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ndefined

충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사람

  • 충무 - 국가에 큰 공을 세운 군인이나 장군 등에게 내려졌던 시호이며, 그것을 높이어 부를 때 충무공·충무후라고 한다.

한국 사람

  • 충무 - 무관에게 내리는 최고의 시호로 고려시대에 3명, 조선시대에 9명으로 총 12명이 충무라는 시호를 받았다.

고려

  • 충무공 지용수 - 고려 말의 장수로 규의선력공신(揆義宣力功臣)의 호를 하사받았으며, 덕흥군(德興君)의 군대를 격퇴한 공으로 추성규의선력공신(推誠揆義宣力功臣)의 호를 더하여 하사받았다. 시호(諡號)는 충무(忠武)이다.
  • 충무공 박병묵 - 나주박씨의 시조(羅州朴氏 始祖)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시호(諡號)는 충무(忠武)이다.
  • 충무공 최필달 - 고려 태조를 도와 고려 건국에 기여한 공으로 918년(태조 1)에 삼중대광 삼한벽상 찬화공신(三重大匡三韓壁上贊化功臣)에 훈 봉되었다. 벼슬은 영첨의좌정승(領僉議左政丞)을 지냈으며 경흥부원군(慶興府院君)에 봉해졌다. 강릉 최씨(江陵 崔氏)의 시조(始祖)로 시호(諡號)는충무(忠武)이다.

조선

  • 충무 - 조선 시대에 무관에게 내리는 최고의 시호이다. 문관의 경우 충문 또는 문충이다.
  • 조영무 - 조영무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이성계의 사병으로 시작하여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태종 즉위 후 우정승에 이르렀고 사후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충무공 이순신 - 조선의 명장으로 흔히 충무의 시호를 가진 인물들 중에 가장 유명하고 널리 알려져 있다.
  • 남이 - 조선 초기의 무신 남이는 이시애의 난 평정 공으로 병조판서에 올랐으나 유자광의 모함으로 처형되었고, 그의 시조는 민중들에게 애송되었으며 민간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 구인후 - 구인후는 조선 시대 무신이자 정치인으로, 인조반정 참여,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에서의 공훈, 그리고 심기원의 모역 음모 적발 등의 공로를 세워 정사공신, 영국공신에 책록되고 우의정과 좌의정까지 역임한 인물이다.
  • 정충신 - 정충신은 임진왜란과 이괄의 난에서 공을 세운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국방에 기여한 공로로 금남군에 봉해졌고 사후 충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그의 이름은 광주 금남로의 유래가 되었다.
  • 귀성군 - 귀성군 이준은 조선 세종의 손자이자 이시애의 난 평정에 공을 세운 인물이지만, 왕의 재목이라는 칭송으로 유배를 겪고 사후 복관되었으며, 권력 남용으로 민심을 잃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김시민 - 김시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진주성을 지켜낸 공을 인정받아 진주목사가 되었으나,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부상으로 39세에 전사, 사후 선무공신과 영의정에 추증되며 임진왜란 극복에 기여한 공로로 칭송받는 인물이다.
  • 이수일 (1554년) - 충무공 이수일은 조선의 장수이다.
  • 김응하 - 충무공 김응하는 조선의 장수이다.

중국 사람

  • 충무 - 제갈량의 시호이다.
  • 충무 - 악비의 시호이다.

지명

행정구역명

  • 충무시 - 1994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도시로, 현재는 통영시로 통합되었다.
  • 충무동 - 대한민국의 동(洞)이다.
  • 충무동 (부산) - 부산광역시 서구의 행정동
  • 충무동 (창원시) - 창원시 진해구 충무동은 웅천현에서 시작하여 진해시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행정동 통폐합을 통해 중앙동, 태평동을 통합했고, 37개의 법정동을 관할하며 남빈동을 포함, 교육기관과 시외버스터미널을 갖추고 있다.
  • 충무동 (목포시) - 전라남도 목포시의 법정동
  • 충무동 (여수시) - 전라남도 여수시의 행정동
  • 충무로 - 충무로는 서울 중구의 명동8나길에서 퇴계로49길 사이 골목길 주변 지역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이순신 장군의 시호를 따 명명되었으며, 영화 산업의 중심지이자 인쇄 및 출판업이 발달했고, 현재는 애견거리와 충무로국제영화제로도 알려져 있다.
  • 충무로역 - 충무로역은 3호선과 4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1985년에 개통되었으며, 남산골한옥마을, 대한극장, 동국대학교 등의 명소가 주변에 위치하고 2018년 기준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64,602명이다.
  • 충무로 (동음이의) - 이 외에도 충무로라는 이름의 도로가 대한민국에 몇 개 있다. 충무로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라.
  • 충무공동 - 충무공동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하며 김시민 장군의 호에서 유래된 동으로, 경남진주혁신도시가 조성되어 있고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과 천연기념물 제534호로 지정된 발자국 화석산지가 위치해 있다.

학교 명칭

  • 충무고등학교 - 충무고등학교는 1985년 개교하여 현재의 교사로 이전했고, 사교육 절감 지원 사업 운영학교로 선정되었으며, 2023년까지 총 10,734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고등학교이다.
  • 충무중학교 - 충무중학교는 1983년 개교하여 2023년 3월 현재 18학급(특수학급 2개 포함)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회 각계각층의 동문을 배출한 대한민국 중학교이다.
  • 충무여자중학교 - 충무여자중학교는 1985년 개교한 대한민국의 여자 중학교로, 교육 정보화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국제이해 교육, 혁신학교 등으로 지정 운영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동문을 배출했다.
  • 충무초등학교 - 경상남도 통영시 정량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이다.

묘소 · 사당 · 공원

  • 충무사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에 있는 이순신을 모신 조선시대의 사당이다.
  • 충무공원 - 남망산공원의 별명이다.
  • 충무유원지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동정리에 있는 유원지이다.
  • 악왕묘 - 충무묘는 탕인 악비묘(湯陰 岳飛廟)의 다른 이름이다. 원래 이름은 악왕묘이다.

기타 지명

  • 충무아트홀 - 서울특별시 중구 홍인동에 있는 문화 공간이다.
  • 충무해저터널 -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해저터널이다.

기타

  • DDH-975 충무공 이순신 - 충무공이순신함은 대한민국 최초의 4,000톤급 국산 구축함이다.
  • 충무김밥 - 충무김밥은 1930년대 뱃사람들의 도시락에서 유래하여 속 없는 김밥과 깍두기, 꼴뚜기 볶음 무침을 함께 제공하는 음식으로, 국풍81 행사를 통해 전국적으로 알려졌으며 꼴뚜기 무침은 다른 해산물로 대체되기도 하고 깍두기 대신 섞박지를 곁들이기도 한다.
  • 충무급 구축함 - 충무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1960년대에 해상 전력 강화를 위해 미국에서 대여한 플레처급 구축함을 기반으로 건조되었으며, 충무함, 서울함, 부산함 등이 해상 방어 임무를 수행하다 노후화로 1980년대에 퇴역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