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천국은 전한 시대에 존재했던 제후국으로, 기원전 164년에 제나라를 분할하여 설치되었다. 유현을 초대 왕으로 봉했으며, 오초칠국의 난 이후에는 유지가 왕위를 이었다. 치천국은 청주에 속했으며, 극현을 수도로 삼았다. 치천국에는 3개의 현이 있었고, 21개의 왕자후국이 설치되었다. 신나라 시대에는 극현의 이름이 유(兪)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치천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국가 | 중국 |
존속 기간 | 기원전 202년 ~ 37년 |
수도 | 극현 |
역사 | |
성립 | 기원전 202년 |
폐지 | 37년 |
역대 왕 | |
치천의왕 | 전담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89년) 유현 (기원전 189년 ~ 기원전 179년) 유태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65년) 유치 (기원전 164년 ~ 기원전 154년) 유건 (기원전 154년 ~ 기원전 129년) 유순 (기원전 129년 ~ 기원전 118년) 유청 (기원전 118년 ~ 기원전 109년) 유고 (기원전 109년 ~ 기원전 74년) 유상 (기원전 74년 ~ 기원전 46년) 유종고 (기원전 46년 ~ 기원전 41년) 유영 (기원전 41년 ~ 기원전 39년) 유횡 (기원전 39년 ~ 기원전 37년) |
2. 역사
기원전 165년, 제문왕이 죽자 제나라는 폐지되었다. 이후 기원전 164년 제나라가 분할 부활하면서 치천국이 설치되었고, 유현이 왕으로 봉해졌다. 치천국의 영토는 제나라 내사지(구 임치군) 임치현의 동부 지역이었다.[5][6][7]
2. 1. 전한 시대
기원전 164년, 제나라를 분할 부활하면서 치천국을 만들고 유현을 왕으로 봉했다. 영토는 제나라 내사지(구 임치군)의 임치현 동부였다.[5][6][7] 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유현이 가담했다 자결하자 원래 제북왕이던 치천의왕을 옮겨 봉했다.[5][6][7] 기원전 127년 제나라가 폐지되면서 남아 있던 제도혜왕의 후예 왕국 중 임치에 더 가까워서 임치에 있던 제도혜왕의 무덤과 그 동쪽 땅을 받아 도혜왕의 제사를 망한 제나라 대신 맡았다.[5][6][7]기원전 57년 ~ 기원전 54년 사이, 치천사왕이 죄를 지어 치천나라에서 4현을 삭감했다.[5] 삭감한 현의 이름은 나오지 않으나 왕자후국이 아닌데 치천나라에서 사라진 현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익도후국이 익현에서 분할됐고 육후국이 수광현에서 분할됐는데 두 현 모두 북해군에 속하므로 치천나라에서 넘어간 것이다. 또 공손홍은 치천국 설현(薛縣) 사람으로 바다에서 돼지를 키웠다 하니 설현 역시 치천나라의 속현인데 원연·수화 연간에는 치천나라에서 사라져 있다. 수광현에 상설성(霜雪城)이 있는데 설(雪)이 설(薛)의 오자로 의심된다. 곧 익·수광·설 3현이 이때에 삭감됐을 수 있다. 한편 설현을 통해 치천국이 원래는 바닷가까지 뻗쳐 있었음을 알 수 있다.[7]
청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50,289호에 인구 227,031명이었다. 서울은 극현이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8] 원연·수화 연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3현이다.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극현 | 劇縣 | 웨이팡시 서우광시 남 | 의산(義山)에서 유수(蕤水)가 나와 수광(壽光)에서 바다로 들어간다. |
동안평현 | 東安平縣 | 쯔보시 동 | |
누현 | 樓縣 | 웨이팡시 서우광시 서 |
[9][10]
다음은 치천왕의 왕자후들로, 총 21후국이다.
이름 | 봉해진 때 | 폐해진 때 | 왕자후표의 말격 | 지리지의 소속 군 |
---|---|---|---|---|
용구(龍丘) | 기원전 127년 5월 을사일 | 기원전 112년 | 낭야 | |
극(劇) | ? | 북해 | ||
회창(懷昌) | ? | |||
평망(平望) | ? | 북해 | ||
임중(臨衆) | 시건국 원년 | 임원(臨原) | ||
갈괴(葛魁) | 기원전 114년 | |||
익도(益都) | 기원전 78년 | |||
평적(平的) | ? | |||
극괴(劇魁) | ? | 북해 | ||
수량(壽梁) | 기원전 112년 | 수락(壽樂) | ||
평도(平度) | ? | 동래 | ||
의성(宜成) | 기원전 104년 | 평원 | 제남 | |
임구(臨胊) | ? | 동해 | 동래, 제 | |
육(陸) | 기원전 116년 7월 신묘일 | 기원전 55년 | 수광(壽光) | |
광요(廣饒) | 시건국 원년 | 제 | ||
병(缾) | 낭야 | |||
유려(兪閭) | 기원전 46년 | |||
북향(北鄕) | 기원전 35년 6월 | 시건국 원년 | 제 | |
광(廣) | 기원전 33년 4월 정묘일 | 시건국 원년? | 제 | 제 |
평(平) | 제?[11] | |||
대(臺) | 기원전 11년 정월 계묘일 | 시건국 원년 | 제 |
《거양수주》에 거양수가 익현고성(益縣故城)과 익도성(益都城)을 지난다는 말이 있는데, 이를 통해 익도후국이 익현의 일부일 것으로 추정된다. 더 나아가, 현의 향이나 정을 후국으로 봉하고 현의 이름을 그 후국 이름의 머릿글자로 삼거나 심지어는 현의 이름과 같게 후국의 이름을 지어주는 관습을 엿볼 수 있다. 극후국·극괴후국이 그 예다.[7]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극 | 유(兪) |
2. 2. 왕자후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유현이 가담했다 자결하자 원래 제북왕이던 치천의왕을 옮겨 봉했다.[5][6][7] 원삭 2년(기원전 127년), 제나라가 폐지되면서 남아 있던 제도혜왕의 후예 왕국 중 임치에 더 가까워 임치에 있던 제도혜왕의 무덤과 그 동쪽 땅을 받아 망한 제나라 대신 제도혜왕의 제사를 맡았다.[5][6][7]오봉 중(기원전 57년 ~ 기원전 54년), 치천사왕이 죄를 지어 치천나라에서 4현을 삭감했다.[5] 삭감된 현의 이름은 나오지 않으나 왕자후국이 아닌데 치천나라에서 사라진 현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익도후국은 익현에서, 육후국은 수광현에서 분할됐는데 두 현 모두 북해군에 속하므로 치천나라에서 넘어간 것이다. 공손홍은 치천국 설현(薛縣) 사람으로 바다에서 돼지를 키웠다고 하며, 설현 역시 치천나라의 속현인데 원연·수화 연간에는 치천나라에서 사라져 있다. 수광현에 상설성(霜雪城)이 있는데, 설(雪)이 설(薛)의 오자로 의심된다. 곧 익·수광·설 3현이 이때 삭감됐을 수 있다. 한편 설현을 통해 치천국이 원래는 바닷가까지 뻗쳐 있었음을 알 수 있다.[7]
다음은 치천왕의 왕자후들로, 총 21후국이다.
이름 | 봉해진 때 | 폐해진 때 | 왕자후표의 말격 | 지리지의 소속 군 |
---|---|---|---|---|
용구(龍丘) | 원삭 2년(기원전 127년) 5월 을사일 | 원정 5년(기원전 112년) | 낭야 | |
극(劇) | ? | 북해 | ||
회창(懷昌) | ? | |||
평망(平望) | ? | 북해 | ||
임중(臨衆) | 시건국 원년(9년) | 임원(臨原) | ||
갈괴(葛魁) | 원정 3년(기원전 114년) | |||
익도(益都) | 원봉 3년(기원전 78년) | |||
평적(平的) | ? | |||
극괴(劇魁) | ? | 북해 | ||
수량(壽梁) | 원정 5년(기원전 112년) | 수락(壽樂) | ||
평도(平度) | ? | 동래 | ||
의성(宜成) |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 | 평원 | 제남 | |
임구(臨胊) | ? | 동해 | 동래, 제 | |
육(陸) | 원정 원년(기원전 116년) 7월 신묘일 | 오봉 3년(기원전 55년) | 수광(壽光) | |
광요(廣饒) | 시건국 원년(9년) | 제 | ||
병(缾) | 낭야 | |||
유려(兪閭) | 초원 3년(기원전 46년) | |||
북향(北鄕) | 건소 4년(기원전 35년) 6월 | 시건국 원년(9년) | 제 | |
광(廣) | 경녕 원년(기원전 33년) 4월 정묘일 | 시건국 원년(9년)? | 제 | 제 |
평(平) | 제?[11] | |||
대(臺) | 원연 2년(기원전 11년) 정월 계묘일 | 시건국 원년(9년) | 제 |
《거양수주》에 거양수가 익현고성(益縣故城)과 익도성(益都城)을 지난다는 말이 있는데, 이를 통해 익도후국이 익현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나아가, 현의 향이나 정을 후국으로 봉하고 현의 이름을 그 후국 이름의 머릿글자로 삼거나 심지어는 현의 이름과 같게 후국의 이름을 지어주는 관습을 엿볼 수 있다. 극후국·극괴후국이 그 예이다.[7]
2. 3. 신나라 시대
전한 | 신 |
---|---|
극 | 유(兪) |
문제 15년, 제문왕이 죽자 제나라가 폐지되었다. 이듬해인 문제 16년(기원전 164년)에 제나라를 분할 부활시키면서 치천국이 만들어졌고, 유현이 왕으로 봉해졌다. 치천국의 영토는 제나라 내사지(옛 임치군)의 임치현 동부였다. 경제 3년, 오초칠국의 난에 유현이 가담했다가 자결하자, 원래 제북왕이었던 치천의왕을 옮겨 봉했다. 원삭 2년, 제나라가 폐지되면서 남아 있던 제도혜왕의 후예 왕국 중 임치에 더 가까웠기 때문에, 임치에 있던 제도혜왕의 무덤과 그 동쪽 땅을 받아 망한 제나라를 대신해 제도혜왕의 제사를 맡았다.[5][6][7]
3. 지리
치천국은 청주에 속했다.
3. 1. 속현
漢書|한서중국어 지리지에 따르면, 전한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서 호구 50,289호, 인구 227,031명으로 집계되었다.[8] 서울은 극현이었다. 속현은 총 3개였다.[9][10]
이름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극현 | 劇縣 | 웨이팡시 서우광시 남 | 의산(義山)에서 유수(蕤水)가 나와 수광(壽光)에서 바다로 들어간다. |
동안평현 | 東安平縣 | 쯔보시 동 | |
누현 | 樓縣 | 웨이팡시 서우광시 서 |
오봉 연간(기원전 57년 ~ 기원전 54년)에 치천사왕이 죄를 지어 치천국에서 4개 현이 삭감되었다.[5] 삭감된 현의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으나, 왕자후국이 아닌데 치천국에서 사라진 현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익도후국은 익현, 육후국은 수광현에서 분할되었는데, 두 현 모두 북해군으로 넘어갔다. 공손홍은 치천국 설현(薛縣) 출신으로 바다에서 돼지를 키웠다고 하는데, 원연·수화 연간에는 설현이 치천국에서 사라져 있다. 수광현에 상설성(霜雪城)이 있는데, '설(雪)'이 '설(薛)'의 오기로 추정된다. 따라서 익현, 수광현, 설현 3개 현이 이때 삭감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설현을 통해 치천국이 원래는 바닷가까지 뻗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7]
다음은 치천왕의 왕자후들로, 총 21개 후국이다.
이름 | 봉해진 때 | 폐해진 때 | 왕자후표의 말격 | 지리지의 소속 군 |
---|---|---|---|---|
용구(龍丘) | 원삭 2년(기원전 127년) 5월 을사일 | 원정 5년(기원전 112년) | 낭야 | |
극(劇) | ? | 북해 | ||
회창(懷昌) | ? | |||
평망(平望) | ? | 북해 | ||
임중(臨衆) | 시건국 원년(9년) | 임원(臨原) | ||
갈괴(葛魁) | 원정 3년(기원전 114년) | |||
익도(益都) | 원봉 3년(기원전 78년) | |||
평적(平的) | ? | |||
극괴(劇魁) | ? | 북해 | ||
수량(壽梁) | 원정 5년(기원전 112년) | 수락(壽樂) | ||
평도(平度) | ? | 동래 | ||
의성(宜成) |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 | 평원 | 제남 | |
임구(臨胊) | ? | 동해 | 동래, 제 | |
육(陸) | 원정 원년(기원전 116년) 7월 신묘일 | 오봉 3년(기원전 55년) | 수광(壽光) | |
광요(廣饒) | 시건국 원년(9년) | 제 | ||
병(缾) | 낭야 | |||
유려(兪閭) | 초원 3년(기원전 46년) | |||
북향(北鄕) | 건소 4년(기원전 35년) 6월 | 시건국 원년(9년) | 제 | |
광(廣) | 경녕 원년(기원전 33년) 4월 정묘일 | 시건국 원년(9년)? | 제 | 제 |
평(平) | 제?[11] | |||
대(臺) | 원연 2년(기원전 11년) 정월 계묘일 | 시건국 원년(9년) | 제 |
《거양수주》에 따르면 거양수가 익현고성(益縣故城)과 익도성(益都城)을 지난다고 하는데, 이를 통해 익도후국이 익현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의 향이나 정을 후국으로 봉하고 현의 이름을 후국 이름의 머릿글자로 삼거나, 심지어 현의 이름과 같게 후국의 이름을 짓는 관습을 엿볼 수 있다. 극후국·극괴후국이 그 예이다.[7]
참조
[1]
서적
Book of Later Han
[2]
서적
Donghan Zhengqu Dili
Shandong Education Press
1999
[3]
서적
Book of Han
[4]
서적
Book of Han
[5]
서적
한서 권38 고오왕전제8
https://zh.wikisourc[...]
[6]
서적
한서 권14 제후왕표제2
https://zh.wikisourc[...]
[7]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8]
서적
한서 28권 하 지리지 제8 하
https://zh.wikisourc[...]
[9]
서적
한서 권28 지리지 제8 상
[10]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1]
문서
제군 광평후국(廣平侯國)의 탈자일지도 모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