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백한 푸른 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백한 푸른 점"은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1호가 지구에서 약 61억 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에서 촬영한 지구 사진을 의미한다. 칼 세이건의 제안으로 촬영되었으며, 지구를 0.12 픽셀 크기의 작은 점으로 보여준다. 이 사진은 우주 속 지구의 위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세이건은 이 사진을 통해 인류의 미약함과 지구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 공개 이후, 앨 고어의 다큐멘터리 영화 《불편한 진실》에 사용되었으며, NASA는 25주년과 30주년을 기념하여 사진을 재해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작품 - 입장기미독립기념탑
입장 기미독립기념탑은 1919년 입장면 만세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양대리 만세운동과 직산 금광 광부 만세운동의 역사적 의의를 담고 있다. - 1990년 2월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90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소비세 도입 논란 속에 중선거구제와 소선거구제가 혼용된 선거 제도로 실시되어 자유민주당이 과반수를 유지했으나 의석이 감소하고 일본 사회당이 약진하는 등 야당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며, 소비세 및 리쿠르트 사건 등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 1990년 2월 - 제4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1990년에 개최된 제4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미하엘 발하우스가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뮤직 박스》와 《줄 위의 종달새》가 황금곰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1945년"을 주제로 한 회고전이 열려 일본 영화들이 소개되었다. - 우주 사진 - 허블 울트라 딥 필드
허블 울트라 딥 필드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가장 깊은 우주 이미지 중 하나로, 빅뱅 이후 초기 우주의 은하들을 탐색하고 1만 개 이상의 은하를 통해 초기 은하의 형태와 진화 과정을 연구하며, 허블 극심해 딥 필드는 HUDF 이미지의 중심 부분을 더욱 깊게 관측하여 초기 우주의 은하를 식별하고 연구하는 데 기여한다. - 우주 사진 - 푸른 구슬
푸른 구슬은 1972년 아폴로 17호가 촬영한 지구 사진으로, 환경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NASA는 이후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제작했다.
창백한 푸른 점 | |
---|---|
기본 정보 | |
![]() | |
사진 정보 | |
유형 | 천체사진 |
촬영자 | 보이저 1호 |
촬영 년도 | 1990년 |
촬영 장소 | 행성간 공간 |
소유자 | NASA |
주제 | |
설명 | 지구는 아주 작은 점으로 보입니다. 칼 세이건은 이 사진에서 영감을 받아 그의 저서 창백한 푸른 점: 우주에서의 인간 미래에 대한 비전을 썼습니다. |
의미 | 우주적 관점에서 본 지구의 취약함을 보여줍니다. 이 이미지는 지구의 작음과 광대한 우주의 무한함을 대비시켜 인간에게 겸손함을 일깨웁니다. |
참고 자료 | |
관련 링크 | "창백한 푸른 점 (행성 협회)" "지구에서 태양계까지, 창백한 푸른 점 (NASA)" "점 지구: 우리가 모두 공유하는 영역 (뉴욕 타임스)" "풍경 속의 작은 점: 토성 궤도를 도는 NASA 우주선에서 촬영한 지구의 장엄한 이미지" |
2. 촬영 배경
NASA는 1977년 9월, 태양계 외곽과 성간 우주를 연구하기 위한 보이저 1호를 발사했다.[3][4] 보이저 1호는 1979년 목성계와 1980년 토성계를 거쳐 같은 해 11월에 주 임무를 완료했으며, 목성과 토성, 그리고 그 위성들의 상세한 이미지를 제공한 최초의 우주 탐사선이었다.
보이저 1호는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간이 만든 물체이자 태양계를 벗어난 최초의 물체이다.[8] 보이저 1호의 임무는 연장되어 태양계의 경계, 카이퍼 벨트, 헬리오스피어 및 성간 우주를 조사하고 있으며, 발사 이후 심우주 통신망으로부터 정기적인 명령을 받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3][5][6]
이 사진은 칼 세이건의 주도로 촬영되었다.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지구는 광활한 우주에 떠 있는 보잘것없는 존재에 불과함을 사람들에게 가르쳐 주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2. 1.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는 NASA가 1977년 9월 5일에 발사한[32] 무게 722kg의 우주 탐사선으로, 태양계 외행성 영역[33]과 성간 우주 관측을 목적으로 했다.[34] 2020년 현재에도 발사 후 34년 이상 심우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명령을 수신하고 있다. 보이저 1호는 태양계 밖으로 나간 최초의 탐사선이자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 물체이다.[34][35]현재 보이저 1호는 카이퍼 벨트와 태양권을 포함한 태양계 경계 관측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33] 1979년 목성계, 1980년 토성계에 도달했으며, 1980년 11월 20일에 초기 임무가 종료되었다. 보이저 1호는 두 거대 행성과 그 위성들의 상세한 영상을 촬영한 최초의 우주 탐사선이었다.[33]
보이저 1호는 토성을 통과할 때까지 작동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1981년 토성을 통과한 후 칼 세이건은 이 탐사선으로 지구의 마지막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안했다.[36] 그는 이 사진에 찍힌 지구가 너무 작아 과학적으로는 큰 도움이 되지 않겠지만, 우주 속 우리 지구의 위치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는 데 유익하다고 지적했다. NASA의 보이저 계획에 참여한 많은 직원들이 이 제안에 동의했지만, 태양 근처에서 지구 사진을 촬영하면 우주선 카메라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1989년 말까지 진행된 장비 보정도 사진 촬영을 늦추는 요인이 되었다. 당시 보이저 1호에 무선 명령을 보내던 NASA 기술자들은 해고되거나 다른 부서로 이동한 상태였다. 결국 당시 NASA 국장 리처드 트룰리가 중재하여 촬영이 실시되었다.[37][38]
2. 2. 칼 세이건의 제안
칼 세이건은 보이저 1호가 토성계 탐사 후 지구를 촬영하여, 우주에서 인류의 위치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진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7] 그는 그러한 사진은 지구가 너무 작게 보여 과학적 가치는 적지만, 우주에서 인류의 위치에 대한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7]NASA의 보이저 계획에 참여한 많은 사람들이 이 아이디어를 지지했지만, 태양에 너무 가까이서 지구 사진을 찍으면 우주선의 이미징 시스템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 세이건의 아이디어가 실행에 옮겨진 것은 1989년이 되어서였지만, 그때 계기 보정이 작업을 더 지연시켰고, ''보이저 1호''에 무선 명령을 고안하고 전송한 직원들은 해고되거나 다른 프로젝트로 전근을 가고 있었다. 마침내 NASA 국장 리처드 트루리가 개입하여 사진이 찍히도록 했다.[8][9][10]
2. 3. NASA의 결정
NASA 내부에서는 태양에 너무 가까이에서 지구 사진을 찍으면 우주선의 이미징 시스템이 손상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칼 세이건의 제안이 실행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렸고, 계기 보정과 ''보이저 1호''에 명령을 전달할 직원들의 해고 및 전근 문제로 지연되었다. 결국 NASA 국장 리처드 트루리가 개입하여 사진 촬영을 성사시켰다.[8][9][10]3. 사진 촬영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1호가 지구로부터 약 600억km 떨어진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 속 지구는 0.12화소 크기의 작은 점으로, 태양광이 카메라에 반사되어 생긴 빛줄기 속에 놓여있다.[8]
3. 1. 촬영 과정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1호는 초기 임무를 완료하고 태양계 가장자리를 향해 시속 6만 4000km로 이동하던 중 NASA의 명령을 받아 태양계 행성들의 사진을 촬영했다.[37][40][41][42][43][44][45][46][47] 우주선에 전송될 명령어 순서와 각 사진의 노출 시간 계산은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et Propulsion Laboratory)의 캔디스 한센-코하르체크와 애리조나 대학교의 캐롤린 포르코가 개발했다.[9][38]명령어 순서는 컴파일되어 보이저 1호에 전송되었고, 이미지는 1990년 2월 14일 04시 48분(GMT)에 촬영되었다.[16] 당시 우주선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40.47 천문단위(60억 5500만 킬로미터)였다.[17]
카메라의 데이터는 처음에는 기내 테이프 레코더에 저장되었다. 마젤란호와 갈릴레오호 임무가 심우주통신망의 우선 사용 권한을 부여받았기 때문에 지구로의 전송은 지연되었다. 1990년 3월부터 5월 사이에 보이저 1호는 60개의 프레임을 지구로 보냈고, 전파 신호는 빛의 속도로 이동하여 거리를 이동하는 데 약 5시간 반이 걸렸다.[8]
수신된 프레임 중 세 개는 지구를 텅 빈 우주에서 작은 빛의 점으로 보여주었다. 각 프레임은 서로 다른 색상 필터(파란색, 녹색, 보라색)를 사용하여 촬영되었으며, 노출 시간은 각각 0.72초, 0.48초, 0.72초였다. 그런 다음 세 프레임을 결합하여 "창백한 푸른 점"이 된 이미지를 만들었다.[18][19]
3. 2. 기술적 세부 사항
보이저 1호의 영상과학시스템(ISS)은 광각 카메라와 협각 카메라 두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백한 푸른 점'은 이 중 고해상도 협각 카메라(NA)로 촬영되었다.[12][13] 협각 카메라는 느린 스캔 비디콘 관 형태이며, 관 앞에는 8개의 색 필터가 장착된 필터 휠이 있다.[12][13]'창백한 푸른 점'은 청색, 녹색, 자색 필터를 사용하여 각각 0.72초, 0.48초, 0.72초 노출 시간으로 촬영한 세 장의 사진을 합성한 것이다.[18][19] 사진에서 지구는 1픽셀 미만(NASA에 따르면 0.12픽셀)을 차지하며,[8][20] 밝은 띠는 태양광이 카메라에 반사되어 생긴 인공물이다.[8][20]
촬영 당시 보이저 1호는 황도면에서 약 32° 위를 지나갔으며, 지구와의 거리는 40.47 천문단위(60억 5500만 킬로미터)였다.[17]
3. 3. 지구의 모습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사진에서 지구는 0.12화소 크기의 매우 작은 점으로 보인다. 보이저 1호는 태양 공전면에서 32도 위를 지나가고 있었으며, 지구와의 거리는 61억 킬로미터였다. 태양이 시야에서 매우 가까워 좁은 앵글로 촬영되었는데, 사진에서 지구 위를 지나가는 광선은 보이저 1호의 카메라에 태양빛이 반사되어 생긴 것이다.[8]각 프레임은 파란색, 녹색, 보라색의 서로 다른 색상 필터를 사용하여 촬영되었고, 노출 시간은 각각 0.72초, 0.48초, 0.72초였다. 이 세 프레임을 결합하여 "창백한 푸른 점" 이미지가 만들어졌다.[18][19]
64만 개의 픽셀 중 지구는 1픽셀 미만(NASA에 따르면 0.12픽셀)을 차지한다. 사진의 밝은 띠는 태양과 지구가 가깝기 때문에 태양광이 카메라와 차광막 일부에 반사된 결과이다.[8][20] 자세한 분석 결과, 달도 촬영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너무 희미해서 특수 처리 없이는 보이지 않는다.[19]
4. 사진의 의미와 영향
칼 세이건은 자신의 저서 《창백한 푸른 점》에서 이 사진이 인류에게 겸손함과 지구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고 강조했다. 그는 책에서 "지구는 광활한 우주에 떠 있는 보잘것없는 존재에 불과함을 사람들에게 가르쳐 주고 싶었다"라고 밝혔다.[24]
칼 세이건은 이 사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이렇게 멀리 떨어져서 보면 지구는 특별해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인류에게는 다릅니다. 저 점을 다시 생각해보십시오. 저 점이 우리가 있는 이곳입니다. 저 곳이 우리의 집이자, 우리 자신입니다.영어
...
제게 이 사진은 우리가 서로를 더 배려해야 하고, 우리가 아는 유일한 삶의 터전인 저 창백한 푸른 점을 아끼고 보존해야 한다는 책임감에 대한 강조입니다.영어
앨 고어는 다큐멘터리 영화 《불편한 진실》에서 이 사진을 사용하여 지구 온난화 문제의 심각성을 알렸다.
4. 1. 칼 세이건의 해석
칼 세이건은 자신의 저서 《창백한 푸른 점》에서 이 사진에 담긴 철학적 의미를 설명했다.[24] 그는 이 사진을 통해 우주의 광활함과 인류의 미약함을 강조하고, 인류가 아는 유일한 삶의 터전인 지구를 소중히 보존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4. 2. 앨 고어와 '불편한 진실'
2006년 앨 고어의 다큐멘터리 영화 《불편한 진실》 마지막 부분에 이 사진이 삽입되었다. 앨 고어는 칼 세이건의 "여기가 우리의 고향이다"라는 말을 인용하며, 지구 온난화를 멈춰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 사진을 사용했다.4. 3. 과학적, 철학적, 사회적 영향
칼 세이건은 이 사진에 감명을 받아 《창백한 푸른 점》을 저술했다. 그는 보이저 계획의 화상 팀을 맡았으며, 이 사진 촬영을 주도했다. 세이건은 자신의 저서에서 "지구는 광활한 우주에 떠 있는 보잘것없는 존재에 불과함을 사람들에게 가르쳐 주고 싶었다"라고 밝혔다.[24] 그는 보이저 1호의 카메라를 지구 쪽으로 돌리도록 지시했고,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구를 포함한 6개 행성의 '가족 사진'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세이건은 《창백한 푸른 점》에서 이 사진에 대해 "이렇게 멀리 떨어져서 보면 지구는 특별해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인류에게는 다릅니다. [...] 우리가 아는 유일한 삶의 터전인 저 창백한 푸른 점을 아끼고 보존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강조한다고 묘사했다.[24]
2006년 앨 고어는 다큐멘터리 영화 《불편한 진실》의 마지막 부분에 이 사진을 삽입하고, 칼 세이건의 "여기가 우리의 고향이다"라는 말을 인용하며 지구 온난화를 멈춰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5. 사진 공개 이후
NASA는 1990년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창백한 푸른 점' 사진 공개 이후, 2015년 촬영 25주년과 2020년 30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버전의 사진을 공개하고 관련 행사를 개최했다.
2015년 25주년 기념행사에서 보이저 프로젝트 과학자 에드 스톤은 "25년 전, ''보이저 1호''는 지구를 돌아보며 "창백한 푸른 점"을 보았고, 이 이미지는 우리가 고향이라고 부르는 곳에 대한 경외감을 계속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25]
2020년에는 이미지 30주년을 기념하여 NASA는 현대 이미지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원본 ''보이저'' 사진의 새로운 버전인 ''Pale Blue Dot Revisited''를 발표했다. 이는 "원본 데이터와 이미지를 기획한 사람들의 의도를 존중하려고 노력하면서" 얻은 것이다. 지구가 포함된 영역을 향상시키기 위해 밝기 수준과 색상이 재조정되었고, 이미지가 확대되어 원본보다 더 밝고 덜 거칠게 나타났다. 태양의 방향은 이미지가 가장 밝은 아래쪽을 향한다.[16][26]
같은 해, 칼 세이건 연구소는 여러 저명한 천문학자들이 세이건의 "창백한 푸른 점" 연설을 낭송하는 비디오를 공개했다.[27]
5. 1. 기념행사
2015년, NASA는 사진 촬영 25주년을 기념했다. 보이저 프로젝트 과학자 에드 스톤은 "25년 전, ''보이저 1호''는 지구를 돌아보며 "창백한 푸른 점"을 보았고, 이 이미지는 우리가 고향이라고 부르는 곳에 대한 경외감을 계속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25]2020년, 이미지 30주년을 기념하여 NASA는 현대 이미지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원본 ''보이저'' 사진의 새로운 버전인 ''Pale Blue Dot Revisited''를 발표했다. 이는 원본 데이터와 이미지를 기획한 사람들의 의도를 존중하려고 노력하면서 얻은 것이다. 지구가 포함된 영역을 향상시키기 위해 밝기 수준과 색상이 재조정되었고, 이미지가 확대되어 원본보다 더 밝고 덜 거칠게 나타났다. 태양의 방향은 이미지가 가장 밝은 아래쪽을 향한다.[16][26]
같은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칼 세이건 연구소는 여러 저명한 천문학자들이 세이건의 "창백한 푸른 점" 연설을 낭송하는 비디오를 공개했다.[27]
5. 2. 관련 자료
칼 세이건이 이 사진을 보고 감명을 받아 저술한 창백한 푸른 점이라는 같은 제목의 책이 있다. 칼 세이건은 보이저 계획의 화상 팀을 맡았고 이 사진도 칼 세이건의 주도로 촬영되었다. 세이건은 자신의 저서에서 "지구는 광활한 우주에 떠 있는 보잘것없는 존재에 불과함을 사람들에게 가르쳐 주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그는 보이저 1호의 카메라를 지구 쪽으로 돌릴 것을 지시했고,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구를 포함한 6개 행성들을 찍은 '가족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수성은 너무 밝은 태양빛에 묻혔고, 화성은 카메라에 반사된 태양광 때문에 촬영할 수 없었다.칼 세이건은 저서 《창백한 푸른 점》에서 사진에 대한 소감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이렇게 멀리 떨어져서 보면 지구는 특별해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인류에게는 다릅니다. 저 점을 다시 생각해보십시오. 저 점이 우리가 있는 이곳입니다. 저 곳이 우리의 집이자, 우리 자신입니다. (중략) 우리가 아는 유일한 삶의 터전인 저 창백한 푸른 점을 아끼고 보존해야 한다는 책임감에 대한 강조입니다."
2006년 앨 고어의 다큐멘터리 영화 《불편한 진실》의 마지막 부분에 이 사진이 삽입되었다. 영화에서는 사진과 함께 "여기가 우리의 고향이다"라는 칼 세이건의 말을 인용했다. 앨 고어는 지구 온난화를 멈추게 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 사진을 사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 Pale Blue Dot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14-12-21
[2]
웹사이트
From Earth to the Solar System, The Pale Blue Dot
https://web.archive.[...]
NASA
2014-12-24
[3]
웹사이트
Mission Overview
https://web.archive.[...]
starbrite.jpl.nasa.gov
2011-07-27
[4]
웹사이트
Voyager 1
https://nssdc.gsfc.n[...]
nssdc.gsfc.nasa.gov
2011-07-27
[5]
서적
From Engineering Science To Big Science
Random House
[6]
웹사이트
An Earthly View of Mars
http://www.space.com[...]
space.com
2005-07-07
[7]
웹사이트
Voyager 1's Pale Blue Dot
https://solarsystem.[...]
JPL/NASA/JPL-Caltech
2019-02-05
[8]
뉴스
The Earth from the frontiers of the Solar system – The Pale, Blue Dot
https://news.google.[...]
1990-09-09
[9]
서적
Pale Blue Dot: A Vision of the Human Future in Spac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10]
웹사이트
An Alien View of Earth
https://www.npr.org/[...]
NPR
2011-07-12
[11]
서적
Robotic Exploration of the Solar System Part I: The Golden Age 1957–1982
Springer
2007
[12]
웹사이트
Voyager – Imaging Science Subsystem
http://voyager.jpl.n[...]
NASA
2014-12-26
[13]
웹사이트
Cassini Solstice Mission – ISS
https://web.archive.[...]
NASA
2014-12-26
[14]
웹사이트
Voyager 1 Narrow Angle Camera Description
http://pds-rings.set[...]
SETI Institute
2014-12-26
[15]
웹사이트
Voyager Celebrates 20-Year-Old Valentine to Solar System
http://www.nasa.gov/[...]
NASA
2016-06-23
[16]
웹사이트
Pale Blue Dot Revisited
https://photojournal[...]
NASA
2020-02-13
[17]
웹사이트
NASA's JPL Horizon System for calculating ephemerides for solar system bodies
http://ssd.jpl.nasa.[...]
ssd.jpl.nasa.gov
2011-07-13
[18]
웹사이트
PIA00452: Solar System Portrait – Earth as 'Pale Blue Dot'
http://photojournal.[...]
photojournal.jpl.nasa.gov
2011-07-27
[19]
웹사이트
PIA00450: Solar System Portrait – View of the Sun, Earth and Venus
http://photojournal.[...]
photojournal.jpl.nasa.gov
2011-07-28
[20]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Pale Blue Dot
https://web.archive.[...]
solarsystem.nasa.gov
2011-07-27
[21]
논문
Views from EPOXI: Colors in Our Solar System as an Analog for Extrasolar Planets
2011-02-18
[22]
논문
Is the Pale Blue Dot unique? Optimized photometric bands for identifying Earth-like exoplanets
2016-01-20
[23]
논문
A model of Titan's aerosols based on measurements made inside the atmosphere
2008-04
[24]
서적
Pale Blue Dot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USA Inc
[25]
웹사이트
'Pale Blue Dot' Images Turn 25
http://voyager.jpl.n[...]
2017-02-15
[26]
웹사이트
Nasa 're-masters' classic 'Pale Blue Dot' image of Earth
https://www.bbc.com/[...]
BBC
2020-02-13
[27]
웹사이트
'Pale Blue Dot' shines anew in Carl Sagan Institute video to mark iconic photo's 30th anniversary
https://www.space.co[...]
2020-02-19
[28]
웹사이트
From Earth to the Solar System-Pale Blue Dot
http://fettss.arc.na[...]
fettss.arc.nasa.gov
2011-07-27
[29]
뉴스
Dot Earth:The Domain We All Share
http://dotearth.blog[...]
2007-10-24
[30]
웹사이트
Just one small dot on the landscape:The spectacular images of Earth taken from Saturn, 900 million miles away
http://www.dailymail[...]
Associated Newspapers Ltd
2013-07-28
[31]
서적
Pale Blue Dot:A Vision of the Human Future in Spac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32]
웹사이트
Voyager 1
http://nssdc.gsfc.na[...]
nssdc.gsfc.nasa.gov
2011-07-27
[33]
웹사이트
Mission Overview
https://web.archive.[...]
starbrite.jpl.nasa.gov
2011-07-27
[34]
서적
From Engineering Science To Big Science
Random House
[35]
웹사이트
An Earthly View of Mars
http://www.space.com[...]
space.com
2011-07-28
[36]
웹사이트
It's our dot:For Carl Sagan, planet Earth is just a launch pad for human explorations of the outer universe
http://pqasb.pqarchi[...]
pqasb.pqarchiver.com
1995-02-25
[37]
뉴스
The Earth from the frontiers of the Solar system - The Pale, Blue Dot
https://news.google.[...]
1990-09-09
[38]
서적
pp.4-5
https://books.google[...]
1994
[39]
웹사이트
PIA00450:Solar System Portrait - View of the Sun, Earth and Venus
http://photojournal.[...]
photojournal.jpl.nasa.gov
2011-07-28
[40]
웹사이트
Sagan attacks U.S. 'glorification of stupidity'-Astronomer speaks after hospitalization
http://pqasb.pqarchi[...]
pqasb.pqarchiver.com
1995-08-05
[41]
웹사이트
Voyager Celebrates 20-Year-Old Valentine to Solar System
http://www.nasa.gov/[...]
NASA
2011-07-27
[42]
서적
Beyond UFOs:The Search for Extraterrestrial Life and Its Astonishing Implications for Our Futur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서적
Taming the Atom:The Emergence of the Visible Microworld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44]
뉴스
Sagan looks to space for future salvation
https://news.google.[...]
1995-02-05
[45]
웹사이트
Consequences of Exploration:Learning from History Part 1
http://history.nasa.[...]
history.nasa.gov
2011-07-27
[46]
웹사이트
Pale Blue Dot
https://planetary.or[...]
The Planetary Society
2006-07-27
[47]
서적
Impossible Extinction:Natural Catastrophes and the Supremacy of the Microbial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웹사이트
Voyager 1: Pale Blue Dot (February 14, 1990)
http://planetary.org[...]
planetary.org
2011-07-27
[49]
웹사이트
An Alien View Of Earth
http://www.npr.org/t[...]
npr.org
2011-07-12
[50]
서적
The Privileged Planet:How Our Place in the Cosmos is Designed for Discovery
https://books.google[...]
Regnery Publishing
[51]
웹사이트
SOLAR SYSTEM PORTRAIT - EARTH AS 'PALE BLUE DOT
http://visibleearth.[...]
visibleearth.nasa.gov
2011-07-13
[52]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Pale Blue Dot
http://solarsystem.n[...]
solarsystem.nasa.gov
2011-07-27
[53]
웹사이트
The Top 10 Views of Earth From Space
http://www.thedailys[...]
2011-07-28
[54]
웹사이트
Solar System Portrait? Earth as 'Pale Blue Dot'
http://visibleearth.[...]
NASA
2011-07-27
[55]
웹사이트
PIA00452:Solar System Portrait - Earth as 'Pale Blue Dot'
http://photojournal.[...]
photojournal.jpl.nasa.gov
2011-07-27
[56]
웹사이트
Polarization of terrestrial planets and the ZIMPOL technique
http://planetquest1.[...]
planetquest1.jpl.nasa.gov
2011-07-27
[57]
웹사이트
Boffins develop interstellar alien ocean-spotting tool-'Pale blue dot' single-pixel planet problem cracked
http://www.theregist[...]
theregister.co.uk
2011-07-27
[58]
논문
Polarization of Planet Earth and Model Earth-like Planets
http://adsabs.harvar[...]
SAO/NASA Astrophysics Data System
2005-12-15
[59]
논문
The Spectrum of Earthshine:A Pale Blue Dot Observed from the Ground
https://iopscience.i[...]
IOP Publishing
2002-03-28
[60]
웹사이트
NASA's JPL Horizon System for calculating ephemerides for solar system bodies
http://ssd.jpl.nasa.[...]
ssd.jpl.nasa.gov
2011-07-13
[61]
웹사이트
Nasa image shows it's a wonderful world
http://www.independe[...]
independent.co.uk
2011-07-28
[62]
웹사이트
SPACECRAFT ? Cassini Orbiter Instruments ? ISS
http://saturn.jpl.na[...]
saturn.jpl.nasa.gov
2011-07-27
[63]
웹사이트
Planetary Data System - Instrument Information
http://starbrite.jpl[...]
starbrite.jpl.nasa.gov
2011-07-28
[64]
웹사이트
Overview of Observations Made During the MErcury Surface, Space ENvironment, GEochemistry, and Ranging (MESSENGER) Spacecraft's Flyby of Mercury
http://solarsystem.n[...]
solarsystem.nasa.gov
2011-07-28
[65]
웹사이트
Mercury ? In Color!!
http://www.nasa.gov/[...]
nasa.gov
2011-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