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성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성시는 대한민국 경기도에 위치한 도시로, 백제, 고구려, 신라 시대의 각축을 거쳐 757년 백성군, 940년 안성군으로 설치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경기도에 편입되었으며, 1895년 공주부 안성군, 1896년 경기도 안성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안성군, 양성군, 죽산군의 일부가 합병되어 안성군이 발족되었고, 1998년 안성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1읍, 11면, 3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농복합도시의 형태를 띤다. 주요 산업으로는 제조업과 상업 및 서비스업이 발달했으며, 농심, 롯데칠성, 쿠팡 등 다양한 기업이 위치해 있다. 교통은 버스, 철도, 도로가 발달했으며, 문화 관광 시설로는 안성맞춤랜드, 안성남사당전수관, 스타필드 안성 등이 있다. 안성시는 종로구, 잉커우 시, 융허 구, 벨로고르스크 등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성시의 행정 구역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 안성시의 행정 구역 - 서운면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서운면은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여러 면이 통합되어 개칭되었으며, 교육기관과 바우덕이 묘, 서운산성, 청룡사, 청룡호수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안성시 - 아양도서관
    아양도서관은 2003년 12월 30일에 개관하여 지역 주민들의 문화 향유 공간 역할을 하는 도서관이다.
  • 안성시 - 보개도서관
    보개도서관은 1997년 개관하여 보개면 주민의 지식 함양과 문화 향유를 위한 공간으로, 디지털 서비스 강화와 특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안성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안성시
한자 표기安城市
로마자 표기Anseong-si
행정 구역 종류
지역경기도 (수도권)
면적554.2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193,220명
인구 밀도auto
하위 행정 구역1읍, 11면, 33동
방언경기 방언
시청 소재지경기도 안성시 시청길 25 (봉산동)
시목은행나무
시화개나리
시조까치
상징
안성시 휘장
안성시 휘장
안성시 깃발
안성시 깃발
정치
시장김보라
시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윤종군(더불어민주당, 안성시)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안성시청

2. 역사

조선시대에 안성은 상공업과 민중예술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근대에는 일제강점기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공주부 안성군으로 개편되었다가,[27]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안성군으로 개편되었다.[28]

1990년 1월 1일 안성역과 안성선이 폐쇄되었다. 2000년 9월 25일 안성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가 개막하였다. 2007년 9월과 2024년 9월 3일에는 세계소프트테니스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고, 2012년 10월 1일 세계민속축제가 개최되었다. 2012년 4월 11일에는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 헌정사상 최연소 국회의원이 안성시 선거구에서 출마하였다.

2020년 10월 5일 스타필드 안성이 오픈하였고, 2024년 1월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18년 연속 대상을 수상 (안성맞춤 브랜드)하였으며, 2024년 2월에는 2025년 동아시아문화도시로 선정되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고대에는 내혜홀(ネヘホル일본어)이라 불리며, 백제, 고구려, 신라가 다투던 땅이었다. 6세기 중반, 백제의 위덕왕과 고구려의 양원왕이 싸웠던 웅천성을 안성 부근에 위치한다는 설도 있다. 신라 시대에는 백성군이 설치되어 한주에 속했다. 고려 시대인 940년에 안성군이 설치되었고, 1018년에는 수주의 속현이 되었다.

조선 왕조 초기에 안성군이 설치되어 충청도에 속했으나, 1413년에는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또한, 현재 시역에 포함되어 있는 북서부의 양성은 양성현, 동부의 죽산은 죽산도호부였다. 안성은 근세에 상공업의 중심지로 번영하였고, 놋그릇 생산으로 이름을 알렸다. 또한, 남사당패 등 민중예술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2. 2. 일제강점기 ~ 현대

1914년 4월 1일 일제양성군(陽城郡), 죽산군(竹山郡)을 병합하여 12면으로 개편하였다.[29] 이때 안성군의 백암면원삼면은 용인군으로, 안성군의 입장면은 천안군으로 각각 편입되었다. 1915년 6월 1일 죽일면을 일죽면으로, 죽이면을 이죽면으로, 죽삼면을 삼죽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30] 1931년 읍내면을 안성면으로 개칭하였다. 1937년 7월 1일 안성면을 안성읍으로 승격하였다.[31] (1읍 11면)

1963년 1월 1일 용인군 고삼면을 안성군으로 편입하였다.[32] (1읍 12면) 1983년 2월 15일, 전두환 정부는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원곡면 용이리·죽백리·청룡리·월곡리와 공도면 소사리를 평택군 평택읍으로 강제 편입하였다.[33]

1987년 1월 1일 보개면 양복리 일부를 금광면에, 삼죽면 남풍리·동평리·가현리를 보개면에 편입하였다.[34] 1992년 9월 30일 이죽면을 죽산면으로 개칭하였다.[35] 1997년 6월 6일 보개면 가사리, 가현리와 대덕면 모산리, 건지리, 소현리 일부를 안성읍에 편입하였다.[36]

1998년 4월 1일 안성군 일원을 관할로 안성시가 설치되었다.[37] 안성읍을 안성1동, 안성2동, 안성3동으로 개편하였다. (12면 33법정동) 2001년 6월 1일 공도면을 공도읍으로 승격하였다.[38] (1읍 11면 3행정동)

3. 지형

전체적으로 동북쪽이 높고 서남쪽은 경사가 완만하다. 남북으로 형성된 차령산맥은 지역을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는 분수령이 된다. 동쪽으로는 청미천이 흐르고, 서쪽으로는 안성천과 조령천, 한천이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 나간다. 남쪽으로는 서운산(547m)이 충청남도충청북도와 경계를 이루며 솟아 있다. 안성시 관내 전역에 크고 작은 산들이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으며, 남쪽과 서쪽으로는 장년기 및 노년기의 구릉지이다. 하천의 발달로 평야가 넓게 자리하고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과 접경에 있는 차령산맥 줄기의 덕성산에서 세 갈래로 나누어진다. 서쪽으로는 서운산(547m), 동쪽으로는 백운산(345m), 마이산(471m)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북쪽으로 뻗어 시내 한복판에 비봉산(230m)을 이룬다. 그 후 시궁산(514m), 천덕산(355m), 덕암산(163m), 고성산(298m), 백련봉(239m)을 형성하고 있다.

산지의 면적은 안성시 전체 면적의 약 52%나 되며, 쥐라기 시대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침식되어 500m 전후의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다.

안성시의 지질은 대부분 쥐라기의 대보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남쪽에는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이, 북쪽은 단산층군에 속하는 편암층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 죽산면, 금광면, 서운면은 선캄브리아기의 셰일사암의 교호층이 편마암화 작용을 받아 거의 현재와 같은 암상이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이 일대의 흑운모 편마암의 암상은 중립질로서 엽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토지 이용


동부는 차령산맥에 이어지는 산지이며, 충청북도와의 경계에 위치한 남부의 서운산(547m)이 최고봉이다. 안성천이 시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고 있다.

4. 기후

안성시는 중부 지방에 위치하여 북부와 남부 사이의 점이성 기후 형태로 나타나며, 차령산맥에서 이어져 내려와 드넓은 평야 지대를 이루는 지형적 조건이 기후의 특색을 이룬다.

안성시의 10년간('90~'99) 연평균 강수량은 1315.7mm로 벼농사 및 기타 작물 재배에 적당하다. 특히 벼농사는 연중 1000mm 이상의 강우량이 필요한데, 안성시는 이 조건을 충족한다. 강수량의 대부분이 벼의 본격적인 생육 기간인 6, 7, 8월에 집중되어 있어 양질의 경기미가 생산된다.

안성시는 우리나라 전역과 같이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철에는 대륙 방면에서 불어오는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매우 차갑고 건조하며 맑은 날씨를 보이고 혹독한 추위를 동반한다. 북서 계절풍은 매년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9월부터 시작하여 11월에서 다음 해 1월까지 고비를 이룬 뒤 3월경에 끝난다.

안성시의 역대 최고 기온은 2019년 8월 당시 기록으로 볼 때 40.2°C까지 올라가면서 이는 이탈리아 아레초의 최고 기록과 비슷한 수준이다. 안성은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에 속하지만, -3°C 등온선을 기준으로 온난 습윤 기후(쾨펜: ''Cwa'')의 경계 지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최고 기온 (°C)2.85.812.219.024.628.330.231.026.720.812.74.718.2
평균 기온 (°C)-2.40.25.612.218.122.725.626.121.214.36.9-0.412.5
최저 기온 (°C)-7.3-4.8-0.25.912.217.922.122.516.88.81.7-5.17.5
강수량 (mm)19mm23.3mm34.9mm68.5mm72.6mm125.3mm323.1mm267mm149.1mm50.7mm41.4mm20mm1194.9mm
강수일 수 (0.1 mm 기준)4.53.75.87.06.67.212.811.67.65.16.85.1-



출처: 한국기상청[5]

5. 행정 구역

안성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1면, 3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553.47km2이다.[39] 2024년 7월 기준 안성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93,888세대, 192,262명이다.[40]

읍·면·행정동한자인구세대면적(km2)행정지도
공도읍孔道邑64,80221,27731.96km2
안성시 행정구역도
보개면寶蓋面6,3372,68253.01km2
금광면金光面8,5203,52871.71km2
서운면瑞雲面4,3911,75936.28km2
미양면薇陽面7,8003,00933.73km2
대덕면大德面18,4298,19731.16km2
양성면陽城面6,0482,57253.17km2
원곡면元谷面5,5642,33637.83km2
고삼면古三面2,17096027.79km2
일죽면一竹面9,1713,69255.54km2
죽산면竹山面7,9143,58057.26km2
삼죽면三竹面4,4581,76739.07km2
안성1동安城1洞12,7735,2236.55km2
안성2동安城2洞28,8817,35510.14km2
안성3동安城3洞23,3167,8278.27km2
총계192,43793,888553.47km2



안성시는 도농복합형 도시로, 이 설치된 안성1동, 안성2동, 안성3동공도읍의 도시 지역, 그리고 이 설치된 농촌 지역이 공존한다.

6. 인구

연도총인구
1966년144,274명
1970년132,685명
1975년133,404명
1980년127,891명
1985년121,752명
1990년118,260명
1995년120,023명
2000년132,906명
2005년157,632명
2010년175,824명
2015년183,611명
2018년194,765명
2024년234,148명



1983년 강제 편입된 안성의 행정구역(소사, 용이, 죽백, 월곡, 청룡)의 인구를 합산하면 2024년 안성시의 인구는 대략 30만 명이 넘는다. 1983년대 세대수와 인구를 빼앗겨 인구가 줄고, 다시 1990년 안성철도가 폐선된 후 1994년까지 안성의 인구는 약간 감소했었다. 2030년 안성시 인구는 4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측된다.

2010년 기준 안성시의 상주인구는 174,760명, 주간인구는 192,325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10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9,974명, 유출인구는 10,666명이며,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0,641명, 유출인구는 2,384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7,565명 더 많다. 이는 산업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한 안성은 평택시 상수원보호구역과 그린벨트로 인해 개발 제한으로 묶인 곳이 많다.

안성은 전입, 전출이 빈번한 지역이다. 매년 3만 명 이상 전입하지만 그만큼 다시 전출하고 있다. 최근 조금씩 인구가 늘고 있으며, 안성지역은 개통될 철도 노선이 3개나 있고 착공이 진행 중이다. 국가산단 반도체 클러스터 소부장특화단지 유치로 앞으로의 인구 성장이 주목된다. 또한 안성 제5산업단지를 조성 중인데 현대차 연구소가 들어올 예정이며, 동신산단에는 케이반도체의 일원이며 소부장특화단지가 2030년 완공 예정이다.[42]

7. 산업

안성시에는 1, 2, 3, 4, 5 산업단지를 비롯하여 많은 산업단지가 있어 크고 작은 기업들이 상당히 많다. 그중 대표적인 기업들로는 농심, 롯데칠성, 일동제약, 쿠팡, 성도ENG, 현대자동차 R&D, BMW, 자동차경매장 등이 있다.[41]

BMW 해외법인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크며, 2024년 11월 1950억을 추가 투자하였다. 전국에서 가장 큰 자동차 경매장이 안성에 있으며, 중고 롯데차 직영점이 있다.[41]

7. 1. 지역 내 총생산 (2012년)

안성시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15조8,109억원으로 경기도 지역 내 총생산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7096억으로 비중이 가장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0조3,018억원으로 65.16%의 비중을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4조7,995억원으로 30.36%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건설업(3.94%), 도소매업(3.36%), 사업서비스업(2.82%),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2.42%)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41]

7. 2.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2010년)

2010년 기준 안성시의 상주인구는 174,760명이고 주간인구는 192,325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10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9,974명, 유출인구는 10,666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0,641명, 유출인구는 2,384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7,565명 더 많다. 이는 산업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42]

7. 3. 개발 제한 및 산업 단지

안성시는 평택 상수원보호구역과 그린벨트로 인해 개발 제한이 많은 지역이다.[42]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174,760명이고 주간인구는 192,325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10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9,974명, 유출인구는 10,666명,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0,641명, 유출인구는 2,384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7,565명 더 많다. 이는 산업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42]

안성은 전입과 전출이 활발한 지역으로, 매년 3만 명 이상이 전입하지만 그만큼 다시 전출하고 있다. 최근 인구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으며, 3개의 철도 노선이 개통될 예정이고, 국가산업단지 반도체 클러스터 소부장특화단지 유치로 인구 성장이 기대된다.[42]

안성 제5산업단지가 조성 중이며, 현대자동차 연구소가 들어올 예정이다. 동신산업단지에는 케이반도체의 일원이며 소부장특화단지가 2030년 완공 예정이다.[42]

안성시에는 1, 2, 3, 4, 5 산업단지를 비롯한 많은 산업단지가 있어 크고 작은 기업들이 많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농심, 롯데칠성, 일동제약, 쿠팡, 성도ENG, 현대자동차 R&D, BMW, 자동차경매장 등이 있다.[42] BMW 해외법인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크며, 2024년 11월에 1950억을 추가 투자하였다. 전국에서 가장 큰 자동차 경매장이 안성에 있으며, 중고 롯데차 직영점이 있다.[42]

7. 4. 주요 기업

안성시에는 여러 산업단지가 있어 크고 작은 기업들이 많다. 그중 대표적인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 농심
  • 롯데칠성
  • 일동제약
  • 쿠팡
  • 성도ENG
  • 현대자동차 R&D
  • BMW : 해외 법인 중 전 세계에서 가장 크며, 2024년 11월에 1950억을 추가 투자하였다.[1]
  • 롯데 중고차 직영점: 전국에서 가장 큰 자동차 경매장이 안성에 있다.[1]

8. 교통



안성시는 도로 교통이 발달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다.

; 고속도로



; 국도

; 지방도

8. 1. 버스

안성시는 강남역까지 2개 노선의 광역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안성시의 시내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시외버스로는 안성종합버스터미널, 공도버스터미널, 대림동산시외버스정류장, 일죽시외버스터미널, 죽산시외버스터미널, 중앙대입구시외버스정류장을 운영하고 있다.

8. 2. 철도

과거 안성선이 있었으나 폐선되었지만, 30년 만에 철도 부활을 예고하고 있다. 2024년 현재 강릉까지 가는 동서 횡단 고속철도 노선과 동탄청주공항까지의 수도권 내륙선 고속철도, 수도권 전철 경강선이 안성까지 연장 발표된 상황이다.[1] 또한 GTX-A가 안성까지 연장되는 건 시간문제이다.

시내를 경유하는 철도 노선은 없다. 예전에는 시내에 안성선이 지나갔지만, 1989년에 전 노선이 폐지되었다.[1]

8. 3. 도로

경부고속도로가 안성시의 서쪽 끝을 지나가며, 안성 나들목이 있다. 중부고속도로는 안성시의 동쪽 끝을 지나가며, 일죽 나들목이 있다. 평택제천고속도로송탄 나들목, 안성 분기점, 서안성 나들목, 남안성 나들목, 남안성 분기점을 지난다. 세종포천고속도로남안성 분기점, 안성맞춤 나들목, 고삼 나들목을 지난다. 2024년 3월 7일부터 경부고속도로 평일 버스전용차로가 안성 나들목까지 연장 시행된다.

안성시에는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5호선이 지난다.

또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지방도 제302호선,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18호선, 지방도 제321호선, 지방도 제325호선, 지방도 제329호선이 안성시를 지난다.

9. 행정 조직

안성시장은 정무직 공무원이며, 부시장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43]


  • 정책기획담당관
  • 홍보담당관
  • 감사법무담당관
  • 민자사업개선추진단
  • 행정복지국: 행정과, 복지정책과, 사회복지과, 가족여성과, 세무과, 회계과, 교육체육과, 정보통신과, 토지민원과
  • 산업경제국: 창조경제과, 문화관광과, 농업정책과, 축산정책과, 환경과, 자원순환과, 산림녹지과
  • 안전도시국: 도시정책과, 도시개발과, 안전총괄과, 건설과, 교통정책과, 건축과
  • 안성시보건소: 보건위생과, 건강증진과
  • 안성시 농업기술센터: 농업지원과, 기술보급과, 소득기술과
  • 안성시 상수사업소
  • 안성시 하수사업소
  • 안성시립도서관
  • 안성1동행정복지센터
  • 안성2동행정복지센터
  • 안성3동행정복지센터
  • 공도읍행정복지센터
  • 고삼면행정복지센터
  • 금광면행정복지센터
  • 대덕면행정복지센터
  • 미양면행정복지센터
  • 보개면행정복지센터
  • 삼죽면행정복지센터
  • 서운면행정복지센터
  • 양성면행정복지센터
  • 원곡면행정복지센터
  • 일죽면행정복지센터
  • 죽산면행정복지센터
  • 안성경찰서

10. 문화·관광

안성은 과거부터 남사당 바우덕이를 시작으로 박두진, 조병화, 김대건 신부, 염수정 추기경 등 수많은 문학인과 예술인, 종교인을 배출했다.[44] 지금도 안성에는 댄스와 예술을 하는 젊은이들이 많다.

안성시는 안성맞춤 남사당 풍물공연을 포함하여 안성맞춤박물관, 태평무전수관, 미리내 성지, 서일농원, 칠장사 등을 하루에 둘러 볼 수 있는 문화관광 투어 버스를 매주 토요일에 운영한다.[44]


  • 안성남사당전수관: 보개면 소재. 4월~10월까지 매주 무료로 남사당 공연이 열린다.
  • 안성술박물관: 금광면 소재. 2004년 11월에 개관하였고 술 관련 자료 4만 건이 전시되어 있다.[45]
  • 안성팜랜드: 공도읍 소재. 12월~2월은 겨울놀이 축제, 3월은 냉이 캐기, 4월~6월은 호밀밭·초원축제, 7월~8월은 썸머쿨축제, 9월~11월은 가을목동 페스티벌 축제를 하고 승마 체험 등 여러 체험을 할 수 있으며 개장 시간은 10 ~ 18시이다.
  • 스타필드 안성: 수도권 남부 최대 복합 쇼핑몰이며, 안성시 공도읍 안성IC 옆에 위치해 있다.
  • 안성맞춤남사당바우덕이축제(9월경)
  • 죽주문화축제 (4월경)
  • 안성맞춤포도축제 (9~10월경)
  • 공도문화축제 (10월경)
  • 안성맞춤마라톤대회 (10월경)
  • 칠장사
  • 석남사
  • 청룡사
  • 안성 봉업사
  • 밀리네 성지(1991년 완공.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가 안치되어 있으며, 한국 천주교 성지로 여겨진다.)
  • 안성맞춤박물관(놋그릇 전문 박물관)
  • 안성맞춤랜드(시가 운영하는 문화시설. 안성남사당 상설 공연이 열리며, 공예문화센터 등이 있다.)
  • 안성팜랜드(한국 최대 규모의 축산 체험형 목장. 드라마 '마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
  • 청류사 수목문학관 - 보개면 동신리 682-5


참고로, 한국에서 판매되는 인스턴트 라면에 "안성탕면"이라는 상품이 있지만, 판매원((농심)의 공장이 안성시에 위치해 있고 "안성맞춤"의 이미지를 결합한 것이며, 안성시 자체가 특별히 면 요리를 명물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11. 교육 기관

안성시에는 여러 고등 교육기관과 탈북자를 위한 특수학교가 있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한경국립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 중앙대학교 다빈치캠퍼스,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등이 있다. 탈북자를 위한 특수학교로는 한겨레고등학교가 있다.[4]

11. 1. 대학교

11. 2. 고등학교


12. 자매도시

안성시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안성시와 자매결연 도시
구분지역도시
국내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산광역시 사하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국외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랴오닝성 선양시 요중구
신베이시 영하구
Россия|러시아ru 아무르주 벨로고르스크


12. 1. 국내

안성시는 국내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 및 우호 교류 협력을 맺고 있다.

안성시와 자매결연 및 우호 교류 협력을 맺은 도시
지역도시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한민국부산광역시 사하구
대한민국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서울특별시 종로구: 농촌과 도시가 함께 발전하는 상생 모델 구축을 위해 안성시에서 제안하여 2005년 4월 29일 자매결연을 체결하였다.

12. 2. 국외

국가도시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랴오닝성 선양시 요중구
신베이시 영하구
Россия|러시아ru아무르주 벨로고르스크


  •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선양시 요중구: 경기도의 자매도시인 랴오닝성으로부터 추천받아 교류 대상을 물색했다. 1996년 10월 23일 우호교류협력합의서를 체결하고, 1997년 10월 22일 자매결연을 체결했다.
  • 대만 신베이시 영하구: 양 도시의 청년회의소 교류에서 확대되었다. 1998년 2월 7일 우호교류합의서를 교환하고, 2000년 2월 11일 자매결연을 체결했다.
  • 러시아 아무르주 벨로고르스크: 한국경영대학교와 네헤홀 영농조합법인과 벨로고르스크시의 교류를 통해 벨로고르스크시에서 제안했다. 2003년 5월 29일 우호교류협정서를 교환했다.

13. 우호도시


14.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법률 Alteration of cities/counties/districts 1962-11-21
[3] 법률 Laws concerning change of districts of city, county, district, town, township and Establishment of new towns 1983-01-10
[4] 뉴스 N. Koreans have access to S. Korean media: survey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0-06-1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6] 웹사이트 주민등록인구 - 안성시청 http://www.anseong.g[...] 2023-08-27
[7] 웹사이트 행정구역 - 안성시청 https://web.archive.[...] 2013-09-05
[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7-03
[9]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ko: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1895-05-26
[10]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법률 경기도령 제7호 안성군내면의명칭 1915-05-28
[1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06-28
[14]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5]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16] 법률 대통령령 제1200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12-23
[17] 법률 안성군 조례 제1423호
[18] 법률 안성군 조례 제1629호 1997-05-07
[19] 법률 법률 제5458호 경기도안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7-12-17
[20] 웹사이트 금광면 소개 http://www.anseong.g[...] 2012-05-10
[21] 법률 안성시 조례 제333호 2001-05-29
[22] 웹사이트 서운면 소개 http://www.anseong.g[...] 2012-05-10
[23] 서적 동아 새국어사전 두산동아 2003
[24] 웹사이트 empass 국어사전"안성맞춤" http://kordic.empas.[...]
[25] 웹사이트 안성-맞춤(安城맞춤) https://stdict.korea[...] 国立国語院 2023-10-20
[26] 웹인용 2024년 07월 주민등록 인구 https://https/ 2024-09-25
[27]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28]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30] 법률 경기도령 제7호 안성군내면의명칭 1915-05-28
[3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06-28
[32]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33]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34] 법률 대통령령 제1200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12-23
[35] 법률 안성군 조례 제1423호
[36] 조례 안성군 조례 제1629호 1997-05-07
[37] 법률 법률 제5458호 경기도안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7-12-17
[38] 조례 안성시 조례 제333호 2001-05-29
[39] 웹인용 안성시의 행정 구역 http://www.anseong.g[...] 2012-04-05
[40] 웹인용 안성시의 주민등록 인구 통계 http://www.anseong.g[...] 2024-07-30
[41]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42]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43] 웹사이트 안성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7-26
[44] 뉴스 안성문화관광투어 알뜰族 이목 http://www.ssheadlin[...] 시사헤드라인 2008-07-22
[45] 뉴스 (경기) “우린 늘 술이야, 맨날 술이야~” ① http://myfriday.join[...] Friday 2007-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