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석 (195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인석은 1953년 9월 17일 전라북도 남원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이다. 1980년 희곡 '벽과 창'으로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등단했으며, 이후 희곡과 소설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는 '어떤 사람도 사라지지 않는다'로 백상예술대상 신인상을, '내 영혼의 우물'로 대산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문학상을 받았다. 최인석의 작품은 그로테스크한 인물을 통해 부조리한 현실을 보여주며, 인간다운 삶에 대한 아웃사이더의 열망을 그려내는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무숙문학상 수상자 - 박완서
박완서는 한국 전쟁의 비극, 분단 현실, 소시민적 삶, 물질만능주의 비판, 여성 문제 등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한무숙문학상 수상자 - 정을병
정을병은 1959년 등단한 한국 소설가로, 고발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고 풍자하는 작품 활동을 펼쳤고, 소설가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다양한 사회 활동과 함께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 남원시 출신 - 김근식
김근식은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자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출신으로, 북한 및 통일 문제 전문가로서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으로 참여했으며 국민의힘 소속으로 여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정치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남원시 출신 - 류락진
류락진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남로당, 통일혁명당, 구국전위 사건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서예가로 활동하다 2005년에 사망했다.
최인석 (195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최인석 |
출생일 | 1953년 9월 17일 (세)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남원시 |
직업 | 소설가, 극작가 |
국적 | 대한민국 |
장르 | 소설, 희곡, 각본 |
관련 정보 | |
권영민 (저자)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최인석 |
네이버 인물 정보 | 인물정보 - 최인석 |
2. 생애
최인석은 희곡으로 먼저 등단했다. 1977년 신인 문학상에 희곡을 제출하여 여석기의 "극작 워크숍"에 참여, 벽과 창한국어을 썼고, 1980년 월간 한국문학 신인상을 받았다. 이후 어떤 사람도 사라지지 않는다한국어로 1983년 백상예술대상 신인상, 1985년 영희연극상, 같은 해 그 찬란하던 여름을 위하여한국어로 한국문학 신인상을 받았다. 1988년에는 칠수와 만수로 대종상 각색상을 수상했다.
1986년 소설 구경꾼한국어으로 소설가로도 활동하기 시작, 소설과 희곡을 병행하다 소설에 집중하게 되었다. 내 영혼의 우물한국어은 변화된 현실 묘사 방식으로 문학계의 찬사를 받으며 여러 작가에게 영향을 주었고, 1995년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1997년 노래에 관하여한국어로 박영준 문학상, 2003년 구렁이들의 집한국어으로 한무숙 문학상을 받았다.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최인석은 1953년 9월 17일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2남 4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지방 신문 기자이자 논설위원이었다. 이후 전주와 서울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으며, 고등학교 시절 문학적 꿈을 키웠다. 1972년에 대학교에 입학했다.3. 작품 세계
최인석의 소설은 부조리한 현실과 그 속에서 인간다운 삶을 갈망하는 주변부 인물들의 모습을 그려낸다는 특징을 갖는다.[9][7]
문학 평론가 황종연은 최인석이 묘사한 인물들에 대해 "정치적 급진주의를 부추긴 유형"이자 "70년대와 80년대 문학을 지배했던 사람들과 일치하는 사회적 정체성"을 지녔다고 평가했다.[4] 황종연은 또한 최인석 소설 속 인물들은 "기성 질서에서 벗어났거나 버려진 사람들"이며, 이들이 등장하는 장소는 "감옥, 구류소, 사창가, 건설 현장, 고아원, 군대, 외딴 마을과 같은 고립된 곳"이라고 설명했다.[5]
3. 1. 주제 의식
최인석의 소설은 그로테스크한 인물들을 통해 부조리한 현실의 모습을 보여주며[9], 인간다운 삶에 대한 아웃사이더의 열망을 그려내는 것이 큰 특징이다.[7]문학 평론가 황종연은 최인석이 소설을 통해 꼼꼼하게 재현한 인물들에 대해 "정치적 급진주의를 부추긴 유형의 사람들"이며, "70년대와 80년대 문학을 지배했던 사람들과 일치하는 사회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4] 황종연은 최인석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과 장소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했다. "최인석이 소설에서 묘사하는 사람들은 기성 질서에서 벗어났거나 버려진 사람들이다. 그들은 감옥에서 형을 살고 있는 범죄자,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도덕적으로 부패한 홍등가의 가난한 사람들처럼 정상적인 사람처럼 살 수 없는 사람들이다. 더욱이 그의 소설은 종종 특정 장소에 국한되며, 그곳에서 주변 인물들은 자신들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감옥, 구류소, 사창가, 건설 현장, 고아원, 군대, 외딴 마을과 같은 고립된 장소들은 상식과 삶에 대한 생각이 간과되고 인간성에 대한 끔찍한 진실이 드러나는 매우 극적인 환경을 형성한다."[5]
3. 2. 문학적 특징
최인석의 소설은 그로테스크한 인물들을 통해 부조리한 현실의 모습을 보여주며[9], 인간다운 삶에 대한 아웃사이더의 열망을 그려내는 것이 큰 특징이다.[7]문학 평론가 황종연은 최인석이 소설을 통해 꼼꼼하게 재현한 인물들에 대해 "정치적 급진주의를 부추긴 유형의 사람들"이며, "70년대와 80년대 문학을 지배했던 사람들과 일치하는 사회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4] 황종연은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최인석이 소설에서 묘사하는 사람들은 기성 질서에서 벗어났거나 버려진 사람들이다. 그들은 감옥에서 형을 살고 있는 범죄자,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도덕적으로 부패한 홍등가의 가난한 사람들처럼 정상적인 사람처럼 살 수 없는 사람들이다. 더욱이 그의 소설은 종종 특정 장소에 국한되며, 그곳에서 주변 인물들은 자신들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감옥, 구류소, 사창가, 건설 현장, 고아원, 군대, 외딴 마을과 같은 고립된 장소들은 상식과 삶에 대한 생각이 간과되고 인간성에 대한 끔찍한 진실이 드러나는 매우 극적인 환경을 형성한다."[5]
4. 주요 작품
최인석은 주로 소설 작품을 발표했다.
4. 1. 소설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1986 | 구경꾼 | 소설문학사 |
1987 | 잠과 늪 | |
1988 | 새떼 | 현암사 |
1990 | 내 마음에는 악어가 산다 | 살림 |
1991 | 인형 만들기 | 한길사 |
1992 | 안에서 바깥에서 | 푸른나무 |
1995 | 내 영혼의 우물 | 고려원(고려원 미디어) |
1997 | 혼돈을 향하여 한걸음 | 창비 |
1998 | 나를 사랑한 폐인 | 문학동네 |
1999 | 아름다운 나의 귀신 | 문학동네 |
2000 | 밤꽃 | 이룸 |
2001 | 구렁이들의 집 | 창비 |
2002 | 서커스 서커스 | 책세상 |
2003 | 이상한 나라에서 온 스파이 | 창비 |
2006 | 목숨의 기억 | 문학동네 |
2010 | 그대를 잃은 날부터 | 자음과모음 |
2010 | 약탈이 시작됐다 | 창비 |
2011 | 연애, 하는 날 | 문예중앙 |
2013 | 투기꾼들을 위한 멤버십 트레이닝 | 실천문학 |
2014 | 강철무지개 |
5.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80년 | 한국문학 신인상 (희곡 〈벽과 창〉) |
1980년 | 대한민국문학상 (〈그 찬란하던 여름을 위하여〉) |
1983년 | 제19회 백상예술대상 신인상 (〈어떤 사람도 사라지지 않는다〉) |
1985년 | 영희연극상 |
1985년 | 한국문학상 신인상 |
1988년 | 제27회 대종상 각색상 |
1995년 | 제3회 대산문학상 |
1997년 | 제8회 박영준문학상 |
2003년 | 제8회 한무숙문학상 |
참조
[1]
뉴스
Writer of Gangcheol Mujigae, Choe Inseok: 2105 Korea. Searching for Utopia
http://news.bookdb.c[...]
BOOKDB
2015-01-13
[2]
간행물
Author Choe Inseok's Imagination of 22nd Century Korea: Gangcheol Mujigae, Author Choe Inseok
http://ch.yes24.com/[...]
Channel Yes
[3]
서적
Nae yeonghonui oomul
Asia
2013
[4]
서적
The Carnival of the Pitiful
Munhakdongne
2001
[5]
서적
The Carnival of the Pitiful
Munhakdongne
2001
[6]
웹사이트
"최인석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klti.[...]
2017-11-27
[7]
웹인용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최인석
https://terms.naver.[...]
네이버
2013-10-31
[8]
웹인용
인물정보 - 최인석
http://people.search[...]
네이버
2013-10-31
[9]
웹인용
문인DB - 최인석
https://web.archive.[...]
한국문학번역원
201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