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옥천 누층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천 누층군은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습곡-단층대로, 점판암과 천매암 등 변성된 퇴적암으로 구성된다. 퇴적 시기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선캄브리아기부터 고생대까지 다양한 시기의 퇴적 설이 존재한다. 옥천 누층군 내 탄질 흑색 점판암에는 우라늄이 함유되어 있어, 우라늄 광화대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옥천대에는 다양한 지질 구조가 발달하며, 특히 습곡과 단층이 특징적이다.

2. 옥천대의 지질학적 특징

옥천대(Okcheon Belt) 또는 옥천 습곡대는 한반도를 북동-남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습곡-단층대로, 너비는 50km 이상, 연장은 350km 이상이다. 옥천 습곡대는 조선 누층군평안 누층군이 분포하는 북동부의 태백산분지와 옥천 누층군이 분포하는 남서부의 충청 분지로 나누어진다.[1] 옥천 누층군은 점판암천매암 등 변성된 퇴적암으로 구성된다. 충청도 지역에서는 옥천 누층군의 점판암엽리를 따라 판상으로 쪼개지는 점을 이용해 점판암을 가공해 가옥의 지붕이나 담장, 축대, 구들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지붕이 점판암으로 된 집을 돌너와집, 돌기와집, 청석집, 슬레이트집이라 부른다.[2]

3. 옥천 누층군의 층서 논란과 연구사

옥천 누층군의 퇴적 시기와 층서에 대한 논란은 현재까지도 명확하게 해결되지 않았다. 초기에는 선캄브리아기 설과 캄브리아기 이후 설이 대립했으나, 코노돈트 화석 발견 등으로 고생대 지층이라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최근에는 옥천 누층군이 신원생대에 퇴적되었으며, 중국 남부의 난화 분지와 연결되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충주-제천-괴산 지역의 옥천 누층군은 고운리층, 서창리층,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대향산 규암층, 북노리층, 명오리층, 황강리층, 문주리층 등으로 구성되나, 이들의 상하 관계는 연구자에 따라 다르다. 이는 이 지역에 분포하는 등사습곡 및 배사, 향사 구조[1]에 의해 옥천 누층군이 심하게 뒤틀려 있어 연구자에 따라 정상 층위 혹은 역전층으로 다르게 해석되기 때문이다.

괴산-보은-옥천 지역의 옥천 누층군은 구룡산층, 국사봉층, 대향산층, 마전리층, 문주리층, 미동산층, 운교리층, 이원리층, 장암리층, 창리층, 화전리층, 황강리층 등으로 구성된다.

대전-금산 지역의 옥천 누층군은 대덕리층, 마전리층, 창리층, 향산리층 등으로 구성된다.

완주-논산 지역의 옥천 누층군은 여러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층서로 구분되어 왔다.

다음은 각 지역별 옥천 누층군의 층서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정리한 표이다.

충청분지 지역 옥천 누층군의 층서
지질시대충주도폭 (1965)[1]김옥준 (1968)손치무 (1970)Reedman et al.(1973)[61]Lee (1974)[62]Chough & Bahk (1992)[63]Lee (1995)[64]Lee et al. (1998)임순복 외 (2005, 06, 07)최덕근 외 (2012)[1]
트라이아스기----황강리층-----
페름기
석탄기
데본기
실루리아기
문주리층
황강리층
명오리층
북노리층
-----
서창리층
-옥천층군황강리층
운곡리층
서창리층
문주리층
미원층
대향산 규암
--문주리층
황강리층
한수 석회암
명오리층
북노리층
-문주리층
황강리층
명오리층
북노리층
서창리층
E 층
비봉층
C 층
B 층
A 층
-
충주층군대향산층
계명산층
오르도비스기
캄브리아기
조선계 고운리층조선 누층군조선 누층군충주층군삼태산층
계명산층
대향산층
문주리층
대향산 규암
향산리 돌로마이트
서창리층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
대향산층
덕평층군명오리층
내사리층
황강리층
구룡산층
화전리층
고운리층
조선 누층군
F 층
황강리층
-
미원층군운교리층
증평층
선캄브리아기-군자산층
황강리층
창리층 (서창리층+명오리층)
문주리층
-옥천층군문주리층
황강리층
명오리층
북노리층
서창리층
고운리층
계명산층---MV 층수안보층군고운리층
명오리층
황강리층
문주리층
충주층군대향산 규암
향산리 돌로마이트
계명산층


4. 옥천 누층군의 우라늄과 방사능

옥천 누층군 내 탄질 흑색 점판암에 우라늄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은 1956년 중앙지질광물연구소의 조사에서 처음 알려졌다.[3][4] 이후 우라늄 개발 가능성을 밝히기 위해 여러 지화학적, 광물학적 조사가 수행되었다. 옥천 누층군 내 우라늄 광화대는 괴산군을 기점으로 보은군, 옥천군을 거쳐 대전광역시 서남부까지 이어진다. 충청북도 괴산군 지역의 옥천대 하부천매암층은 우라늄 함량이 높은 지층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2~1986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의해 정밀 지화학탐사와 시추 탐사가 수행되었다.[5] 옥천 누층군의 일부인 구룡산층은 우라늄을 함유한 흑연질 점판암으로 옥천대 내에서 90 km 이상 연장되며, 우라늄 함량 최고치가 294 ppm인 것으로 보고되었다.[6] 충북과 충남에서 저품위 40~660만 톤의 우라늄 매장량이 보고되었으며, 충북의 3개, 충남의 4개 광산에서 우라늄이 개발된 기록이 있다. 시추탐사 결과 우라늄 매장량이 가장 큰 광상은 괴산군 덕평리 광상이며 매장량은 10696000ton이다.

4. 1. 방사능 원소와 함량

옥천 누층군의 흑색 점판암에서는 우라늄, 몰리브데넘, 고정탄소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다.[8] 보은군 회남면 지역 흑색 점판암에는 우라늄 0.5~460 ppm, 토륨 2~35 ppm, 바나듐 123~8112 ppm, 몰리브데넘 1~1400 ppm이 함유되어 있다.[10]

옥천대 지역의 토양 내 우라늄 농도는 괴산군(0.6~202 ppm), 보은군(0.1~233 ppm), 금산군(0.6~308 ppm)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11] 금산군 복수면 수영리 일대에서는 점판암 내 탄질성분에 우라늄 광체가 집중되며, 폐갱도와 폐석 더미가 발견되었다.[13]

청주시 미원면 미원리, 청천면 귀만리, 보은군 판장리 및 금산군 추부면 지역의 흑색 및 탄질점판암에서도 우라늄이 검출되었다. 판장리 지역의 탄질점판암에서 우라늄 함량이 최대 123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14]

4. 2. 괴산군 덕평리의 우라늄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지역은 옥천 누층군의 대표적인 우라늄 광화대 지역이다. 옥천 누층군의 흑색 (탄질)점판암이 분포하는 이 지역에서는 함우라늄층이 산 능성이를 따라 연장 1.5 km, 폭 0.32 km, 두께 7~8 m의 렌즈상으로 분포하여 국부적으로 우라늄의 함량이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7]

  • 김태순 외(1978)의 연구에 따르면, 덕평리 지역 토양에서는 타 지역보다 높은 10~30 ppm 이상의 우라늄이 함유되어 있으며, 현지 농작물의 우라늄 평균 함량은 깨 0.99 ppm, 감자 0.92 ppm, 벼 0.6 ppm, 콩 0.52 ppm, 보리 0.37 ppm, 옥수수 0.26 ppm으로 나타났다. 덕평리 주민 1인이 하루에 섭취하는 우라늄의 양은 247.3 마이크로그램으로 측정되었다.[17]
  • 최선경 외(1999)는 덕평리 지역에서 함우라늄 흑색 셰일에 기인한 표토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논 118 ppm, 밭 109 ppm, 산 221 ppm, 광미시료 299 ppm, 산토양 시료에서 725 ppm의 우라늄 함량을 확인하였다.[18]
  • 김영환(2000)은 덕평리 지역 시료들의 전암 화학 분석 결과, 흑색 점판암에 바륨 (7.2 wt. %), 몰리브데넘 (1112 ppm), 우라늄 (650 ppm), 아연 (2585 ppm), 바나듐 (4111 ppm), 이트륨 (253 ppm) 등 각종 희유금속 원소들이 농집되어 있음을 밝혔다. 또한 흑색 점판암의 구성 광물 중에는 우라늄 광물인 우라니나이트(섬우라늄석), 제노타임, 우라노서사이트가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19]
  • 이종윤 외(2002)는 덕평리 지역 함우라늄 흑색셰일 내 우라늄 함량이 총 349 ppm이며, 대부분 탄산염과 유기물질 및 황화물에 수반되어 나타난다고 발표하였다.[20]
  • 신동복과 김수정(2011)은 덕평리 지역 탄질점판암의 우라늄 평균 함량이 360 ppm, 최고 1101 ppm (1kg당 1.1g)에 달하며, 이는 동 지역의 흑색 점판암의 우라늄 함량(1.3~21.3 ppm)보다 매우 높은 수치라고 보고하였다.[21]
  • 김수정(2012)은 덕평리의 흑색 및 탄질점판암에서 우라늄 광물인 토라이트, 에카나이트, 우라니나이트가 산출되며, 우라늄 광화대에는 백금족 원소가 수반된다고 밝혔다. 또한 우라늄 광화작용은 해저의 고온 환경에서 생성된 것으로 해석하였다.[22]

4. 3. 지표 자연방사선량

옥천대 지역의 지표방사능 측정 결과, 괴산군, 보은군, 금산군, 대전광역시 등에서 높은 자연방사선량이 측정되었다. 특히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지역에서는 옥외 유효선량률 최고치 1.71mSv/y가 측정되었는데, 이는 우라늄 지층에 의한 것이다.[1]

  • 전재식과 오희필(1990)은 대전광역시 지역의 지각 방사선량에 의한 연간 실효선량은 564±4 µSv으로 측정하였다.[26]
  • 소방방재청(2006)은 옥천대 괴산군, 보은군, 금산군, 대전광역시 등 440개 지점의 지표방사능을 측정하였다. 괴산군의 심부선량은 평균 0.44 mSv/y, 최대 5.32 mSv/y이며 청천면 대전리에서 1.2~5.3 mSv/y, 덕평리에서는 3.2~3.9 mSv/y의 높은 심부선량을 보였다. 그 외의 지역에서는 3 mSv/y 이하의 값을 보였다. 일반인의 연간 권고선량인 1 mSv/y를 초과하는 곳이 괴산군에서 5곳, 보은군에서 1곳, 대전 지역이 2곳(2 mSv/y)인 것으로 드러났다. 방사능의 외부 피폭량은 1일에 0.02~9.2 µSv이다.[1]
  • 최근식 외(2006)에 의하면 괴산군 지역 라돈 농도는 제곱미터당 가옥 내 83.7 Bq, 옥외 50.5 Bq이 검출되었으며 이는 한국 평균 농도(실내 53.4 Bq/m2)보다 높다. 측정된 감마선량에 의한 괴산군 거주민의 외부 피폭선량은 0.71 mSv로 측정되었다.[27]
  • 윤욱과 조병욱(2019, 2020)은 2차례에 걸쳐 옥천 누층군 분포지역의 자연방사선량을 측정했다. 감마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해 괴산군 지역의 옥천 누층군 하부천매암대와 그 주변의 77개 지점에서 감마선량을 측정한 결과 칼륨-40 함량은 1.8~8.8% (563~2754 Bq/kg), 우라늄-238 함량은 0.2~217.9 ppm (2.5~2691 Bq/kg), 토륨-232 함량은 11.9~46.5 ppm (48.3~310.6 Bq/kg)로 산출되었으며 옥외 유효선량률은 0.08-1.71 mSv/y의 범위로 나타났다. 옥외 유효선량률의 최고치는 1.71 mSv/y (1kg당 40K 2754.4 Bq, 238U 2691.1 Bq)으로 이는 우라늄 지층을 협재하는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지역의 하부천매암대 지층에서 나온 수치이다.[1] 충청도 옥천 누층군 암석의 칼륨-40 함량은 0.65~10.29% (205~3220 Bq/kg), 우라늄-238 함량은 0.63~287.0 ppm (7.81~3544.5 Bq/kg), 토륨-232 함량은 4.00~102.4 ppm (16.24~415.9 Bq/kg)으로 산출되었으며 흡수선량은 28.84~1714.5 nGy/h이다. 421개 지점에서 지표방사능을 측정한 결과 일반인의 옥외 유효선량 한도인 1 mSv/y를 초과하는 4개 지점이 나왔으며 그 수치는 금산군 1.78 mSv/y, 괴산군 1.24 mSv/y 및 1.45 mSv/y, 보은군 1.36 mSv/y으로 이는 모두 우라늄층을 포함하는 하부천매암대에 위치한다. 하부천매암대의 최대값은 2.10 mSv/y이고 그 외의 지점에서는 국내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왔으나 1 mSv/y보다는 낮게 나왔다.[1]


옥천대 지역의 칼륨-40 함량은 다른 지역 및 식품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몸무게 60kg의 사람은 몸속에 3300Bq (=0.17 mSv/y), 시금치는 200Bq/kg의 칼륨-40을 포함한다.[1][28]

옥천대 지역과 해외 여러 국가의 연간 대지 방사선량[1]
국내괴산군보은군대전-금산해외노르웨이독일미국브라질오스트리아인도이탈리아이란일본중국프랑스
mSv/y심부선량: 최대 5.32, 평균 0.44
천부선량: 최대 3.57, 평균 0.69
지표: 1.24, 거주민 피폭량: 0.71
심부선량: 최대 1.74, 평균 0.20
천부선량: 최대 3.13, 평균 0.27
지표: 1.36, 보은광산: 최대 19.71
심부선량: 최대 1.82, 평균 0.22
천부선량: 최대 3.01, 평균 0.41
지표: 1.78
mSv/y평균 0.63
최대 10.5
평균 0.48
최대 3.8
평균 0.40구아라파리: 평균 5.5
최대 35
평균 0.37평균 0.48
케랄라주: 평균 3.8
최대 35
평균 0.50
최대 4.38
람사르: 평균 10.2
최대 260
평균 0.43평균 0.54
양장시: 평균 3.51
최대 5.4
평균 0.60
최대 2.20



옥천대 지역의 칼륨-40 함량과 비교[1]
지역옥천대 전체괴산군금산군 복수면말린 다시마채표고버섯말린 오징어시금치가다랑어생당근정어리돼지고기우유꽁치닭날개맥주
함량 (Bq/kg)205~3220563~2754639~128021306303302221231201029345423611


4. 4. 지하수의 우라늄

옥천 누층군 내 탄질 흑색 점판암에 우라늄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은 1956년 중앙지질광물연구소의 조사에서 처음 알려졌으며, 그 이후 우라늄 개발 가능성을 밝히기 위해 여러 지화학적, 광물학적 조사가 수행되어 왔다. 옥천 누층군 내 우라늄 광화대는 괴산군을 기점으로 보은군, 옥천군을 거쳐 대전광역시 서남부까지 이어져 있다.[3][4] 충청북도 괴산군 지역의 옥천대 하부천매암층은 우라늄 함량이 높은 지층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은 1972~1986년 우라늄 광상 확보를 위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의해 정밀 지화학탐사와 시추 탐사가 수행된 바 있다.[5] 옥천 누층군의 일부인 구룡산층은 우라늄을 함유한 흑연질 점판암으로 옥천대 내에서 90 km 이상 연장되며, 우라늄 함량 최고치가 294 ppm인 것으로 보고되었다.[6] 충북과 충남에서 저품위 40~660만 톤의 우라늄 매장량이 보고되었다. 현재 우라늄광산은 충북의 3개, 충남의 4개 광산에서 우라늄이 개발된 기록이 있다. 시추탐사 결과 우라늄 매장량이 가장 큰 광상은 괴산군 덕평리 광상이며 매장량은 10696000ton이다.

5. 옥천대의 지질 구조

옥천대에는 다양한 지질 구조가 발달하며, 특히 습곡, 단층이 특징적이다.

충주 활옥동굴은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활석 광산을 활용하여 만든 관광 동굴이다. 이 동굴에서는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으며 층리, 습곡, 단층 등의 지질구조가 발달한다.

동굴 입구


향사습곡 전경


정단층


정단층


정단층


석회암셰일


낙수구간. 오른쪽 검은색 부분에서 지하수가 유출되고 있다.


단층

  • '''묘암 단층'''(妙巖斷層)은 청주시 문의면 묘암리에 나타나는 소규모 단층으로 향산리층의 석회암이 변위되어 있다.[1]
  • '''후곡 단층'''(後谷斷層)은 청주시 문의면 후곡리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단층으로 묘암 단층을 절단시키고 있다. 후곡리에서 단층 서측의 향산리층과 동측의 문주리층을 접하게 한다.[1]
  • '''아곡 단층'''(峨谷斷層)은 보은군 내북면 화전리에서 아곡리를 지나 하궁리로 이어지는 남-북 주향, 연장 12.5 km의 단층으로 운교리층, 화전리층, 구룡산층, 이원리층, 문주리층이 변위되어 있으며 수평변위량 1 km, 수직변위량 300 m 내외이다.[1]
  • '''오곡 충상단층'''(烏谷衝上斷層)은 보은군 회남면 용호리에서 국사봉층의 표식지 국사봉을 지나 보은군 회인면 애곡리까지 발달하는 충상단층으로 문주리층이 평안 누층군에 대비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국사봉층 위로 충상된 것으로 해석된다. 국부적으로는 옥천 누층군의 주향에 평행하며 대전광역시 동구 주촌동에서 화강암에 의해 연장이 끊어진다.[1]
  • '''염둔리 단층'''(鹽屯里斷層)은 아곡 단층에 수반된 북서 20°주향의 소규모 수직 단층으로 운교리층, 화전리층, 구룡산층 북서쪽으로 갈수록 변위량이 증가하는 힌지 단층이며 최대 수평변위량은 300 m이다.[1]
  • 보은군 내북면 두평리에는 남-북 주향의 정단층이 있어 문주리층과 황강리층이 접하며 수평 변위량은 300 m이다.[1]

6. 지역별 지질

옥천 누층군은 여러 행정구역에 걸쳐 분포하며, 각 지역별로 특색 있는 지질학적 특징을 보인다.

지역지질학적 특징
제천시제천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
충주시충주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
괴산군괴산군 지역의 옥천 누층군
문경시문경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
보은군보은군 지역의 옥천 누층군
청주시청주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
옥천군옥천군 지역의 옥천 누층군
대전광역시대전광역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
금산군금산군 지역의 옥천 누층군
논산시논산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
완주군완주군 지역의 옥천 누층군
익산시익산시 지역의 옥천 누층군


참조

[1] 저널 The Okcheon Supergroup in the Lake Chungju area, Korea: Neoproterozoic volcanic and glaciogenic sedimentary successions in a rift basin https://www.proquest[...] 2012
[2] 저널 충청북도 보은지방 옥천누층군 지역의 돌너와집 (The Slate-Roofed Houses in the Ogcheon Supergroup Basement Metamorphic Complex Region of Boeun County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https://scholar.kyob[...] 2007-08
[3] 저널 대전서남지대(大田西南地帶)에 있어서의 옥천대(沃川帶) 우라늄광상(鑛床)에 대(對)한 광물학적(鑛物學的) 및 지화학적(地化學的) 연구(硏究)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f Uranium Deposits of the Okchon Group in Southwestern District off Taejon, Korea) https://scienceon.ki[...] 1984
[4] 저널 옥천대 우라늄광층의 구조규제 및 지구화학적 특성연구 https://www.kseeg.or[...] 1986
[5] 저널 감마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괴산 옥천하부천매암대 일대의 감마선량 평가 (Assessment of Gamma-radiation dose Rate in the Ogcheon Lower Phyllite Area, Goesan County, Korea, Using Gamma-ray Spectrometry) https://scienceon.ki[...] 2019-12
[6] 저널 구룡산(九龍山)(옥천(決川)) 함(含)우라늄 흑색(黑色) 점판암(粘板岩)의 지화학(地化學) 및 성인(成因) Geochemistry and Genesis of the Guryonsan(Ogcheon) Uraniferous Back Slate https://scienceon.ki[...] 1989
[7] 저널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Uranium-bearing black Slates in the Ogcheon Group, Korea (沃川系 含우라늄 變成地層의 鑛物學的 地球化學的 硏究) https://www.dbpia.co[...] 1978-09
[8] 저널 沃川帶 含우라늄地層中의 우라늄과 他成分과의 相關關係 (Geochemical Correlations Between Uranium and Other Components in U-bearing Formations of Ogcheon Belt) https://scholar.kyob[...] 1980-12
[9] 저널 충주지역 흑색셰일 분포지역에서의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부화 https://scholar.kyob[...] 1996-08
[10] 저널 회남지역의 옥천누층군에 분포하는 탄질 변성이질암의 미량 및 희토류원소 지화학 https://scholar.kyob[...] 1996-12
[11] 웹인용 지질기원 우라늄·라돈 위해성 평가 및 차폐·저감화기술 개발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and mitigation technique for uranium and radon from geologic environment) https://scienceon.ki[...] 소방방재청 2006
[12] 저널 금강유역 기반암 토양의 자연방사능 특성 (Natural Radioactivity of Soils by Bed Rocks Distributed in the Keum River Area) https://scienceon.ki[...] 2009
[13] 웹인용 복수면 수영리 일대 우라늄 광상의 지질 및 지화학적 특성 연구 (Geologicalandgeochemicalcharacteristicsof uranium depositsinSuyeong-ri,Boksu-myeon) https://www.riss.kr/[...]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02
[14] 웹인용 중부옥천대 우라늄 광상의 지화학적 특성과 광화시기 연구 (Geochemical characteristic and mineralization age of uranium deposits in the central Okcheon Metamorphic Belt) https://www.riss.kr/[...]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02
[15] 웹인용 함우라늄 흑색셰일 분포지역 광산폐기물의 차폐시스템 현장 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tion of shielding system of mine wastes for the uranium-bearing black shale in Korea) https://www.riss.kr/[...] 세종대학교 대학원 지구환경과학과 2015
[16] 서적 원자력 발전과 방사능 Newton Highlight 2012
[17] 저널 토양 및 농작물의 우라늄 함양 - 괴산 덕평리 지역 https://scienceon.ki[...] 1978
[18] 저널 함우라늄 흑색셰일에 기인된 주변 토양 내 핵종원소의 분산 및 존재상 https://scienceon.ki[...] 1999-04
[19] 웹인용 괴산군 덕평리 지역의 함우라늄 흑색 점판암의 미광물학적 연구 (Micromineralogy of Uraniferous Black Slates in the Dukpyeong-Ri, Goesan-Gun) https://www.riss.kr/[...]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0
[20] 저널 생물학적 침출법을 이용한 우라늄 오염토양정화: 함우라늄 흑색셰일을 대상으로 한 실험실적 연구 https://scienceon.ki[...] 2002
[21] 저널 덕평리 지역 우라늄광상의 흑색점판암과 탄질점판암의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Slate and Coaly Slate from the Uranium Deposit in Deokpyeong Area https://scienceon.ki[...] 2011
[22] 웹인용 덕평리지역 우라늄광상의 지화학적 특성과 백금족 광화작용 https://www.riss.kr/[...]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23] 웹인용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https://www.unscear.[...]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SCEAR)
[24] 웹인용 Radiation Protection and the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in the Oil and Gas Industry https://www-pub.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Safety Reports Series No. 34 2003
[25] 저널 옥천층군 일대의 지표방사능과 감마선량 평가 (Evaluation of Terrestrial Gamma Radiation and Dose Rate of the Ogcheon Group Area) https://scienceon.ki[...] 2020
[26] 저널 지각 방사능에 의한 피폭선량측정 및 해석 https://www.jrpr.org[...] 1990
[27] 저널 우라늄 부존지역(충북 괴산)과 비교지역(충남 부여)의 방사선량평가 https://scienceon.ki[...] 2006
[28] 서적 머릿속에 쏙쏙! 방사선 노트 시그마북스 2021-03
[29] 저널 Renal effects of uranium in drinking water https://www.ncbi.nlm[...] 2002-04
[30] 저널 국내 우라늄 산출지 부근의 지하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https://scienceon.ki[...] 1999-04
[31] 웹인용 중부 옥천대 흑색셰일 분포지역의 천부지하수의 수질 및 오염특성 = Ground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in the middle Ogcheon belt area with black shale https://www.riss.kr/[...]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32] 저널 옥천대 우라늄 광화대 부근 퇴적암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Hydrochemistry of Groundwater in the Uraniferous Sedimentary Rocks of the Ogcheon Belt, Republic of Korea) https://scienceon.ki[...] 2010
[33] 저널 괴산지역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Uranium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the Goesan Area, Korea) https://scholar.kyob[...] 2017
[34]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5] 웹인용 忠州 地質圖幅說明書 (충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
[36] 웹인용 황강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00-00
[37] 저널 충주문경간의 옥천계의 층서와 구조 (Stratigraphy and Tectonics of Okcheon System in the Area between Chungju and Munkyeong) https://scholar.kyob[...] 1968-00-00
[38] text
[39] 저널 옥천층군(沃川層群)의 지질시대(地質時代)에 관(關)하여 On the Geological Age of the Ogcheon Group) https://scienceon.ki[...] 1970-00-00
[40] 저널 옥천지향사의 역사 (History of Ogcheon Geosyncline) https://www.dbpia.co[...] 1971-12-00
[41] 저널 옥천지향사내 기저지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Lower Unit of the Metamorphic Belt in the Ogcheon Geosyncline) https://www.dbpia.co[...] 1972-03-00
[42] 저널 옥천계내 향산리돌로마이트층에서의 Archaeocyatha의 발견과 그 의의 (Discovery of Archaeocyatha from Hyangsanri Dolomite Formation of the Ogcheon System and its Significance) https://www.dbpia.co[...] 1972-12-00
[43] 저널 옥천변성대의 화석과 지사 (Metamorphic Okcheon Zone: Fossil Discoverites and Geological History) https://www.dbpia.co[...] 2008-12-00
[44] 저널 옥천층군의 틸라이트와 그 층서학적 의의 (Tillites of the Ogcheon Group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https://www.dbpia.co[...] 1976-09-00
[45] 저널 옥천군 시대미상 암회색 저변성 니질암에서의 흔적화석 콘드라이트의 산출과 의의 (Occurrence and significance of trace fossil Chondrite from age-debated dark gray low-grade metamorphic argillaceous rock of Ogcheon Supergroup, southern Korea) https://www.dbpia.co[...] 1977-12-00
[46] 저널 황강리층의 석회질력에서 산출된 미화석과 그의 층서적 의의 (Discovery of Microfossils from Limestone Pebbl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https://www.dbpia.co[...] 1989-03-00
[47] 저널 옥천대의 지구역학 (Geodynamics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https://www.scienced[...] 1990-11-00
[48] 저널 충주지역 대향산 규암층 주변일대의 변형량 분석 및 변형작용사 (Deformation History and Strain Analysis of Daehyangsan Quartzite in Chungju Area, Korea) https://www.dbpia.co[...] 1991-04-00
[49] 저널 옥천대의 지구역학 (Geodynamics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https://www.scienced[...] 1990-11-00
[50] 저널 옥천대에서의 초기 중기 고생대 판내부 조산운동: 동아시아 고생대 형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 (Early Middle Paleozoic Intraplate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A new insight on the Paleozoic buildup of east Asia) https://insu.hal.sci[...] 1991-00-00
[51] 저널 옥천대에서의 오르도비스기 이중 마그마 작용: 대륙 내부 열곡 관련 화산 활동 (Ordovician bimodal magmatism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intracontinental rift-related volcanic activity) https://www.research[...] 1992-02-00
[52] 저널 옥천계의 빙하기원 다이아믹타이트와 그 지질시대 및 고생대 말의 한반도의 고지리 (Glaciogenic diamictite of Ogcheon System and its geologic age, and paleogeography of Korean Peninsula in Late Paleozoic) https://www.dbpia.co[...] 1998-12-00
[53] 저널 충북 제천군 덕산-청풍면 일대의 조선누층군과 옥천누층군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Choseon and Ogcheon supergroups in the Deogsan-Cheongpung area, Jecheon-gun, Chungchengbuk-do, Korea) https://www.dbpia.co[...] 1999-12-00
[54] 저널 옥천대 황강리층 함력천매암질암내의 석회암역의 REE와 Sr 동위원소 조성 (REE and Sr isotopic compositions of earbonate pebbles in the phyllitic rocks of the Hwanggangni Formation, Okcheon zone) https://www.dbpia.co[...] 2000-09-00
[55] 저널 서남 옥천변성대 옥천층군의 층서 및 암석화학에 대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Stratigraphy and Petrochemistry of the Okcheon Group, Southwe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https://scienceon.ki[...] 2003-00-00
[56] 저널 서북옥천대 비봉~연무지역 변성퇴적암층의 지질시대, 층서 및 지질구조 (Geologic ages, stratigraphy and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metasedimentary strata in Bibong~Yeonmu area, NW Okcheon belt, Korea) https://www.dbpia.co[...] 2005-09-00
[57] 저널 서북옥천대 진산~복수지역 변성퇴적암층의 층서 및 지질시대 (Stratigraphy and geological ages of the metasedimentary strata in Jinsan∼Boksu area, Chungcheongnam-do, NW Okcheon belt) https://www.dbpia.co[...] 2006-06-00
[58] 저널 서북옥천대 회남~미원지역 변성퇴적암층의 지질시대 및 층서 (Geological ages and stratigraphy of the metasedimentary strata in Hoenam∼Miwon area, NW Okcheon belt) https://www.dbpia.co[...] 2007-06-00
[59] 웹인용 2012 추계지질과학연합 학술대회 https://www.gskorea.[...] 대한지질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고생물학회, 한국광물학회, 한국암석학회,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2-10-00
[60] 저널 옥천 누층군 탄산염암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한반도 눈덩이 지구 가능성의 시험 (A test for Snowball Earth hypothesis in Korean peninsula by analyzing stable carbon isotopes of carbonates from the Okcheon Supergroup) https://www.dbpia.co[...] 2016-12-00
[61] 간행물 The geology of the Hwanggangri mining district, Republic of Korea Anglo-korean Mineral Exploration Group 1973-00-00
[62] 논문 Study for the geologic age determination of Ogcheon Group, Korea 1974-00-00
[63] 저널 Sedimentary Basi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djacent Seas https://db.history.g[...] Korean Sedimentology Research Group, Special Publication, Hallimwon Publishers 1992-00-00
[64] 논문 Geology of Ogcheon Supergroup 1995-00-00
[65] 웹인용 목계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1-00-00
[66] 저널 충주 계명산지역 옥천변성대의 화성활동과 지질구조 (Igneous Activity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Ogcheon Metamorphic Zone in the Kyemyeongsan area, Chungju, Korea) https://www.dbpia.co[...] 1997-12-00
[67] 저널 옥천변성대 북서부 계명산층 내 변성화성암류의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와 그 지구조적 의의 (Geochemical and Geolchronological Studies on Metaigneous Rocks in the Gyemyeongsan Formation, Northwe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 https://www.dbpia.co[...] 2003-12-00
[68] 저널 계명산층 내의 충주 철광상 주변에 분포하는 산성 변성화산암의 성인 (Genesis of the acidic metavolcanic rocks distributed aroundthe Chungju iron deposit in the Gyemyeongsan Formation) https://www.dbpia.co[...] 2005-09-00
[69] 저널 남한의 옥천대에서 신원생대 이중 화산작용과 남중국 남화 열곡과의 비교: 로디니아 열곡에 대한 함의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Okcheon Belt, South Korea, and Its Comparison with the Nanhua Rift, South China: Implications for Rifting in Rodinia) https://www.jstor.or[...] 2006-11-00
[70] 저널 충주 덕산 지역 계명산층의 SHRIMP 저어콘 연대 (SHRIMP zircon age of Gyemyeongsan Formation in the Eoraesan area, Chungju, Korea) https://www.dbpia.co[...] 2012-05-00
[71] 저널 Stratigraphy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Northwe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Near the Chungju Area https://www.kseeg.or[...] 2009-02
[72] 웹인용 충주 남산 지역의 지질 (Geology of Namsan area, Chungju, Korea) https://www.gskorea.[...] 2012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 2012-10
[73] 저널 Deformation History and Strain Analysis of Daehyangsan Quartzite in Chungju Area, Korea (忠州地域 大香山 硅岩層 周邊一帶의 變形量 分析 및 變形作用史) https://www.dbpia.co[...] 1991-04
[74] 저널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the Daehyangsan Quartzite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옥천변성대 대향산규암층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령) https://www.dbpia.co[...] 2011-08
[75] 웹인용 槐山 地質圖幅說明書 (괴산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2
[76] 웹인용 龍遊里 地質圖幅說明書 (용유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3
[77] 웹인용 米院 地質圖幅說明書 (미원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9
[78] 웹인용 報恩 地質圖幅說明書 (보은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7
[79] 웹인용 曾坪 地質圖幅說明書 (증평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1
[80] 서적 충청권 지질유산 발굴 및 지질유산 가치평가 사업 국립공원관리공단 2016
[81] 서적 충청권 지질유산 발굴 및 지질유산 가치평가 사업 국립공원관리공단 2016
[82] 웹인용 大田 地質圖幅說明書 (대전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0
[83] 웹인용 錦山 地質圖幅說明書 (금산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