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호동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호동굴은 대한민국에 위치한 동굴이다. 과거 석회 광산 개발로 인해 훼손되었으며, 현재는 익산시에 의해 영구 폐쇄 및 통제되고 있다. 동굴 내부의 종유석, 석순 등도 상당 부분 훼손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폐쇄 조치는 시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천연기념물 - 군산 산북동 공룡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군산 산북동 공룡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전라북도 군산시 산북동에 위치하며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공룡과 익룡 발자국 화석 산지로, 2004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70여 개의 다양한 발자국 화석을 통해 당시 생태 환경과 공룡 종류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천연기념물 - 군산 말도 습곡구조
    군산 말도 습곡구조는 전라북도 군산시 말도 해안 절벽에 발달한 고생대 지층의 습곡구조로, 층리의 휨과 단층 흔적이 뚜렷하여 지질학적 가치가 높고 지질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동굴 - 영월 고씨굴
    영월 고씨굴은 고씨 일가의 피난 설화가 전해지는 약 1.6km 길이의 석회암 동굴로, 다양한 종유석, 석순과 희귀 곤충이 서식하는 생태학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 대한민국의 동굴 - 평창 섭동굴
    평창 섭동굴은 조선 누층군 정선 석회암층에서 발견된 3층 구조의 동굴로, 각 층별로 다양한 동굴 생성물을 관찰할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으며, 현재는 보존을 위해 출입이 제한된다.
  • 익산시의 문화유산 - 익산 토성
    익산 토성은 오금산 정상에 흙과 돌로 쌓은 산성으로,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축조되었으며 백제, 통일신라, 고려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 익산시의 문화유산 - 익산 쌍릉
    익산 쌍릉은 백제 무왕의 능으로 추정되는 익산시 왕궁면 소재의 백제 후기 왕릉으로, 대왕릉에서 발견된 유골 분석 결과가 무왕의 기록과 일부 일치하나, 무왕릉 확정 여부 및 소왕릉 주인공에 대한 추가 연구와 익산 천도설 관련 논쟁이 남아있다.
천호동굴
기본 정보
익산 천호동굴
이름익산 천호동굴
한자 표기益山 天壺洞窟
유형천연기념물
지정 번호177
지정일1966년 3월 2일
주소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태성리 산21번지
시대시대미상
소유농림수산부 외
기타
문화재청 ID16,01770000,35

2. 지질학적 특징

천호동굴은 천호산 기슭에 있으며 총 길이는 680m이고 옥천 누층군 창리층의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굴 안에는 종유석, 석순, 석주 등 동굴 생성물이 발달하고 있다. 특히 “수정궁”이라 불리는 높이 약 30m, 너비 약 15m의 큰 구덩이 중앙 정면에는 높이 20m가 넘는 커다란 석순이 있는데, 그 지름이 5m에 이른다. 동굴바닥 한 구석에는 맑은 물이 흐르고 있는데 비가 오면 물이 불어나 폭포를 이루기도 한다. 박쥐, 곱등이, 딱정벌레, 톡토기 등 많은 동굴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2. 1. 창리층

옥천 누층군의 변성퇴적암 지층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용리와 완주군 봉동면 제내리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성묘산 주변에 분포한다. 주로 흑색 점판암, 석영·견운모 편암 및 흑운모 편암으로 구성되며 결정질 석회암과 규암이 협재되어 있다. 결정질 석회암은 문주리층에 비해 매우 희소하나 양촌면 평촌 부근 문주리층과의 경계부에 가까운 곳에서는 2~3매의 석회암이 2m~5m 두께로 흑색 점판암과 교호하며 주향(走向)방향의 연속성은 미약하다.

3. 동굴 내부

천호산 기슭에 있는 천호동굴은 총길이가 680m이며 옥천 누층군 창리층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굴 내부에는 종유석, 석순, 석주 등 다양한 동굴 생성물과 박쥐, 곱등이, 딱정벌레, 톡토기 등 여러 동굴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동굴 바닥에는 물이 흐르며, 비가 오면 폭포를 이루기도 한다.

3. 1. 동굴 생성물

동굴 안에는 고드름처럼 생긴 종유석(鍾乳石)과 땅에서 돌출되어 올라온 석순(石筍), 종유석과 석순이 만나 기둥을 이룬 석주(石柱) 등 동굴 생성물이 발달하고 있다. 특히 "수정궁"이라 불리는 높이 30m, 너비 15m의 큰 구덩이 중앙 정면에는 높이 20m가 넘는 커다란 석순이 솟아 있는데, 그 지름이 5m에 이른다. 동굴 바닥 한구석에는 맑은 물이 흐르고 있는데 비가 오면 물이 불어나 폭포를 이루기도 한다. 박쥐를 비롯한 곱둥이, 딱정벌레, 톡토기 등 많은 동굴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3. 2. 동굴 생물

동굴 안에는 고드름처럼 생긴 종유석(鍾乳石)과 땅에서 돌출되어 올라온 석순(石筍), 종유석과 석순이 만나 기둥을 이룬 석주(石柱) 등 동굴 생성물이 발달하고 있다. 특히 "수정궁"이라 불리는 높이 약 30m, 너비 약 15m의 큰 구덩이 중앙 정면에는 높이 20m가 넘는 커다란 석순이 솟아 있는데, 그 지름이 5m에 이른다. 동굴 바닥 한구석에는 맑은 물이 흐르고 있는데 비가 오면 물이 불어나 폭포를 이루기도 한다. 박쥐를 비롯한 곱등이, 딱정벌레, 톡토기 등 많은 동굴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4. 보존 및 관리

현재 천호동굴은 동굴 생성물 등의 보호를 위해 공개 제한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관리 및 학술 목적 등으로 출입하고자 할 때에는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4. 1. 훼손 논란

과거 동굴이 겹치는 산에 무분별하게 석회 광산 허가를 내주면서 굴착 공사와 무리한 폭약 발파 작업 등으로 천호동굴의 일부가 밖으로 훤히 드러났었다. 내부의 종유석석순 등은 물론 천호동굴 최대 자랑거리인 수정궁까지 다시 볼 수 없을 정도로 무차별로 상당수 훼손된 듯하다. 이를 감추기 위함인지 익산시는 '천호동굴은 내부가 협소하고 관광 가치가 희소하다'는 등의 이유로 아예 동굴을 영구 미공개로 폐쇄하고 통제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