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명하는 일제강점기 일본군 항공 소위로 임관하여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인물이다. 1918년 경상북도 선산군에서 태어나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39년 조선인 최초로 항공 소위가 되었다.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1942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서 전사했다. 일본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으나, 대한민국에서는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어 비판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비행사 - 후치다 미쓰오
후치다 미쓰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항공모함 아카기의 비행대장으로서, 진주만 공격의 제1차 공격대 총지휘관으로 참여하여 기습 성공 암호를 발신하고 미드웨이 해전에도 참전했으며, 종전 후 기독교 전도사로 활동하며 회고록과 미드웨이 해전 기록을 출판하는 등 그의 행적에 대한 역사적 논쟁이 있다. - 일본의 비행사 - 오니시 다키지로
오니시 다키지로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가미카제 특공대를 창설하고 지휘하여 태평양 전쟁에서 자살 공격을 지시했으며, 종전 후 자결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탑승원 - 김정렬 (1917년)
김정렬은 일제강점기 군인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 기업인으로, 일본군 조종사로 2차대전에 참전 후 대한민국 공군 창설을 주도하여 초대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민주공화당 당의장, 주미 한국 대사, 국회의원, 삼성물산 사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탑승원 - 이철희 (1923년)
이철희는 대한민국의 군인, 공무원, 기업인, 정치인으로 육군 소장 예편 후 HID 부대장, 중앙정보부 차장, 대화산업 회장을 역임하고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으로 구속되어 징역 15년을 선고받는 등 가석방 후에도 여러 차례 사기 사건으로 구속 및 수감되었다. -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사망자 - 나구모 주이치
나구모 주이치는 1887년 출생하여 해군병학교를 졸업하고 진주만 공격을 지휘한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며, 미드웨이 해전 패배 후 사이판 전투에서 자결하고 해군 대장으로 추서되었다. -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사망자 - 고토 아리토모
고토 아리토모는 일본 제국 해군의 수뢰전술 전문가로 함장 및 함대 사령관을 역임하며 제1차 세계 대전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나, 사보섬 해전에서 아군 오인으로 전사 후 해군 중장으로 추서되었고, 군사적 능력과 아군 오인 공격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공존한다.
최명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최명하 |
출생 | 1918년 3월 6일 |
사망 | 1942년 1월 20일 (만 23세) |
출생지 | 경상북도선산군 |
사망지 | [[파일:Flag_of_the_Netherlands.svg|23px]] 네덜란드령 동인도 수마트라섬 |
별명 | 없음 |
군사 경력 | |
최종 계급 | 대위 |
기타 정보 | |
군인 정보 | |
이름 | 최명하 |
생애 | 1918년 3월 6일 ~ 1942년 1월 20일 |
태어난 곳 | 일제 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선산군 선산면 (현재 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죽은 곳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
복무 기간 | 1939년 ~ 1942년 |
최종 계급 | 일본 제국 육군 대위 |
지휘 | 일본 제국 육군 비행제64전대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 |
서훈 내역 | 수훈(殊勳) 갑(甲), 공(功) 4급, 훈6등 욱일장 |
2. 생애
1918년 경상북도 선산군에서 태어났다. 1937년 3월 대구중학교를 졸업했으며, 1937년 4월부터 1938년 3월까지 일본 육군사관학교 예과에 재학했다. 1939년 9월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일본 육군사관학교 제52기로 졸업했다. 사관학교 시절에는 부모님으로부터 보내온 인삼을 항상 씹으며 "이것을 먹고 있으면 마치 고향에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라고 부모님을 그리워하는 효심 깊은 청년 장교였다[1]。 1939년 11월 1일, 육군 항공병 소위[2]로 임관하여 조선인으로는 최초로 항공 소위가 되었다. 임관 후에는 소만(蘇滿, 소비에트 연방과 만주국) 국경 경비 임무를 수행했다. 1940년 11월 중일 전쟁 당시 일본군의 남지(南支, 화난(華南, 화남)) 방면 공격에 참전했다. 1941년 가토 다테오(加藤建夫) 중좌가 이끌고 있던 일본 제국 육군 비행 제64전대 소속 중위로 복무하는 동안 부대장기 엄호,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말레이시아 피낭섬 공격 등에 참전했다.
태평양 전쟁 발발 후 1941년 12월, 비행 제64전대는 랑군 공격에 참가했다. 최명하는 폭격대를 엄호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폭격 종료 직후 폭격 엄호 위치를 이탈하여 적기와 교전했다. 이로 인해 전대장 가토 다케오 소령으로부터 비행 정지 명령을 받았다. 1942년 1월 17일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의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페칸바루 비행장 공습에 육군 중위로 참전하였다. 팔렘방 비행장 공습에서, 최명하는 전대장에 이어 비행장에 적기에게 사격을 가했으나, 좌석 전방에서 강발이 일어나 파편이 엔진을 관통했다. 어떻게든 파칸바루 호까지 비행했지만, 엔진이 멈춰 활공으로 호반 광장에 불시착했다. 최명하는 즉시 지도에 불을 붙여 새어나오는 가솔린 속에 던져 넣어 탑승기를 소각했다. 연기가 솟아오르자, 이를 보고 쫓아온 네덜란드군과 권총으로 응전했지만, 더 이상 안 된다고 깨닫고 자결했다. 1942년 1월 20일 수마트라섬 원주민의 집에 은신하면서 치료를 받던 도중 네덜란드군의 포위 공격에 맞서 총격전을 벌였으며 마지막으로 남은 권총 한 발을 맞고 자살했다. 사후, 대위로 승진했다.
1943년 8월 31일 일본 정부로부터 육군 대위로 추증되면서 수훈(殊勳) 갑(甲), 공(功) 4급, 훈6등 욱일장을 추서받았으며 나중에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되었다. 일본 제국에서는 그의 전사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조선인 청년 용사의 업적으로 선전했으며 특히 자국의 식민지였던 조선에서 징병제를 홍보하고 침략 전쟁을 미화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했다.
최명하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군 부문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7]
2. 1. 초기 생애
1918년 경상북도 선산군에서 태어났다. 1937년 3월 대구중학교를 졸업했으며 1937년 4월부터 1938년 3월까지 일본 육군사관학교 예과에 재학했다. 1939년 9월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일본 육군사관학교 제52기로 졸업했다. 조선인으로는 최초로 항공 소위로 임관된 뒤부터 소만(蘇滿, 소비에트 연방과 만주국) 국경 경비 임무를 수행했다. 1940년 11월 중일 전쟁 당시 일본군의 남지(南支, 화난(華南, 화남)) 방면 공격에 참전했다. 1941년 가토 다테오(加藤建夫) 중좌가 이끌고 있던 일본 제국 육군 비행제64전대 소속 중위로 복무하는 동안 부대장기 엄호,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말레이시아 피낭섬 공격 등에 참전했다.2. 2. 일본군 복무
1937년 3월 대구중학교를 졸업하고 1938년 3월까지 일본 육군사관학교 예과에 재학했다. 1939년 9월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육군사관학교 제52기로 졸업했다. 조선인으로는 최초로 항공 소위로 임관된 뒤 소만(蘇滿, 소비에트 연방과 만주국) 국경 경비 임무를 수행했다. 1940년 11월 중일 전쟁 당시 일본군의 남지(南支, 화난(華南, 화남)) 방면 공격에 참전했다. 1941년 가토 다테오 중좌가 이끌고 있던 일본 제국 육군 비행제64전대 소속 중위로 복무하는 동안 부대장기 엄호,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말레이시아 피낭섬 공격 등에 참전했다.태평양 전쟁 발발 후 1941년 12월, 비행 제64전대는 랑군 공격에 참가했다. 최명하는 폭격대를 엄호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폭격 종료 직후 폭격 엄호 위치를 이탈하여 적기와 교전했다. 이로 인해 전대장 가토 다케오 소령으로부터 비행 정지 명령을 받았다. 1942년 1월 17일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의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페칸바루 비행장 공습에 육군 중위로 참전하였다. 팔렘방 비행장 공습에서, 최명하는 전대장에 이어 비행장에 적기에게 사격을 가했으나, 좌석 전방에서 강발이 일어나 파편이 엔진을 관통했다. 어떻게든 파칸바루 호까지 비행했지만, 엔진이 멈춰 활공으로 호반 광장에 불시착했다. 최명하는 즉시 지도에 불을 붙여 새어나오는 가솔린 속에 던져 넣어 탑승기를 소각했다. 연기가 솟아오르자, 이를 보고 쫓아온 네덜란드군과 권총으로 응전했지만, 자결했다. 1942년 1월 20일 수마트라섬 원주민의 집에 은신하면서 치료를 받던 도중 네덜란드군의 포위 공격에 맞서 총격전을 벌였으며 마지막으로 남은 권총 한 발을 맞고 자살했다. 사후, 대위로 승진했다.
1943년 8월 31일 일본 정부로부터 육군 대위로 추증되면서 수훈(殊勳) 갑(甲), 공(功) 4급, 훈6등 욱일장을 추서받았으며 나중에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되었다. 일본 제국에서는 그의 전사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조선인 청년 용사의 업적으로 선전했으며 특히 자국의 식민지였던 조선에서 징병제를 홍보하고 침략 전쟁을 미화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했다.
2. 3. 전사
최명하는 1937년 대구중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육군사관학교 예과를 거쳐 1939년 9월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제52기로 졸업했다. 조선인 최초로 항공 소위로 임관된 후, 소만 국경 경비 임무 및 1940년 11월 중일 전쟁 당시 일본군의 남지 방면 공격에 참전했다. 1941년에는 가토 다테오 중좌가 이끌던 일본 제국 육군 비행제64전대 소속 중위로 복무하며 말레이시아 피낭섬 공격 등에 참전했다.1942년 1월 17일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의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페칸바루 비행장 공습에 육군 중위로 참전했다. 비행 제64전대 소속으로, 랑군 공격에 참가하기도 했다. 공습 도중 부상으로 인해 불시착했고, 1942년 1월 20일 수마트라섬 원주민의 집에 은신하며 치료를 받던 중 네덜란드군의 포위 공격을 받았다. 최명하는 즉시 지도에 불을 붙여 새어나오는 가솔린 속에 던져 넣어 탑승기를 소각했다. 그는 네덜란드군에 맞서 총격전을 벌였으며 마지막으로 남은 권총 한 발을 맞고 자결했다.
1943년 8월 31일 일본 정부는 최명하를 육군 대위로 추증하고 수훈(殊勳) 갑(甲), 공(功) 4급, 훈6등 욱일장을 추서했으며,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했다. 일본 제국은 그의 전사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조선인 청년 용사의 업적으로 선전했으며, 식민지 조선에서 징병제를 홍보하고 침략 전쟁을 미화하는 수단으로 이용했다.
최명하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군 부문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3. 사후 평가
3. 1. 일본에서의 평가
3. 2. 한국에서의 평가
최명하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그의 친일 행적은 대한민국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역사적으로 비판받아 마땅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친일 행적에 대한 철저한 청산과 역사 바로 세우기를 강조하고 있다.참조
[1]
서적
隼戦闘隊長加藤建夫
光人社
[2]
간행물
官報.1937年11月2日
https://dl.ndl.go.jp[...]
[3]
서적
隼戦闘隊長加藤建夫
光人社
[4]
서적
隼戦闘隊長加藤建夫
光人社
[5]
서적
隼戦闘隊長加藤建夫
光人社
[6]
웹사이트
第15号 昭和18年1月29日 陸軍異動通報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17-11-09
[7]
웹사이트
06년 12월6일 이완용 등 친일반민족행위자 106명 명단 확정 공개
https://m.hankookilb[...]
2021-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