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주시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시 선거구는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1949년 청주부의 청주시로의 개칭, 청원군 사주면의 청주시 편입 등의 변동을 거쳤으며,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민영복, 박기운, 이민우, 정태성, 최병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시의 정치 - 청주시 상당구 (선거구)
    청주시 상당구 선거구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역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1995년 설치 이후 민주당계와 보수정당이 번갈아 의석을 차지하며 정치 상황과 지역 여론을 반영해왔다.
  • 청주시의 정치 - 청주시 흥덕구 을
    청주시 흥덕구 을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운천신봉동, 복대1동 등을 관할했으며, 청주시와 청원군 통합 이후 오송읍 등을 추가로 관할했으나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주시 흥덕구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충청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청주시 흥덕구 을
    청주시 흥덕구 을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운천신봉동, 복대1동 등을 관할했으며, 청주시와 청원군 통합 이후 오송읍 등을 추가로 관할했으나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주시 흥덕구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충청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전주시 (1950년 선거구)
    전주시 (1950년 선거구)는 전주부에서 전주시로 개칭된 후 제2, 3대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었으며,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분리, 폐지되었다.
청주시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청주시
의회국회
큰 지도충청북도
지도 연도알 수 없음
연도1950년
폐지1973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청주부
청원군 갑 (1963년 일부 편입)
이후 선거구청주시·청원군
유권자알 수 없음
의원알 수 없음
정당알 수 없음
지방 의회알 수 없음
지방 선거구알 수 없음
인구알 수 없음
의원 수1인

2. 역사

1949년 8월, 청주부가 청주시로 이름이 바뀌면서, 청주부 선거구가 청주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1963년 1월에는 청원군 사주면이 청주시로 편입되면서 해당 지역이 청주시 선거구에 포함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가 만들어지면서 청주시 선거구는 폐지되었다.

2. 1. 청주시 선거구 개편 (1949년)

1949년 8월, 청주부가 청주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에 따라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청주부 선거구가 청주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2. 2. 청원군 사주면 편입 (1963년)

1963년 1월, 청원군 사주면이 청주시로 편입되었다. 이에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해당 지역이 청주시 선거구로 편입되었다.

2. 3. 청주시·청원군 선거구 통합 (1973년)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청주시·청원군 선거구가 만들어져 청주시 선거구는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청주시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주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선거명당선인정당득표수득표율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민영복무소속4,04717.8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박기운제헌국회의원동지회8,10133.20%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이민우민주당9,31734.98%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이민우민주당12,69538.12%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정태성민주공화당14,42536.79%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정태성민주공화당26,21258.64%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최병길신민당26,31049.81%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의 충청북도 청주시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민영복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민영복무소속4,04717.83
홍원길무소속3,23814.26
이영근무소속3,10313.67
최순용대한청년당2,1849.62
박기운대한국민당1,8878.31
김동환민주국민당1,5316.74
신승휴민주국민당1,5316.74
지헌모무소속8793.87
최동옥무소속8323.66
최병덕대한국민당7483.29
송문교무소속7183.16
최산익무소속7013.08
이명식대한국민당6943.05
안기환대한국민당4411.94
김교원무소속1570.69
합계22,691100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청주시 선거구에서는 제헌국회의원동지회 박기운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기운제헌국회의원동지회8,10133.20
최순용자유당5,11220.95
김춘성무소속4,89320.05
홍원길무소속4,60718.88
홍순택무소속7483.06
한찬석무소속6482.65
안성웅무소속2871.17
최병길무소속00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이민우 후보가 34.9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자유당 이명구 후보는 28.69%, 무소속 최병길 후보는 15.47%를 득표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민우민주당9,31734.98
이명구자유당7,64428.69
최병길무소속4,12215.47
최순용무소속2,6029.76
박기운무소속1,3615.10
김춘성무소속9963.73
홍원길무소속5932.22
합계26,635100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이민우 후보가 재선되었다.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청주시 결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민우민주당195512,69538.12
최병길무소속9,88929.69
김춘성사회대중당5,65216.97
최순용무소속2,2186.66
홍원길무소속2,2076.62
김상순무소속6391.91
합계33,300100


4. 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정태성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정태성민주공화당14,42536.79
최병길국민의당19639,08023.16
이민우민정당8,44821.54
서병주민주당19632,3626.02
김창수보수당2,2175.65
홍원길자유민주당19632,1415.46
류부형신민회5311.35
합계39,204100


4. 6.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정태성 후보가 재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정태성민주공화당26,21258.64
최병길신민당17,47439.09
안성웅한국독립당5721.27
김진영민주당4350.97
합계44,693100




4. 7.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최병길 후보가 49.8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정태성 후보는 47.24%로 2위를 하였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
신민당최병길26,31049.81
민주공화당정태성24,95247.24
국민당성백준9661.82
민중당정현우3080.58
통일사회당최동현2790.52
합계52,815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