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공산주의 쿠데타 이후 수립된 인민 공화국이다. 소련의 영향 아래,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정권을 장악하고 중앙 계획 경제 체제를 운영했다. 프라하의 봄과 소련의 침공, 연방제 도입과 반체제 운동, 벨벳 혁명을 거쳐 1989년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되었고, 1993년 체코 공화국과 슬로바키아로 분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슬로바키아 - 보헤미아
    보헤미아는 중부 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 체코 공화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보이족에서 유래되어 슬라브족의 정착과정을 거쳐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체코슬로바키아 독립, 나치 독일 점령, 공산 정권 수립 등의 역사를 겪고 1993년 체코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 체코슬로바키아 - 보헤미아 왕국
    보헤미아 왕국은 1198년부터 1918년까지 현재 체코 서부 지역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국이자 합스부르크 군주국 및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였으며, 프르셰미슬 왕조, 룩셈부르크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등이 통치했고 후스 전쟁으로 종교 갈등을 겪었다.
  • 체코슬로바키아의 역사 -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는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의 평화적 분리를 의미하며, 체코슬로바키아주의와 민족주의 간의 갈등, 공산주의, 벨벳 이혼 등을 거쳐 국기, 영토, 자산 분할 후 두 국가로 분리되었다.
  • 체코슬로바키아의 역사 -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은 1945년 코시체 강령으로 수립되어 에드바르트 베네시 대통령과 국민전선 정부가 구성되었으나,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세력 확대로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되었다.
  • 무신론 국가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무신론 국가 - 콩고 인민공화국
    콩고 인민공화국은 1969년 쿠데타로 수립된 사회주의 국가로, 콩고 노동당의 일당 체제 하에 소련 및 동구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국유화 정책을 시행했으나, 1991년 체제 전환을 통해 콩고 공화국으로 이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로마자 표기Československá socialistická republika
약칭ČSSR
국가 표어진실은 승리한다
국가나의 집은 어디에
타트라의 폭풍우
공용어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수도프라하
정치 체제마르크스-레닌주의
일당제 국가
인민 공화국 (1948-1960)
사회주의 공화국 (1960-1990)
통화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면적127,900 제곱킬로미터
인구15,600,000명 (1986년 추정)
HDI0.931 (1990년)
전화 코드42
cctld.cs
현재 국가체코
슬로바키아
기념일5월 9일
건국일1948년 2월 25일
멸망일1990년 4월 23일
주요 사건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1960년 체코슬로바키아 헌법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헌법 법률
벨벳 혁명
주권소비에트 연방의 위성 국가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입가입
국기 및 국장
체코슬로바키아 국기
국기
체코슬로바키아 국장
국장 (1960-1990)
정치
정부 형태단일 국가 (1948-1969)
연방 공화국 (1969-1990)
의회 공화국
입법부국민 의회 (공산주의 체코슬로바키아) (1948-1969)
연방 의회 (체코슬로바키아) (1969-1990)
공산당 서기장클레멘트 고트발트 (1948-1953)
안토닌 노보트니 (1953-1968)
알렉산데르 둡체크 (1968-1969)
구스타프 후사크 (1969-1987)
밀로슈 야케슈 (1987-1989)
카렐 우르바네크 (1989)
대통령클레멘트 고트발트 (1948-1953)
바츨라프 하벨 (1989-1990)
총리안토닌 자포토츠키 (1948-1953)
마리안 찰파 (1989-1990)
역사
이전 국가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후임 국가체코슬로바키아 연방 공화국
주요 사건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1960년 체코슬로바키아 헌법 제정으로 사회주의 공화국 선포
1968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69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헌법 법률 제정
1989년 벨벳 혁명
경제
주요 산업산업
농업
광업
사회
종교로마 가톨릭교 (사실상)
국가 무신론 (법률상)
기타
국제 전화 코드42
차량 통행 방향우측 통행
관련 인물클레멘트 고트발트
안토닌 노보트니
알렉산데르 둡체크
구스타프 후사크
밀로슈 야케슈
카렐 우르바네크
마리안 찰파
바츨라프 하벨

2. 역사

1948년 쿠데타로 소련이 지원하는 공산주의자들이 집권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는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체코어: Československá republika)이라는 인민 공화국이 되었다.[35][36][37] 1960년 헌법 채택과 함께 국호가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변경되었으며, 1990년 벨벳 혁명 때까지 유지되었다.

1969년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연방제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28] 1989년 벨벳 혁명으로 공산 정권이 붕괴된 후, 1990년 국명이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공화국'''으로 변경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1993년 1월 1일 체코슬로바키아는 체코슬로바키아로 분리되어 완전히 해체되었다.

2. 1. 배경

194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망명 정치가 에드바르트 베네시소련의 외교 정책에 무조건 따르라는 스탈린의 요구에 응하여, 베네시 선언에 따라 백만여 명이 넘는 주데텐의 독일인을 "부자"로 치부하여 추방하고, 헝가리인들도 쫓아냈다.[34] 베네시는 스탈린과 군사ㆍ경제 분야에서 "긴밀한 전후 협조"를 약속하여, 체코슬로바키아의 "공산주의를 향한 인민의 길"에 따라 대지주의 재산, 공장, 광산, 제강소, 은행을 몰수하여 국유화하였다.[34] 베네시는 러시아의 하수인은 아니었으며, 그의 계획에는 다른 동유럽 국가의 몇몇 내정 개혁과 다른 점이 있었으나, 스탈린은 베네시가 재산 몰수를 실시했고, 여타 소비에트 블록 나라보다 체코슬로바키아의 공산주의자 세력이 강하다는 점에도 만족하여 그를 반대하지 않았다.[34]

1945년 3월 베네시는 모스크바를 방문하였다.[34] 소련 내무인민위원회의 질문 목록에 답변한 뒤 베네시는 주데텐에 사는 이백만여 명의 독일인과 400,000명에서 600,000명 사이의 헝가리인을 국외로 퇴거시키고, 붉은 군대와 긴밀히 공조하는 강력한 군대를 육성한다는 계획으로 소련 정부를 기쁘게 하였다.[34] 1945년 4월 세 개의 사회주의 정당이 지배하는 거국 연정인 제3공화국이 창설되었다. 공산당의 힘이 강했고(이들은 300석 가운데 114석을 점하였다) 베네시가 소련에 충성하였기 때문에 다른 동구권 국가와 달리 소련 정부는 체코슬로바키아에 블록 정치를 강제하거나 "믿을 만한" 간부를 최고위직에 앉히도록 요구하지 않았으며, 행정부과 입법부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예전대로 하던 구조를 계속 유지하였다.[34] 그러나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1946년 선거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고도 자신의 입지를 펼치지 않는데 처음으로 실망하였다.[34] 이들은 지방 정부를 공산당이 장악한 새로이 구성된 위원회로 대체하여 기존의 행정 실권을 빼앗았으나, 군대내에 "부르주아"의 영향을 제거하거나 실업가와 대지주와 재산을 몰수하지는 못하였다.[34]

체코슬로바키아는 어느 정도 독립적인 정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처음부터 소비에트 블록의 전형적인 정치ㆍ사회ㆍ경제 체제를 갖추지 못했으므로 소련 당국은 이를 문제시하게 되었다.[34] "애국 전선" 바깥의 세력들은 정부에서 배제되었으나, 이들은 아직 건재하였다.[34] 붉은 군대가 점령한 나라들과 달리, 체코슬로바키아에는 공산당이 이미 주도적인 역할을 주장할 수 있어서 소련의 군정 당국이 없었다.[34]

소련 당국은 다가오는 1948년 선거에서 공산주의자가 승리하리란 기대를 잃어갔다.[34] 1947년 5월크렘린의 어느 보고서에서는 서방 민주주의를 찬양하는 "반동적 요소"가 강해졌다고 결론을 내렸다.[34] 체코슬로바키아가 마셜 계획의 자금을 얻을 것을 잠시 고려하고,[34] 그리하여 1947년 9월 시클라르스카포렘바에서 코민포름이 여러 공산당을 비난하면서, 루돌프 슬란스키 (Rudolf Slánský)는 국가 안보국(StB)이 당내 정적을 제거하고 반대자를 숙청하여 권력을 잡을 계획으로 프라하에 돌아왔다.[35] 1948년 2월 초에 공산주의자인 내무 장관 바츨라프 노세크 (Václav Nosek)는 국가 경찰대에 남은 비공산주의자들을 숙청하려 하는 월권 행위를 하였다.[36] 소련의 발레리안 조린 (Valerian Zorin) 대사는 쿠데타를 준비하기 위하여 프라하에 도착하였으며, 비공산주의자가 장관직에 오르고 군대가 병영에서 출금 조치되자 정변을 일으켰다.[36]

1948년 쿠데타 이전의 친공산 시위


붉은 군대에 복무하는 조린 (Zorin)과 함께 공산주의자 "행동 위원회"와 노동조합 민병대가 이내 조직되어 무장하고, 반공주의자를 숙청할 준비를 갖추었다. 베네시는 내전이 일어나고 소련이 간섭할 것을 두려워하여 1948년 2월 25일에 항복하고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KSČ)이 장악한 정부를 인명하였으며, 그 지도자는 스탈린주의자인 클레멘트 고트발트 (Klement Gottwald) 로, 이틀 뒤에 총리직 취임에 선서하여 독재를 이끌었다.[35][36][37] 유일하게 고위직에 있던 비공산주의자인 얀 마사리크 (Jan Masaryk)는 2주 뒤에 시체로 발견되었다.[35]

2. 2.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집권 (1948년 쿠데타)

194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망명 정치가 에드바르트 베네시는 스탈린의 요구대로 소련의 외교 정책을 따르기로 하고, 베네시 선언에 따라 백만여 명의 주데텐 독일인을 "부자"로 규정하여 추방하고 헝가리인들도 추방했다.[34] 베네시는 스탈린과 군사·경제 분야에서 "긴밀한 전후 협조"를 약속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의 "공산주의를 향한 인민의 길"에 따라 대지주의 재산, 공장, 광산, 제강소, 은행을 몰수하여 국유화했다.[34]

1945년 3월 베네시는 모스크바를 방문했다.[34] 소련 내무인민위원회의 질문에 답한 후, 베네시는 주데텐에 거주하는 200만여 명의 독일인과 40만~60만 명의 헝가리인을 국외로 추방하고, 붉은 군대와 긴밀히 협조하는 강력한 군대를 육성하겠다는 계획으로 소련 정부를 만족시켰다.[34] 1945년 4월, 세 개의 사회주의 정당이 주도하는 거국 연립정부인 제3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공산당의 세력이 강했고 베네시가 소련에 충성했기 때문에, 다른 동구권 국가들과 달리 소련 정부는 체코슬로바키아에 블록 정치를 강요하거나 "믿을 만한" 간부를 최고위직에 앉힐 필요가 없었으며, 행정부와 입법부는 체코슬로바키아의 기존 구조를 유지했다.[34] 그러나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1946년 선거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에 처음으로 실망했다.[34]

체코슬로바키아는 어느 정도 독립적인 정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초기부터 소비에트 블록의 전형적인 정치·사회·경제 체제를 갖추지 못했고, 소련 당국은 이를 문제로 여겼다.[34] "애국 전선" 밖의 세력들은 정부에서 배제되었지만, 여전히 존재했다.[34] 붉은 군대가 점령한 국가들과 달리,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공산당이 이미 주도적인 역할을 주장할 수 있었기 때문에 소련 군정 당국이 없었다.[34]

소련 당국은 다가오는 1948년 선거에서 공산주의자가 승리할 것이라는 기대를 잃어갔다.[34] 1947년 5월, 크렘린의 한 보고서는 서방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반동적 요소"가 강화되었다고 결론 내렸다.[34] 체코슬로바키아가 마셜 계획의 자금을 지원받는 것을 잠시 고려하자,[34] 1947년 9월 시클라르스카 포렝바에서 코민포름은 여러 공산당을 비난했다. 루돌프 슬란스키는 국가 안보국을 통해 당내 정적을 제거하고 반대자를 숙청하여 권력을 장악할 계획을 세우고 프라하로 돌아왔다.[35] 1948년 2월 초, 공산주의자인 내무 장관 바츨라프 노세크는 국가 경찰대에 남은 비공산주의자들을 숙청하려는 월권 행위를 했다.[36] 소련의 발레리안 조린 대사는 쿠데타를 준비하기 위해 프라하에 도착했으며, 비공산주의자들이 장관직에 오르고 군대가 병영에서 나오지 못하게 되자 정변을 일으켰다.[36] 붉은 군대에서 복무한 조린과 함께 공산주의자 "행동 위원회"와 노동조합 민병대가 즉시 조직되어 무장하고 반공주의자 숙청 준비를 갖추었다. 베네시는 내전 발발과 소련의 개입을 우려하여 1948년 2월 25일 항복하고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장악한 정부를 임명했다. 스탈린주의자인 클레멘트 고트발트가 이틀 뒤 총리에 취임하여 독재 체제를 이끌었다.[35][36][37] 유일하게 고위직에 있던 비공산주의자인 얀 마사리크는 2주 후 시신으로 발견되었다.[35]

2. 3. 프라하의 봄과 소련의 침공 (1968)

1968년 알렉산데르 두브체크가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제1서기로 취임하면서 “인간적인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자유화 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소련동유럽 국가 지도부는 이를 위험하게 여겨 체코슬로바키아와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지만, 결국 군사 개입에 나섰다. 군사 개입 이후 두브체크는 사임했고, 후임인 구스타프 후사크 제1서기(1975년~1989년 대통령 겸임) 시대에는 민주화 정책이 정체되면서 “정상화” 시대로 접어들었다. “정상화” 체제에서는 개혁파 공산당원 50만 명이 제명되었고, 강권적인 체제가 갖춰졌다.

2. 4. 연방제 도입 (1969)

프라하의 봄 이후 슬로바키아 지역의 자치권 요구가 거세지자, 1969년 Ústavní zákon o československé federacics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의회 1969년 법률 제143호)에 따라 연방제가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지역에는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슬로바키아 지역에는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설치되었다.[28]

2. 5. 벨벳 혁명과 민주화 (1989)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의 영향으로 체코슬로바키아에서도 민주화에 대한 기운이 높아졌지만, 후사크는 여전히 "반체제파"로 간주한 국민을 탄압했다.

1989년 헝가리가 이웃 국가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 있는 철조망을 철거했다. 이에 따라 동독 국민은 서독으로 갈 수 있게 되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체코슬로바키아를 경유해야 했다. 이에 대해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동독 국민을 서독으로 수송하기로 결정했다. 헝가리에 이어 체코슬로바키아도 "철의 장막" 철거에 나섬으로써 동독에서는 베를린 장벽이 시민들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을 알게 된 체코슬로바키아의 반체제파 학생들은 시위를 벌였고, 그것이 계기가 되어 벨벳 혁명이 일어났다. 이 혁명으로 체코슬로바키아는 공산당 일당 독재를 포기하게 되었다.

3. 정치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클레멘트 고트발트의 지휘 아래 정치를 독점했다. 1948년 티토-스탈린 분쟁 이후 동유럽 전역에서 당내 대숙청이 심화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에서도 공산당원 55만 명(당원의 30%)이 숙청되었다.[18][19] 숙청에는 사법 살인이 동반되었는데, 루돌프 슬란스키, 블라디미르 클레멘티스 등이 "트로츠키-시온주의-티토주의-부르주아-민족주의 배신자"로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되었다.[18]

안토닌 노보트니는 1953년부터 1968년까지 서기장을 역임했다. 구스타프 후사크는 1969년 서기장(1971년 서기장으로 변경)에 선출되었고, 1975년 대통령이 되었다. 다른 정당과 단체들도 존재했지만,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하위 기관으로 기능했다. 모든 정당과 수많은 대중 조직은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전선이라는 우산 아래 묶여 있었다. 인권 운동가와 종교 운동가들은 심하게 탄압받았다.

정치적 임명과 관련하여,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은 '카드르'와 '노멘클라투라' 명단을 유지했으며, 후자는 당 정책의 원활한 적용에 중요한 모든 직책을 포함하고 있었다.[21]

3. 1. 역대 공산당 지도자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깃발. 1948년 2월 이후 공산당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유일한 자치 정당이 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클레멘트 고트발트의 지휘 아래 정치를 독점하였다. 1948년 티토-스탈린 분쟁 이후 동유럽 전역에서 당내 대숙청이 심화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당원 55만 명(당원의 30%)이 숙청당했다.[18][19]

역대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지도자
이름사진직책임기
안토닌 노보트니
165x165px
제1서기1953년 3월 14일 – 1968년 1월 5일
알렉산데르 둡체크
170x170px
제1서기1968년 1월 5일 – 1969년 4월 17일
구스타우 후사크
양복, 넥타이, 안경을 쓴 구스타브 후사크의 초상화
156x156px
제1서기 (1969년~1971년)
총서기 (1971년~1987년)
1969년 4월 17일 – 1987년 12월 17일
밀로슈 야케슈
모자, 넥타이, 코트를 입은 밀로슈 야케슈의 초상화
158x158px
총서기1987년 12월 17일 – 1989년 11월 24일
카렐 우르바네크총서기1989년 11월 24일 – 1989년 12월 20일
라디슬라프 아다메크의장1989년 12월 21일 – 1990년 9월 1일


4. 군사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이 존재했다.


  •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육군
  •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공군
  •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방공군


공산주의 체제였던 체코슬로바키아는 상호경제원조회의(코메콘), 바르샤바 조약기구, UN 및 그 산하 기구, 비동맹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유럽 안보 협력 회의에 서명한 국가였다.

5. 행정 구역

1969년 체코슬로바키아


1960년부터 1992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10개의 지역(kraje)과 프라하, 그리고 1970년부터는 브라티슬라바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다시 109개에서 114개의 구(okresy)로 나뉘었다. 크라이(kraje)는 1969년부터 1970년까지 슬로바키아에서 일시적으로 폐지되었고, 1991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여러 기능에 대해 폐지되었다. 또한 1969년에는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이라는 두 개의 내부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6. 경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CSSR)의 경제는 소련과 유사하게 공산당이 통제하는 중앙 계획 경제이자 명령 경제였다. 대규모 야금 산업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과 비철금속 광석은 수입에 의존했다. 동구권의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생산재가 소비재보다 우선시되었고, 그 결과 소비재는 수량과 품질 모두 부족했다. 이는 부족 경제로 이어졌다.[22][23] 경제 성장률은 서유럽 국가들에 크게 뒤처졌다.[24]

1950년대 체코슬로바키아는 높은 경제 성장(연평균 7%)을 경험했는데, 이는 임금과 생활 수준의 상당한 향상을 가능하게 하여 정권의 안정을 증진시켰다.[25] 산업은 에너지, 자재 및 노동력 낭비가 심했고 기술 업그레이드가 느렸지만, 다른 공산주의 국가에 고품질 기계와 무기를 공급하는 원천이었다. 농업 규모는 작았지만 국내 식량 수요의 대부분을 충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는 에너지 부족에 시달렸으며, 소련으로부터 수입한 원유와 천연가스, 국내 갈탄, 그리고 원자력과 수력 에너지에 의존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부터 일찍이 산업혁명이 진행되어 1970년대에도 공산주의 정권하에 있던 동유럽 국가들 중 가장 발전된 공업국이었다. 주요 산업은 공업이었다. 금속, 기계[30], 자동차[31], 철도 차량, 제철, 섬유 외에도 유명한 유리 공업(보헤미안 글래스)가 번성했다. 그 외에도 무기 제조[32], 맥주[33]를 중심으로 한 식품 공업, 유리 이외의 요업도 확립되어 있었다. 경제 상호 협력 위원회(COMECON) 가맹국이었으며, 소련을 중심으로 한 경제 분업 체제 속에서 중공업 제품의 시장을 동유럽권에서 확보했다. 그러나 성능과 디자인 면에서 서구 국가들에 뒤처지는 것이 점차 드러났다.

광업에서는 연료로 사용되는 갈탄이 동유럽 내에서 3위를 차지하는 정도였으며, 에너지를 제외한 산업 원자재의 60%를 수입에 의존했다. 예를 들어 석유는 소련으로부터 드루즈바 파이프라인을 통해 수입했다.

농업은 밀을 중심으로 한 곡물, 사탕무, 감자, 옥수수를 중심으로 자급이 가능했다.

무역에서는 사회주의 국가 간의 거래가 가장 많았지만, 무역액의 30%는 비사회주의 국가가 차지했다. 주요 수입품은 연료와 산업 원자재, 다음으로 곡물, 식료품이었다. 주요 수출품은 기계, 석유화학 제품인 가솔린과 나프타, 자동차, 피혁 등이었다.

7. 사회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1962년에 동성애가 비범죄화되었다.[26]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들은 역사적으로 국내 상황에 불만을 품고 이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에는 주로 경제적인 이유로, 20세기에는 경제적 요인 외에도 정치적 혼란 때문에 이민을 갔다. 20세기에 최초로 대규모 이민이 발생한 것은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은 후였고, 그 다음 물결은 프라하의 봄이 진압된 후였다.[1]

1980년대에 서방으로 이민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자동차를 타고 유고슬라비아로 여행한 다음 그리스, 오스트리아 또는 이탈리아로 우회하는 것이었다. 유고슬라비아는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만큼 국경 통제가 엄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합법적인 이민 절차는 매우 길고 비용이 많이 드는 과정이었다. 이민 허가를 받은 신청자들은 교육 수준과 급여에 따라 국가에 교육비를 상환해야 했으며, 직장을 잃고 사회적으로 따돌림을 당할 가능성이 높았다.[1]

헌장 77 서명자와 같이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사람들은 이민이 비교적 쉬웠지만, 귀국은 불가능했고 대학 졸업 시 과도한 수수료를 국가에 지불해야 했다. 노령 연금 수급자는 서방 방문이나 이민에 제한이 없었는데, 이는 국가가 연금 지급 의무를 덜 수 있었기 때문이다.[1]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발표와 유엔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UNHCR) 발표 간에는 통계 불일치가 있었다. 1980년대 초 공식 통계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매년 3,500명이 합법적으로 이민했으며, 1965년부터 1983년까지 총 33,000명이 합법적으로 이민했다. 가장 큰 이민자 공동체는 오스트리아, 서독, 미국, 캐나다, 호주에 있었다.[1]

1948년부터 1989년까지 약 100만 명이 공산주의 체제하의 체코슬로바키아를 떠났다고 추산된다. 가장 큰 탈출은 1948년 2월 공산주의 장악 이후와 1968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후에 일어났으며, 각 물결마다 약 20만 명이 떠났다. 1969년부터 1989년 사이에는 매년 약 4만 명이 국가를 떠났으며, 이들은 모두 불법으로 국가를 떠났다는 이유로 공산주의 정권으로부터 ''결석재판''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

공산주의 체코슬로바키아 시대에는 종교가 탄압받고 공격받았다.[27] 1991년, 체코슬로바키아 인구의 46.4%는 로마 가톨릭 신자였고, 29.5%는 무신론자였으며, 5.3%는 루터교 신자였고, 16.7%는 무응답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든 시민에게 무료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국가 보건 계획은 예방 의학을 강조했으며, 공장과 지역 보건소가 병원 및 기타 입원 시설을 보완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농촌 의료 서비스가 상당히 개선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대중매체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통제를 받았다. 대중매체 출판물이나 기관에 대한 사유는 일반적으로 금지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통제하에 있는 단체들이 정보 독점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출판물은 정부의 ''언론 및 정보국''의 검열을 받았다.[1]

7. 1. 사회 계층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1962년에 동성애가 비범죄화되었다.[26]

7. 2. 이민

역사적으로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들은 국내 상황에 불만을 품고 이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에는 주로 경제적인 이유로 이민을 선택했지만, 20세기에는 경제적 요인 외에도 정치적 혼란 때문에 이민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20세기에 최초로 대규모 이민이 발생한 것은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은 후였고, 그 다음 물결은 프라하의 봄이 진압된 후에 시작되었다.[1]

1980년대에 서방으로 이민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자동차를 타고 유고슬라비아로 여행한 다음 그리스, 오스트리아 또는 이탈리아로 우회하는 것이었다. 유고슬라비아는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만큼 국경 통제가 엄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합법적인 이민 절차는 매우 길고 비용이 많이 드는 과정이었다. 이민을 고려할 수 있도록 허가받은 신청자들은 교육 수준과 급여에 따라 4000CZK에서 10000CZK까지 국가에 교육비를 상환해야 했다. (1984년 평균 연봉은 약 33600CZK였다). 또한 신청자는 직장을 잃고 사회적으로 따돌림을 당할 가능성이 높았다.[1]

기술적으로 이민자들은 방문을 위해 돌아올 수 있었다. 헌장 77 서명자와 같이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사람들은 이민이 다소 쉬웠지만, 돌아올 수 없었고 대학을 졸업한 경우 23000CZK에서 최대 80000CZK에 달하는 과도한 수수료를 국가에 지불해야 했다. 노령 연금 수급자는 서방을 방문하거나 이민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들이 서방에 남기로 결정하면 국가는 더 이상 연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1]

체코슬로바키아 정부가 발표한 "공식 통계"와 유엔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UNHCR)가 발표한 "불법 난민" 통계 사이에는 불일치가 있다고 주장된다. 1980년대 초 공식 통계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매년 3,500명이 합법적으로 이민했다. 1965년부터 1983년까지 총 33,000명이 합법적으로 이민했다. 이 수치에는 동독에 정착한 다수의 독일계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가장 큰 이민자 공동체는 오스트리아, 서독, 미국, 캐나다, 호주에 위치해 있다.[1]

비공식 수치는 훨씬 크다. 1948년부터 1989년까지 약 100만 명이 공산주의 체제하의 체코슬로바키아를 떠났다고 추산된다. 가장 큰 탈출은 1948년 2월 공산주의 장악 이후와 1968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후에 일어났으며, 각 물결마다 약 20만 명이 떠났다. 1950년대에는 정권이 가장 가혹했고 "철의 장막"이 거의 뚫을 수 없었을 때 이민은 매우 적었다. 1969년부터 1989년 사이에 매년 약 4만 명이 국가를 떠나면서 증가했다. 그들은 모두 불법으로 국가를 떠났다는 이유로 공산주의 정권으로부터 ''결석재판''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

7. 3. 종교

공산주의 체코슬로바키아 시대에는 종교가 탄압받고 공격받았다.[27] 1991년, 체코슬로바키아 인구의 46.4%는 로마 가톨릭 신자였고, 29.5%는 무신론자였으며, 5.3%는 루터교 신자였고, 16.7%는 무응답이었다. 그러나 두 구성 공화국 간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체코와 슬로바키아 항목을 참조.

7. 4. 보건, 사회 복지, 주택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든 시민에게 무료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국가 보건 계획은 예방 의학을 강조했으며, 공장과 지역 보건소가 병원 및 기타 입원 시설을 보완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농촌 의료 서비스가 상당히 개선되었다.

7. 5. 대중 매체

체코슬로바키아의 대중매체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KSČ)의 통제를 받았다. 교회 및 기타 단체들이 소규모 정기 간행물과 신문을 발행했지만, 대중매체의 출판물이나 기관에 대한 사유는 일반적으로 금지되었다. KSČ의 통제하에 있는 단체들이 정보 독점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출판물은 정부의 ''언론 및 정보국''의 검열을 받았다.[1]

참조

[1]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1990 http://hdr.undp.org/[...]
[2] 서적 Romania Confronts Its Communist Past: Democracy, Memory, and Moral Justi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5-17
[3] 서적 History of Modern Europe Ad 1789–2002: A.D. 1789–2002 Sterling Publishers Pvt. Ltd. 2006
[4] 간행물 Czechoslovak Declaration of Independence s:Czechoslovak Decla[...] 1918
[5] 웹사이트 Czech http://www.collinsdi[...]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mplete & Unabridged 11th Edition 2012-12-06
[6] 웹사이트 Czech http://dictionary.re[...] 2011-02-11
[7] 서적 Stalin and the Cold War in Europe Rowman & Littlefield 2008
[8] 서적 Stalin and the Cold War in Europe Rowman & Littlefield 2008
[9] 서적 Stalin and the Cold War in Europe Rowman & Littlefield 2008
[10] 서적 Stalin and the Cold War in Europe Rowman & Littlefield 2008
[11] 서적 Stalin and the Cold War in Europe Rowman & Littlefield 2008
[12] 서적 Natural Enemies: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Cold War, 1917–1991 https://archive.org/[...] Lexington Books 2001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https://archive.org/[...] Lexington Books 2001
[16] 서적
[17] 서적 https://archive.org/[...] Lexington Books 2001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World 1999
[26] 웹사이트 Vers la décriminalisation de l'homosexualité sous le communisme http://www.radio.cz/[...] 2017-02
[27] 웹사이트 Catholics in Communist Czechoslovakia: A Story of Persecution and Perseverance http://www.catholicw[...]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기타
[33] 기타
[34] 서적 Stalin and the Cold War in Europe Rowman & Littlefield 2008
[35] 서적 Natural Enemies: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Cold War, 1917–1991 https://archive.org/[...] Lexington Books 2001
[36] 서적 The Major International Trea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A History and Guide with Texts Taylor & Francis
[37] 서적 The Fall: A Comparative Study of the End of Communism in Czechoslovakia, East Germany, Hungary and Poland Routledge
[38] 서적 Airbridge to Berlin
[39] 서적 To Save a City: The Berlin Airlift, 1948–1949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