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관은 치아의 머리 부분으로, 해부학적 치관과 임상적 치관으로 구분된다. 해부학적 치관은 법랑질로 덮인 부분을, 임상적 치관은 잇몸 밖으로 노출되어 보이는 부분을 의미한다. 치관은 저작, 발음, 심미적 기능을 담당하며, 법랑질, 상아질, 치수로 구성된다. 치관의 형태는 치아에 따라 다르며, 치면, 융기부, 함몰부 등의 구조를 가진다. 치관 관련 질환으로는 충치, 치주 질환 등이 있으며, 치관 수복 및 성형 치료가 시행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의 구조 - 상아질
    상아질은 치아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상아질 소관을 통해 치수에서 법랑질 또는 백악질 경계까지 뻗어 있으며, 무기질, 유기질, 수분으로 구성되고, 상아질 형성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 이의 구조 - 치수
    치수는 치아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아질을 형성하고 영양을 공급하며 보호 및 감각, 방어 및 수복 기능을 수행하는 신경혈관 다발이다.
치관
개요
치아 해부학 그림, 치관은 왼쪽에 레이블됨.
치관 (그림 왼쪽)
라틴어corona dentis
설명치아의 법랑질로 덮인 부분

2. 해부학적 치관과 임상적 치관

치아의 머리 부분인 치관은 해부학적 기준과 임상적 기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해부학적 치관은 법랑질로 덮여 있는 부분이고, 임상적 치관은 잇몸 밖으로 나와 입안에 보이는 부분, 즉 치은선 위쪽 부분을 말한다.

2. 1. 해부학적 치관

법랑질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치아는 해부학적으로 치관과 치근으로 나뉠 수 있으며, 법랑질이 둘러싸고 있는 부분을 해부학적 치관이라 정의한다.

2. 2. 임상적 치관

임상적 치관(臨床的齒冠, clinical crown)은 잇몸 밖으로 노출되어 구강 내에서 실제로 보이는 부분을 의미한다. 달리 정의하면 치은선의 위쪽 부위만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1] 치주 질환 등으로 잇몸이 내려가면 해부학적 치관보다 임상적 치관이 더 커질 수 있다.

3. 치관의 구조

치관은 치아의 일반적 기능인 저작, 발음, 심미를 담당한다. 치관의 모양은 치아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그 조직학적인 구조는 거의 유사하다. 치관은 법랑질로 둘러싸여 있으며, 법랑질은 96% 이상이 무기물로 이루어진 경조직으로, 그 주요 구성성분은 수산화인회석이다. 법랑질 하방에는 상아질이 존재하며, 그 하방에는 치수가 존재한다. 치관에는 치면, 연, 융기부, 함몰부와 같은 구조물이 존재한다.[1]

3. 1. 법랑질

치관을 둘러싸고 있는 가장 바깥쪽의 단단한 조직이다. 무기질이 96% 이상이며, 수산화인회석이 주성분이다.

3. 2. 상아질

상아질은 법랑질 하방에 존재하며, 치아의 일반적인 기능인 저작, 발음, 심미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치수보다는 상방에 존재한다.

3. 3. 치수

치수는 상아질 하방에 존재하는 조직으로, 치아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혈관과 신경이 분포하여 치아에 영양을 공급하고 감각을 담당한다.

4. 치관의 형태

치관은 저작(음식물을 씹는 기능), 발음, 심미(겉으로 드러나는 아름다움)를 담당한다. 치관의 모양은 치아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그 조직학적인 구조는 거의 유사하다. 치관은 법랑질로 둘러싸여 있으며, 법랑질은 96% 이상이 무기물로 이루어진 단단한 조직으로, 주성분은 수산화인회석이다. 법랑질 아래에는 상아질이, 그 아래에는 치수가 존재한다.

치관에는 치면, 연, 융기부, 함몰부와 같은 구조물이 존재한다. 치아는 종류에 따라 앞니(전치), 송곳니(견치), 작은 어금니(소구치), 큰 어금니(대구치)로 나뉘며, 각각의 기능에 맞게 형태가 특화되어 있다. 앞니는 음식을 자르는 역할, 송곳니는 음식을 찢는 역할, 작은 어금니와 큰 어금니는 음식을 갈고 부수는 역할을 한다.

4. 1. 전치의 치면

앞니의 겉면은 입술 쪽을 향하는 순면, 혀 쪽을 향하는 설면, 인접 치아와 맞닿는 근심면 및 원심면, 음식을 자르는 절단면으로 구성된다.[1]

  • '''순면'''(脣面, labial surface): 입술쪽을 향한 면이다.[1]
  • '''설면'''(舌面, lingual surface): 혀쪽을 향한 면이다.[1]
  • '''인접면'''(隣接面, proximal surface) 또는 '''접촉면'''(接觸面, contact surface): 두 치아가 맞닿는 면이다. 정중선에 가까운 면을 근심면(近心面, mesial surface), 먼 면을 원심면(遠心面, distal surface)라 한다.[1]
  • '''절단면'''(切斷面, incisal surface) 또는 '''절단연'''(切斷緣, incisal edge): 입을 다물 때 마주보는 치아(윗니-아랫니)끼리 맞닿는 면을 의미한다.[1]


순면 및 설면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1]

  • '''절단연'''(切斷緣, incisal margin): 입을 다물 때 마주보는 치아(윗니-아랫니)끼리 맞닿는 경계선이다.
  • '''근심연'''(近心緣, mesial margin): 근심에 가까운 경계선이다.
  • '''원심연'''(遠心緣, distal margin): 원심에 가까운 경계선이다.
  • '''치경연'''(齒頸緣, cervical margin): 법랑질의 하방 경계선이다.


인접면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1]

  • '''순측연'''(脣側緣, labial margin): 입술에 가까운 쪽 경계선이다.
  • '''설측연'''(舌側緣, lingual margin): 혀에 가까운 쪽 경계선이다.
  • '''치경연'''(齒頸緣, cervical margin): 법랑질의 하방 경계선이다.

4. 2. 구치의 치면

구치의 치면은 다음과 같다.

  • '''협면'''(頰面, buccal surface): 뺨쪽을 향한 면이다.
  • '''설면'''(舌面, lingual surface): 혀쪽을 향한 면이다.
  • '''접촉면'''(接觸面, contact surface): 두 치아가 맞닿는 면으로, 정중선에 가까운 면을 근심면(近心面, mesial surface), 먼 면을 원심면(遠心面, distal surface)이라 한다.
  • '''교합면'''(咬合面, occlusal surface), 또는 '''저작연'''(咀嚼緣, mastication surface): 입을 다물 때 마주보는 치아(윗니-아랫니)끼리 맞닿는 면이다.


협면 및 설면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 '''근심연'''(近心緣, mesial margin): 근심에 가까운 경계선이다.
  • '''원심연'''(遠心緣, distal margin): 원심에 가까운 경계선이다.
  • '''교합연'''(咬合面, occlusal margin): 입을 다물 때 마주보는 치아(윗니-아랫니)끼리 맞닿는 경계선이다.
  • '''치경연'''(齒頸緣, cervical margin): 법랑질의 하방 경계선이다.


인접면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 '''협측연'''(頰側緣, buccal margin): 볼에 가까운 쪽 경계선이다.
  • '''설측연'''(舌側緣, lingual margin): 혀에 가까운 쪽 경계선이다.
  • '''교합연'''(咬合面, occlusal margin): 입을 다물 때 마주보는 치아(윗니-아랫니)끼리 맞닿는 경계선이다.
  • '''치경연'''(齒頸緣, cervical margin): 법랑질의 하방 경계선이다.


교합면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 '''협측연'''(頰側緣, buccal margin): 볼에 가까운 쪽 경계선이다.
  • '''설측연'''(舌側緣, lingual margin): 혀에 가까운 쪽 경계선이다.
  • '''근심연'''(近心緣, mesial margin): 근심에 가까운 경계선이다.
  • '''원심연'''(遠心緣, distal margin): 원심에 가까운 경계선이다.

5. 치관의 융기부

치관에서 돌출된 부분을 융기부라고 한다. 융기부는 저작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교두: 구치의 씹는 면에서 튀어나온 부분이다.
  • 융선: 치아에서 선 모양으로 튀어나온 부분이다.
  • 교두융선: 구치교두정에서 뻗어나온 융선이다.
  • 삼각융선: 구치의 주요 교두정에서 교합면 중심으로 내려오는 삼각형 모양의 융선이다.
  • 변연융선: 전치 설면과 구치 교합면 끝부분의 융선이다.
  • 횡주융선: 소구치와 하악 대구치 교합면을 가로지르는 융선이다.
  • 사주융선: 상악 대구치 교합면에서 사선으로 연결된 융선이다.
  • 설면융선: 상악 중절치와 상악 견치의 설면에서 나타나는 융선이다.
  • 결절: 치아에서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이다.
  • 절단결절(마멜론): 앞니의 절단연에 존재하는 작은 결절이다.
  • 설면결절: 앞니 설면의 치경으로부터 1/3 부위에 크게 튀어나와 있는 부분이다.

5. 1. 교두

구치의 씹는 면에서 튀어나온 부분이다. 교두에서 가장 돌출된 부위는 교두정이라고 부른다.

위턱과 아래턱의 치아 교두가 서로 맞물려 있다.

5. 2. 융선

융선(隆線, ridge)은 치아에서 선 모양으로 튀어나온 부분이다.

  • '''교두융선'''(咬頭隆線, cusp ridge): 구치에 존재하는 교두정에서 협측, 설측, 근심측, 원심측으로 뻗어나온 융선이다.
  • '''삼각융선'''(三角隆線, triangular ridge): 구치의 주요 교두정에서 교합면 중심으로 내려오는 융선으로,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 '''변연융선'''(邊緣隆線, marginal ridge): 전치 설면과 구치 교합면의 끝부분에 존재하는 융선이다.
  • '''횡주융선'''(橫走隆線, transverse ridge): 소구치와 하악 대구치 교합면의 협측과 설측에서 두 개의 삼각융선이 상호 연결되어 교합면을 가로지르는 융선이다.
  • '''사주융선'''(斜走隆線, oblique ridge): 상악 대구치 교합면의 협측과 설측에서 두 개의 삼각융선이 사선으로 연결된 융선이다.
  • '''설면융선'''(舌面隆線, lingual ridge): 상악 중절치와 상악 견치의 설면에서 나타나는 융선으로, 설면결절에서 절단연을 향해 내려온다.

5. 3. 결절

결절(結節, tubercle)은 치아에서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위를 의미한다.

  • '''절단결절'''(切斷結節, 마멜론, mamelon): 앞니의 절단연에 존재하는 작은 결절이다. 처음 치아가 맹출됐을 때에는 3개의 결절이 분명하게 보이나, 이후 서서히 마모되기 때문에 사람의 나이를 확인하는 데에 쓰일 수 있다.
  • '''설면결절'''(舌面結節, cingulum): 앞니 설면의 치경으로부터 1/3 부위에 크게 튀어나와 있는 부분이다.

6. 치관의 함몰부

치관에는 치면, 연, 융기부, 함몰부와 같은 구조물이 있다. 함몰부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으로, , , 소와, 등이 있으며, 충치가 발생하기 쉬운 부위이다.

6. 1. 구

구(溝, sulcus 또는 groove)는 치관에서 선 모양으로 함몰된 부위이다. 교두나 융선 사이에 존재한다.[1]

6. 2. 와

둥근 모양의 함몰부이다.

6. 3. 소와

'''소와'''(小窩, pit)는 와에서 가장 깊은 곳이다.[1] 관리가 쉽지 않아 충치가 빈발하는 곳이다.[1]

6. 4. 열

법랑질의 불완전한 결합으로 인해 생긴 가는 틈새이다. 관리가 쉽지 않아 충치가 빈발하는 곳이다.[1]

7. 치관 관련 질환 및 치료

대한민국에서는 충치와 치주 질환 등 치관 관련 질환이 흔하게 발생한다. 충치는 치아 표면에 세균이 번식하여 산을 생성하고, 이 산이 치아를 부식시키는 질환이다. 치주 질환은 치아 주변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잇몸 출혈, 붓기, 통증 등을 유발한다.

이러한 치관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치과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충치 치료에는 손상된 부위를 제거하고 레진이나 아말감 등의 재료로 채워 넣는 충전 치료, 신경까지 손상된 경우 신경 치료 후 크라운을 씌우는 치료 등이 있다. 치주 질환 치료에는 치석 제거, 잇몸 수술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치아를 발치해야 할 수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rown and Bridge https://web.archive.[...] 2016-06-06
[2] 웹사이트 American Dental Association Crown and Bridge http://www.ada.org/p[...] 2013-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