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윤의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상정고금예문》 편찬에 참여하고 금속 활자로 인쇄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1128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으며, 외교 활동과 정치 개혁을 위해 노력했다. 여러 고위 관직을 역임하며 수충좌리공신에 책록되었으며, 1162년 사망 후 문숙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또한 최윤의는 의종의 명으로 《상정고금예문》 50권을 편찬했으며, 이 책은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본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태자태부 - 이장용
이장용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추밀원부사, 정당문학, 참지정사, 문하시중 등을 역임하며 몽골 입조 요구 대응, 일본 강압 외교 저지 등 외교적 수완을 발휘했고, 3대 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나 임연의 원종 폐위에 순응한 과오로 파면 후 문진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태자태부 - 최지몽
최지몽은 낭주 최씨의 시조이자 고려 초기의 관료로서, 천문과 복서에 능통하여 태조 왕건의 통일을 예견하고 왕조 보위에 기여한 인물이다. - 고려의 예부시랑 - 정습명
정습명은 고려 인종 때 국자감 사업을 지내고 묘청의 난 토벌에 참여했으며 김부식 등과 함께 《삼국사기》 편찬에 참여한 문신으로, 의종 즉위 후 간언을 이어갔으나 왕의 미움을 사 자결했다. - 고려의 예부시랑 - 한언공
한언공은 고려 시대 문신으로 광문원 서생으로 시작해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송나라 사신으로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으며 중추원 설치에 기여하여 목종 묘정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정신이다. - 고려의 추존 후작 - 최치원
최치원은 857년에 태어나 당나라 유학 후 빈공과에 장원 급제하고 황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으며, 신라 개혁 실패 후 해인사에서 은거하다가 고려 시대에 문창후로 추증된 신라 말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이다. - 고려의 추존 후작 - 이조년
이조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시인으로, 배꽃이 달빛에 희게 빛나는 밤의 정취와 다정함을 묘사한 시조 〈이화에 월백하고〉를 지었다.
최윤의 | |
---|---|
최윤의 | |
기본 정보 | |
한글 | 최윤의 |
한자 | 崔允儀 |
로마자 표기 | Choe Yunui |
생애 | |
활동 시기 | 고려 |
직업 | 정치인 출판인 작가 |
주요 활동 | 상정예문 편찬 참여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김윤정, 고려 초기 중앙집권체제 정비와 관복제정비. Sohn, Pow-Key (Summer 1993). "Printing Since the 8th Century in Korea". Koreana 7 (2): 4–9. Shelton A. Gunaratne (2001). "Paper, Printing, and the Printing Press: A horizontally integrative macrohistory analysis". Gazette 63 (6): 459–479. 한국 과학 기술의 역사 |
2. 생애
최윤의는 고려 중기의 문신으로, 관직 생활 동안 여러 요직을 거치며 정치, 외교,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1148년(의종 2) 시예부시랑(試禮部侍郞)과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에 차례로 임명되었으며[10], 국자시(國子試)를 주관하여 양충찬(梁忠贊)·박유시(朴有時) 등 91인을 선발했다.[11]
- 1151년(의종 5) 어사대부(御史大夫)·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로 옮겼고,[12] 이듬해 수문전학사(修文殿學士)와 태자태부(太子太傅)를 겸했다.[13]
- 1153년(의종 7) 수충좌리공신(輸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예부상서(禮部尙書)·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를 거쳐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에 임명되었다.[6]
- 1154년 지공거(知貢擧)로서 문과를 주관해 황보탁(皇甫倬) 등을 급제시켰고[14], 정당문학(政堂文學)·참지정사(參知政事)·수국사(修國史)를 역임했다.[6]
- 1155년(의종 9) 권판병부사(權判兵部事)를 겸했다가[15], 중서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中書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에 임명되어 서경유수사(西京留守使)로 나갔으나, 한 달 만에 동북면병마판사(東北面兵馬判事)·판중군병마사(判中軍兵馬事)로 옮겼다.[16]
- 1156년 수태위(守太尉)·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를 겸했고, 1157년(의종 11)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로 승진했다.[6]
- 1161년(의종 15) 판상서이예부사(判尙書吏禮部事)와 감수국사(監修國史)를 겸했고,[6] 1162년 지공거로서 이계원(李繼元) 등 32인을 급제시켰다.[19]
1162년 61세로 사망하자 왕은 수태사(守大師)·문하시중(門下侍中)·상주국(上柱國)·낙랑군개국후(樂浪郡開國侯)를 추증하고 문숙(文肅)이라는 시호를 내렸다.[6] 이후 의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20]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최윤의는 어려서 태학(太學)에 들어갔으나, 음서로 벼슬을 얻으면서 자연스레 태학을 나왔다.[6]1128년(인종 6) 감문위녹사(監門衛錄事)로 있을 때 문과에서 병과(丙科)에 급제하였고, 이듬해 태학박사(太學博士)에 임명되었다가 우정언(右正言)·지제고(知制誥)로 옮겼다.[6]
1133년(인종 11)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로 옮겼고[7], 1136년(인종 14) 좌사간(左司諫)으로서 전중감(殿中監) 윤언식(尹彥植)과 함께 금나라에 파견되어 태종의 죽음을 조문하고 제사지냈다.[8]
2. 2. 외교 활동과 정치 개혁 노력
1136년(인종 14) 좌사간으로서 전중감 윤언식과 함께 금나라에 파견되어 태종의 죽음을 조문하고 제사를 지냈다.[8]1148년(의종 2) 중서사인으로서 우상시 최함 등과 함께 내시 김거공과 환자 지숙 등 7인을 논박하고 그들을 쫓아낼 것을 청하였다. 왕이 이를 들어주지 않자, 3일 동안 대궐문 밖에 엎드려 극력히 간언하자 왕이 드디어 들어주었다.[9]
1157년(의종 11) 왕이 금오위의 제상리에 이궁을 세우려고 했는데, 최윤의가 간절하게 간언하여 끝내 그만두었다.[17]
그러나 왕이 문하성의 관리들에게 정함의 고신에 서명할 것을 독촉했을 때는 좌승선·직문하성사 이원응, 우승선·좌간의대부 이공승, 우간의대부 최응청 등과 함께 부득이하게 서명했다.[18]
2. 3. 고위 관직 역임과 사망
1128년(인종 6) 감문위녹사(監門衛錄事)로 있을 때 문과에서 병과(丙科)에 급제했고, 이듬해 태학박사(太學博士)에 임명되었다가 우정언(右正言)·지제고(知制誥)로 옮겼다.[6]1133년(인종 11)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로 옮겼고[7], 1136년(인종 14) 좌사간(左司諫)으로서 전중감(殿中監) 윤언식(尹彥植)과 함께 금나라에 파견되어 태종(太宗)의 죽음을 조문하고 제사지냈다.[8]
1148년(의종 2)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서 우상시(右常侍) 최함(崔諴) 등과 함께 내시(內侍) 김거공(金巨公)과 환자(宦者) 지숙(之淑) 등 7인을 논박하고 그들을 쫓아낼 것을 청하였다. 왕이 이를 들어주지 않자, 3일 동안 대궐문 밖에 엎드려 극력히 간언하여 왕이 드디어 들어주었다.[9]
같은 해 시예부시랑(試禮部侍郞)과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에 차례로 임명되었으며[10] 국자시(國子試)를 주관하여 양충찬(梁忠贊)·박유시(朴有時) 등 91인을 선발했다.[11]
1151년(의종 5) 어사대부(御史大夫)·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로 옮겼고,[12] 이듬해 수문전학사(修文殿學士)와 태자태부(太子太傅)가 차례로 더해졌다.[13]
1153년(의종 7) 수충좌리공신(輸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예부상서(禮部尙書)·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로 승진했다가, 같은 해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에 임명되었다.[6]
이듬해 지공거(知貢擧)로서 문과를 주관해 황보탁(皇甫倬) 등을 급제시켰고[14], 같은 해 정당문학(政堂文學)과 참지정사(參知政事)·수국사(修國史)를 지냈다.[6]
1155년(의종 9) 권판병부사(權判兵部事)를 겸했다가[15], 같은 해 중서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中書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에 임명되는 동시에 서경유수사(西京留守使)로 나갔는데[6], 한 달도 되지 않아 동북면병마판사(東北面兵馬判事)·판중군병마사(判中軍兵馬事)로 옮겼다.[16]
이듬해 수태위(守太尉)·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가 더해졌다가, 1157년(의종 11)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로 승진했다.[6]
같은 해 왕이 금오위(金吾衛)의 제상리(堤上里)에 이궁(離宮)을 세우려고 했는데, 최윤의가 간절하게 간언하여 끝내 그만두었다.[17]
그러나 왕이 문하성(門下省)의 관리들에게 정함(鄭諴)의 고신(告身)에 서명할 것을 독촉했을 때는 좌승선(左承宣)·직문하성사(直門下省事) 이원응(李元膺), 우승선(右承宣)·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이공승(李公升), 우간의대부(右諫大夫議) 최응청(崔應淸) 등과 함께 부득이하게 서명했다.[18]
1161년(의종 15) 판상서이예부사(判尙書吏禮部事)를 추가로 겸했고, 감수국사(監修國史)가 더해졌으며[6], 이듬해 다시 지공거로서 과거를 주관하여 이계원(李繼元) 등 32인을 급제시켰다.[19]
같은 해 61세로 졸하자 왕이 수태사(守大師)·문하시중(門下侍中)·상주국(上柱國)·낙랑군개국후(樂浪郡開國侯)를 추증했으며, 문숙(文肅)이라는 시호를 내렸다.[6] 이후 의종(毅宗)의 묘정에 배향되었다.[20]
3. 『상정고금예문』 편찬과 금속활자
의종의 명으로 《상정고금예문》 50권을 편찬했는데,[21][22] 고종 때[23] 금속 활자로 인쇄되어, 오늘날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본으로 알려졌다.[24]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최유선 | 수태사, 문하시중, 판이부사, 상주국, 문화공, 문종 배향공신 |
조부 | 최사제 | 수사공, 중서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감수국사, 상주국, 양평공 |
아버지 | 최용 | 증 수사공, 좌복야, 참지정사, 판공부사, 주국[25] |
어머니 | 김상기의 딸 | 김상기 : 수태위,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예병부사, 감수국사, 상주국, 문정공 |
부인 | 김의원의 차녀 | 김의원 : 검교태자태사, 호부상서, 삼사사[6] |
장남 | 최관 | [6] |
차남 | 최겸 | [6] |
첫째 사위 | 최장 | [6] |
둘째 사위 | 김지당 | [6][26] |
셋째 사위 | 이각 | [6] |
형제에 대해서는 아버지 최용 문서를 참조하라.
참조
[1]
논문
Establishment of the Official Uniform System in relation to Organizing the Centralized Administratio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http://www.dbpia.co.[...]
[2]
논문
Printing Since the 8th Century in Korea
1993-06-01 # Summer 1993을 6월 1일로 가정
[3]
논문
Paper, Printing, and the Printing Press: A horizontally integrative macrohistory analysis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http://park.org/Kore[...]
[5]
서적
고려사
1162-08-28
[6]
문서
최윤의 묘지명
[7]
서적
고려사
1133-11-27
[8]
서적
고려사
1136-02-29
[9]
서적
고려사
1148-03-03
[10]
서적
고려사
1148-03-14, 1148-12-27
[11]
서적
고려사
1148-04-01 # 4월이라고만 적혀있어서 1일로 가정
[12]
서적
고려사
1151-05-28
[13]
서적
고려사
1152-04-16
[14]
서적
고려사
1154-04-01 # 4월이라고만 적혀있어서 1일로 가정
[15]
서적
고려사
1155-03-26
[16]
서적
고려사
1155-06-19
[17]
서적
고려사
1157-08-28
[18]
서적
고려사
1171-09-17
[19]
서적
고려사
1162-04-01 # 4월이라고만 적혀있어서 1일로 가정
[20]
서적
고려사
[21]
문서
인종 오류 관련 문서
[22]
서적
고려사
[23]
문서
1234년-1241년 추정 관련 문서
[24]
서적
동국이상국집·후집
[25]
서적
고려사 및 최윤의 묘지명
[26]
서적
김영부 묘지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