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쿠르 리제스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는 1953년 5월 19일에 창단된 터키의 축구 클럽으로, 리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78-1979 시즌에 쉬페르리그에 처음 진출했으며, 2009-10 시즌부터 리제 시립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트라브존스포르와 흑해 더비로 불리는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TFF 1부 리그에서 3회 우승, TFF 3부 리그에서 1회 우승을 기록했다. 또한, 2001년 UEFA 인터토토컵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설립된 축구단 - 세파한 SC
세파한 SC는 1953년 창단되어 이란 프로 리그에서 5번 우승하고, AFC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과 FIFA 클럽 월드컵에 이란 클럽 최초로 진출한 이란의 축구 클럽이다. - 1953년 설립된 축구단 - 도치기 SC
도치기 SC는 1953년 도치기현 교사들이 창단한 '도치기 교원 축구부'에서 시작하여 1994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J리그를 거쳐 J2리그와 J3리그를 오가며 활동하며 노란색을 팀 컬러로 사용하는 도치기현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 쉬페르리그 구단 - 안탈리아스포르
안탈리아스포르는 1966년 창단된 튀르키예 안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쉬페르리그와 TFF 1리그를 오가며 활동했고, 튀르키예컵 준우승 2회, UEFA 인터토토컵과 UEFA컵에 참가했으며, 현재 안탈리아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FC 오사카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 쉬페르리그 구단 - 갈라타사라이 SK (축구)
갈라타사라이 SK는 1905년 창단된 튀르키예 프로 축구 클럽으로, 쉬페르리그 최다 우승 및 튀르키예컵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0년 UEFA컵과 UEFA 슈퍼컵을 석권한 튀르키예 축구의 명문 클럽이다.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차이쿠르 리제 겐츨리크 베 스포르 쿨뤼뷔 데르네이 |
별칭 | 카라데니즈 아트마자스 (흑해의 새매) |
짧은 이름 | 리제스포르 |
창단 | 1953년 5월 19일 |
소유주 | 차이쿠르 |
회장 | 이브라힘 투르구트 |
감독 | 일한 파루트 |
리그 | 스ュ페르・리그 |
경기장 | 리제 시티 스타디움 |
수용 능력 | 15,558명 |
웹사이트 |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pattern_b1: _rizespor2122h pattern_ra1: leftarm1: 1D54AC body1: 1D54AC rightarm1: 1D54AC shorts1: 1D54AC socks1: 1D54AC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rizespor2122a pattern_b2: _rizespor2122a pattern_ra2: _rizespor2122a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세 번째 유니폼 | pattern_la3: _rizespor2122f pattern_b3: _rizespor2122f pattern_ra3: _rizespor2122f leftarm3: FFFFFF body3: FFFFFF rightarm3: FFFFFF shorts3: 00763B socks3: 00763B |
2. 역사
1953년 5월 19일, 터키 독립 전쟁 발발 34주년을 기념하여 야쿱 테미젤, 아티프 타빌로울루, 이스메트 빌셀, 야샤르 툼베크치오울루, 무하렘 퀴르크취 등 5명의 위원회에 의해 차이쿠르 리제스포르가 창단되었다.[3] 클럽은 젊은이들의 신체적, 문화적 재능을 향상시키고 리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3] 레몬, 감귤, 오렌지의 국내 재배는 클럽의 색상을 노란색으로 지정했으며, 리제의 상징인 차밭은 녹색으로 표현되었다. 창립 멤버 중 한 명인 야샤르 됌레크치오울루가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3]
1953년부터 1968년까지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였으며, 아흐메트 두르무쉬, 케난 티리야키, 무스타파 에롤, 이르판 아카슬란, 마흐무트 살리흐 야부즈, 살리흐 카잔즈, 아흐메트 케말 야부즈, 하밀 카잔즈, 무스타파 베지로그루, 이을마즈 외즈칸, 이을마즈 발타, 아흐메트 펜지, 에키프 펜제, 옥타이 아라이즈, 압둘라 키티르, 무스타파 카즈달, 압둘라 셰케르, 오메르 차키르와 같은 지역 출신 선수들이 뛰었다.[3]
1968년 규정 변경으로 "리제 귈네스스포르"와 "페네르겡클릭" 두 클럽의 연합을 통해 프로 클럽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3] 클럽은 파란색과 녹색을 사용하며 3부 리그에서 시작했다. 경쟁적인 시즌이 끝나갈 무렵, 경기 중의 싸움으로 인해 클럽은 몰수패 처분을 받았고, 승점 2점 감점이라는 징계를 받아 그 시즌에 리제스포르의 승격을 막았다. 이 징계는 터키 축구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 후 클럽은 강등되지 않았고, 1978-1979 시즌에는 리제스포르가 우승을 차지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터키 쉬페르리그에 진출하는 자격을 얻었다.[3]
2. 1. 창단 초기 (1953-1968)
1953년 5월 19일, 터키 독립 전쟁 발발 34주년을 기념하여 야쿱 테미젤, 아티프 타빌로울루, 이스메트 빌셀, 야샤르 툼베크치오울루, 무하렘 퀴르크취 등 5명의 위원회에 의해 차이쿠르 리제스포르가 창단되었다.[3] 클럽은 젊은이들의 신체적, 문화적 재능을 향상시키고 리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3] 레몬, 감귤, 오렌지의 국내 재배는 클럽의 색상을 노란색으로 지정했으며, 리제의 상징인 차밭은 녹색으로 표현되었다. 창립 멤버 중 한 명인 야샤르 됌레크치오울루가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3]1953년부터 1968년까지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였으며, 아흐메트 두르무쉬, 케난 티리야키, 무스타파 에롤, 이르판 아카슬란, 마흐무트 살리흐 야부즈, 살리흐 카잔즈, 아흐메트 케말 야부즈, 하밀 카잔즈, 무스타파 베지로그루, 이을마즈 외즈칸, 이을마즈 발타, 아흐메트 펜지, 에키프 펜제, 옥타이 아라이즈, 압둘라 키티르, 무스타파 카즈달, 압둘라 셰케르, 오메르 차키르와 같은 지역 출신 선수들이 뛰었다.[3]
2. 2. 프로화와 쉬페르리그 승격 (1968-1979)
1953년 5월 19일, 터키 독립 전쟁 발발 34주년을 기념하여 야쿱 테미젤, 아티프 타빌로울루, 이스메트 빌셀, 야샤르 툼베크치오울루, 무하렘 퀴르크취 등 5명의 위원회에 의해 클럽이 창단되었다.[3] 이 클럽은 젊은이들의 신체적, 문화적 재능을 향상시키고 리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3] 레몬 감귤과 오렌지의 국내 재배는 클럽의 색상을 노란색으로 지정했으며, 리제의 상징인 차밭은 녹색으로 표현되었다. 창립 멤버 중 한 명인 야샤르 됌레크치오울루가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3] 1953년부터 1968년까지의 아마추어 리그 기간 동안, 아흐메트 두르무쉬, 케난 티리야키, 무스타파 에롤, 이르판 아카슬란, 마흐무트 살리흐 야부즈, 살리흐 카잔즈, 아흐메트 케말 야부즈, 하밀 카잔즈, 무스타파 베지로그루, 이을마즈 외즈칸, 이을마즈 발타, 아흐메트 펜지, 에키프 펜제, 옥타이 아라이즈, 압둘라 키티르, 무스타파 카즈달, 압둘라 셰케르, 오메르 차키르와 같은 지역 출신 선수들이 리제스포르에서 뛰었다.[3]1968년 규정 변경으로 "리제 귈네스스포르"와 "페네르겡클릭" 두 클럽의 연합을 통해 프로 클럽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3] 클럽은 파란색과 녹색을 사용하며 3부 리그에서 시작했다. 경쟁적인 시즌이 끝나갈 무렵, 경기 중의 싸움으로 인해 클럽은 몰수패 처분을 받았고, 승점 2점 감점이라는 징계를 받아 그 시즌에 리제스포르의 승격을 막았다. 이 징계는 터키 축구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 후 클럽은 강등되지 않았고, 1978-1979 시즌에는 리제스포르가 우승을 차지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터키 쉬페르리그에 진출하는 자격을 얻었다.[3]
2. 3. 쉬페르리그와 1부 리그 (1979-현재)
1953년 5월 19일, 터키 독립 전쟁 발발 34주년을 기념하여 야쿱 테미젤, 아티프 타빌로울루, 이스메트 빌셀, 야샤르 툼베크치오울루, 무하렘 퀴르크취 등 5명의 위원회에 의해 클럽이 창단되었다.[3] 이 클럽은 젊은이들의 신체적, 문화적 재능을 향상시키고 리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3] 레몬 감귤과 오렌지의 국내 재배는 클럽의 색상을 노란색으로 지정했으며, 리제의 상징인 차밭은 녹색으로 표현되었다. 창립 멤버 중 한 명인 야샤르 됌레크치오울루가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3] 1953년부터 1968년까지의 아마추어 리그 기간 동안, 아흐메트 두르무쉬, 케난 티리야키, 무스타파 에롤, 이르판 아카슬란, 마흐무트 살리흐 야부즈, 살리흐 카잔즈, 아흐메트 케말 야부즈, 하밀 카잔즈, 무스타파 베지로그루, 이을마즈 외즈칸, 이을마즈 발타, 아흐메트 펜지, 에키프 펜제, 옥타이 아라이즈, 압둘라 키티르, 무스타파 카즈달, 압둘라 셰케르, 오메르 차키르와 같은 지역 출신 선수들이 리제스포르에서 뛰었다.[3]1968년 규정 변경으로 "리제 귈네스스포르"와 "페네르겡클릭" 두 클럽의 연합을 통해 프로 클럽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3] 클럽은 파란색과 녹색을 사용하며 3부 리그에서 시작했다. 경쟁적인 시즌이 끝나갈 무렵, 경기 중의 싸움으로 인해 클럽은 몰수패 처분을 받았고, 승점 2점 감점이라는 징계를 받아 그 시즌에 리제스포르의 승격을 막았다. 이 징계는 터키 축구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 후 클럽은 강등되지 않았고, 1978-1979 시즌에는 리제스포르가 우승을 차지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터키 쉬페르리그에 진출하는 자격을 얻었다.[3]
3. 경기장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는 2009-10 시즌부터 리제 시립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5] 경기장의 개장 경기는 2009년 8월 12일에 열렸으며, 차이쿠르 리제스포르가 친선 경기로 페네르바흐체를 맞이했다.[5]
4. 라이벌 관계
차이쿠르 리제스포르와 트라브존스포르의 라이벌 관계는 흑해 더비로도 알려져 있다.[4] 이들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지역 및 지역 토너먼트에서 서로 경쟁해 온 역사를 공유하기 때문에 라이벌로 여겨진다.
5. 선수 명단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2021년 9월 6일 기준 선수 명단.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2 | DF | 후스니딘 알리쿨로프 | 우즈베키스탄 |
4 | DF | 아틸라 모치 | 헝가리 |
5 | DF | 카스페르 호이어 닐센 | 덴마크 |
8 | DF | 달 바레샤노비치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10 | FW | 이브라힘 올라워인 | 나이지리아 |
28 | FW | 바바지데 데이비드 아킨톨라 | 나이지리아 |
90 | FW | 마르틴 민체프 | 불가리아 |
5. 1. 현역 선수
2024년 9월 20일 기준 선수명단.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2 | DF | 후스니딘 알리쿨로프 | 우즈베키스탄 |
4 | DF | 아틸라 모치 | 헝가리 |
5 | DF | 카스페르 호이어 닐센 | 덴마크 |
8 | DF | 달 바레샤노비치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10 | FW | 이브라힘 올라워인 | 나이지리아 |
28 | FW | 바바지데 데이비드 아킨톨라 | 나이지리아 |
90 | FW | 마르틴 민체프 | 불가리아 |
5. 2. 임대 선수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GK | 자페르 굘겐 | ||
DF | 무스타파 셍굴 | ||
DF | 아지즈 악소이 | ||
DF | 휘세인잔 크르크츠 | ||
MF | 오잔 이스마일 코츠 | ||
MF | 에렌 엠레 아이든 | ||
MF | 에미르한 이을마즈 | ||
MF | 얀네페카 라인 | ||
FW | 마메 모르 파예 | ||
FW | 귈벤츠 우스타 | ||
FW | 에페 테지메르 | ||
FW | 렘지 콜추오을루 | ||
7 | DF | 야로스와프 야흐 | |
10 | MF | 페르난두 보르드린 | |
12 | DF | 치도지 아와지엠 | |
14 | DF | 야쿠프 브라베츠 | |
15 | DF | 미콜라 모로주크 | |
-- | FW | 요엘 포얀팔로 |
- 자페르 굘겐 (반드르마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무스타파 셍굴 (에르바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아지즈 악소이 (페티예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휘세인잔 크르크츠 (에디르네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오잔 이스마일 코츠 (에르바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에렌 엠레 아이든 (24 에르진잔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에미르한 이을마즈 (뒤즈체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얀네페카 라인 (에센레르 에로크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마메 모르 파예 (에센레르 에로크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귈벤츠 우스타 (발르케시르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에페 테지메르 (종굴다크 쾨무르스포르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렘지 콜추오을루 (케페즈 스포르 풋볼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임대)
- 야로스와프 야흐는 크리스탈 팰리스에서 임대되었다.
- 페르난두 보르드린는 카이세리스포르에서 임대되었다.
- 치도지 아와지엠는 포르투에서 임대되었다.
- 야쿠프 브라베츠는 헹크에서 임대되었다.
- 미콜라 모로주크는 디나모 키이우에서 임대되었다.
- 요엘 포얀팔로는 바이어 04 레버쿠젠에서 임대되었다.
6. 역대 성적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는 수페르리그에서 1979-81, 1985-89, 2000-02, 2003-08, 2013-17, 2018-22, 2023-현재 시즌 동안 활동했다. TFF 1. 리그에서는 1974-79, 1981-85, 1989-93, 1994-00, 2002-03, 2008-13, 2017-18, 2022-23 시즌에 참가했다. TFF 2. 리그에서는 1968-74, 1993-94 시즌 동안 활동했다.
시즌 | 디비전 | 튀르키예 쿠파스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2002-03 | TFF 1. 리그 | 34 | 21 | 3 | 10 | 63 | 31 | 66 | 2위 | 준결승 탈락 |
2003-04 | 쉬페르리그 | 34 | 13 | 3 | 18 | 37 | 53 | 42 | 14위 | 8강 탈락 |
2004-05 | 쉬페르리그 | 34 | 11 | 10 | 13 | 36 | 37 | 43 | 10위 | 2회전 탈락 |
2005-06 | 쉬페르리그 | 34 | 10 | 11 | 13 | 35 | 44 | 41 | 9위 | 2회전 탈락 |
2006-07 | 쉬페르리그 | 34 | 11 | 7 | 16 | 34 | 40 | 40 | 15위 | GS 탈락 |
2007-08 | 쉬페르리그 | 34 | 7 | 8 | 19 | 32 | 64 | 29 | 17위 | 준결승 탈락 |
2008-09 | TFF 1. 리그 | 34 | 13 | 8 | 13 | 39 | 44 | 47 | 9위 | 2회전 탈락 |
2009-10 | TFF 1. 리그 | 34 | 10 | 10 | 14 | 37 | 53 | 40 | 15위 | 플레이오프 탈락 |
2010-11 | TFF 1. 리그 | 32 | 15 | 9 | 8 | 36 | 24 | 54 | 4위 | 2회전 탈락 |
2011-12 | TFF 1. 리그 | 34 | 16 | 11 | 7 | 52 | 44 | 59 | 3위 | 4회전 탈락 |
2012-13 | TFF 1. 리그 | 34 | 17 | 8 | 9 | 53 | 35 | 59 | 2위 | 2회전 탈락 |
2013-14 | 쉬페르리그 | 34 | 10 | 12 | 12 | 43 | 43 | 42 | 13위 | 3회전 탈락 |
2014-15 | 쉬페르리그 | 34 | 9 | 9 | 16 | 41 | 55 | 36 | 14위 | 베스트 16 |
2015-16 | 쉬페르리그 | 34 | 9 | 10 | 15 | 39 | 48 | 37 | 13위 | 준결승 탈락 |
2016-17 | 쉬페르리그 | 34 | 10 | 6 | 18 | 44 | 53 | 36 | 16위 | 8강 탈락 |
2017-18 | TFF 1. 리그 | 34 | 20 | 9 | 5 | 68 | 38 | 69 | 1위 | 4회전 탈락 |
2018-19 | 쉬페르리그 | 34 | 9 | 14 | 11 | 48 | 50 | 41 | 11위 | 5회전 탈락 |
2019-20 | 쉬페르리그 | 34 | 10 | 5 | 19 | 38 | 57 | 35 | 15위 | 베스트 16 |
2020-21 | 쉬페르리그 | 34 | 12 | 12 | 16 | 53 | 69 | 48 | 13위 | 베스트 16 |
2021-22 | 쉬페르리그 | 38 | 10 | 6 | 22 | 44 | 71 | 36 | 17위 | 4회전 탈락 |
2022-23 | TFF 1. 리그 |
7. 유럽 대회 기록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는 UEFA 인터토토컵 2001에 참가하여 2라운드에서 FK 포베다/FK Pobeda영어를 만났다. 홈에서 0-2, 원정에서 1-2로 패배하여 합계 1-4로 탈락했다.
8. 역대 감독
차이쿠르 리제스포르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 세놀 비롤/Şenol Biroltr (1968–69)
- 아흐메트 샴리오글루 (1969–70)
- 미나체틴 바루트 (1970–72)
- 가잔페르 올카이토 (1972–74)
- 투르구트 카프카스 (1974–75, 1981-82)
- 수아트 마마트/Suat Mamattr (1975–76)
- 테킨 욜라크 (1976–77)
- 일한 우랄길 (1977)
- 에르도안 귈한 (1977–78)
- 귈셀 악셀/Gürsel Akseltr (1978–79)
- 제이넬 소유에르 (1979–80)
- 제브데트 소이루오글루 (1980–81)
- 할릴 귕괴르두 (1981)
- 테잔 우즈잔 (1982–83)
- 수피 바롤 (1983–84)
- 체사레틴 알프테킨 (1984–85, 1989-90)
- 엔베르 카티프 (1985–86, 1990-92)
- 네딤 귄아르/Nedim Günartr (1986–87)
- 페흐티 데미잔 (1987–88)
- 다부트 샤힌 (1988)
- 아돌프 레미/Adolf Remyde (1988–89)
- 누만 자페르 칸부로글루 (1992–93)
- 기라이 불라크/Giray Bulaktr (1993–95, 2012)
- 카디르 외즈잔/Kadir Özcantr (1995–96)
- 외메르 카네르/Ömer Kanertr (1996)
- 알리 케말 데니즈지/Ali Kemal Denizcitr (1996–97)
- 야샤르 엘마스 (1997–98)
- 젤랄 크브르즐르/Celal Kıbrızlıtr (1998–99)
- 히크메트 카라만 (1999, 2003–04, 2014–17)
- 젬 파미로글루/Cem Pamiroğlutr (1999–00)
- 라심 카라 (2000)
- 카롤 페체/Karol Peczesk (2000–02)
- 푸아트 야만 (2002–03)
- 일마즈 부랄 (2004)
- 르자 찰름바예 (2004–05, 2006–07, 2013-14)
- 에르도안 아르자 (2005, 2008)
- 메틴 이을드즈 (2005)
- 사킵 외즈베르크 (2005)
- 귈베르 쿠르타르 (2005–06)
- 사페트 수시치 (2006, 2006-07, 2008-09)
- 사메트 아이바바 (2007)
- 메틴 디야딘 (2008)
- 수아트 카야 (2009)
- 라시트 체티네르 (2009)
- 옥타이 체비크 (2009)
- 메흐메트 샨살 (2009–10)
- 위밋 카이한 (2010–11)
- 후세인 칼파르 (2011–12)
- 에르긴 코루키르 (2012)
- 무스타파 데니즐리 (2012–13)
- 우우르 튀튀네케르 (2014)
- 메흐메트 외즈딜레크 (2014)
- 이브라힘 위줄메즈 (2017–18)
- 오칸 부루크 (2018–19)
- 이스마일 카르탈 (2019–20)
- 위날 카라만 (2020)
- 스테판 토마스/Stjepan Tomashr (2020–21)
- 마리우스 슈무디카/Marius Șumudicăro (2021)
- 뷜렌트 우이군 (2021)
- 함자 함자오글루 (2021)
- 뷜렌트 코르크마즈 (2022-23)
- 일한 팔루트 (2023–)
9. 역대 회장
재임 기간 | 국적 | 이름 |
---|---|---|
1968년 4월 21일–1973년 4월 3일 | 바하틴 코스쿤 | |
1973년 4월 3일–1975년 6월 7일 | 레샷 우착 | |
1975년 6월 7일–1978년 6월 2일 | 무스타파 제키 라키지오글루 | |
1978년 6월 2일–1978년 7월 3일 | 쾨크살 마타라즈 | |
1978년 7월 3일–1980년 6월 30일 | 누리 아크불루트 | |
1980년 6월 30일–1981년 6월 23일 | 파샤 알리 알라만 | |
1981년 6월 23일–1981년 8월 2일 | 누리 아크불루트 | |
1981년 8월 2일–1983년 12월 31일 | 알리르자 페이즈 | |
1984년 1월 1일–1984년 12월 31일 | 하산 케말 야르드므즈 | |
1985년 1월 1일–1985년 12월 31일 | 페흐미 에크시 | |
1986년 1월 1일–1986년 12월 31일 | 세르베트 타키쉬 | |
1987년 1월 1일–1988년 6월 5일 | 메흐메트 투르구트 일마즈 | |
1988년 6월 5일–1989년 1월 7일 | 샤단 투즈주 | |
1989년 1월 7일–1989년 7월 2일 | 셰레프 케첼리 | |
1989년 7월 2일–1990년 1월 10일 | 아흐메트 아키을드즈 | |
1990년 1월 10일–1990년 5월 21일 | 무하렘 퀴르크취 | |
1990년 5월 21일–1990년 6월 23일 | 하미트 오랄 | |
1990년 6월 23일–1991년 3월 30일 | 하산 바스리 칠리오글루 | |
1991년 3월 30일–1992년 1월 19일 | 네자트 우랄 | |
1992년 1월 29일–1992년 4월 14일 | 쉬레이야 투르구트 | |
1992년 4월 19일–1995년 3월 30일 | 툰체르 에르궤벤 | |
1995년 4월 1일–1995년 5월 5일 | 루셴 쿠쿨 | |
1995년 5월 6일–1995년 11월 4일 | 툰체르 에르궤벤 | |
1995년 11월 4일–1996년 1월 12일 | 이스마일 탑추 | |
1996년 1월 13일–1996년 3월 10일 | 알리 바바 칠리오글루 | |
1996년 3월 10일–1996년 4월 26일 | 제말 아이도두 | |
1996년 4월 26일–1997년 6월 7일 | 메흐메트 젱기즈 | |
1997년 6월 7일–1998년 6월 20일 | 메흐메트 히크메트 아슬란카야 | |
1998년 6월 20일–2002년 6월 14일 | 메흐메트 젱기즈 | |
2002년 6월 14일–2007년 7월 8일 | 에크렘 젱기즈 | |
2007년 7월 8일–2009년 1월 11일 | 압둘카디르 차크르 | |
2009년 1월 11일–2010년 1월 17일 | 할림 메테 | |
2010년 1월 17일–2017년 8월 8일 | 메틴 칼카반 | |
2017년 8월 8일–2018년 9월 24일 | 하산 케말 야르드므즈 | |
2018년 9월 24일–2021년 6월 3일 | 하산 카르탈 | |
2021년 6월 3일–2022년 6월 20일 | 타히르 으르안 | |
2022년 6월 20일– | 이브라힘 투르구트 | |
10. 유니폼 스폰서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는 2008-09 시즌에는 아디다스 유니폼을 입었고 Turkcell이 셔츠 스폰서였다.[6] 2009-10 시즌부터 2015-16 시즌까지는 로또 유니폼을, 2010-11 시즌에는 엄브로 유니폼을 입었으며, 셔츠 스폰서는 차이쿠르였다.[6] 2016-17 시즌부터 2021-22 시즌, 그리고 2023년부터는 나이키 유니폼을 입고 있으며, 2022-23 시즌에는 엄브로 유니폼을 입었다.[6] 2009-10 시즌부터 현재까지 셔츠 스폰서는 차이쿠르이다.[6]
```wikitable
11. 수상 경력
TFF 1부 리그에서 3회 우승(1978-79 (그룹 화이트), 1984-85 (A조), 2017-18)과 3회 준우승(2002-03, 2012-13, 2022-23)을 기록했다. 1999-2000 시즌에는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했다. TFF 3부 리그에서는 1993-94 시즌(2조)에 우승했고, 1973-74 시즌(그룹 레드)에는 준우승했다.
11. 1. 국내 대회
TFF 1부 리그에서 3회 우승(1978-79 (그룹 화이트), 1984-85 (A조), 2017-18)과 3회 준우승(2002-03, 2012-13, 2022-23)을 기록했다. 1999-2000 시즌에는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했다. TFF 3부 리그에서는 1993-94 시즌(2조)에 우승했고, 1973-74 시즌(그룹 레드)에는 준우승했다.11. 2. 국제 대회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는 2001 시즌에 UEFA 인터토토컵에 참가했다. 2라운드에서 FK 포베다를 상대로 홈에서 0-2, 원정에서 1-2, 총 1-4의 결과를 기록했다.시즌 | 라운드 | 나라 | 클럽 | 홈 | 원정 | 결과 |
---|---|---|---|---|---|---|
2001 | 2R | FK 포베다 | 0–2 | 1–2 | 1–4 |
참조
[1]
웹사이트
Tüzük
https://www.caykurri[...]
Çaykur Rize Gençlik ve Spor Kulübü Derneği
2016-02-26
[2]
웹사이트
Çaykur Didi Stadyumu
https://www.caykurri[...]
2022-08-09
[3]
뉴스
Tarihçe
https://www.caykurri[...]
Çaykur Rizespor
2021-06-25
[4]
웹사이트
Karadeniz derbisi Çaykur Rizespor'un
https://www.trtspor.[...]
2023-03-17
[5]
뉴스
Çaykur Didi Stadyumu
https://www.caykurri[...]
Çaykur Rizespor
2021-11-03
[6]
웹사이트
Çaykur Rizespor Kit History
https://www.football[...]
2023-03-17
[7]
뉴스
Başkanlarımız
https://www.caykurri[...]
Çaykur Rizespor
2021-11-04
[8]
웹사이트
Tüzük
http://www.caykurriz[...]
Çaykur Rize Gençlik ve Spor Kulübü Derneği
2016-02-26
[9]
웹사이트
Çaykur Didi Stadyumu
https://www.caykurri[...]
2022-08-09
[10]
웹사이트
Turkey - List of Champions
http://www.rsssf.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