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독 관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독 관저는 국가 원수 또는 그 대리인의 공식 거처를 의미하며, 영연방 국가, 영연방 외 지역, 미국의 일부 주에서 사용된다. 영연방 국가에서는 캐나다의 리도 홀, 오스트레일리아의 캔버라 총독 관저 등이 있으며, 각 주에도 총독 관저가 존재한다. 영연방 외 지역에서는 홍콩 행정 장관 관저, 인도 대통령 관저 등이 있으며, 미국 내 몇몇 주지사 관저도 총독 관저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연방 - 6.25 전쟁 기간 영국의 군사사
    6.25 전쟁 기간 영국의 군사사는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영국이 해군과 육군을 파견하고 총 81,084명이 참전하여 1,108명이 전사했으며, 임진강 전투, 가평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하고, 파주 설마리 전투 추모 공원과 런던 한국전쟁 기념비로 참전을 기린다.
  • 영연방 - 영연방의 기
    영연방 기는 파란색 바탕에 금색 영연방 상징이 있는 기이며, 영연방의 세계적인 특성과 회원국의 광범위함을 나타내기 위해 디자인되었고, 영연방 사무국 본부 및 관련 행사, 영연방 경기 대회 등에서 사용된다.
  • 관저 - 리도 홀
    리도 홀은 캐나다 총독의 공식 관저로 오타와에 있으며, 맥케이 빌라에서 시작하여 총독 관저로 확장 및 개조되었고, 현재는 국가적 행사 주관 및 일반인에게 공개되는 캐나다 역사와 문화 공간이다.
  • 관저 - 룡성 관저
    룡성 관저는 평양 룡성구역에 위치한 북한 최고 지도자의 관저로, 김일성 시대에 완공되어 김정은까지 사용하며, 지하 시설과 호화로운 시설을 갖춘 대규모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 영연방 왕국 - 웨스트민스터 헌장
    웨스트민스터 헌장은 1931년 영국 의회에서 제정되어 자치령의 외교권을 인정하고 영국과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며, 영국 의회가 자치령의 동의 없이 법률을 제정할 수 없도록 규정하여 영연방 전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법률이다.
  • 영연방 왕국 - 뉴질랜드의 군주
총독 관저

2. 영연방 국가의 총독 관저

영국 제국 및 영연방의 총독 관저는 각 영연방 국가에서 군주 또는 총독이 사용하는 관저이다. 캐나다의 경우 리도 홀캐나다의 군주캐나다의 총독의 관저로 사용된다.

2. 1. 오스트레일리아


  • 캔버라 총독 관저(야랄룸라)는 오스트레일리아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키리빌리 해군 본부는 시드니에 있는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각 주와 노던 준주에도 주 총독을 위한 총독 관저가 있다.

주/준주관저비고
뉴사우스웨일스시드니 총독 관저
빅토리아멜버른 총독 관저1901년과 1930년 사이에 총독이 사용
퀸즐랜드브리즈번 총독 관저
퀸즐랜드올드 정부 관저, 퀸즐랜드1862년과 1909년 사이에 사용
노퍽섬노퍽섬 총독 관저노퍽섬 관리자의 거주지
서호주퍼스 총독 관저
남호주애들레이드 총독 관저
태즈메이니아호바트 총독 관저
노던 준주다윈 총독 관저
코코스 제도웨스트 아일랜드 총독 관저


2. 2. 캐나다

리도 홀(공식 명칭: 총독 관저)은 오타와에 있으며, 군주와 캐나다 총독의 공식 거처이다.[1] 퀘벡 시타델은 퀘벡 시에 있는 군주와 총독의 두 번째 공식 거처이며, 매년 여러 주 동안 사용된다.[1]

총독 관저 또는 공식 거처는 앨버타(총독 관저가 부왕의 거처가 아님), 퀘벡, 온타리오, 노스웨스트 준주를 제외한 모든 주 부총독과 준주 커미셔너에게 있다.[1]

2. 3. 뉴질랜드

총독 관저, 웰링턴은 뉴질랜드 총독의 주요 거주지이다. 오클랜드에는 총독 관저, 오클랜드라는 두 번째 관저가 있다.

2. 4. 그 외 영연방 국가


  • 총독 관저는 앵귈라 올드 타에 있으며, 앵귈라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총독 관저는 앤티가 바부다 세인트존스에 있으며, 앤티가 바부다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총독 관저는 바하마 듀크 스트리트, 나소에 있으며, 바하마 총독의 공식 거주지이다. 과거에는 바하마 총독의 공식 거주지였다.
  • 국립 관저는 바베이도스 세인트마이클의 거버먼트 힐에 있으며, 이전에는 총독 관저로 불렸다.
  • 벨리즈 하우스는 벨모판에 있으며, 벨리즈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벨리즈 정부 청사는 벨모판에 있으며, 이전 영국령 온두라스 총독 (이후 벨리즈 총독)의 공식 관저였다. 1981년에서 1984년 사이에는 벨리즈 총독이 사용했으며, 현재는 문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총독 관저는 해밀턴에 있으며, 버뮤다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총독 관저는 로드 타운, 토르톨라에 있으며,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총독 관저는 그랜드 케이맨 섬의 세븐 마일 비치에 있으며, 케이맨 제도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정부 청사는 로조에 있으며, 도미니카 대통령의 공식 거처이다.
  • 스탠리의 총독 관저는 포클랜드 제도 총독의 관저이며, 1982년 포클랜드 제도 침공 당시 아르헨티나 군대와의 전투가 벌어진 장소였다.
  • 수바 정부 청사는 수바의 빅토리아 퍼레이드에 있으며, 피지 대통령의 관저이다. 1921년 번개에 맞아 전소된 초대 식민지 총독 관저를 대체하기 위해 1928년에 건설되었다.
  • 국립 관저는 이전에는 총독 관저(Government House)로 불렸으며, 감비아 대통령의 공식 관저이다.
  • 길버트 제도 및 엘리스 제도의 총독 관저는 1972년 1월 1일 사우스 타라와에 세워졌으며, 1979년 7월 12일 키리바시 대통령의 키리바시 대통령 관저가 되었다.
  • 가이아나 국립 청사는 과거 총독 관저로 불렸으며, 가이아나 대통령의 공식 관저이다.
  • 킹스 하우스, 자메이카는 관저라고도 알려져 있다.
  • 총독 관저는 세인트 세이비어에 있으며, 저지 섬 총독의 공식 거처이다. 또한, 노르망디 공작이 저지에 머물 때 국가 원수로서의 공식 거처이기도 하다.
  • 케냐 대통령궁은 이전에는 총독 관저로 불렸으며, 대통령과 영부인의 공식 거처이다.
  • 국가 청사는 과거 르 레뒤(Le Réduit) 또는 정부 청사로 불렸으며(1810년~1992년), 이전에는 모리셔스 총독과 총독의 공식 관저였다. 현재는 모리셔스 대통령의 공식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
  • 총독 관저는 우드랜드스에 있으며, 몬트세랫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포트 하코트 정부 관저는 리버스 주 주지사의 공식 관저이다.
  • 발루치스탄 주 정부 청사는 퀘타에 있다.
  •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 정부 청사는 페샤와르에 있다.
  • 펀자브 주 정부 청사는 라호르에 있다.
  • 신드 주 정부 청사는 카라치에 있다.
  • 정부 청사는 바스터, 세인트 키츠에 있으며, 세인트키츠 네비스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세인트루시아 총독 관저는 모른 포르튄에 있으며, 세인트루시아 총독의 공식 관저이다.
  • 대통령궁은 이전에는 총독 관저(Government House)로 불렸으며, 시에라리온 대통령의 공식 거처이다.
  • 정부 관저는 스탬퍼드 래플스와 싱가포르 총독의 이전 거처로 정부 언덕에 위치해 있었으며, 1859년에 철거되었다. 현재는 이전 부지에 복제품이 서 있다.
  • 정부 관저는 현재 이스타나로, 싱가포르 대통령의 공식 관저이다.
  • 파빌리온은 1859년부터 1861년까지의 이전 정부 관저였다.
  • 대통령 관저는 이전에는 총독 관저로 불렸으며,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통령의 공식 거처이다.

3. 영연방 외 지역의 총독 관저


  • 예레반 총독 관저

  • 바쿠 정부 청사는 아제르바이잔의 여러 국무부를 수용하는 정부 건물로, 네프칠레르 애비뉴에 위치하며 바쿠 대로를 마주하고 있다. 1934년 소련 당국은 바쿠 소비에트 궁전(이후 정부 청사로 변경) 건설을 위한 입찰을 발표했다.
  • 대통령 궁은 바쿠에 있으며, 1971년에 건설되어 아제르바이잔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사용했다. 1991년 아제르바이잔 독립 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과 행정부에 할당되었고, 2003년에 대통령 궁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 마나마 총독 관저
  • 민스크 총독 관저
  • 정부 청사(히브리어로 아르몬 하나치브)는 1948년까지 영국 위임통치령 정부의 전 청사였으며, 1948년 6월 이후로는 유엔 휴전 감시 기구의 본부로 사용되고 있다.
  • 아르몬 하나치브 (정부 청사) 지역은 예루살렘의 유대인 거주 지역으로, 이스트 탈피오트라고도 불린다.
  • 키시너우 정부청사
  • 태국 정부 청사는 공식 관저는 아니지만, 태국 총리실의 본부이다.
  • 우크라이나 리비우 총독 관저는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속주였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의 소재지였다.


미국 내 몇몇 주지사 관저는 '''총독 관저'''라고도 불린다.

  • 총독 관저 (세인트 오거스틴)
  • 총독 관저 (메릴랜드)
  • 총독 관저
  • 총독 관저 (아메리칸 사모아)
  • 하라레 대통령 관저는 짐바브웨 대통령의 공식 거주지이다.
  • 불라와요 대통령 관저는 불라와요에 있는 공식 거주지이다.

3. 1. 홍콩

홍콩 총독부는 홍콩섬의 센트럴에 있는 홍콩 정부 언덕에 위치해 있으며, 홍콩 행정 장관의 공식 관저이다. 이곳은 영국 통치 시대 대부분의 홍콩 총독의 공식 거처였다. 1997년 이후에는 홍콩 행정 수반의 공식 거처로서의 지위가 폐지되었고, 단순한 의례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쩡인춘 경이 홍콩 행정장관이 되면서 이 곳을 다시 공식 거처이자 집무실로 지정했다. 그는 2006년 1월 말에 이 곳으로 이사했다.

3. 2. 인도

라스트라파티 바반은 원래 뉴델리의 정부 청사였으며, 인도 부왕의 거처로 지어졌다. 1947년부터 1950년까지는 인도 총독의 관저였다. 1950년 이후, 인도 대통령이 이 건물에서 거주하고 있다.

라지 바반(콜카타)는 1911년 캘커타에서 뉴델리로 인도의 수도가 이전될 때까지 부왕의 거처였으며, 이후 벵골 총독이 이곳으로 이사했다.

3. 3. 맨섬

정부 청사는 온천의 거버너 로드에 있으며, 부총독이자 섬에서 국왕의 대리인인 존 로리머 중장의 공식 관저이다.

3. 4. 그 외


  • 예레반 총독 관저

  • 바쿠 정부 청사는 아제르바이잔의 여러 국무부를 수용하는 정부 건물이다. 네프칠레르 애비뉴에 위치하며, 바쿠 대로를 마주하고 있다. 1934년, 소련 당국은 바쿠 소비에트 궁전(이후 정부 청사로 변경) 건설을 위한 입찰을 발표했다.
  • 대통령 궁은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의 행정부를 수용하고 있다. 이 건물은 수도 바쿠의 이스티글랄리야트 거리에 있다. 1971년에 건설되었으며, 아제르바이잔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사용했다. 1991년 아제르바이잔 독립 회복 이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과 그의 행정부에 할당되었다. 2003년에 대통령 궁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 마나마 총독 관저
  • 민스크 총독 관저
  • 정부 청사(히브리어로 아르몬 하나치브)는 1948년까지 영국 위임통치령 정부의 전 청사였으며, 1948년 6월 이후로는 유엔 휴전 감시 기구의 본부로 사용되고 있다.
  • 아르몬 하나치브(정부 청사) 지역은 예루살렘의 유대인 거주 지역으로, 이스트 탈피오트라고도 불린다.
  • 키시너우 정부청사
  • 태국 정부 청사 - 공식 관저는 아니지만, 태국 총리실의 본부이다.
  • 우크라이나 리비우 총독 관저 –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속주였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의 소재지
  • 미국 내 몇몇 주지사 관저는 '''총독 관저'''라고도 불린다.
  • 총독 관저 (세인트 오거스틴), 플로리다주 국립사적지에 등재됨
  • 총독 관저 (메릴랜드)
  • 총독 관저는 조지 워싱턴 대통령의 공식 관저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1815년에 철거됨
  • 총독 관저 (아메리칸 사모아), 국립 역사 랜드마크
  • 하라레 대통령 관저(현재 명칭은 대통령 관저)는 짐바브웨 대통령의 공식 거주지이다.
  • 불라와요 대통령 관저(현재 명칭은 대통령 관저)는 불라와요에 있는 공식 거주지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