으며, 클럽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처음에는 체조를 장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8] 이후 클럽 회원들은 펜싱, 하이킹, 복싱, 사이클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조직했다. 1914년에는 "Club Olímpic de Tarragona"라는 지역 축구 클럽을 흡수하여 자체 축구팀을 결성하고, 올림픽의 이전 색상인 빨간색, 흰색, 검은색을 사용했다. 당시 팀은 "Avenida Catalunya"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1893년 7월에는 '''클루브 짐나스티코 데 타라고나''' ()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8]

2. 2. 축구 부문 설립 (1914-1940년대)

1914년,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는 타라고나 지역 축구 클럽인 "클루브 올림피크"( Club Olímpicca)를 흡수하여 축구팀을 결성했다.[8] 이때부터 클럽은 올림피크의 이전 색상인 빨간색, 흰색, 검은색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아베니다 카탈루냐"(Avenida Catalunya)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1918년 1월, 짐나스틱은 캄피오나트 데 카탈루냐에 데뷔했고,[8] 1927년에는 2부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43-44 시즌에는 테르세라 디비시온에 참가했고, 다음 시즌에는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했다.[8]

2. 3. 프리메라리가 시절 (1940년대 후반)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나스틱)는 1943-44 시즌 테르세라 디비시온에 참가했고, 다음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했다.[8] 1946-47 시즌에는 2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며 라 리가로 승격하는 쾌거를 이뤘다.[8] 같은 해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준결승에 진출, 이전 라운드에서 FC 바르셀로나를 꺾었으나 RCD 에스파뇰에게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8]

1947-48 시즌은 나스틱의 라리가 데뷔 시즌으로, 7위라는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8] 특히 1948년 1월 11일에는 베르나베우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3-1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레알 마드리드 원정 경기에서 승리한 최초의 팀이라는 기록을 세웠다.[8] 이후 두 시즌 더 라리가에 잔류했으나, 1949-50 시즌 CD 알코야노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며 강등되었다.[8]

2. 4. 침체와 재도약 (1950년대-2000년대 초반)

짐나스틱은 1949-50 시즌 CD 알코야노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라 리가에서 강등된 후, 195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세군다 디비시온테르세라 디비시온을 오르내렸다. 1972년에는 홈구장을 누 에스타디로 이전했다.

2. 5. 프리메라리가 복귀와 강등 (2000년대 중후반)

56년 만인 2006-07 시즌,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는 다시 프리메라리가로 복귀했다.[8] 루이스 세사르 삼페드로 감독이 이끈 승격에는 베테랑 안토니오 피닐라와 알바노 비자리가 기여했다. 또한, 루벤 카스트로, 아리자 마쿠쿨라, 하비에르 포르티요 등이 영입되어 전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클럽은 38라운드 중 33라운드를 강등권에 머물렀고, 결국 한 시즌 만에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시즌 중반에 파코 플로레스로 감독이 교체되었지만, 팀의 순위를 크게 끌어올리지는 못했다.

2007년,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는 코파 카탈루냐 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에서 안토니오 피닐라와 타티 말도나도가 득점을 기록했다.

2. 6. 최근 역사 (2010년대 이후)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이하 짐나스틱)는 2007-08 시즌과 2008-09 시즌에 세사르 페란도의 지휘 아래 2부 리그에서 중위권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9-10 시즌과 2010-11 시즌에는 강등권 바로 위 단계에 머물렀다. 2011-12 시즌에는 42경기 중 단 6경기만 승리하며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다.

2012년 9월 12일, 짐나스틱은 AEC 만례우를 에우제니의 골로 꺾고 역사상 두 번째 코파 카탈루냐 우승을 차지했다. 2014-15 시즌에는 조 1위로 마친 후 플레이오프에서 SD 우에스카를 꺾고 2부 리그로 승격했다.

2018-19 시즌에는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어 2부 리그에서 4년간의 기록을 마감했다. 2021-22 시즌부터는 3부 리그인 프리메라 페데라시온에 참가하고 있다.

3. 경기장

3. 1. 누 에스타디

3. 2. 과거 경기장

4. 선수



== 선수 명단 ==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한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알베르토 바로 스페인
2MF비엘 비센스 스페인
3DF고르카 페레즈 스페인
4DF폴 도밍고 스페인
5DF우나이 두푸르 스페인
6MF안데르 고로스티디 스페인
7DF닐 히메네스 스페인
8MF마르크 몬탈보 스페인
9FW안토닌 스페인
10FW자우메 자르디 스페인
11FW마르크 페르난데스 스페인
13GK다니 레볼로 스페인
14MF오스카르 산스 스페인
15DF안토니오 레알 스페인
16MF알렉스 로페스 스페인
17FW파블로 페르난데스 스페인
18FW알렉스 히메네스 스페인
19FW마리오 로드리게스 스페인
20DF알렉산드루 츠르레아 루마니아
21DF조안 오리올 스페인
22FW빅토르 나로 스페인
23FW다비드 콘차 스페인
26GK조안 살바 스페인



''번호는 공식 웹사이트에 따라 정해졌습니다.'': [http://www.gimnasticdetarragona.com/cat2/equipo-plantilla.php www.gimnasticdetarragona.com] 및 [http://www.lfp.es www.lfp.es]

.

== 유명 선수 ==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이하 짐나스틱)에서 100경기 이상 출전했거나, 국가대표로 활약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선수국적비고
리아신 카다무로 알제리
마르크 베르나우스 안도라
후스토 루이스 안도라/스페인
사무엘 갈린도 볼리비아
브라질
모하메드 제테이 카메룬
아킬레 에마나 카메룬
파브리스 온도아 카메룬
후안 델가도 칠레
레비 마딘다 가봉
조르지 아부르자니아 조지아
오토 카카바제 조지아
모하메드 라비우 가나
장 뤽 코트디부아르
스즈키 다이스케 일본
스톨레 디미트리에프스키 북마케도니아
압둘라자크 에크포키 나이지리아
이케 우체 나이지리아
훌리오 카세레스 파라과이
아리자 마쿠쿠라 포르투갈
파파쿨리 디오프 세네갈
호르디 알바 스페인
앙헬 스페인
라파엘 아루미 스페인
이스마엘 바녜라스 스페인
아벨 부아데스 스페인
알레한드로 캄파노 스페인
안드레스 카탈라 스페인
산티 카스티예호 스페인
루이스 코디나 스페인
산티 코크 스페인
앙헬 쿠에야르 스페인
로만 쿠닐레라 스페인
쿠로 토레스 스페인
다비드 메디나 스페인
엘로이 페레스 스페인
펠립 폰트 스페인
호르디 갈베스 스페인
호세 안토니오 고르디요 스페인
호르디 그라불로사 스페인
호세 마리 스페인
후안미 스페인
페드로 마이라타 스페인
마놀로 에레로 스페인
마놀로 마르티네스 스페인
마누 델 모랄 스페인
마르코스 데 라 에스파다 스페인
라몬 마스케 스페인
멘치 스페인
사비 몰리나 스페인
호르디 마스노우 스페인
밍고 스페인
사비 몰리나 스페인
페르난도 모란 스페인
모사 스페인
호세 안토니오 나란호 스페인
앙헬 오리베 스페인
호안 파야레스 스페인
마누엘 파레호 스페인
세르히 파레스 스페인
산티 팔란카 스페인
파울리노 스페인
알폰소 페르도모 스페인
안토니오 피니야 스페인
펠릭스 프리에토 스페인
키케 에스테베스 스페인
키코 라미레스 스페인
마놀로 레이나 스페인
페드로 로블레스 스페인
다비드 로차 스페인
카밀로 로이그 스페인
루벤 페레스 스페인
호세 마누엘 루비오 스페인
발레로 세레르 스페인
추스 세라노 스페인
안토니오 토레스 스페인
디에고 토레스 스페인
시스코 캄포스 스페인
후안 비즈카이노 스페인
토비아스 그라흔 스웨덴
아드리안 루나 우루과이
미쿠 베네수엘라
하비에르 올리바 스페인
로베르토 히메네스 스페인
에라디오 스페인
브루노 스페인
오스카르 스페인
아니발 아르헨티나
세사르 나바스 스페인
다비드 아르헨티나
도메네크 발마냐 스페인
디에고 카마초 스페인
아드리안 곤잘레스 스페인
마리아노 마르틴 스페인
프란시스코 말도나도 스페인
빅토르 카사데수스 스페인



== 기록 ==

산티 코크는 528회 출장으로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 역사상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한 선수이다. 발레로 세레르는 181골을 기록하여 구단 역사상 최다 득점 선수이다.

4. 1. 선수 명단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한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알베르토 바로스페인
2MF비엘 비센스스페인
3DF고르카 페레즈스페인
4DF폴 도밍고스페인
5DF우나이 두푸르스페인
6MF안데르 고로스티디스페인
7DF닐 히메네스스페인
8MF마르크 몬탈보스페인
9FW안토닌스페인
10FW자우메 자르디스페인
11FW마르크 페르난데스스페인
13GK다니 레볼로스페인
14MF오스카르 산스스페인
15DF안토니오 레알스페인
16MF알렉스 로페스스페인
17FW파블로 페르난데스스페인
18FW알렉스 히메네스스페인
19FW마리오 로드리게스스페인
20DF알렉산드루 츠르레아루마니아
21DF조안 오리올스페인
22FW빅토르 나로스페인
23FW다비드 콘차스페인
26GK조안 살바스페인



''번호는 공식 웹사이트에 따라 정해졌습니다.'':[http://www.gimnasticdetarragona.com/cat2/equipo-plantilla.php www.gimnasticdetarragona.com] 및 [http://www.lfp.es www.lfp.es]

.

4. 2. 유명 선수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이하 짐나스틱)에서 100경기 이상 출전했거나, 국가대표로 활약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선수국적비고
리아신 카다무로 알제리
마르크 베르나우스 안도라
후스토 루이스 안도라/스페인
사무엘 갈린도 볼리비아
브라질
모하메드 제테이 카메룬
아킬레 에마나 카메룬
파브리스 온도아 카메룬
후안 델가도 칠레
레비 마딘다 가봉
조르지 아부르자니아 조지아
오토 카카바제 조지아
모하메드 라비우 가나
장 뤽 코트디부아르
스즈키 다이스케 일본
스톨레 디미트리에프스키 북마케도니아
압둘라자크 에크포키 나이지리아
이케 우체 나이지리아
훌리오 카세레스 파라과이
아리자 마쿠쿠라 포르투갈
파파쿨리 디오프 세네갈
호르디 알바 스페인
앙헬 스페인
라파엘 아루미 스페인
이스마엘 바녜라스 스페인
아벨 부아데스 스페인
알레한드로 캄파노 스페인
안드레스 카탈라 스페인
산티 카스티예호 스페인
루이스 코디나 스페인
산티 코크 스페인
앙헬 쿠에야르 스페인
로만 쿠닐레라 스페인
쿠로 토레스 스페인
다비드 메디나 스페인
엘로이 페레스 스페인
펠립 폰트 스페인
호르디 갈베스 스페인
호세 안토니오 고르디요 스페인
호르디 그라불로사 스페인
호세 마리 스페인
후안미 스페인
페드로 마이라타 스페인
마놀로 에레로 스페인
마놀로 마르티네스 스페인
마누 델 모랄 스페인
마르코스 데 라 에스파다 스페인
라몬 마스케 스페인
멘치 스페인
사비 몰리나 스페인
호르디 마스노우 스페인
밍고 스페인
사비 몰리나 스페인
페르난도 모란 스페인
모사 스페인
호세 안토니오 나란호 스페인
앙헬 오리베 스페인
호안 파야레스 스페인
마누엘 파레호 스페인
세르히 파레스 스페인
산티 팔란카 스페인
파울리노 스페인
알폰소 페르도모 스페인
안토니오 피니야 스페인
펠릭스 프리에토 스페인
키케 에스테베스 스페인
키코 라미레스 스페인
마놀로 레이나 스페인
페드로 로블레스 스페인
다비드 로차 스페인
카밀로 로이그 스페인
루벤 페레스 스페인
호세 마누엘 루비오 스페인
발레로 세레르 스페인
추스 세라노 스페인
안토니오 토레스 스페인
디에고 토레스 스페인
시스코 캄포스 스페인
후안 비즈카이노 스페인
토비아스 그라흔 스웨덴
아드리안 루나 우루과이
미쿠 베네수엘라
하비에르 올리바 스페인
로베르토 히메네스 스페인
에라디오 스페인
브루노 스페인
오스카르 스페인
아니발 아르헨티나
세사르 나바스 스페인
다비드 아르헨티나
도메네크 발마냐 스페인
디에고 카마초 스페인
아드리안 곤잘레스 스페인
마리아노 마르틴 스페인
프란시스코 말도나도 스페인
빅토르 카사데수스 스페인


4. 3. 기록

산티 코크는 528회 출장으로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 역사상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한 선수이다. 발레로 세레르는 181골을 기록하여 구단 역사상 최다 득점 선수이다.

5. 코칭 스태프

호안 알바레스
에르네스트 카네테


6. 역대 감독

감독임기
라울 롱이/Raúl Longhies1993
파브리시아노 곤잘레스/Fabries1997
주제프 마리아 노게스/José María Noguéses1997 ~ 2002
하비 로페스/Javi Lópezes2007 ~ 2008
세사르 페란도/César Ferrandoes2008 ~ 2010
비센테 모레노/Vicente Morenoes2013 ~ 2016
루이스 카레라스/Luis Carrerases2017
후안 호세 노게스1944 ~ 1950


7. 라이벌 관계

8. 서포터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에는 두 개의 소규모 울트라 그룹이 있다. ''울트라스 타라코''(Ultras Tarraco)는 우익 정치 그룹이며, ''나스틱 크루''(Nàstic Crew)는 안티파 그룹이다.

9. 성적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는 1940-41 시즌 지역 리그에서 10위를 기록한 이후, 여러 디비전을 거치며 다양한 성적을 기록했다. 1944-45 시즌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1위를 차지했고, 1947-48 시즌부터 1949-50 시즌까지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참가하여 각각 7위, 9위, 13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세군다 디비시온과 테르세라 디비시온을 오가며 활동하다가, 1979-80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19위를 기록하며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 2001-02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20위를 기록하여 다시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으나, 2006-07 시즌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해당 시즌에 20위를 기록하며 한 시즌 만에 다시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이후 2015-16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3위를 기록하는 등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기도 했지만, 2018-19 시즌 20위를 기록하며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었다. 2021-22 시즌부터는 프리메라 페데라시온(3부 리그 상당)에서 활동하고 있다.

코파 델 레이에서는 1946-47 시즌 4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시즌디비전순위코파 델 레이
1940-41지역 리그10위
1941-42지역 리그 B3위
1942-43지역 리그2위
1943-44테르세라2위
1944-45테르세라1위
1945-46세군다3위
1946-47세군다2위4강
1947-48프리메라7위
1948-49프리메라9위
1949-50프리메라13위
1950-51세군다15위
1951-52세군다13위
1952-53세군다14위
1953-54테르세라10위
1954-55테르세라1위
1955-56테르세라4위
1956-57테르세라6위
1957-58테르세라8위
1958-59테르세라2위
1959-60테르세라9위
1960-61테르세라1위
1961-62테르세라3위
1962-63테르세라6위
1963-64테르세라3위
1964-65테르세라3위
1965-66테르세라1위
1966-67테르세라2위
1967-68테르세라3위
1968-69테르세라2위
1969-70테르세라7위
1970-71테르세라13위
1971-72테르세라1위
1972-73세군다16위
1973-74세군다6위
1974-75세군다13위
1975-76세군다20위
1976-77테르세라11위
1977-78테르세라1위
1978-79세군다 B2위
1979-80세군다19위
1980-81세군다 B9위
1981-82세군다 B11위
1982-83세군다 B5위
1983-84세군다 B5위
1984-85세군다 B13위
1985-86세군다 B14위
1986-87테르세라4위
1987-88세군다 B8위
1988-89세군다 B9위
1989-90세군다 B17위
1990-91테르세라2위
1991-92세군다 B9위
1992-93세군다 B10위
1993-94세군다 B11위
1994-95세군다 B16위
1995-96세군다 B2위
1996-97세군다 B1위
1997-98세군다 B15위
1998-99세군다 B16위
1999-00세군다 B9위
2000-01세군다 B2위
2001-02세군다20위16강
2002-03세군다 B9위64강
2003-04세군다 B3위
2004-05세군다7위3라운드
2005-06세군다2위3라운드
2006-07프리메라20위32강
2007-08세군다14위2라운드
2008-09세군다10위2라운드
2009-10세군다18위2라운드
2010-11세군다18위2라운드
2011-12세군다22위2라운드
2012-13세군다 B6위1라운드
2013-14세군다 B4위32강
2014-15세군다 B1위2라운드
2015-16세군다3위3라운드
2016-17세군다14위32강
2017-18세군다15위2라운드
2018-19세군다20위1라운드
2019-20세군다 B14위2라운드
2020-21세군다 B1위/4위
2021-22프리메라 RFEF4위1라운드
2022-23연맹 1부8위32강
2023-24연맹 1부?위

10. 우승 기록

10. 1. 국내 대회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는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1996-97, 2014-15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 1983-84 시즌에는 세군다 디비시온 B 리그 컵에서 우승했고, 같은 시즌 코파 데 라 리가 세군다 디비시온 B 1조에서도 우승했다.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는 1944-45, 1954-55, 1960-61, 1965-66, 1966-67, 1971-72, 1977-78 시즌에 우승하여 총 7번의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코파 카탈루냐에서는 2007-08 시즌에 우승했다.

10. 2. 지역 대회

코파 카탈루냐에서 2007–08, 2011–12, 2016-17 시즌에 우승했다. 카탈루냐 컵 2부 리그에서는 1926-27 시즌에 우승했다.

11. 제휴 클럽

다음은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의 제휴 클럽들이다.[6][7]

참조

[1] 웹사이트 Nou Estadi de Tarragona - Gimnastic - The Stadium Guide https://www.stadiumg[...] 2020-02-03
[2] 뉴스 ¡El Nàstic, salvado! (Nàstic, saved!) http://www.sport.es/[...] Diario AS 2011-05-29
[3] 뉴스 El Nàstic recibe al Hércules con los ánimos renovados tras empatar en Riazor (Nàstic hosts Hércules with high spirits after Riazor draw) http://www.elcomerci[...] El Comercio 2011-10-21
[4] 간행물 Spain – List of foundation dates of clubs https://www.rsssf.or[...]
[5] 웹사이트 Gimnàstic Tarragona - Segunda División B G 3 https://www.resultad[...] 2020-02-03
[6] 웹사이트 El Nàstic y el CF Pobla de Mafumet seguirán de la mano https://www.diaridet[...] 2020-06-28
[7] 웹사이트 El Kitchee SC es farà soci del Gimnàstic de Tarragona i de La Pobla de Mafumet https://hemerotecata[...] 2024-06-06
[8] 웹사이트 Web oficial del club http://www.gimnast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