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연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연공주는 조선의 왕족으로,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장녀이며 정조의 동생이다. 1765년 김상익의 아들 김두성과 혼인하여 광은부위에 책봉되었으며, 1821년에 사망했다. 고종 대에 사도세자가 장종으로 추존되고 혜경궁 홍씨가 헌경왕후로 추존됨에 따라 청연공주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장조의 자녀 - 정조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탕평책 계승, 규장각 설치, 장용영 설치, 신해통공 실시, 수원 화성 건설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으며, 47세에 사망하여 건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 장조의 자녀 - 청선공주
    청선공주는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딸이자 정조의 동생으로, 군주로 불리다 사후 추증되어 공주가 되었으며, 정재화와 혼인하여 자녀를 두었고, 문화생활에도 관여한 인물이다.
  • 1821년 사망 - 조제프 드 메스트르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계몽주의와 반합리주의를 주창하고 정부의 권위는 종교에서 기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상가이자 외교관이다.
  • 1821년 사망 - 존 키츠
    존 키츠는 1795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가난한 환경 속에서 외과의사 견습생으로 일하다 시 창작에 몰두하여 "그리스의 옛 항아리에 대한 송가" 등의 명작을 남겼으나 25세에 결핵으로 요절했고 사후에 그 가치를 인정받아 영국 문학의 거장이 되었다.
  • 1754년 출생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 1754년 출생 - 이벽
    이벽은 조선 후기 학자이자 한국 천주교회 개척자로, 천주교 서적을 통해 교리를 독학하고 권철신, 정약용 등과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여 전교 활동을 펼치다 체포 후 사망했으며, 순교 여부는 논란이 있으나 한국 천주교회 초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청연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군주, 공주
별칭청연군주(淸衍郡主)
배우자김기성
자녀김재창, 김재삼
왕조조선
아버지장조
어머니헌경왕후
친척정조(오빠) 외 다수
출생일1754년 7월 14일
출생지조선
사망지조선
사망일1821년 음력 6월 9일
국적조선

2. 생애

1754년(영조 30년) 사도세자와 세자빈 홍씨의 장녀로 태어났으며, 정조의 친동생이다. 은 이, 본관전주이다.[1]

아버지 사도세자는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했고,[2] 어머니 혜경궁 홍씨는 《한중록》을 지었다.[3]

세자의 딸이었기에 공주가 아닌 군주[4]로 불렸다. 1765년(영조 41년) 음력 윤2월 2일 김상익의 아들 김두성과 정혼하고,[5] 음력 4월 11일 혼례를 올렸다.[6] 김두성은 훗날 김기성으로 이름을 고쳤으며, 광은부위(光恩副尉)에 책봉되었다.[7][8]

1773년(영조 49년) 봄, 청선군주 및 의빈 성씨(정조의 후궁) 등과 함께 소설 《곽장양문록》을 필사했다.[9]

1821년(순조 21년) 음력 6월 9일 6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순조는 장례를 해조에서 거행하게 하였다.[10]

고종이 대한제국을 개창하면서 사도세자를 장종으로, 혜경궁 홍씨를 헌경왕후로 추존하였다.[11] 이에 따라 청연군주도 '''청연공주'''(淸衍公主)로 추증되었고, 남편 김기성도 광은위(光恩尉)로 진봉되었다.[12]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1754년(영조 30년) 사도세자와 세자빈 홍씨의 장녀로 태어났다. 은 이, 본관전주이다.[1] 정조 등의 친동생이다.

아버지 사도세자는 조선의 제21대 영조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나경언의 모함에 속아 1762년(영조 38년)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했다.[2] 어머니 혜경궁 홍씨는 풍산 홍씨 홍봉한의 딸로, 훗날 궁중문학의 효시로 평가받는 《한중록》을 지었다.[3]

2. 2. 혼인

청연공주는 세자의 딸이었기에 공주가 아닌 정2품에 해당하는 군주[4]로 불렸다. 1765년(영조 41년) 음력 윤2월 2일 참의를 지낸 김상익의 아들 김두성과 정혼하고,[5] 음력 4월 11일 혼례를 올렸다[6]. 김두성은 훗날 김기성으로 이름을 고쳤으며, 군주와 혼인하여 광은부위(光恩副尉)[7]에 책봉되었다[8].

2. 3. 곽장양문록 필사

1773년(영조 49년) 봄, 청연공주는 동생 청선군주 및 의빈 성씨(정조의 후궁) 등과 함께 소설 《곽장양문록》을 필사했다.[9]

2. 4. 사망

청연군주는 1821년(순조 21년) 음력 6월 9일 6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군주가 죽자 순조는 매우 슬퍼하며, 군주의 장례를 특별히 해조에서 거행하게 하였다.[10]

훗날 고종이 대한제국을 개창하면서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존하여 장종의 묘호를 올리고 혜경궁 홍씨에게는 헌경왕후의 시호를 올렸다.[11] 이에 따라 청연군주도 '''청연공주'''(淸衍公主)로 추증되었고, 남편 김기성도 광은위(光恩尉)로 진봉되었다.[12]

2. 5. 추증

조선 고종이 대한제국을 개창하면서,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존하여 장종의 묘호를 올리고 혜경궁 홍씨에게는 헌경왕후의 시호를 올렸다.[11] 이에 따라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딸인 청연군주도 '''청연공주'''(淸衍公主)로 추증되었다. 이때 남편 김기성도 광은위(光恩尉)로 진봉되었다.[12]

3. 가족 관계

청연공주는 광산 김씨 김기성과 혼인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장남 김재창은 이조판서와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고,[13] 차남 김재삼은 음보로 벼슬길에 올라 의주부윤 등을 지냈다.[14]

3. 1. 왕가 전주 이씨


  • '''아버지''' : 추존 장조의황제(사도세자, 1735~1762)
  • '''어머니''' : 헌경의황후(혜경궁 홍씨, 1735~1815)
  • * 오빠 : 의소태자(의소세손, 1750~1752)
  • * 오빠 : 제22대 정조선황제(정조, 1752~1800, 재위:1776~1800)
  • * 동생 : 청선공주(청선군주, 1756~1802)

3. 2. 시가 광산 김씨


  • 시아버지 : 김상익(1721~1781)
  • '''부마''' : 김기성(1752~1811)[15]
  • ** 장남 : 김재창(1770~1849)
  • ** 장녀 : 광산 김씨(1771~1787), 임천 조씨 조재규(1772~1843)의 처[16]
  • ** 차남 : 김재삼(1776~1837)
  • ** 그 외 5남 1녀는 일찍 죽음

4. 청연공주가 등장한 작품

참조

[1]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청연공주〉 http://people.aks.ac[...] 2012-07-21
[2] 백과사전 장조
[3]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헌경왕후〉 http://people.aks.ac[...] 2012-07-21
[4] 백과사전 군주 https://terms.naver.[...]
[5] 실록 조선왕조실록 영조 105권, 41년(1765 을유 / 청 건륭 30년) 윤2월 2일(정미) 1번째기사
[6] 실록 조선왕조실록 영조 105권, 41년(1765 을유 / 청 건륭 30년) 4월 11일(병진) 2번째기사
[7] 백과사전 부위 https://terms.naver.[...]
[8]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김기성〉 http://people.aks.ac[...] 2012-07-21
[9] 백과사전 곽장양문록 https://terms.naver.[...]
[10] 실록 조선왕조실록 순조 23권, 21년(1821 신사 / 청 도광 1년) 6월 9일(정해) 2번째기사
[11] 실록 조선왕조실록 고종 39권, 36년(1899 기해 / 대한 광무 3년) 9월 1일(양력) 3번째기사
[12] 실록 조선왕조실록 고종 39권, 36년(1899 기해 / 대한 광무 3년) 9월 21일(양력) 2번째기사
[13]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김재창〉 http://people.aks.ac[...] 2012-07-21
[14]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김재삼〉 http://people.aks.ac[...] 2012-07-21
[15] 웹사이트 http://kostma.aks.ac[...]
[16] 웹사이트 https://www.family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