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교회 성당이다. 1920년 춘천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승격되었으며, 1938년 아일랜드 골롬바노 외방전교회가 사목을 맡아 현재의 부지에 성당 건축을 시도했으나 태평양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1949년 미군의 도움을 받아 건축을 재개했으나 한국 전쟁으로 인해 내부 공사가 중단되었고, 1956년에 완공되었다. 1955년 춘천이 대목구로 승격되면서 주교좌성당이 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 납북된 성직자들을 기리는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성당은 석조 건물로, 고딕 양식과 아일랜드 교회 십자가 양식을 띄고 있으며, 1998년과 2006년에 내부 보수 및 현대화 작업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대 작품 - 강릉 임당동성당
    본문 내용이 제공되지 않아 강릉 임당동성당에 대한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1950년대 작품 - 천주교 인천교구 김포성당
    천주교 인천교구 김포성당은 1886년 이후 김포 지역에 천주교가 전파되며 시작되어 1909년 공소에서 1946년 성당으로 승격, 1949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한국전쟁 후 재건축을 거쳐 1961년 인천교구 소속, 2013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김포 지역 신앙 공동체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석조 건축물이다.
  • 천주교 춘천교구 - 강릉 임당동성당
    본문 내용이 제공되지 않아 강릉 임당동성당에 대한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천주교 춘천교구 - 포천성당
    포천성당은 [정의 또는 핵심 설명]이며, [추가적인 주요 정보 또는 특징]이다.
  • 춘천시의 문화유산 - 춘천 봉의산성
    춘천 봉의산성은 고려 시대 몽골 침입에 맞서 춘천 주민들이 항전했던 곳으로 추정되며, 임진왜란과 한국전쟁 때도 요충지였고, 둘레 약 1,280m의 성벽과 봉의산 순의비가 있다.
  • 춘천시의 문화유산 -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은 춘천시 청평사 경내에 있는 고려 시대 유적으로, 영지, 영지 명문 바위, 구송폭포 등의 명소가 있다.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당 이름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통칭죽림동성당
원어 명칭春川 竹林洞 主敎座聖堂
종파로마 가톨릭교회
관구서울관구
교구천주교 춘천교구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약사고개길 21
설립일1920년 9월 22일
웹 사이트죽림동성당
문화재 정보
문화재 이름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유형국가등록문화재
번호54
지정일2003년 6월 30일
주소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약사고개길 21(죽림동)
소유(재)춘천교구 천주교회
면적489.27m2
수량1동

2. 역사

조선 후기 로마 가톨릭교회는 서학, 천주교 등의 이름으로 알려져 별다른 선교사의 파견 없이 자생적으로 전파되었다. 18세기 말에서 19세기에 이른 신해박해(1791년), 을묘박해(1795년), 신유박해(1801년) 등의 탄압이 일어나자 경기도와 충청도의 신도들이 박해를 피해 강원도의 산간으로 들어와 신앙공동체가 생겨났다.[4] 19세기 무렵 강원도의 천주교는 풍수원성당을 본당으로 하는 교구가 되었고, 춘천 지역은 상주하는 신부가 없는 공소로 운영되었다. 곰실 공소는 지금의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의 모체가 되었다.[4]

1882년 조불수호통상조약 이후 프랑스는 예수회 소속 파리 외방전교회 선교사를 조선에 파견하여 교구를 담당하게 하였고, 1899년 교민조약을 체결하여 정식적인 선교의 자유를 보장받았다.[5] 1888년 강원도에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르 메르(한국명 이유사[6])가 풍수원성당 주임신부로 임명되어 원주교구 선교사업을 시작하였다.[4] 이후 원주교구는 차츰 교세가 늘어 공소들이 주임신부가 상주하는 본당으로 확대되었으며, 1920년 춘천의 곰실 공소는 죽림동 성당으로 승격되었다.[2] 죽림동 성당은 춘천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1920년 승격 당시에는 오늘날의 수녀원 터와 병원 터에 있던 개인집을 사서 성당으로 사용하였고,[2] 초대 주임신부로는 풍수원성당 보좌신부였던 김유용이 임명되었다.[7] 춘천의 곰실 공소는 따로 전교를 받지 않고 스스로 《천주실의》 등을 학습하여 천주교를 신봉하게 된 엄주언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진 곳으로, 엄주언은 공소가 성당으로 승격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7]

1998년 4월부터 9월까지 성당 외관은 그대로 둔 채 내부를 보수하였다.[2] 2006년 성당 건축 60주년을 맞아 천장과 바닥을 교체하고,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성모상 등 조각상을 새로 만들어 배치하였다.[12] 성당 보수와 미술품 배치에는 가톨릭미술가회가 참여하였으며, 기존 원형을 잘 보존하고 조화롭게 구성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7]

2. 1. 조선 후기 천주교 전파와 신앙공동체

조선 후기 로마 가톨릭교회는 서학, 천주교 등의 이름으로 알려져 별다른 선교사의 파견 없이 자생적으로 전파되었다. 18세기 말에서 19세기에 이른 신해박해(1791년), 을묘박해(1795년), 신유박해(1801년) 등의 탄압이 일어나자 경기도와 충청도의 신도들이 박해를 피해 강원도의 산간으로 들어오게 되어 신앙공동체가 생겨났다.[4] 19세기 무렵 강원도의 천주교는 풍수원성당을 본당으로 하는 교구가 되었고, 춘천 지역은 상주하는 신부가 없는 공소로서 운영되었다. 곰실 공소는 지금의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의 모체가 되었다.[4]

2. 2. 개항 이후 선교 자유와 춘천 지역 선교

1882년 조불수호통상조약 이후 프랑스는 예수회 소속 파리 외방전교회 선교사를 조선에 파견하여 교구를 담당하게 하였고, 1899년 교민조약을 체결하여 정식적인 선교의 자유를 보장받았다.[5] 강원도에는 1888년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르 메르(한국명 이유사[6])가 풍수원성당 주임신부로 임명되어 원주교구 선교사업을 시작하였다.[4] 이후 원주교구는 차츰 교세가 늘어 공소들이 주임신부가 상주하는 본당으로 확대되었으며, 춘천의 곰실 공소는 1920년 죽림동 성당으로 승격되었다.[2] 죽림동 성당은 춘천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1920년 승격 당시에는 오늘날의 수녀원 터와 병원 터에 있던 개인집을 사서 성당으로 사용하였고,[2] 초대 주임신부로는 풍수원성당 보좌신부였던 김유용이 임명되었다.[7] 다른 여러 지역의 사례처럼 춘천의 곰실 공소 역시 따로 전교를 받지 않고 스스로 《천주실의》 등을 학습하여 천주교를 신봉하게 된 엄주언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진 곳으로, 엄주언은 공소가 성당으로 승격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7]

2. 3. 전후 복구와 성당 완공

1998년 4월부터 9월까지 성당 외관은 그대로 둔 채 내부를 보수하였다.[2] 2006년 성당 건축 60주년을 맞아 천장과 바닥을 교체하고,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성모상 등 조각상을 새로 만들어 배치하였다.[12] 성당 보수와 미술품 배치에는 가톨릭미술가회가 참여하였으며, 기존 원형을 잘 보존하고 조화롭게 구성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7]

3. 한국전쟁과 성직자 납북

1950년 7월 2일 인민군이 춘천을 점령하면서, 성당에 있던 토머스 퀸란 신부, 캐바난 신부, 교황 사절 파트리치오 주교를 비롯한 많은 수녀와 성직자들이 평안북도로 끌려갔다. 이들은 34개월 동안 포로 생활을 했으며, 캐바난 신부 등 많은 성직자가 포로 생활 중 사망하였다. 토머스 퀸란 신부는 전쟁이 끝난 후 풀려나 춘천으로 돌아왔다.[9] 파트리치오 주교를 포함한 아일랜드 출신 선교사들은 납북 과정에서 저항하다가 피살되었다.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후원에는 당시 피살되거나 납북되어 숨진 성직자들을 기리는 성직자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4]

죽림동 주교좌성당 후원에 조성된 성직자 묘역.


외국인 선교사들 사이에 묘역이 조성된 한국인 이광재 신부는 원산으로 끌려갔다가 어느 방공호에서 선종하였다고 전해진다.[7]

2019년 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는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에 있다가 전쟁 중 피살되거나 납북되어 숨진 성직자에 대한 시복법정을 열었다.[13]

4. 주교좌 승격

토머스 퀸란(토마스 퀸란의 오기)은 납북되었다 돌아온 뒤에도 주임신부로서 죽림동 성당에 머물렀으며, 1955년 춘천이 지목구에서 대목구로 승격되자 주교로 서품되었고 이에 따라 죽림동 성당 역시 주교좌성당으로 승격되었다.[11] 퀸란 주교는 1970년 12월 31일 선종하여 성직자 묘역에 안장되었다.[14]

5. 건축

죽림동 주교좌성당의 주춧돌. 기공식이 열린 1949년의 날짜와 당시 교황이던 비오 12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1949년 전남 광주에서 온 자씨 성의 화교 기술자와 또 한 사람의 기술자가 공사를 시작했고, 석재는 홍천 발산리의 강가에서 가져왔다.[4] 그러나 1950년 한국 전쟁이 일어나 내부 공사가 중단되었다.[8] 1.4 후퇴 와중에 공습을 받아 벽채 일부와 사제관이 파괴되었고, 1953년 전쟁이 끝난 뒤 공사가 재개되어 1956년에 완공되었다.[9]

죽림동 성당용소막성당, 풍수원성당과 함께 모두 고딕 양식을 띄고 있지만, 앞의 두 성당이 벽돌조인데 비해 석조로 마감되어 당시 벽돌을 구하기 어려웠던 시대 상황을 반영하였다. 주 출입구의 아치나 종탑의 장미창도 단순하게 처리되었다. 전체적으로 십자가 모양을 띈 건물은 일직선의 의례 공간 양쪽으로 돌출된 트란셉트를 두어 성구실과 복사의 대기실로 사용한다.[11] 성당 출입문의 십자가 양식은 아일랜드 교회의 것으로 골룸바노 외방 선교회와의 인연을 나타낸다.[7]

5. 1. 건축 개요

1956년에 완공된 죽림동 성당 건물은 정면 중앙에 종탑이 있는 석조 건물로, 건물의 높이와 폭에 비해 종축의 길이가 길며, 내부는 열주 없이 하나의 강당처럼 형성되어 있다.[10] 주 출입구 아치의 중앙에는 십자가 문양을 돋을새김 한 이맛돌을 두어 웅장함을 더한다. 건축적 완성도가 높으며, 우리나라 1950년대 석조 성당 건축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10]

죽림동 성당용소막성당, 풍수원성당과 함께 모두 고딕 양식을 띄고 있지만, 앞의 두 성당이 벽돌조인데 비해 석조로 마감되어 있다. 이는 당시 벽돌을 구하기 어려웠던 시대 상황을 반영한다. 주출입구의 아치나 종탑의 장미창도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전체적으로 십자가 모양을 띈 건물은 일직선의 의례 공간 양쪽으로 돌출된 트란셉트를 두어 성구실과 복사의 대기실로 사용한다.[11] 성당 출입문의 십자가 양식은 아일랜드 교회의 것으로 골룸바노 외방 선교회와의 인연을 나타낸다.[7]

5. 2. 건축 과정

1949년 전남 광주에서 온 자씨 성의 화교 기술자와 또 한 사람의 기술자가 공사를 시작했고, 석재는 홍천 발산리의 강가에서 가져왔다.[4] 그러나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내부 공사가 중단되었다.[8]

1.4 후퇴 중에 공습으로 성당 건물의 벽채 일부와 사제관이 파괴되었다. 1953년 전쟁이 끝나고 공사가 재개되어 1956년에 완공되었다.[9]

5. 3. 건축 양식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은 용소막성당, 풍수원성당과 함께 고딕 양식을 띠고 있지만, 앞의 두 성당이 벽돌로 지어진 것에 비해 석조로 마감되어 있다. 이는 당시 벽돌을 구하기 어려웠던 시대 상황을 반영한다. 주 출입구의 아치나 종탑의 장미창도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전체적으로 십자가 모양을 띈 건물은 일직선의 의례 공간 양쪽으로 돌출된 트란셉트를 두어 성구실과 복사의 대기실로 사용한다.[11] 성당 출입문의 십자가 양식은 아일랜드 교회의 것으로 골룸바노 외방전교회와의 인연을 나타낸다.[7]

5. 4. 보수 및 현대화

1998년 4월부터 9월까지 성당 외관은 그대로 유지한 채 내부를 보수하였다.[2] 2006년 성당 건축 60주년을 맞아 천장과 바닥을 교체하고,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성모상 등 조각상을 새로 만들어 배치하였다.[12] 성당 보수와 미술품 배치에는 가톨릭미술가회가 참여하였으며, 기존 원형을 잘 보존하고 조화롭게 구성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7]

참조

[1] 간행물 문화재등록 문화재청장 2003-06-30
[2] 웹사이트 본당 약사 http://www.cccatholi[...]
[3] 뉴스 죽림동 성당 http://www.ancnews.k[...] 건축사신문 2020-02-17
[4] 웹사이트 죽림동 주교좌성당 · 순교성지 http://maria.catholi[...]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천주교 https://encykorea.ak[...] 2022-01-02
[6] 웹사이트 르메르 http://dictionary.ca[...]
[7] 뉴스 종교건축 이야기 (24) 춘천 죽림동 성당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07-03-19
[8] 웹사이트 춘천 문화유산 얼마나 알까? 죽림동 주교좌 성당 http://www.ccmunhwa.[...] 2020-02-14
[9] 웹사이트 고난을 이겨낸 평온의 성지 천주교 죽림동주교좌성당 http://www.munhwaton[...] 문화통신 2017-11-08
[10] 웹사이트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http://www.heritage.[...] 문화재청
[11] 뉴스 춘천 죽림동 성당(하)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4-07-28
[12] 웹사이트 춘천교구 설정 60돌 기념, 죽림동성당 중창록 발간 http://maria.catholi[...] 2006-01-22
[13] 뉴스 근현대 신앙의 증인 81위 춘천·원주·수원교구 현장조사 https://www.catholic[...] 가톨릭신문 2019-06-02
[14] 뉴스 춘천 죽림동주교좌본당 설립 10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개최 https://www.catholic[...] 가톨릭신문 2020-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