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집게벌레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게벌레목(Dermaptera)은 꼬리 끝에 집게 모양의 미모를 가진 곤충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약 2,000종이 존재한다. 몸은 납작하고 길쭉하며, 대부분 날개가 있어 날 수 있지만, 일부 종은 날개가 퇴화되었다. 집게벌레는 숲, 들판, 정원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다른 곤충이나 식물을 먹고 산다. 알-약충-성충의 불완전변태를 하며, 암컷은 알을 보호하고 돌보는 행동을 보인다. 집게벌레는 농작물에 피해를 줄 수도 있지만, 진딧물과 같은 해충을 잡아먹는 이로운 역할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집게벌레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Dermaptera De Geer, 1773
이명Euplecoptera
Euplexoptera
Forficulida
영명Earwig
아목Arixenina
Hemimerina
Forficulina
†Archidermaptera
†Protelytroptera
암컷 일반 집게벌레, Forficula auricularia
암컷 일반 집게벌레, Forficula auricularia
분류
상위 분류다신시상목 (Polyneoptera)
생물학적 정보
화석 범위후기 트라이아스기부터 현재

2. 어원

집게벌레목의 학명인 ''Dermaptera''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derma|데르마grc는 피부한국어를 의미하고, pteron|프테론grc(복수 ptera|프테라grc)는 날개한국어를 의미한다. 이 학명은 1773년 샤를 드 제르에 의해 명명되었다. 일반적인 용어인 "귀벌레(earwig)"는 고대 영어 ēare|에아레ang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귀한국어를 의미하고, wicga|위가ang는 곤충한국어, 즉 문자 그대로 딱정벌레한국어를 의미한다.[2] 곤충학자들은 이 이름의 유래가 곤충 중 독특하고 뚜렷하며 펼쳤을 때 사람의 귀를 닮은 뒷날개의 모습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3][4] 이 이름은 귀벌레가 귀를 통해 인간의 뇌 속으로 들어가 그곳에 알을 낳는다는 옛날 이야기와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5] 귀벌레가 의도적으로 귓구멍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진 바는 없지만, 귓속에서 귀벌레가 발견되었다는 적어도 하나의 일화가 보고된 바 있다.[6]

날개를 펼친(좌)/접은(우) 집게벌레 그림


영어 이름 "earwig"는 고대 영어의 ''ēare|에아레ang''(귀)와 ''wicga|위가ang''(벌레)에서 유래한다.[69] 독일어로는 "Ohrwurm"이라고 부르며, 이것 역시 "귀 벌레"의 의미이다.[70] "귀 벌레"의 유래는 펼쳐진 뒷날개의 모양이 사람의 귀를 닮았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지만,[71][72] "잠자는 사람의 귀에 들어가 안에서 갉아먹는다"[73], "귀에서 뇌로 들어가 산란한다"[74] 등의 전승에 따른다는 설이 더 일반적이다. 실제 집게벌레가 귓구멍으로 들어가는 습성은 없지만, 우발적으로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 사례는 보고되고 있다.[75] 일본에서는, 오래된 재래식 변소 근처에서 자주 발견되었기 때문에, 별명으로 "고추 자르개", "고추 가위"라고 불렸다.[76]

3. 분포

집게벌레는 아메리카 대륙과 유라시아 전역에서 널리 분포한다.[13] 1907년 유럽에서 북아메리카로 유입된 집게벌레는 미국 남부와 남서부 지역에서 더 흔하게 발견된다.[13]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토착 집게벌레 종으로는 가시꼬리집게벌레(Doru aculeatum)가 있으며,[7] 캐나다 북부, 특히 온타리오 남부 습지에서 발견된다. Forficulidae, Spongiphoridae, Anisolabididae, Labiduridae를 포함한 다른 과들도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다.[8]

집게벌레는 숲, 들판, 정원의 좁은 틈새에서 발견될 수 있다.[13][9] 전 세계 약 1,800종 중 북아메리카에는 약 25종, 유럽(영국 7종 포함)에는 45종, 호주에는 60종이 서식한다.[10]

4. 형태

대부분의 집게벌레는 몸이 납작하며(나무껍질 아래와 같은 좁은 틈에 들어갈 수 있게 해준다) 몸이 길쭉하고 일반적으로 7mm에서 50mm 길이이다.[10] 가장 큰 현존하는 종은 호주 거대 집게벌레(''Titanolabis colossea'')로 길이가 약 50mm이며,[11]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2014년에 멸종 선언) 세인트헬레나 집게벌레(''Labidura herculeana'')는 78mm에 달했다.[12] 집게벌레는 복부에 있는 집게 모양의 꼬리, 즉 미모(cerci)로 특징지어진다. 수컷 집게벌레는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더 구부러진 집게를 가지고 있다. 이 집게는 먹이를 잡고, 자신을 방어하고, 짧은 시초(tegmina) 아래에 날개를 접는 데 사용된다.[46] 촉각은 실 모양이며 최소 10개의 마디가 있다.[13]

수컷 집게벌레, 외부 형태


오른쪽 날개가 펼쳐진 집게벌레


앞날개는 딱정벌레의 딱지날개처럼 뒷날개를 덮는 데 사용되는 짧고 타원형의 가죽판이며, 날기 위한 용도가 아니다. 대부분의 종은 짧고 가죽 같은 앞날개와 매우 얇은 뒷날개를 가지고 있지만, 이전 아목인 Arixeniina와 Hemimerina(때로는 외기생충으로 간주되는 착생 종[17][18])은 날개가 없고 맹목적이며 실 모양의 분절된 미모를 가지고 있다(오늘날 이들은 단지 Neodermaptera 아목에 포함된 과로 간주된다).[10][19][20] 뒷날개는 부채처럼 펼쳐지는 매우 얇은 막으로, 앞날개 아래로 접히는 한 지점에서 방사형으로 펼쳐진다. 대부분의 집게벌레는 날개가 있고 날 수 있지만, 날아다니는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 날개는 맥락과 미모를 사용하여 접는 패턴이 독특하다.[21]

일반적으로 가늘고 긴 체형의 곤충으로, 앞날개는 짧고 가죽질이며, 뒷날개는 얇고 커서 정지 시에는 이를 접어 앞날개 아래에 집어넣는다. 그 때문에 복부의 대부분이 노출된다. 또한, 집게벌레나 히게지로집게벌레 등은 날개가 전혀 없다.

본 목의 곤충은 꼬리 끝에 가동하는 각질의 집게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그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이것은 메뚜기목이나 바퀴목에 현저하게 보이는 꼬리털이 발달한 것으로, 포식, 천적으로부터의 방어, 동종 간 및 이종 간의 투쟁에 사용된다. 위험을 느끼면 악취선에서 청산을 내뿜는다.

앞날개가 가죽질로 짧고, 배가 가늘고 길게 노출된 모습은 딱정벌레목의 반날개과의 것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반날개에는 꼬리 끝에 집게가 없다. 육각으로 꼬리에 가위를 가진 가위벌레는, 집게벌레와 특징이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무리이다.

'''집게벌레'''(Anisolabis maritima|아니솔라비스 마리티마la)는 말무네집게벌레과의 곤충으로, 몸은 검은색이며 돌 밑 등 습한 장소를 선호한다. 암컷보다 수컷의 집게가 더 많이 굽어 있다. 날개가 없다.

5. 생태

집게벌레는 대부분 야행성이며, 낮에는 좁은 틈새, 돌 밑, 나무껍질 아래 등에 숨는다. 숲, 들판, 정원 등 다양한 곳에서 발견될 수 있다.[13][9]

집게벌레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을 먹는 잡식성이지만, 일부 종은 육식성이거나 초식성이기도 하다. 썩은 동식물, 곤충, 진딧물, 식물의 잎, 과일 등을 먹는다. 일반집게벌레는 식물과 익은 과일뿐만 아니라 절지동물을 사냥하며, 진딧물을 주로 먹고 파리(blue bottle fly)나 솜진딧물(Eriosomatinae)과 같은 큰 곤충도 먹는다.[9] 클로버, 달리아, 금잔화, 접시꽃, 상추, 딸기, 해바라기, 복숭아, 포도, 감자, 등을 먹으며, 옥수수 수염을 먹어 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30]

짝짓기는 가을에 이루어지며, 암컷은 흙 속이나 틈새에 20~80개의 알을 낳고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는 모성애를 보인다.[13][19] 알은 약 7일 후에 부화하며,[23] 약충은 4~6번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된다. 집게벌레는 불완전변태를 하며, 수명은 약 1년이다.

수컷 집게벌레의 알에서부터 각 탈피까지의 생활 주기와 발달 과정


꽃을 먹고 있는 수컷 ''Forficula auricularia''


서고츠산맥의 집게벌레

5. 1. 천적

집게벌레는 조류, 곤충을 먹는 포유류, 양서류, 도마뱀, 지네, 암살벌레, 거미 등 다양한 동물의 먹이가 된다.[33] 유럽의 박물학자들은 박쥐가 집게벌레를 잡아먹는 것을 관찰했다.[33]

털파리과(Tachinidae)에 속하는 기생 파리 종들은 집게벌레의 주요 천적이며, 이들의 유충은 내부 기생충이다. 털파리과의 ''Triarthria setipennis''는 거의 한 세기 동안 집게벌레의 생물학적 방제에 성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4][35] ''Ocytata pallipes''라는 또 다른 털파리과 곤충도 집게벌레의 기생충으로, 생물학적 방제제로 유망하다.[36] 말벌(Vespula maculifrons)과 같은 일반적인 포식성 말벌도 집게벌레가 풍부할 때 이들을 잡아먹는다.[37]

6. 생물학적 특징

집게벌레는 불완전변태를 하는 반시류 곤충으로, 알-약충-성충 단계를 거친다.[13] 암컷은 한 번에 20~80개의 알을 낳으며,[13] 알을 낳은 후에도 곰팡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알을 청소하는 등 알을 돌보는 행동을 보인다.[13]

신경내분비계는 뇌, 하인두 신경절, 세 개의 흉부 신경절, 그리고 여섯 개의 복부 신경절로 구성된다. 신경혈관 심장체는 뇌와 전두 신경절에 연결되며, 중앙 알라체는 유충 호르몬 III을 생성한다.[22]

소화계는 앞창자, 중간창자, 뒷창자로 구성되며, 말피기관은 중간창자와 뒷창자의 접합부에서 발견된다.[22]

암컷의 생식계는 한 쌍의 난소, 난관, 정자수용체, 그리고 생식실로 구성된다. 난관은 알이 몸 밖으로 나오는 통로이고, 정자수용체는 정자가 저장되는 곳이다.[22]

7. 분류

집게벌레목은 크게 3개의 아목으로 나뉜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집게벌레는 집게벌레아목(Forficulina)에 속하며, 여기에는 흔히 볼 수 있는 유럽집게벌레(''Forficula auricularia'')가 포함된다.[47]


  • 바퀴벌레집게벌레아목(Arixeniina)
  • * Arixeniidae
  • 집게벌레아목(Forficulina)
  • * 민집게벌레과(Anisolabididae)
  • * 아파키우스과(Apachyidae)
  • * 검은집게벌레과(Chelisochidae)
  • * 디플라티스과(Diplatyidae)
  • * 집게벌레과(Forficulidae)
  • * 큰집게벌레과(Labiduridae)
  • * 긴가슴집게벌레과(Pygidicranidae)
  • * 꼬마집게벌레과(Spongiphoridae)
  • 집게벌레붙이아목(Hemimerina)
  • * 집게벌레붙이과(Hemimeridae)


바퀴벌레집게벌레아목과 집게벌레붙이아목은 각각 Arixeniidae과 Hemimeridae 과로 강등되어 신집게벌레아목으로 묶인다.[55] 이들은 박쥐에 외부 기생하는 특징이 있다.

과거에는 말슴지벌레과(Carcinophoridae) 등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7. 1. 계통 분류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에서는 집게벌레목을 신시류에 포함시키면서, 강도래목, 민벌레목과 함께 묶었다. 또한 이들을 다시 망시상목,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 등과 함께 묶는 계통 분류를 제안했다.[80]

{| class="wikitable"

|-

! 신시류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강도래목

|-

| 집게벌레목

|-

| 민벌레목

|-

| 망시상목

|-

|



|-

|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

|-

|

대벌레붙이목
귀뚜라미붙이목



|-

|



|-

| 메뚜기목

|-

|



|}

|-

|

{| class="wikitable"

|-

|



|-

| 내시상목

|}

|}

중국 중기 쥐라기 시대의 멸종된 에오더마테라(Eodermaptera)의 일원인 ''벨로데르마(Belloderma arcuata)'' 화석


집게벌레목은 메뚜기목과 근연 관계에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메뚜기목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 목의 곤충은 외부 형태상 매우 유사한 종이 많아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형태에 의한 동정은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79]

8. 인간과의 관계

집게벌레는 일반적으로 해충으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때때로 농작물이나 정원의 식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그러나 진딧물과 같은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썩은 식물과 동물의 사체를 먹기도 하며, 클로버, 달리아, 금잔화, 접시꽃, 상추, 딸기, 복숭아, 자두, 포도, 감자 등 다양한 식물을 먹는다. 특히 옥수수 수염을 먹어 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0]

집게벌레가 사람의 귀에 들어간다는 속설은 널리 퍼져 있지만, 실제로 그런 경우는 드물며, 뇌에 알을 낳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58][59][60] 사람에게 질병을 옮긴다는 증거는 없으며, 집게가 위험하다는 인식과 달리 사람에게 큰 해를 끼치지 않는다.[57]

'집게벌레'라는 이름은 고대 영어의 ''ēareang''(귀)와 ''wicgaang''(벌레)에서 유래한다.[69] 독일어로는 "귀 벌레"를 의미하는 "Ohrwurm"이라고 부른다.[70] 이는 펼쳐진 뒷날개 모양이 사람의 귀를 닮았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지만,[71][72] "잠자는 사람의 귀에 들어가 안에서 갉아먹는다"[73], "귀에서 뇌로 들어가 산란한다"[74] 등의 속설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더 일반적이다. 실제로 집게벌레가 귓구멍으로 들어가는 습성은 없지만, 우발적으로 들어간 사례는 보고되고 있다.[75]

8. 1. 문화 속 집게벌레


  • 제임스 조이스의 실험 소설 ''피네건의 경야''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은 "HCE"라는 약칭으로 불리며, 이는 주로 집게벌레를 언급하는 "험프리 침프덴 이어위커"(Humphrey Chimpden Earwicker)를 의미한다. 집게벌레 이미지는 이 책 전체와 작가의 ''율리시스''의 라에스트리고니안 장에서도 나타난다.[63]
  • 오스카 쿡의 단편 소설 "부메랑"은 동료의 아내에게 집착하는 남자가 살인 도구로 집게벌레를 사용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로드 설링에 의해 TV 시리즈 ''나이트 갤러리'' 에피소드 "The Caterpillar"로 각색되었다.[64]
  • 일본의 일부 지역에서는 집게벌레를 "친포-바사미"(Chinpo-Basami) 또는 "친포-키리"(Chinpo-Kiri)라고 부르는데, 이는 "음경 절단기"를 의미한다. 일본의 문화 곤충학자인 타카다 켄타는 이러한 이름이 집게벌레가 옛 일본식 화장실 주변에서 발견되었던 사실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추론했다.[67]

참조

[1] 논문 Phylum Arthropoda von Siebold, 1848 In: Zhang, Z.-Q. (Ed.)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http://mapress.com/z[...] 2012-01-16
[2]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20-10-31
[3] 서적 The Other Insect Societi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4] 웹사이트 Dermaptera: earwigs http://www.ento.csir[...] CSIRO 2015-11-16
[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66-12-31
[6] 논문 Earwig in the ear
[7] 서적 Urban Insects and Arachnids: A Handbook of Urban Entomology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1-28
[8] 서적 Insects: Their Natural History and Diversity: With a Photographic Guide to Insects of Eastern North America Firefly Books 2006-06
[9] 웹사이트 European Earwigs http://www.ext.colos[...] Colorado State University 2009-06-25
[10] 서적 Entomology https://archive.org/[...] Springer
[11] 서적 Amazing Numbers in Biology Springer
[12] 웹사이트 St Helena giant earwig ''Labidura herculeana'' http://www.nhm.ac.uk[...] Natural History Museum 2013-05-25
[13] 서적 International Wildlif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Inc 2020-09-12
[14] 웹사이트 Mating and genital coupling in the primitive earwig species Echinosoma denticulatum (Pygidicranidae): implications for genital evolution in dermapteran phylogeny https://www.zobodat.[...]
[15] 웹사이트 Half of These Earwigs Use Their Right Penis. The Other Half Use Their Left Penis. Why? https://www.smithson[...]
[16] 논문 In Search of the Origin of Twin Penises: Molecular Phylogeny of Earwigs (Dermaptera: Forficulina)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Ribosomal RNA Genes https://academic.oup[...] 2004-09-01
[17] 서적 Insects: their structure & life J. M. & Co. 2020-10-31
[18] 서적 The other insect societi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10-31
[19] 서적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20] 웹사이트 Earwigs http://ipm.ncsu.edu/[...] 2009-07-20
[21] 논문 The evolution of wing folding and flight in the Dermaptera (Insecta) http://www.isez.pan.[...] 2009-12-01
[22]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23] 웹사이트 Earwigs, HYG-2068-94 https://archive.toda[...] 2009-07-20
[24] 논문 Maternal Food Regurgitation to Nymphs in Earwigs (Forficula auricularia) https://web.archive.[...]
[25] 논문 Matriphagy in the hump earwig, Anechura harmandi (Dermaptera: Forficulidae), increases the survival rates of the offspring
[26] 논문 Chemical defense of an earwig (Doru taeniatum) https://web.archive.[...] 2011-02-25
[27] 간행물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Curious Facts in the History of Insects; Including Spiders and Scorpions https://www.gutenber[...] 2012-12-15
[28] 간행물 Earwig invasion mystery https://www.mypmp.ne[...] Pest Management Professional 2021-09-01
[29] 웹사이트 Earwig https://web.archive.[...] Gulf Publishing Company 2009-11-15
[30] 논문 European earwig, ''Forficula auriculari'' L. (Dermaptera: Forficulidae), as a predator of the redlegged earth mite, ''Halotydeus destructor'' (Tucker) (Acarina: Penthaleidae)
[31] 논문 A review of the parasitic earwigs http://hbs.bishopmus[...] 2009-11-28
[32] 웹사이트 The Bug Review-Earwigs http://urbanext.illi[...] Extension Entomologist,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09-11-15
[33] 간행물 Earwigs.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2001
[34] 간행물 Progress report regarding the introduction in Oregon of Digonocheata setipennis, a tachinid parasite of the European earwig. 1934
[35] 간행물 Dermaptera – Forficulidae – European Earwig. 1978
[36] 논문 "Ocytata pallipes (Fallén) (Dipt., Tachinidae), a potential agent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the European earwig." 2009-08-26
[37] 논문 "Vespula maculifrons (Hymenoptera: Vespidae) Preying on the European Earwig Forficula auricularia." 1968-06
[38] 서적 "Dermaptera: the earwi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9] 논문 "The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y of a New Genus of the Laboulbeniales on an Earwig." 1952-07
[40] 웹사이트 "EENY088/IN245: Ringlegged Earwig, Euborellia annulipes (Lucas) (Insecta: Dermaptera: Carcinophoridae)" http://edis.ifas.ufl[...] Entomology and Nematology Department,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University of Florida 1999-06
[41] 논문 "The Relationships of the Tyroglyphoid Mite, Histiostoma Polypori (Oud.) with the Earwig, Forficula Auricularia Linn." 1956
[42] 논문 "Necromenic life style of Histiostoma polypori (Acari: Histiostomatidae)" 2009-12
[43] 간행물 "Economic entomology." Ohio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1924
[44] 학술지 Phylogeny of earwigs (Insecta: Dermaptera)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evidence: Reconsidering the classification of Dermaptera
[45] 학술지 When the Body Hides the Ancestry: Phylogeny of Morphologically Modified Epizoic Earwigs Based on Molecular Evidence
[46] 서적 Evolution of the Ins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5
[47] 웹사이트 Dermaptera — Earwigs http://www.tolweb.or[...] Tree of Life web project
[48] 논문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free-living earwig, Challia fletcheri (Dermaptera: Pygidicranidae) and phylogeny of Polyneoptera 2012
[49] 학술지 Evolutionary history of Polyneoptera and its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early winged insects 2019-02-19
[50] 학술지 An Earwig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Korea (Dermaptera: Forficulina)
[51] 서적 A Dictionary of Entomology https://books.google[...] CABI Publishing
[52] 학술지 Morphology of neurones associated with the antennal heart of Periplaneta americana (Blattodea, Insecta) 1988-08
[53] 서적 Insec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CRC Press 2001-11-28
[54] 서적 Entom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5
[55] 학술지 Family-group Names for Earwigs (Dermaptera) http://www.bioone.or[...] 2007
[56] 학술지 A phylogeny of earwigs (Insecta: Dermaptera)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evidence: reconsidering the classification of Dermaptera http://www.earwigs-o[...]
[57] 서적 Introduction to Earwigs Home Institute
[58] 학술지 Earwig in the ear
[59] 웹사이트 Bugs in the Ear http://www.snopes.co[...] Snopes.com
[60] 서적 The Earwig's Tail: A Modern Bestiary of Multi-Legged Legends Harvard University Press
[61] 학술지 Arthropod contamination of red raspberry (Rubus idaeus L.) harvested by machine in Scotland 1997-09
[62] 학술지 Exploitation of predators in UK fruit and hop culture 1992-03
[63] 서적 A Skeleton Key to Finnegans Wake The Viking Press 1961
[64] 웹사이트 The Second Season http://nightgallery.[...]
[65] 웹사이트 Love Lane https://www.poetryno[...]
[66] 학위논문 Insect Life in the Poetry and Drama of England: With Special Reference to Poetry University of Ottawa
[67] 학술지 Vulgar dialect names of earwigs used in Kansai Region, Japan http://www.konchukan[...]
[68] 웹사이트 Extract - George's Marvellous Medicine by Roald Dahl https://www.penguin.[...]
[69]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70] 문서 梅谷(1994)p.206
[71] 서적 The Other Insect Societi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72] 웹사이트 Dermaptera: earwigs http://www.ento.csir[...] CSIRO 2015-11-16
[73] 문서 1994
[7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66-12-31
[75] 논문 Earwig in the ear
[76] 논문 Vulgar dialect names of earwigs used in Kansai Region, Japan http://www.konchukan[...]
[77] 웹사이트 ハサミムシの母の最期はあまりにも壮絶で尊い https://toyokeizai.n[...] 2019-11-24
[78] 간행물 ヒゲジロハサミムシのメスによる子育て行動 https://doi.org/10.2[...] 一般社団法人 日本昆虫学会 2019-03-25
[79] 문서 日本の昆虫1400 文一総合出版 2014-04-19
[80] 웹사이트 Strepsiptera. Twisted-wing parasites. http://tolweb.org/St[...] 2002-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