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석조 불상으로, 하나의 돌에 여래와 두 보살, 광배, 사자좌를 조각한 삼존 형식이다. 1979년 처음 조사되었으며, 6세기 중엽 내지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삼국 시대 불상 양식과 백제 불상의 영향을 받았으며, 고대 삼국의 경계 지역이었던 청주에서 발견되어 역사적, 미술사적 가치가 높다.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될 가치가 있으며, 석조여래입상과 함께 보존·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세기 조각 작품 -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은 백화산 암벽에 조각된 백제 시대 불상으로, 두 여래와 한 보살의 독특한 구성과 백제 초기 불상 특징을 보여 한국 조각사 및 불교 교리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청주시의 문화유산 - 청주 상당산성
    청주 상당산성은 청주시 시가지에 인접한 산 정상에 축조된 둘레 약 4.2km의 산성으로, 통일신라 시대에 축성되었으며 조선 시대 수축과 개축을 거쳐 현재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 청주시의 문화유산 -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이름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좌상 및 석조여래입상 (淸州 飛中里 石造三尊佛坐像 및 石造如來立像)
지정 종류보물
지정 번호1941
지정일2017년 6월 23일
소재지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비중리 207-1
시대삼국시대 (6세기 중엽)
소유자초계변씨승지공파종중(청주시)
관리자변달수
참고 사항석조여래삼존상: 170×206, 불상 높이 115, 어깨폭 57 / 우협시 보살상 전체높이 116, 높이 87
문화재 정보
문화재청 ID12,19410000,33
추가 정보 (과거 지정 내역)
지정 종류 (구)유형문화재
지정 번호 (구)114
지정일 (구)1982년 12월 17일
해제일 (구)2017년 6월 23일
문화재청 ID (구)21,01140000,33
지정 종류 (구)향토유적
지정 번호 (구)110
지정일 (구)2015년 4월 17일
해제일 (구)2017년 6월 23일

2. 역사적 배경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이 발견된 청주 비중리 지역은 삼국시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가 번갈아 점령했던 곳으로, 6세기 전반에는 고구려, 후반에는 신라의 영토였다.[2] 발굴 조사 결과, 이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절터였음이 밝혀졌다.[2]

2. 1. 삼국시대의 불교 조각

삼국시대 불교 조각은 각국의 독특한 양식을 발전시키면서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특히, 6세기에는 불교가 국가적으로 장려되면서 불상 조각 기술이 크게 발전하였다.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은 하나의 돌에 광배(光背)와 삼존불을 돋을새김으로 표현한 불상으로, 4부분으로 조각나 있던 것을 복원한 것이다. 왼쪽의 협시보살은 없어진 상태이다. 이 지역은 발굴조사 결과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절터였음이 밝혀졌다.[2]

본존불은 턱과 타원형의 상체, 양 무릎이 정삼각형으로 연결되는 안정된 자세로 앉아있다. 손은 큼직하게 표현되었으며, U자형의 주름이 새겨진 옷자락은 무릎을 덮으며 좌우로 흘러내리고 있다. 이러한 불상양식은 백제 불상에서 엿볼 수 있는 특징들이다. 오른쪽에 서 있는 협시보살 역시 머리칼, 상체의 장식성, X자형의 옷주름 등에서 6세기 초의 불상양식을 보여준다.[2]

이 불상은 발견된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해 볼 때, 6세기 전반기는 고구려가 점령하였으며, 후반기는 신라의 영토였기 때문에 국적을 판별할 수 없다. 그러나 불상의 형식이나 양식상으로 볼 때 6세기 중엽 내지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2]

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좌상은 초정약수터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1979년 처음 조사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석조여래삼존상은 하나의 돌에 광배와 불·보살 삼존, 방형의 사자좌를 두터운 환조에 가깝게 조각하였다. 현재 좌협시 보살상은 결실된 상태이다. 본존불은 대좌의 좌우에서 두 마리 사자(獅子)가 위풍당당하게 앉아 불상을 호위하고 있는 방형의 사자좌에 앉아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의 손짓을 지은 것으로 생각된다. 여래와 협시보살이 하나의 광배를 배경으로 구성된 삼존 형식은 삼국시대 6세기 중반을 전후한 시기에 크게 유행하였으며, 방형의 사자좌 역시 삼국시대 이른 시기에 유행했던 대좌의 형식이다. 우협시 보살상은 무거운 관식(冠飾)과 탐스러운 보발(寶髮)이 어깨 위로 늘어졌고, 목에는 끝이 뾰죽한 첨판형의 목걸이를 착용하였다. 천의는 허벅지에서 X자형으로 교차한 고식의 천의(天衣)로, 6세기 전반기 좌우 뻗침이 강한 표현과 비교해 많이 누그러져 6세기 중반 경의 불상양식이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2]

2. 2. 청주 지역의 역사적 중요성

청주 지역은 고대에 삼국의 경계에 위치하여 문화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의 독특한 양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2] 특히, 6세기 전반기에는 고구려가 점령하였고, 6세기 후반기에는 신라의 영토였기 때문에 불상의 국적을 판별하기 어렵다.[2] 그러나 불상의 형식이나 양식을 통해 6세기 중엽 내지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2]

3. 불상의 특징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은 하나의 돌에 광배(光背)와 삼존불을 돋을새김으로 표현한 불상이다. 원래 4부분으로 조각나 있었던 것을 복원한 것인데, 왼쪽 협시보살은 없어졌다.[2] 이 불상은 6세기 중엽 내지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되나, 발견된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6세기 전반기는 고구려가 점령, 후반기는 신라 영토) 때문에 국적을 판별하기는 어렵다.[2]

여래삼존상은 삼국시대 삼국의 경계 지역이었던 청주에서 전해오는 희귀한 불상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 석조여래입상 역시 같은 시기에 제작된 삼국시대 조각이므로 함께 지정하여 보존·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3. 1. 본존불

본존불은 턱과 타원형의 상체, 양 무릎이 정삼각형으로 연결되는 안정된 자세로 앉아있다. 손은 큼직하게 표현되었으며, U자형의 주름이 새겨진 옷자락은 무릎을 덮으며 좌우로 흘러내리고 있다. 이러한 불상 양식은 백제 불상에서 엿볼 수 있는 특징들이다. 대좌의 좌우에서 두 마리 사자가 위풍당당하게 앉아 불상을 호위하고 있는 방형의 사자좌에 앉아 시무외여원인의 손짓을 지은 것으로 생각된다.[2]

3. 2. 협시보살

우협시보살은 무거운 관(冠)과 탐스러운 보발(寶髮)이 어깨 위로 늘어졌고, 목에는 끝이 뾰족한 첨판형 목걸이를 착용하였다. 머리칼, 상체의 장식성, X자형 옷주름 등에서 6세기 초의 불상 양식을 보여준다. 허벅지에서 X자형으로 교차한 천의(天衣)는 6세기 전반기 좌우로 뻗치는 힘이 강했던 것에 비해 많이 누그러져, 6세기 중반 경의 불상 양식이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2]

3. 3. 대좌와 광배

불상은 대좌 좌우에 두 마리 사자가 위풍당당하게 앉아 불상을 호위하고 있는 방형 사자좌 위에 앉아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의 손짓을 지은 것으로 생각된다. 여래와 협시보살이 하나의 광배를 배경으로 구성된 삼존 형식은 삼국시대 6세기 중반을 전후한 시기에 크게 유행했으며, 방형 사자좌 역시 삼국시대 이른 시기에 유행했던 대좌 형식이다.[2]

4. 양식 및 제작 시기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은 불상의 형식과 양식을 볼 때 6세기 중엽 내지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옷주름과 장식 등에서 백제 불상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2] 그러나 발견 지역이 고구려신라의 경계였기 때문에 정확한 국적을 판별하기는 어렵다.[2]

4. 1. 백제 불상의 영향

본존불은 턱과 타원형의 상체, 양 무릎이 정삼각형으로 연결되는 안정된 자세로 앉아있다. 손은 큼직하게 표현되었으며, U자형의 주름이 새겨진 옷자락은 무릎을 덮으며 좌우로 흘러내리고 있다. 이러한 불상양식은 백제 불상에서 엿볼 수 있는 특징들이다. 오른쪽에 서 있는 협시보살 역시 머리칼, 상체의 장식성, X자형의 옷주름 등에서 6세기 초의 불상양식을 보여준다.

4. 2. 삼국시대 불상 양식

하나의 광배에 여래와 협시보살을 표현한 삼존불, 불상을 호위하듯 좌우에 배치된 사자(獅子)가 있는 방형 사자좌 등은 삼국시대 초기 불상의 특징을 보여준다.[2] 이러한 삼존불 형식은 삼국시대 6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크게 유행하였다.[2] 본존불은 방형 사자좌에 앉아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으로 추정되는 손짓을 하고 있다.[2] 우협시 보살상은 무거운 관(冠)을 쓰고, 보발(寶髮)은 어깨 위로 늘어져 있으며, 목에는 첨판형 목걸이를 착용하였다. 천의(天衣)는 허벅지에서 X자형으로 교차하는데, 이는 6세기 전반의 양식보다 누그러진 형태로 6세기 중반경의 불상 양식을 반영한다.[2]

5. 보물 지정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은 초정약수터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1979년 처음 조사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 삼존상은 하나의 돌에 광배와 불·보살 삼존, 방형의 사자좌를 두텁게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좌협시 보살상은 사라진 상태이다. 본존불은 사자좌에 앉아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의 손짓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삼존 형식과 방형 사자좌는 삼국시대 6세기 중반을 전후한 시기에 유행했던 양식이다.[2]

우협시 보살상은 무거운 관(冠)과 어깨 위로 늘어진 보발(寶髮), 뾰족한 첨판형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다. 천의는 허벅지에서 X자형으로 교차하는 고식(古式) 천의로, 6세기 중반 경의 불상 양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2]

이 여래삼존상은 고대 삼국의 경계 지역이었던 청주에서 전해오는 삼국시대 불상으로서 희귀성과 역사적, 미술사적 중요성이 크므로,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함께 전해오는 석조여래입상 역시 같은 시기에 제작된 삼국시대 조각이므로, 석조여래삼존상과 함께 보물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2]

참조

[1]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정정 고시 http://gwanbo.mois.g[...] 문화재청장, 관보 제19043호, 11-12면 2017-07-04
[2]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고시 http://gwanbo.mois.g[...] 문화재청장, 관보 제19036호, 28-29면 2017-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