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칠현산 (경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현산은 대한민국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죽산면, 삼죽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서쪽으로 안성시 삼죽면·금광면, 북쪽으로 일죽면·용인시 백암면, 동쪽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남쪽으로 진천군 만승면을 조망할 수 있다. 칠장산과 혼동되어 불리기도 하며, 칠장산 칠장사에 대한 기록은 있으나 조선 시대 지리지나 고지도에는 칠현산이라는 지명은 나타나지 않는다. 신라 자장율사가 창건했다는 칠장사가 있으며, 혜소국사가 일곱 도적을 교화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신대마을에서 칠장사와 칠현산으로 오르는 등산로는 수도권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많으며, 다양한 등산 코스가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성시의 지리 - 유토피아추모관
    유토피아추모관은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유명 인사들이 안장된 추모 시설이며, 국가직무능력표준 집필 참여, VR/AR 기술융합 지원 대상 기업 선정, 국제적인 수상 등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연예/방송계 및 체육계 인사들이 안치되어 있으며, 영화 촬영 장소로도 활용되는 문화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 안성시의 지리 - 서운산
  • 한남금북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남금북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금남호남정맥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금남호남정맥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칠현산 (경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정보
위치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산맥금북정맥
산 정보
이름칠현산
한자七賢山
높이516.2

2. 위치

서쪽은 안성시 삼죽면·금광면, 북쪽은 일죽면·용인시 백암면이 한눈에 들어오고 동쪽은 충북 음성군 삼성면, 남쪽은 진천군 만승면을 바라볼 수 있다. 충청북도와의 경계를 이루는 차령산맥에는 서운산(瑞雲山, 547m)을 최고봉으로 500m 안팎의 산지가 솟아 있고, 이 산맥 중의 덕성산(德成山, 519m)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면 칠현산(七賢山, 516.2m)·칠장산(七長山, 492m)·도덕산(道德山, 366m) 등이 솟아 있으며, 이들 산세가 형성하는 능선을 따라 안성시는 동서 2개의 지형구로 나뉜다.[1]

3. 역사와 전설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과 죽산면 · 삼죽면에 걸쳐 있는 칠현산 위쪽에 칠장산(492m)이 있다. 이 산 북쪽으로 한남정맥이 분기한다.

옛날부터 같은 산줄기로 서로 가까이에 있는 산이기에 칠장산과 칠현산을 혼동하여 함께 칠현산으로 불렀다. 하지만 조선 시대 어느 권력자가 이 산 일대를 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은 후 칠장사 뒤쪽의 산이라 하여 칠장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1]

조선 시대 지리지나 고지도에는 칠장산이란 지명이 나오지 않아 확인할 수 없지만 그 기슭에 있는 칠현산 칠장사(七長寺)라는 사찰에 대해서는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가 646년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칠현산 칠장사는 혜소국사가 일곱 도적을 감화시켜 수도승을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는 사찰이지만 일곱 사람의 힘센 장정이라는 ‘칠장(七長)’이란 의미가 있다는 얘기도 전해지고, 일곱 사람의 어진 사람이 나왔다는 의미의 칠현산(七賢山)이 되었다는 얘기도 전해지고 있다.[1][2]

4. 등산 정보

칠현산칠장산과 능선으로 이어져 있으며, 등산로는 경치가 좋고 잘 정비되어 있어 수도권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특히 칠장사에서 칠현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울창한 수림을 자랑한다. 등산에는 4~5시간이 소요되며, 칠현산만 등산할 경우 1시간 10분 정도 걸린다. 죽산터미널과 안성터미널에서 등산로 입구로 가는 버스가 자주 운행된다.[2]

4. 1. 주요 등산 코스

신대마을에서 칠장사와 칠현산으로 오르는 길은 경치가 빼어나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칠장산에서 칠현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산죽과 하늘을 가리는 울창한 수림을 형성하고 있다.[2]

등산로는 잘 조성되어 있어 노약자들도 산 정상에 오를 수 있다.[2]

등산 코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코스별로 4~5시간이 소요된다.[2]

  • 신대정류장 ~ 칠장사 ~ 칠장산 ~ 칠현산 ~ 덕성산 ~ 삼거리 ~ 곰내미 ~ 동막 ~ 극락정류장[2]
  • 미장리 정류장 ~ 신미창고 ~ 사거리 ~ 칠장산 ~ 칠현산 ~ 덕성산 ~ 시간마을회관 정류장[2]


칠현산만 등산하고 싶다면 신대정류장~명적암~칠현산 코스를 선택하면 되며 정상까지 1시간 10분가량 걸린다. 죽산터미널·안성터미널 등에서 등산로 입구나 칠장사를 오가는 버스가 자주 다닌다.[2]

4. 2. 교통 정보

신대마을에서 칠장사와 칠현산으로 오르는 길은 경치가 아름다워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칠장산에서 칠현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산죽과 하늘을 가리는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등산로가 잘 조성되어 있어 노약자들도 산 정상에 오를 수 있다.[2]

등산 코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각 코스별로 4~5시간이 소요된다.[2]

  • 신대정류장 ~ 칠장사 ~ 칠장산 ~ 칠현산 ~ 덕성산 ~ 삼거리 ~ 곰내미 ~ 동막 ~ 극락정류장
  • 미장리 정류장 ~ 신미창고 ~ 사거리 ~ 칠장산 ~ 칠현산 ~ 덕성산 ~ 시간마을회관 정류장


칠현산만 등산하고 싶다면 신대정류장~명적암~칠현산 코스를 선택하면 되며, 정상까지 1시간 10분가량 걸린다. 죽산터미널, 안성터미널 등에서 등산로 입구나 칠장사를 오가는 버스가 자주 다닌다.[2]

참조

[1]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2] 뉴스 혜소대사의 덕과 꺽정이의 기운이 깃든 칠현산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12-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