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구야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구야담은 조선 순조 재위 말기에 집필된 야담집으로, 《학산한언》, 《기문총화》 등을 저본으로 하여 다양한 야담을 집대성했다. 글의 완성도가 뛰어나 조선시대 3대 야담집으로 평가받으며, 18~19세기 조선 사회의 현실과 풍속을 반영한다. 도망친 노비, 탐관오리 등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재물을 얻는 이야기,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 사회적 부랑자에 대한 이야기 등 세 가지 주요 범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17종의 필사본이 전해지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도서관 소장본이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2019년 이강옥에 의해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책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조선의 책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청구야담
청구야담
유형설화, 야담
창작 시기19세기 (추정)
저자미상
구성총 313편의 이야기 수록
특징
내용다양한 인물과 사건을 다룸
기담
괴담
애정
풍자 등
문체간결하고 흥미로운 문체
가치
의의조선 후기 사회상과 민중의식 반영
구전설화의 기록 및 보존
연구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 진행
참고 자료
관련 논문『청구야담』의 환상성 연구 (정솔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청구야담』 서사공간의 특징 고찰 (남궁윤, 한국문학연구, 2015)
야담에 구현된 '운명' 대응 방식과 그 의미 - 『어우야담(於于野談)』과 『청구야담(靑邱野談)』의 대비를 통해 - (박현숙, 한국문학연구, 2015)
解題 味山本 『靑邱野談』 (정명기, 한국민족문화, 2002)
장한철(張漢喆) 『표해록(漂海錄)』의 야담적 전이 양상 『기리총화(綺里叢話)』와 『청구야담(靑邱野談)』을 중심으로 (정솔미, 민족문학사연구, 2018)
『靑邱野譚』을 통해 본 이조후기 서사산문의 역동성 (임완혁, 漢文敎育硏究, 2002)

2. 성립 배경

《청구야담》은 18~19세기(1700~1800년대) 조선 사회의 현실과 풍속을 생생하게 담고 있어, 그 시대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등장인물들의 신분 분포가 넓고, 도망친 노비, 도적떼, 탐관오리, 반사회적 성향의 여성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이 등장한다. 또한 귀신 이야기, 신기한 이야기, 육담 등이 더해져 흥미를 더한다.

2. 1. 저자 및 시기

이 책은 조선 순조 재임 말기에 누군가가 펴낸 야담집이다. 《학산한언》, 《기문총화》, 《선언편》 등 이전에 출간된 야담집을 저본으로 다른 야담들을 집대성했다. 특히 글의 완성도에서 야담의 수준을 넘어 소설에 육박하는 경지를 보여준다. 때문에 다른 야담집들의 문학성을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최고의 야담집으로 꼽히고 있다. 이희준의 《계서야담》, 이원명의 《동야휘집》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야담집’으로 불린다.

19세기에 《청구야담》이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조선 후기의 신하인 김경진(金敬鎭)이 이 설화를 펴냈다는 설이 있다.

2. 2. 내용 구성

이 책은 조선 순조 재임 말기에 누군가가 펴낸 야담집이다. 《학산한언》, 《기문총화》, 《선언편》 등 이전에 출간된 야담집을 저본으로 다른 야담들을 집대성했다. 특히 글의 완성도에서 야담의 수준을 넘어 소설에 육박하는 경지를 보여준다. 때문에 다른 야담집들의 문학성을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최고의 야담집으로 꼽히고 있다. 이희준의 《계서야담》, 이원명의 《동야휘집》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야담집’으로 불린다.[1]

이야기 대부분에는 18~19세기(1700~1800년대) 조선 사회의 현실과 풍속 등이 아주 적나라하게 그려진다. 그래서인지 등장인물들의 신분 분포도 매우 넓다. 그 바탕 위에 도망친 노비, 못된 도적떼, 탐관오리, 반사회 성향 여성 등 수많은 사람들의 천태만상이 실감나게 묘사된다. 더불어 귀신담, 신기담, 육담 등이 더해져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부분에 생기를 불어넣는다.[1]

이 책은 현재 열다섯 종 이상의 필사본이 전해지는데, 각각 담겨진 이야기 편수나 내용 등이 다르다. 《청구야담》은 매우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전체 내용을 요약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야기는 세 가지 주요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재물을 얻는 이야기,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 사회적 부랑자이거나 성격에 의문이 가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1]

  • '''영산업부부이방'''(營産業夫婦異房, 재물을 얻기 위해 따로 방을 쓴 부부)은 재물을 얻는 이야기에 대한 한 예이다. 이야기 속에서 김이라는 가난한 늙은 총각이 결혼을 하고, 결혼 첫날 밤에 아내와 함께 부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지금 아이를 가지면 결코 부자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 부부는 10년 동안 따로 방을 쓴다. 그들은 농사에 전념하여 마침내 엄청나게 부유해진다. 부부가 부자가 되기 위해 10년 동안 따로 방을 쓴다는 것은 다소 냉정하게 보일 수 있지만, 이 이야기에서 그 시대 사람들이 부를 찾고 가난에서 벗어나려는 강한 열망을 읽을 수도 있다.[1]

  • '''권사문피우봉기연''' (權斯文避雨逢奇緣, 비를 피하다 기이한 인연을 만나다)은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의 한 예이다. 이 이야기에서 권이라는 남자는 우연히 한 집 처마 밑에서 비를 피하다가 그 집에 사는 젊은 과부와 관계를 맺게 된다. 나중에 독자는 젊은 과부의 시아버지가 이 만남을 계획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그는 남녀의 성관계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젊은 과부의 딱한 처지를 안타깝게 여겼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는 강력한 봉건주의적 도덕률로 유명하지만, 이 이야기는 동시에 성적 욕망이 본질적이고 정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음을 보여준다.[1]

  • '''어소장투아설부가객''' (語消長偸兒說富客, 영남의 부자가 도둑을 만난 이야기)는 사회적 부랑자 또는 성격에 의문이 가는 개인에 대한 이야기의 한 예이다. 이 이야기에서 영남의 부자는 서울의 유력 가문과 연을 맺고 세상에 나아갈 기회를 찾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월출도의 도둑 두목이 관료의 조카인 척하며 하룻밤을 묵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부자는 기꺼이 도둑을 자신의 집으로 맞이한다. 그날 밤, 도둑은 부자에게 유력 가문과 연을 맺으려는 그의 노력이 헛되다고 친절하게 조언하면서, 부자의 모든 재산을 훔쳐간다. 도둑을 용감한 영웅으로 묘사하는 것에서 독자는 이 작품이 부패한 정부 관리와 부도덕한 부자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1]

3. 내용 및 특징

《청구야담》은 순조 재임 말기에 누군가가 펴낸 야담집으로, 《학산한언》, 《기문총화》, 《선언편》 등 이전 야담집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이야기들을 모아 엮은 책이다. 특히 글의 완성도가 높아 야담을 넘어 소설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으며, 이희준의 《계서야담》, 이원명의 《동야휘집》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야담집'으로 불린다.

18~19세기(1700~1800년대) 조선 사회의 현실과 풍속을 생생하게 담고 있으며, 등장인물들의 신분도 다양하다. 현재 열다섯 종 이상의 필사본이 전해지는데, 각각 담긴 이야기의 수나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한문으로 쓰였지만 문장이 평이하고, 한국 속담과 한국어 어휘를 자주 사용하여 당시 사람들의 역동적인 삶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1. 다양한 인간 군상

이 책에는 18~19세기(1700~1800년대) 조선 사회의 현실과 풍속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으며, 등장인물들의 신분 분포도 매우 넓다. 도망친 노비, 못된 도적떼, 탐관오리, 반사회적 성향의 여성 등 수많은 사람들의 천태만상이 실감나게 묘사된다. 또한, 귀신 이야기, 신기한 이야기, 육담(陋談) 등이 더해져 재미를 더한다.

《청구야담》은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크게 재물을 얻는 이야기,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 사회적 부랑자이거나 성격에 의문이 가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로 나눌 수 있다.

  • '''영산업부부이방(營産業夫婦異房)'''은 재물을 얻기 위해 따로 방을 쓴 부부 이야기다. 가난한 늙은 총각 김 씨가 결혼 후 아내와 부자가 되기로 결심하고, 아이를 가지면 부자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하여 10년간 각방을 쓴다. 이들은 농사에 전념하여 큰 부자가 된다. 이 이야기는 부를 향한 당시 사람들의 강한 열망을 보여준다.
  • '''권사문피우봉기연(權斯文避雨逢奇緣)'''은 비를 피하다 기이한 인연을 만난 이야기다. 권 씨라는 남자가 우연히 한 집 처마 밑에서 비를 피하다 젊은 과부와 관계를 맺는다. 이는 젊은 과부의 시아버지가 계획한 일로, 봉건주의적 도덕률이 강했던 조선 시대에도 성적 욕망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졌음을 보여준다.
  • '''어소장투아설부가객(語消長偸兒說富客)'''은 영남의 부자가 도둑을 만난 이야기다. 서울의 유력 가문과 연을 맺으려던 영남 부자는 월출도 도둑 두목을 관료의 조카로 착각하여 집에 들인다. 도둑은 부자의 재산을 훔치면서 유력 가문과의 인연이 헛된 노력이라고 조언한다. 이 이야기는 부패한 관리와 부도덕한 부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보여준다.

3. 2. 문학적 가치

이 책은 조선 순조 재임 말기에 누군가가 펴낸 야담집이다. 《학산한언》, 《기문총화》, 《선언편》 등 이전에 출간된 야담집을 저본으로 다른 야담들을 집대성했다. 특히 글의 완성도에서 야담의 수준을 넘어 소설에 육박하는 경지를 보여준다. 때문에 다른 야담집들의 문학성을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최고의 야담집으로 꼽히고 있다.[1] 이희준의 《계서야담》, 이원명의 《동야휘집》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야담집’으로 불린다.

이야기 대부분에는 18~19세기(1700~1800년대) 조선 사회의 현실과 풍속 등이 아주 적나라하게 그려진다. 그래서인지 등장인물들의 신분 분포도 매우 넓다. 그 바탕 위에 도망친 노비, 못된 도적떼, 탐관오리, 반사회 성향 여성 등 수많은 사람들의 천태만상이 실감나게 묘사된다. 더불어 귀신담, 신기담, 육담 등이 더해져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부분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청구야담》은 한문으로 쓰였지만 문장은 평이하며, 한국 속담과 한국어 어휘를 자주 사용한다. 이야기의 주제가 당시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이야기가 쓰여진 시대의 사람들의 역동적인 삶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희준의 《계서야담》과 이원명의 《동야휘집》과 함께, 《청구야담》은 조선 시대의 세 가지 가장 중요한 야담 수집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는 《청구야담》에 기록된 야담이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문학적 가치도 높기 때문이다.

3. 3. 사회 비판 의식

《청구야담》의 이야기 대부분에는 18~19세기(1700~1800년대) 조선 사회의 현실과 풍속 등이 아주 적나라하게 그려진다. 등장인물들의 신분 분포도 매우 넓으며, 도망친 노비, 못된 도적떼, 탐관오리, 반사회 성향 여성 등 수많은 사람들의 천태만상이 실감나게 묘사된다.[1]

''어소장투아설부가객''(語消長偸兒說富客)은 영남의 부자가 도둑을 만난 이야기로, 사회적 부랑자 또는 성격에 의문이 가는 개인에 대한 이야기의 한 예이다. 이 이야기에서 영남의 부자는 서울의 유력 가문과 연을 맺고 세상에 나아갈 기회를 찾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월출도의 도둑 두목이 관료의 조카인 척하며 하룻밤을 묵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부자는 기꺼이 도둑을 자신의 집으로 맞이한다. 그날 밤, 도둑은 부자에게 유력 가문과 연을 맺으려는 그의 노력이 헛되다고 친절하게 조언하면서, 부자의 모든 재산을 훔쳐간다. 도둑을 용감한 영웅으로 묘사하는 것에서 독자는 이 작품이 부패한 정부 관리와 부도덕한 부자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1]

4. 판본 및 번역

《청구야담》은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있다. 규장각에서는 국역본 시리즈로 《청구야담, 조선에 핀 오백 년 이야기꽃》을 출간하였다.[9]

4. 1. 현존 판본

《청구야담》은 총 17종의 판본이 존재한다. 이 판본들 중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도서관 소장본이 가장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주요 판본은 다음과 같다.

판본 종류권수책수이야기 수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도서관 소장본10권10책290편
규장각 (한글본)19권10책262편
동양문고8권8책266편
서울대학교 고도서5권5책217편


4. 2. 한국어 번역

이강옥이 옮긴 《청구야담》 상, 하 권이 2019년 8월 26일 문학동네에서 출판되었다.[9]

참조

[1] 논문 『청구야담』의 환상성 연구 http://s-space.snu.a[...]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 학술지 『청구야담』 서사공간의 특징 고찰 http://www.papersear[...] 2015
[3] 학술지 야담에 구현된 '운명' 대응 방식과 그 의미 - 『어우야담(於于野談)』과 『청구야담(靑邱野談)』의 대비를 통해 - http://www.papersear[...] 2015
[4] 학술지 解題 味山本 『靑邱野談』 https://www.dbpia.co[...] 2002-10-09
[5] 학술지 장한철(張漢喆) 『표해록(漂海錄)』의 야담적 전이 양상 『기리총화(綺里叢話)』와 『청구야담(靑邱野談)』을 중심으로 http://www.papersear[...] 2018
[6] 웹사이트 『靑邱野譚』을 통해 본 이조후기 서사산문의 역동성『靑邱野譚』을 통해 본 이조후기 서사산문의 역동성 https://www.dbpia.co[...] 2020-10-09
[7] 문서 로마자 음역
[8] 문서 의미역
[9] 문서 버클리대에 소장된 책을 저본으로 해서 여러 이본을 비교·교감해 번역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