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사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사위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목종, 현종, 덕종 때에 걸쳐 벼슬을 지냈다. 그는 거란의 침입을 막는 과정에서 활약했으며, 흥료국 문제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내사시랑평장사, 문하시랑평장사를 역임하고, 추충좌리동덕공신호를 받았으며 청하현개국남에 봉해졌다. 말년에는 태자태사를 지냈으며, 정숙(貞肅)의 시호를 받았고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 최씨 - 최인호 (작가)
최인호는 1945년 서울 출생으로 2013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며, 1963년 등단하여 《타인의 방》, 《깊고 푸른 밤》 등 여러 작품을 발표하고 영화 및 드라마로 제작되었으며,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은관문화훈장을 추서받았다. - 961년 출생 - 구준
구준은 북송 시대의 인물로, 과거 급제 후 뛰어난 연설과 비판적인 시각으로 송 진종의 친정을 주장하여 전연의 맹을 맺는 데 기여했으며, 재상으로 복직했으나 모함으로 좌천되어 유배되었고, 사후 명예가 회복되었다. - 961년 출생 -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
피에트로 2세 오르세올로는 991년부터 1009년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로 재임하며 해적 문제 해결, 아드리아해 영향력 확대,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 강화, 해상 무역 발전 등에 기여하여 베네치아 해군력 강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 1041년 사망 - 미하일 4세
미하일 4세는 11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황후 조에와의 불륜을 통해 황제가 되었으며, 군사적 성공과 불가리아 반란 진압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질병과 과도한 세금 부과로 짧은 통치를 마쳤다. - 1041년 사망 - 후지와라노 긴토
후지와라노 긴토는 헤이안 시대의 공경이자 시인, 음악가로서, 와카, 한시, 관현에 뛰어났으며, 시가집 편찬, 36가선 정립 등 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사납언으로서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으며, 만년에는 섭관 정치 시대 조정의 의식과 연중행사에 대한 자료를 남겼다.
최사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최사위 |
원래 이름 | 최사위(崔士威) |
작위 | 고려의 대정문별감 |
휘 | 사위(士威) |
자 | 동현(動寰) |
성별 | 남성 |
출생일 | 961년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1041년 |
사망지 | 미상 |
부친 | 최융예(崔融藝) |
모친 | 유씨 |
시호 | 정숙(貞肅) |
종교 | 불교 |
가문 | 수원 최씨 |
2. 생애
1012년(현종 3)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에 임명되었고, 1014년(현종 5)에는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가 되었다. 1019년(현종 10) 추충좌리동덕공신(推忠佐理同德功臣) 호를 받고 청하현 개국남(開國男)에 봉해져 식읍 300호를 받았다.[2]
1020년(현종 11) 왕명으로 지중추사(知中樞事) 강민첨과 함께 당시 다섯 살이던 현종의 아들 왕흠(王欽, 훗날 덕종)을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사도(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 守司徒) 겸 내사령 상주국 숭인광효보운공신(內史令 上柱國 崇仁廣孝輔運功臣)으로 책립하고 연경군(延慶君)으로 봉하였다.[2]
1021년(현종 12) 검교태사 수문하시중(檢校太師 守門下侍中)에 임명되었고, 청하백(淸河伯)으로 다시 봉해졌으며, 식읍도 700호로 늘어났다. 같은 해 광국공신(匡國功臣) 호를 받고 판상서이부사(判尙書吏部事)가 되었다.[2]
이듬해, 여러 주ㆍ현 장리(長吏)의 칭호가 혼잡하므로 군ㆍ현 이상은 호장(戶長), 향(鄕)ㆍ부곡(部曲)ㆍ진구(津口)ㆍ정(亭)ㆍ역(驛)은 장(長)으로 통일하자고 건의하여 받아들여졌다.[2]
1027년(현종 18)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임명되었고, 아버지 최융예는 수사공 상주국 한남국개국남(守司空·上柱國·漢南郡開國男)의 벼슬과 식읍 300호를, 어머니 유씨(庾氏)는 국대부인(國大夫人)을 추증받았다.[2]
1030년(현종 21) 노환으로 퇴직을 청했으나, 현종이 허락하지 않고 5일마다 한 번씩 조회하게 하였고, 이듬해 내사령(內史令)으로 치사했다.[2]
1034년(덕종 1) 덕종 즉위 후 5일에 한 번 일을 보게 하였다.[2] 1041년(정종 7) 3월 4일 81세로 사망하자 태사(太師)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며, 1052년(문종 6) 현종 묘정에 배향되었다.[2]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생활
최사위의 증조부 최서천(崔徐遷)은 호장(戶長), 조부 최한용(崔韓用)은 검교공부시랑(檢校工部侍郞), 아버지 최융예(崔融藝)는 대위(大尉)를 지냈다.처음에 목종을 섬겨 벼슬을 여러 번 옮기고 형부상서(刑部尙書)가 되었다. 1009년(목종 12) 김치양(金致陽)이 난을 일으켜 목종을 폐위시키려 하자, 대정문별감(大定門別監)에 임명되어 궁문을 폐쇄하고 국왕을 호위하였다.[2]
1010년(현종 1) 통군사(統軍使)로서 군사 30만을 거느리고 통주(通州)에 주둔하여 거란의 침입에 대비했고, 거란이 침입하자 강조(康兆) 등과 함께 거란군의 공격을 막았으나 패배하였다.[2]
다음 해에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승진했으며, 서북면행영도통사(西北面行營都統使)와 서경유수(西京留守)를 거친 다음 이부상서(吏部尙書)로 옮겼다. 후에 장연우(張延祐), 황보유의(皇甫兪義)와 함께 동경유수(東京留守)를 없애고, 경주방어사(慶州防禦使)를 둘 것과 12주(州)의 절도사를 5도호(都護)·75도 안무사(安撫使)로 대체할 것을 건의했고, 그대로 실행되었다.
2. 2. 거란과의 전쟁
1010년(현종 1) 통군사(統軍使)로서 군사 30만을 거느리고 통주(通州)[2]에 주둔하여 거란의 침입에 대비했고, 거란이 침입하자 강조(康兆) 등과 함께 거란군의 공격을 막았으나 패배하였다.1029년(현종 20) 발해(渤海)의 유민이자 거란의 동경장군(東京將軍)으로 있던 대연림(大延琳)이 반란을 일으켜 흥료국(興遼國)을 세우자, 형부상서 곽원(郭元)이 기회를 타서 압록강 동쪽의 영토를 빼앗아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최사위는 서눌(徐訥), 김맹(金猛) 등과 함께 글을 올려 반대하였으나, 곽원은 이를 고집하고 군대를 보냈다가 패배했다.
같은 해 12월, 흥료국의 태사(太師) 대연정(大延定)이 동북 여진을 이끌고 거란과 서로 싸우면서 사신을 보내 구원을 청하자, 왕이 여러 대신에게 의논하게 했는데, 최사위와 평장사(平章事) 채충순(蔡忠順)이 방비를 견고히 하면서 사태를 관망하자고 청하여 받아들여졌다.
2. 3. 내정과 외교에서의 활약
1009년(목종 12) 김치양이 난을 일으켜 목종을 폐위시키려 하자, 대정문별감(大定門別監)에 임명되어 궁문을 폐쇄하고 국왕을 호위하였다.[2]1010년(현종 1), 통군사(統軍使)로서 군사 30만을 거느리고 통주(通州)에 주둔하여 거란의 침입에 대비했고, 거란이 침입하자 강조 등과 함께 거란군의 공격을 막았으나 패배하였다.[2]
다음 해에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승진했으며, 서북면행영도통사(西北面行營都統使)와 서경유수(西京留守)를 거친 다음 이부상서(吏部尙書)로 옮겼다. 후에 장연우(張延祐), 황보유의(皇甫兪義)와 함께 동경유수(東京留守)를 없애고, 경주방어사(慶州防禦使)를 둘 것과 12주(州)의 절도사를 5도호(都護)·75도 안무사(安撫使)로 대체할 것을 건의했고, 그대로 실행되었다.
1012년(현종 3),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 1014년(현종 5)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임명되었다. 1019년(현종 10), 추충좌리동덕공신호(推忠佐理同德功臣號)를 받았으며, 청하현개국남(淸河縣開國男)에 봉해져 식읍 300호를 받았다.[2]
1020년(현종 11)에는 왕명으로 지중추사(知中樞事) 강민첨과 함께 당시 다섯 살인 현종의 아들 왕흠(王欽, 훗날 덕종으로 즉위)을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사도(開府儀同三司 檢校太師 守司徒) 겸 내사령 상주국 숭인광효보운공신(內史令 上柱國 崇仁廣孝輔運功臣)으로 책립하고 연경군(延慶君)으로 봉하였다.[2]
1021년(현종 12), 검교태사 수문하시중(檢校太師 守門下侍中)에 임명되었고, 청하백(淸河伯)으로 다시 봉해졌으며, 식읍도 700호로 올려졌다. 같은 해에 또 광국공신(匡國功臣) 호를 받고 판상서이부사(判尙書吏部事) 벼슬을 받았다.[2]
이듬해, 여러 주ㆍ현 장리(長吏)의 칭호가 혼잡하므로 군ㆍ현 이상은 호장(戶長)이라 부르고, 향(鄕)ㆍ부곡(部曲)ㆍ진구(津口)ㆍ정(亭)ㆍ역(驛)은 장(長)으로 통일하자고 건의하여 받아들여졌다.[2]
1029년(현종 20) 발해의 유민이자 거란의 동경장군(東京將軍)으로 있던 대연림이 반란을 일으켜 흥료국을 세우자, 형부상서 곽원(郭元)이 기회를 타서 압록강 동쪽의 영토를 빼앗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최사위는 서눌(徐訥), 김맹(金猛) 등과 함께 글을 올려 반대하였으나, 곽원은 이를 고집하고 군대를 보냈다가 패배했다.[2]
같은 해 12월, 흥료국의 태사(太師) 대연정(大延定)이 동북 여진을 이끌고 거란과 서로 싸우면서 사신을 보내 구원을 청하자, 왕이 여러 대신에게 의논하게 했다. 최사위와 평장사(平章事) 채충순(蔡忠順)은 방비를 견고히 하면서 사태를 관망하자고 청하여 받아들여졌다.[2]
2. 4. 흥료국 문제와 신중론
1029년(현종 20) 발해 유민 출신 거란 동경장군(東京將軍) 대연림(大延琳)이 흥료국(興遼國)을 세우자, 형부상서 곽원(郭元)은 압록강 동쪽 영토를 빼앗을 기회라 주장했다. 그러나 최사위는 서눌(徐訥), 김맹(金猛) 등과 함께 반대하는 글을 올렸다. 곽원은 이를 고집하고 군대를 보냈다가 패배했다.[2]같은 해 12월, 흥료국 태사(太師) 대연정(大延定)이 동북 여진을 이끌고 거란과 싸우면서 사신을 보내 구원을 요청했다. 왕이 여러 대신에게 의견을 묻자, 최사위와 평장사(平章事) 채충순(蔡忠順)은 방비를 굳건히 하며 사태를 관망하자고 건의하여 받아들여졌다.[2]
2. 5. 말년과 죽음
1030년(현종 21) 최사위는 노환으로 왕에게 퇴직을 청했으나, 현종이 허락하지 않고 5일마다 한 번씩 조회하게 하였다.[2] 이듬해 내사령(內史令)으로 치사했다.1034년(덕종 1) 덕종이 즉위하자, 5일에 한 번 일을 보게 하였다.[2] 1041년(정종 7) 3월 4일 향년 81세로 사망하자 태사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며, 1052년(문종 6)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2]
3. 가계
- 증조부 : 호장 최서천
- 증조모 : 미상
- 조부 : 검교공부시랑 최한용
- 조모 : 미상
- 아버지 : 대위 최융예
- 어머니 : 미상
4. 작품
참조
[1]
문서
최사위(崔士威) 묘지명
[2]
문서
지금의 평안북도 선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