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녕군 (1948년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창녕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이후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밀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밀양군·창녕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구중회, 신용훈, 하을춘, 신영주, 박기정, 성낙현, 김이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녕군의 정치 - 밀양시·창녕군
밀양시·창녕군 선거구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에서 김용갑과 조해진이 각각 2번씩 당선되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창녕군의 정치 - 밀양군·창녕군
밀양군·창녕군 선거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밀양군과 창녕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밀양군과 창녕군 선거구로 분리되어 폐지될 때까지 4차례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던 선거구이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을 선거구는 1958년 신설되어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가 편입되기도 했으나 1973년 동대문구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창녕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창녕군 |
의회 | 국회 |
지도 | 큰지도: 경상남도 |
지도 연도 | 알 수 없음 |
선거 시작 연도 | 1948년 |
선거 폐지 연도 | 1973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알 수 없음 |
이후 선거구 | 밀양군·창녕군 |
유권자 수 | 알 수 없음 |
의원 | 알 수 없음 |
정당 | 알 수 없음 |
지방 의회 | 알 수 없음 |
지방 선거구 | 알 수 없음 |
인구 | 알 수 없음 |
의원 수 | 1인 |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창녕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밀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밀양군·창녕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창녕군 선거구 설치 (1948년)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창녕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2. 2. 밀양군 선거구와 통합 (1973년)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밀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밀양군·창녕군 선거구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3. 역대 국회의원
wikitable
선거 | 정당 | 의원 |
---|---|---|
1948년 | 무소속 | 구중회 |
1950년 | 무소속 | 신용훈 |
1954년 | 무소속 | 하을춘 |
1958년 | 무소속 | 신영주 |
1960년 | 민주당 | 박기정 |
1963년 | 민주공화당 | 신영주 |
1967년 | 신민당 | 성낙현 |
1969년 | 민주공화당 | 성낙현 |
1971년 | 신민당 | 김이권 |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선거 | 정당 | 의원 | |
---|---|---|---|
1948년 | style="background-color: #fff" | | 무소속 | 구중회 |
1950년 | style="background-color: #fff" | | 무소속 | 신용훈 |
1954년 | style="background-color: #fff" | | 무소속 | 하을춘 |
1958년 | style="background-color: #fff" | | 무소속 | 신영주 |
1960년 | style="background-color: #2E79C0" | | 민주당 | 박기정 |
1963년 | style="background-color: #0A611A" | | 민주공화당 | 신영주 |
1967년 | style="background-color: #2D6FB6" | | 신민당 | 성낙현 |
1969년 | style="background-color: #0A611A" | | 민주공화당 | |
1971년 | style="background-color: #2D6FB6" | | 신민당 | 김이권 |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1대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구중회 후보가 득표율 38.12%로 당선되었다. 구중회 후보는 19,430표를 획득하였다. 그 뒤를 이어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김희찬 후보가 19.18%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청우당의 하기석 후보는 17.18%,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김해권 후보는 14.59%, 무소속 조영환 후보는 10.91%를 득표하였다. 총 투표수는 50,965표였다.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신용훈 후보가 9,779표(18.54%)를 얻어 당선되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해권 후보는 8,486표(16.09%), 무소속 함순영 후보는 8,286표(15.71%), 무소속 하두학 후보는 7,473표(14.17%), 무소속 정호완 후보는 5,174표(9.81%), 무소속 김홍석 후보는 4,071표(7.71%), 무소속 노정용 후보는 3,640표(6.90%), 무소속 이영 후보는 2,708표(5.13%), 무소속 하동석 후보는 2,174표(4.12%), 무소속 하홍윤 후보는 943표(1.78%)를 얻었다. 전체 유효 투표수는 52,734표였다.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하을춘 후보가 47.20%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자유당 신영주 후보는 43.94%로 2위를 기록하였다.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신영주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신영주 | 무소속 | 20,883 | 39.36 |
하을춘 | 자유당 | 19,798 | 37.31 |
박판암 | 무소속 | 5,104 | 9.62 |
김응두 | 무소속 | 3,200 | 6.03 |
손판주 | 무소속 | 2,682 | 5.05 |
노형식 | 민주당1955 | 1,383 | 2.60 |
성보경 | 대한반공단 | 0 | 0 |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박기정 후보가 31.1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영주 후보는 28.66%, 무소속 성재경 후보는 22.96%를 득표했다.4. 6.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신영주 후보가 42.9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2위는 민주당1963 김기상 후보(36.33%)였다. 그 외 보수당 신태수 후보(5.38%), 신민회 성도근 후보(5.12%), 추풍회 박재갑 후보(4.70%), 민정당 신춘식 후보(3.54%), 자유민주당1963 하을춘 후보(1.94%)가 출마하였다.4. 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성낙현 후보가 49.7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신영주 후보는 45.89%로 2위를 기록하였으며, 대중당 하상석 후보는 1.91%, 민중당 서권수 후보는 1.40%, 민주당 박점수 후보는 1.07%를 득표하였다. 한국독립당 남원우 후보는 득표를 하지 못했다.4. 8. 1969년 재보궐선거
성낙현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치러진 196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성낙현 후보가 당선되었다.4. 9. 제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창녕군 선거구에서는 신민당 김이권 후보가 46.6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성낙현 후보는 42.42%, 국민당1971 이한두 후보는 10.93%를 득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