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출력 장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출력 장치는 컴퓨터에서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또는 인쇄 가능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시각 디스플레이는 모니터, 내장 디스플레이, 터미널, 프로젝터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CRT, LCD, LED, OLED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청각 디스플레이는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등이 있으며, 사운드 카드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된다. 촉각 디스플레이는 점자 디스플레이와 햅틱 기술을 활용하며, 인쇄 장치에는 프린터, 플로터, 텔레프린터가 있다. 또한, 서버와 같이 출력 장치 없이 작동하는 헤드리스(headless) 컴퓨터도 존재하며, 원격 액세스, 원격 데스크톱, KVM 스위치, 직렬 포트 등을 통해 관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출력 장치 - USB 플래시 드라이브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로, 플래시 메모리 발명 후 상용화되어 플로피 디스크나 CD를 대체하며 데이터 저장, 운영 체제 부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위조 제품, 보안 위협, 제한적인 쓰기 횟수 등의 문제점도 있다.
  • 컴퓨터 출력 장치 - 모노크롬 모니터
    모노크롬 모니터는 단일 색상의 형광체를 사용하여 흑백으로 문자와 그래픽을 표시하며, 1980년대 후반 컬러 모니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기도 하고, 레트로 트렌드에 따라 재조명받고 있다.
출력 장치
개요
유형컴퓨터 하드웨어
기능컴퓨터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장치
주요 출력 장치
시각적 출력모니터
프린터
플로터
프로젝터
청각적 출력컴퓨터 스피커
헤드폰
기타GPS
햅틱 장치
음성 합성 장치

2. 시각 디스플레이

사용 중인 모니터


시각 디스플레이는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장치로,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화면, 프로젝터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 화면에 시각적으로 출력을 표시하며, 출력은 화면에 일시적으로 나타나고 쉽게 변경하거나 지울 수 있어서 '소프트 카피'라고도 불린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셀을 행렬 형태로 배치하고, 적절한 픽셀 구성을 비추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한다. 픽셀 배열은 행과 열로 구성된 2차원 매트릭스 형태이며, 초당 여러 번(일반적으로 60, 75, 120 또는 144Hz) 갱신된다.[19]

일체형 PC,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PC 등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모바일 시스템, 카메라, 비디오 게임 시스템 등에도 사용된다.

2. 1. 인터페이스

컴퓨터와 디스플레이 간의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통해 이루어진다. GPU는 프레임 버퍼에 이미지를 생성하고,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통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HDMI, VGA, DVI 등)로 전송한다.[1]

2. 1. 1. 개별 GPU와 통합 GPU

GPU는 개별 장치와 통합 장치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는 외부 장치이고 후자는 CPU에 포함되어 있다.[1] 개별 그래픽 카드는 거의 항상 PCI Express 버스를 통해 호스트에 연결되며, 이전 그래픽 카드는 AGP 또는 PCI를 사용했을 수 있다. 일부 모바일 컴퓨터는 썬더볼트 (PCIe를 통해)를 통해 외부 그래픽 카드를 지원한다.

2. 2. 폼 팩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일체형 PC,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PC 등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모바일 시스템, 카메라 및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도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하는 구성을 밝혀 이미지를 형성한다. 래스터 디스플레이 장치는 행과 열로 구성된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되며, 초당 여러 번(일반적으로 60, 75, 120 또는 144Hz) 화면을 갱신한다.

2. 2. 1. 모니터



모니터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함께 사용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로 랩톱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모니터는 HDMI, DisplayPort, VGA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된다.[19]

구형 모니터는 CRT 기술을 사용하고, 최신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이며, TFT-LCD, LED, OLED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2. 2. 2. 내장 디스플레이

대부분의 모바일 장치는 내장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내장 디스플레이는 LVDS 또는 eDP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주요 장점은 휴대성이다.

2. 2. 3. 터미널

VT100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Colossal Cave Adventure


현대적인 픽셀 기반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기 전에는 문자 기반 표시 장치인 '''VDU'''와 컴퓨터 키보드로 구성된 컴퓨터 터미널이 사용되었다.[2] 이러한 터미널은 대개 단색이었으며 텍스트만 표시할 수 있었다. 아스키 아트와 상자 그리기 문자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그래픽을 표시할 수 있었다. 텔레타이프는 이러한 장치의 전신이었다.

2. 2. 4. 프로젝터

LED 프로젝터


프로젝터는 고출력 램프를 사용하여 컴퓨터 이미지를 표면에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슬라이드 쇼 프레젠테이션 또는 영화 상영에 사용된다.[3]

2. 3. 디스플레이 기술

디스플레이 기술은 작동 원리, 조명 유무, 픽셀 레이아웃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기술은 다음과 같다.[19]

  • 음극선관 (CRT): 전자관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 액정 디스플레이 (LCD): 액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한다.
  • 박막 트랜지스터 (TFT): LCD와 함께 사용되는 얇은 트랜지스터 층이다.
  • LED 백라이트 LCD: LED를 백라이트로 사용하는 LCD 디스플레이로, LED 기반 백라이트를 사용하기 전에는 냉음극 형광 (CCFL) 튜브가 사용되었다.
  •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 전자 종이 (e-ink): 캡슐화된 안료를 사용하여 인쇄된 종이와 유사한 이미지를 형성하며, 주로 전자책 단말기에 쓰인다.

2. 3. 1. 음극선관 (CRT)

CRT 화면은 전자관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며, 인광체로 코팅된 화면에 전자를 쏘아 픽셀을 밝혀 이미지를 표시한다.[20]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컬러 모니터가 보급되기 전, 흑백 모니터는 컴퓨팅 초기에 매우 일반적인 CRT 컴퓨터 모니터의 일종이었다. CRT는 기본적으로 브라운관을 의미하며, 브라운관 기술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한다. 오래된 텔레비전도 CRT 기술을 사용했기 때문에 기존의 텔레비전이나 오래된 텔레비전처럼 크고 부피가 크며 무거웠다. 화면에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큰 유리관 안에 밀봉된 전자총이 인으로 코팅된 화면에 전자를 발사하여 적절한 색상의 픽셀을 비춘다. 인광 물질은 전자에 노출된 후 제한된 시간 동안만 발광한다. 모니터 이미지는 지속적으로 다시 그려지거나 갱신되어야 하며, 일반적인 재생 빈도는 초당 60~85회이다. CRT는 전산화된 레지 시스템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এখনও 널리 사용되고 있다. 녹색 화면은 녹색 "P1" 인광 스크린을 사용하는 흑백 모니터의 일반적인 이름이었다.

2. 3. 2. 액정 디스플레이 (LCD)

LCD는 액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기술이다.[19]

2. 3. 3. 박막 트랜지스터 (TFT)

TFT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되는 얇은 트랜지스터 층을 의미한다.

2. 3. 4. LED 백라이트 LCD

LED를 백라이트로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이다. LED 기반 백라이트를 사용하기 전에는 냉음극 형광 (CCFL) 튜브가 사용되었다.[19]

2. 3. 5.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는 LED 디스플레이와 달리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다.[19]

2. 3. 6. 전자 종이 (e-ink)

전자 종이(e-ink)는 캡슐화된 안료를 사용하여 인쇄된 종이와 유사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기술이며, 일반적으로 전자책 단말기에서 사용된다.

2. 4. 색상 출력

컬러 모니터는 RGB 모니터라고도 불리며, 빨강, 녹색, 파랑의 세 가지 신호를 받는다. 컬러 모니터는 활성화될 때 빨강, 녹색, 파랑으로 보이는 세 가지 다른 형광체를 사용하여 RGB 색상 모델을 구현한다. 형광체를 서로 바로 옆에 배치하고 서로 다른 강도로 활성화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모니터가 표시할 수 있는 색상 수는 비디오 어댑터에 의해 제어된다.[5]

2. 4. 1. 단색 디스플레이

단색 모니터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컬러 모니터가 보편화되기 전 컴퓨팅 초창기에 흔히 사용되었던 CRT의 한 종류이다.[4] 흑백 모니터는 전경색과 배경색, 두 가지 색상을 표시한다. 이 색상은 흑백, 녹색과 흑색, 또는 호박색과 흑색으로 나타낼 수 있다.

현재는 전산화된 금전 등록기 시스템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린 스크린은 녹색 "P1" 형광체 화면을 사용하는 단색 모니터의 일반적인 명칭이었다.

2. 4. 2. 컬러 디스플레이

컬러 모니터는 RGB 모니터라고도 불리며, 빨강, 녹색, 파랑의 세 가지 개별 신호를 받는다. 컬러 모니터는 활성화될 때 빨강, 녹색, 파랑으로 보이는 세 가지 다른 형광체를 사용하여 RGB 색상 모델을 구현한다. 형광체를 서로 바로 옆에 배치하고 서로 다른 강도로 활성화함으로써 컬러 모니터는 무한한 수의 색상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든 모니터가 표시할 수 있는 실제 색상 수는 비디오 어댑터에 의해 제어된다.[5]

3. 청각 디스플레이

청각 디스플레이는 소리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스피커는 진동하는 변환기를 통해 소리를 생성하는 대표적인 청각 디스플레이 장치이다.[1] 마이크는 스피커와 반대로 소리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스피커는 보통 한 쌍으로 사용되어 위치 오디오를 생성하며, 두 쌍 이상을 사용하면 서라운드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다.[1]

스마트폰에 연결된 스피커


스피커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무선 스피커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에 연결된다.[1] 일부 컴퓨터 모델에는 크기를 줄이기 위해 내장 스피커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음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내장 스피커를 사용하면 외부 스피커 없이도 미디어를 들을 수 있다.[1]

3. 1. 인터페이스

컴퓨터와 청각 출력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는 사운드 카드이다. 사운드 카드는 컴퓨터의 마더보드에 내장되거나, 확장 카드로 설치되거나, 데스크톱 유닛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6][7]

사운드 카드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출력은 종종 전기 신호 또는 광섬유 인터페이스인 TOSLINK를 사용하여 SPDIF를 통해 전송된다. 디지털 출력은 이후 AV 리시버에 의해 디코딩된다.

무선 오디오의 경우, 컴퓨터는 단순히 전파를 전송하며, 디코딩 및 출력의 책임은 스피커로 이전된다.

3. 2. 폼 팩터

스피커는 다양한 폼 팩터로 제공된다. 일반적인 컴퓨터용 스피커는 책상 위에 놓을 수 있도록 크기가 작게 설계되어 있으며, USB 전원을 사용하고 3.5mm 폰 커넥터로 연결된다. PC 스피커는 IBM PC 호환 컴퓨터에 내장된 간단한 스피커로, 삐 소리와 같은 소리를 낸다. 최신 컴퓨터는 압전 부저나 작은 스피커를 PC 스피커로 사용하며, 부팅 과정에서 오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스튜디오 모니터는 스튜디오 환경에서 사용되며 정확성을 위해 특정 주파수를 강조하거나 약화시키지 않는 플랫(선형) 주파수 응답을 생성한다. 헤드폰, 이어폰은 사용자의 머리나 귀에 착용하는 스피커로, 주변 사람들에게 소리가 들리지 않아 조용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은 주변 소음 감소 기능이 있으며,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을 사용할 수 있다.

3. 2. 1. 컴퓨터 스피커

컴퓨터 스피커는 컴퓨터 사용을 위해 제작된 스피커이다. 이러한 스피커는 책상 위에 놓이도록 설계되었으며, 따라서 기존 스피커만큼 크지 않다.[8]

컴퓨터 스피커는 USB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가장 흔하게 3.5mm 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다.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되는 한 쌍의 컴퓨터 스피커서브우퍼

3. 2. 2. PC 스피커

'''PC 스피커'''는 IBM PC 호환 컴퓨터에 내장된 간단한 스피커이다. 사운드 카드와 함께 사용되는 스피커와 달리 PC 스피커는 단순히 사각파를 생성하여 삐 소리와 같은 소리를 내도록 설계되었다.

최신 컴퓨터는 압전 부저 또는 작은 스피커를 PC 스피커로 사용한다.

PC 스피커는 컴퓨터 부팅 과정에서 오류를 식별하기 위해 전원 켜짐 자가 진단 동안 사용되며, 비디오 출력 장치가 존재하고 작동할 필요가 없다.

3. 2. 3. 스튜디오 모니터

스튜디오 모니터는 스튜디오 환경에서 사용되는 스피커이다. 이 스피커들은 정확성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었다.[9] 모니터는 특정 주파수를 강조하거나 약화시키지 않는 플랫(선형) 주파수 응답을 생성한다.[9]

3. 2. 4. 헤드폰

'''헤드폰''', '''이어폰''', '''이어피스'''는 사용자의 머리나 귀에 착용하는 스피커의 일종이다.

헤드폰은 스피커와 달리 주변 사람들에게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설계되어 공공 장소, 사무실 등 조용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은 주변 소음 감소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을 사용할 수 있다.

3. 3. 기술

스피커는 여러 개의 스피커 인클로저 내 구성 요소로 구성되며, 여기에는 여러 개의 전자기 스피커 드라이버, 액티브 앰프, 크로스오버 및 기타 전자 장치가 포함된다. 여러 개의 드라이버는 전체 주파수 인간의 가청 범위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며, 트위터는 고음을, 우퍼는 저음을 생성한다. 풀 레인지 스피커는 하나의 드라이버만 사용하여 가능한 한 많은 주파수 응답을 생성한다.[10]

4. 촉각 디스플레이

촉각 디스플레이는 촉각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예로 점자 디스플레이가 있는데, 표면의 구멍에서 핀을 돌출시켜 점자 문자를 출력한다. 이는 시각 장애인이 스크린 리더의 대안으로 사용한다.[11]

4. 1. 점자 디스플레이

'''점자 디스플레이'''는 표면의 구멍에서 핀을 돌출시켜 점자 문자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이 스크린 리더의 대안으로 사용한다.[11]

사용 중인 점자 디스플레이

4. 2. 햅틱 기술

'''햅틱 기술'''은 진동이나 움직임을 통해 촉각을 유도하는 기술이다.[12] 1990년대 후반 게임 컨트롤러에 도입되어 비디오 게임을 하는 동안 촉각 피드백을 제공했다. 햅틱 피드백은 자동차, 비행 시뮬레이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등에도 사용된다.[13][14]

애플은 모바일 기기에 3D 터치 및 포스 터치라는 이름으로 햅틱 기술을 추가했다. 이 기술로 여러 장치가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힘의 양을 감지할 수 있으며, 맥북터치패드에서 두 단계의 힘을 감지하여 햅틱 감각을 생성한다.[15]

5. 인쇄 장치

인쇄 장치는 데이터를 종이와 같은 물리적인 매체에 출력하는 장치이다.

5. 1. 프린터

프린터는 데이터를 물리적인 항목, 일반적으로 종이에 출력하는 장치이다.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형태로 잉크를 이 매체에 전송하여 작동한다.

초기 프린터는 텍스트만 인쇄할 수 있었지만, 이후 개발을 통해 그래픽 인쇄가 가능해졌다. 현대적인 프린터는 벡터 그래픽스, 이미지, 페이지 설명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또는 문자열과 같은 다양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프린터가 존재한다.

  • 잉크젯 프린터: 인쇄 헤드의 일련의 노즐을 통해 인쇄 매체에 미세한 잉크 방울을 분사한다.
  • 레이저 프린터: 레이저를 사용하여 토너 드럼을 충전하여 토너가 매체에 달라붙는 지점을 표시한다.
  • 열전사 프린터: 열에 민감한 종이 롤을 가열하여 잉크를 나타내는 프린터이다. 영수증을 인쇄하기 위해 소매점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임팩트 프린터를 사용하여 리본에서 매체로 잉크를 전사하는 프린터이다.

5. 2. 플로터

플로터는 벡터 그래픽을 인쇄하는 데 사용되는 프린터의 한 유형이다. 플로터는 인쇄 매체에 픽셀을 그리는 대신 선을 그린다. 이는 연필이나 펜과 같은 필기도구로 수행될 수 있다.[16]

5. 3. 텔레프린터

텔레타이프 또는 텔레프린터(TTY)는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프린터의 한 종류이다.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기 전, 초기 컴퓨터는 시스템 콘솔에 접근하기 위해 텔레프린터만 사용했다. 작업자가 키보드로 명령을 입력하면 텔레프린터는 결과를 종이에 출력했다. 텔레프린터는 결국 프린터 대신 디스플레이가 있는 컴퓨터 터미널로 대체되었다.

6. 헤드리스 작동

컴퓨터는 출력 장치 없이도 계속 작동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기본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서버에서 흔히 수행된다. 직렬 포트 또는 LAN 케이블을 통해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로컬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 원격 위치에서 낮은 수준의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서버가 비디오 출력을 갖도록 구성된 경우, 서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유지 보수 또는 관리를 위해 임시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때로는 KVM 스위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장치를 통해 여러 서버가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중화되기도 한다.

원격 시스템을 사용하는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원격 액세스''': 컴퓨터의 시스템 콘솔텔넷 또는 SSH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 '''원격 데스크톱''': 모니터 없이도 원격 액세스를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 '''KVM 스위치''': 여러 대의 컴퓨터를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여 컴퓨터 간에 전환할 수 있다.
  • '''직렬 포트''': 직렬 콘솔을 연결하여 장치의 콘솔에 액세스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iscrete vs Integrated Graphics https://www.technipa[...] 2020-07-22
[2] 웹사이트 The Forgotten World of Dumb Terminals https://www.pcmag.co[...]
[3] 웹사이트 What is a Projector? https://www.computer[...]
[4] 뉴스 Understanding of Cathode Ray Tube – CRT https://www.elprocus[...] 2018-09-15
[5] 뉴스 Types of Video Adapters {{!}} Techwalla.com https://www.techwall[...] 2018-09-15
[6] 웹사이트 What is a sound card?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www.soundguy[...] 2023-02-10
[7] 웹사이트 What Is a Sound Card & What Does It Do? https://www.lifewire[...]
[8] 웹사이트 Desktop and hi-fi speakers, what's the difference? https://www.cnet.com[...]
[9] 웹사이트 What Is a Studio Monitor and What Are They Used For https://bpmskills.co[...]
[10] 웹사이트 Guide on what is a Full Range Speaker? Should I Go For it? https://audiocurious[...]
[11] 웹사이트 Refreshable Braille Displays https://www.afb.org/[...]
[12] 웹사이트 Haptic technology basics {{!}} How haptic technology Works https://www.rfwirele[...]
[13] 웹사이트 What is Haptic Feedback? https://www.ultralea[...]
[14] 웹사이트 Haptic Feedback and BCI https://www.aratroni[...]
[15] 웹사이트 Apple Introduces iPhone 6s & iPhone 6s Plus https://www.apple.co[...]
[16] 웹사이트 What is plotter? - Definition from WhatIs.com https://www.techtarg[...]
[17] 웹사이트 Graphic output device https://run.edu.ng/d[...] 2018-09-15
[18] 웹사이트 Speech Synthesis http://www.cs.tut.fi[...] 2018-09-15
[19] 웹사이트 Definition of a Matrix https://nptel.ac.in/[...] 2018-09-15
[20] 뉴스 Understanding of Cathode Ray Tube – CRT https://www.elprocus[...] 2018-09-15
[21] 뉴스 Types of Video Adapters {{!}} Techwalla.com https://www.techwall[...] 2018-09-15
[22] 웹사이트 Contents https://nptel.ac.in/[...] 2018-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