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성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성촌은 같은 혈연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또는 부락을 의미한다. 한국과 중국 등지에서 나타나며, 특히 중국 화남, 화중 지역과 타이완 중부, 그리고 조선 말기 한반도에서 많이 형성되었다. 집성촌은 양란 이후 성리학적 이념의 확산과 가부장제 정착으로 부계 중심의 사회가 강화되면서 증가했다. 집성촌은 높은 출생률과 성비 불균형, 조직 범죄 연루 가능성, 과잉 인구 문제 등의 문제점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집성촌 | |
---|---|
개요 | |
유형 | 마을 |
정의 | 같은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
명칭 | |
한자 표기 | 單姓村 (단성촌) |
한국어 표기 | 집성촌 (集姓村) |
한국어 표기 (다른 표현) | 동성촌락 (同姓村落), 동족부락 (同族部落) |
특징 | |
설명 | 같은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형성되는 마을 한국에서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지님 |
분포 | |
대한민국 | 전국 각지에 분포 |
일본 | 특정 지역에 동일 성씨가 집중된 현상 존재 |
중국 | 단성촌 존재 |
인도 | 특정 성씨를 공유하는 주민들이 거주하는 마을 존재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종족 |
2. 형성
집성촌은 동족 부락으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양란 이후 대거 생겨났다. 이는 전란으로 전통 풍속이 파괴되고 17세기부터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와 중국식 풍습이 상속과 혼인에 강력히 이식되어 부계 중심의 가부장제가 정착되었기 때문이다. 16세기까지는 자녀 균분 상속이 철저하게 지켜졌고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 풍속에 따라 사위와 함께 사는 경우가 많아 아들과 딸, 친손자와 외손자를 구별하지 않고 부모의 제사도 자녀들이 돌아가며 지내는 것이 보편적이었기에 집성촌 형성이 활발하지 않았다.[16]
같은 혈연을 가진 종족이 모여 사는 것은 일상적인 상호 협력이나 외부 적의 방어에 유리하기 때문에, 지방 종족의 세력이 막강한 중국의 화남·화중 지역 (장시성 남부, 푸젠성 남서부, 광둥성 북동부, 저장성 남부, 안후이성 남부, 후난성 남부, 후베이성 남부, 쓰촨성)과 타이완 중부에 많이 나타난다.[8] 특히 객가인과 차오저우어를 사용하는 차오저우인의 거주 지역에는 단성촌이 자주 나타나며, 20만 명이 넘는 단성촌도 존재한다.[9][10] 이러한 지역은 송 이후 중앙 정부에 의한 대규모 이주 개척이나 북방의 전란으로 인해 많은 종족이 집단으로 남방으로 이동했고, 토객투쟁 등의 치안 문제로 인해 일족의 단결이 더욱 필요했기 때문에, 종족의 유력자인 재향 지주와 향신층이 지배하는 자치성이 강한 단성촌이 매우 발달했다.
종족의 힘이 강한 촌락의 특징으로는 호화로운 장식을 한 조묘·사당, 막대한 면적을 차지하는 족전, 종족 단위의 묘, 다액의 비용과 노력을 요하는 족보, 그리고 촌락 공동체의 이익을 최대화하고, 개인 간의 다툼과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을 전체를 단결시키는, 지켜야 할 계율의 존재가 있다.[1][8]
한편, 중국의 장강 유역과 서남의 소수 민족 지역에는 산거촌이 많고, 북방에는 많은 성씨의 사람들이 하나의 집락에 사는 잡성촌이 많으며, 화둥 지역과 화남의 주강 삼각주에는 근대 이후의 상업의 발달로 집락의 경계선이 얇아지면서, 더 큰 공동체가 형성되었다.[8]
조선에서는 양반 계급의 인원 증가 (조선 말기에는 전체 가구의 7할 이상이 양반 호적이었다)로 인해 촌락의 사족 사회화가 급속히 진행된 결과, 집성촌이 급증했다.[3]
2. 1. 한국
한국에서 집성촌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양란 이후 대거 생겨났다. 이는 전란으로 인해 전통 풍속이 파괴되고 17세기부터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와 중국식 풍습이 상속과 혼인에까지 강력히 이식되어 부계 중심의 가부장제가 정착되었기 때문이다.16세기까지는 자녀 균분 상속이 철저하게 지켜졌고, 남자가 여자의 집에서 사는 풍습(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에 따라 사위와 함께 사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아들과 딸, 친손자와 외손자를 구별하지 않아 부모의 제사도 자녀들이 아들·딸 구별 없이 돌아가며 지내는 것이 보편적이어서 집성촌 형성이 활발하지 않았다.[16]
조선에서는 양반 계급의 인원 증가 (조선 말기에는 전체 가구의 7할 이상이 양반 호적이었다)로 인해 촌락의 사족 사회화가 급속히 진행된 결과, 집성촌이 급증했다.[3]
2. 1. 1. 양동마을
1930년대에도 한반도 전체에는 약 1만 5000개의 동족 부락이 존재했고, 마을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2] 두 개의 씨족 세력이 대립하는 경우에는 양동마을과 같이 두 성씨에 의한 집성촌이 형성되기도 한다.[11]2. 2. 중국
같은 혈연을 가진 종족이 모여 사는 것은 일상적인 상호 협력이나 외부 적의 방어에 유리하기 때문에, 지방 종족의 세력이 막강한 중국에서 많이 나타난다. 특히 객가인과 차오저우어를 사용하는 차오저우인의 거주 지역에는 단성촌이 자주 나타나며, 20만 명이 넘는 단성촌도 존재한다.[9][10]송 이후 중앙 정부에 의한 대규모 이주 개척이나 북방의 전란으로 인해 많은 종족이 집단으로 남방으로 이동했고, 토객투쟁 등의 치안 문제로 인해 일족의 단결이 더욱 필요했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촌락이 발달했다.
2. 2. 1. 지역별 특징
중국의 화남·화중 지역 (장시성 남부, 푸젠성 남서부, 광둥성 북동부, 저장성 남부, 안후이성 남부, 후난성 남부, 후베이성 남부, 쓰촨성)과 타이완 중부에는 같은 혈연을 가진 종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 많이 나타난다. 이는 일상적인 상호 협력이나 외부 적의 방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8] 특히 객가인과 차오저우어를 사용하는 차오저우인의 거주 지역에는 단성촌이 자주 나타나며, 20만 명이 넘는 단성촌도 존재한다.[9][10]이러한 지역은 송 이후 중앙 정부에 의한 대규모 이주 개척이나 북방의 전란으로 인해 많은 종족이 집단으로 남방으로 이동했고, 토객투쟁 등의 치안 문제로 인해 일족의 단결이 더욱 필요했기 때문에, 종족의 유력자인 재향 지주와 향신층이 지배하는 자치성이 강한 단성촌이 매우 발달했다.
종족의 힘이 강한 촌락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호화로운 장식을 한 조묘·사당
- 막대한 면적을 차지하는 족전
- 종족 단위의 묘
- 다액의 비용과 노력을 요하는 족보
- 촌락 공동체의 이익을 최대화하고, 개인 간의 다툼과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을 전체를 단결시키는, 지켜야 할 계율[1][8]
한편, 중국의 장강 유역과 서남의 소수 민족 지역에는 산거촌이 많고, 북방에는 많은 성씨의 사람들이 하나의 집락에 사는 잡성촌이 많으며, 화둥 지역과 화남의 주강 삼각주에는 근대 이후의 상업의 발달로 집락의 경계선이 얇아지면서, 더 큰 공동체가 형성되었다.[8]
한반도에서도 조선에 양반 계급의 인원이 증가하면서 (조선 말기에는 전체 가구의 7할 이상이 양반 호적이었다) 촌락의 사족 사회화가 급속히 진행된 결과, 집성촌이 급증했다.[3] 1930년대에도 한반도 전체에는 약 1만 5000개의 동족 부락이 존재했고, 마을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2] 다만, 두 개의 씨족의 세력이 대립하는 경우에는, 양동마을과 같이 두 개의 성씨에 의한 집성촌이 형성되기도 한다.[11]
3. 문제점
단성촌은 공동체 의식이 강해, 마을 전체가 마약 생산 등의 조직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 경찰의 단속이 어려울 수 있다.[15]
3. 1. 높은 출생률과 성비 불균형
2009년 연구에 따르면, 단성촌의 출생률은 잡성촌보다 43%나 높으며, 종족의 힘이 강하기 때문에 하나의 자녀 정책에 대한 저항도 강하다. 이러한 마을에서 "초생"(2명 이상의 아이를 낳는 것)에 대한 정부의 처벌이 현지 종족의 저항으로 인해 매우 어려우므로, 여성 신생아의 영아 살해 현상은 다른 지역보다 적지만, 종족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남성 신생아를 더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난다.[12] 이 때문에, 현재 광둥성 차오저우 시, 산터우 시, 메이저우 시 등 구 차오저우 지역에서 외동은 적지만, 성비는 130:100 이상인 지역이 많고, 210:100인 지역도 있다.[13] 실제로, 과거에는 객가인과 차오저우인의 거주 지역에서 인구가 너무 많이 늘어 토지가 부족해져, 많은 촌민들이 화교로서 동남아시아로 이주하는 사태가 발생했다.[14]3. 2. 조직 범죄 연루 가능성
2009년 연구에 따르면, 단성촌은 잡성촌보다 출생률이 43%나 높으며, 종족의 힘이 강해 하나의 자녀 정책에 대한 저항도 강하다. 이러한 마을에서는 '초생'(2명 이상 아이를 낳는 것)에 대한 정부의 처벌이 현지 종족의 저항으로 인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여성 신생아의 영아 살해 현상은 다른 지역보다 적지만, 종족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남성 신생아를 더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난다.[12] 이 때문에 현재 광둥성 차오저우 시, 산터우 시, 메이저우 시 등 구 차오저우 지역에서는 외동은 적지만, 성비는 130:100 이상인 지역이 많고, 210:100인 지역도 있다.[13]또한, 단성촌 촌민들은 공동체 의식이 강하기 때문에, 마을 전체가 마약 생산 등의 조직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 경찰의 단속이 어렵다.[15]
3. 3. 과잉 인구 문제와 해외 이주
2009년 연구에 따르면, 단성촌의 출생률은 잡성촌보다 43%나 높으며, 종족의 힘이 강하기 때문에 하나의 자녀 정책에 대한 저항도 강하다. 이러한 마을에서 "초생"(2명 이상의 아이를 낳는 것)에 대한 정부의 처벌이 현지 종족의 저항으로 인해 매우 어려우므로, 여성 신생아의 영아 살해 현상은 다른 지역보다 적지만, 종족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남성 신생아를 더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난다.[12] 이 때문에, 현재 광둥성 차오저우 시, 산터우 시, 메이저우 시 등 구 차오저우 지역에서 외동은 적지만, 성비는 130:100 이상인 지역이 많고, 210:100인 지역도 있다.[13] 실제로, 과거에는 객가인과 차오저우인의 거주 지역에서 인구가 너무 많이 늘어 토지가 부족해져, 많은 촌민들이 화교로서 동남아시아로 이주하는 사태가 발생했다.[14]참조
[1]
웹사이트
宗族とは
https://kotobank.jp/[...]
2022-05-31
[2]
논문
韓国の都市における同姓組織の全体構造 ― ソウル市「全州李氏大同宋約院」を事例として ―
https://www.jstage.j[...]
京都大学文学部社会学研究会
[3]
웹사이트
동성촌락(同姓村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2-05-31
[4]
웹사이트
「住民すべてが同じ名字」という伝説の村は実在するのか?
https://diamond.jp/a[...]
2017-12-15
[5]
웹사이트
新五国風土記 丹波の足立さん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2018-02-03
[6]
웹사이트
特定地域に多い「○○さん」 その理由は? <J1グランプリ>
https://ryukyushimpo[...]
2021-05-11
[7]
웹사이트
Gujarat: Residents share same surname in this village! {{!}} Ahmedabad News
https://timesofindia[...]
2019-09-14
[8]
웹사이트
徐勇 “分”与“合”:质性研究视角下农村区域性村庄分类 · 中国民俗学网-中国民俗学会 · 主办 ·
https://www.chinafol[...]
2016-12-29
[9]
웹사이트
赣州客家强烈宗族观,同一姓氏在一栋大屋、一个村、多个村……_腾讯新闻
https://new.qq.com/r[...]
2020-06-29
[10]
웹사이트
广东“人口第一村”,居住人数20万,都一个姓氏,村民遍布东南亚_长陇
https://www.sohu.com[...]
2021-10-18
[11]
웹사이트
양동은 왜 두 성씨의 집성촌이 됐을까
http://www.danbinews[...]
2017-05-25
[12]
웹사이트
当正式制度与非正式规范发生冲突:计划生育与宗族网络
http://html.rhhz.net[...]
2009-01-20
[13]
웹사이트
潮汕地区传统生育观念的变迁调查研究
https://m.fx361.com/[...]
m.fx361.com
2019-05-13
[14]
웹사이트
直击全国人口第一大村,地少人多被迫离家到海外,全村只有一个姓_长陇
https://www.sohu.com[...]
2022-06-01
[15]
웹사이트
中国第一“毒村”,生产全国40%冰毒,被“海陆军”围剿后覆灭!_博社村
https://www.sohu.com[...]
2020-03-23
[16]
문서
집성촌
https://terms.naver.[...]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2017-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