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수이구는 타이중시 서부에 위치하며, 타이완 해협과 접하고 있는 구이다. 이 지역은 칭수이 평원에 자리 잡고 있으며, 벼농사가 활발한 서부 평원 지구와 구릉지대가 있는 동부로 나뉜다. 4,000년 전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한족 유입 전에는 파포라족에 의해 '고마치'로 불렸다. 청나라 시대에는 '뉴마터우'로 불리며 개발이 시작되었고, 일본 통치 시대인 1920년 '기요미즈'로 개칭되었다. 칭수이구는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타이완 철로관리국 해안선과 국도, 성도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가오메이 습지와 같은 관광 명소가 있으며, 칭수이 고등학교, 칭수이 국민중학교 등 교육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칭수이구 - 타이중 국제공항 타이중 국제공항은 중화민국 타이중시에 위치하며, 일본 통치 시대에 공관 비행장으로 건설되어 군사 기지로 사용되다 2004년부터 민간 항공 서비스를 시작한 국내선 및 국제선 노선을 운영하는 공항이다.
타이중시의 행정 구역 - 스강구 스강구는 타이중시 동북부에 위치한 작은 구로, 다자 갑과 신서하 사이에 있으며, 과거 파제족 거주지였으나 현재는 스강댐, 토우 커자 문화관, 둥펑 자전거 녹도 등의 관광 명소를 가지고 있다.
타이중시의 행정 구역 - 룽징구 타이중시 서쪽에 위치한 룽징구는 원래 파포라족 원주민 거주지였으나 일본 통치 시대에 개칭되었고, 동쪽은 다두 고원에 위치하며, 타이중 화력 발전소와 둥하이 별장 야시장, 룽무징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타이중시 서부, 다자시의 남쪽에 위치하고, 서쪽은 타이완 해협에 접하고 있다. 동쪽은 선강 구와, 남쪽은 우치 구 및 사루 구와, 북쪽은 다자시를 사이에 두고 다자 구와 접하고 있다. 구청 소재지의 해발은 불과 8m이고, 최고 지점인 우춰 리도 218.7m로 비교적 평탄한 지세이다. 서부 평원 지구에는 시내 중심부가 있는 것 외에 수도(水稲) 재배가 활발하고, 동부에서는 아오펑 산 등의 구릉지대가 펼쳐져 있다.
칭수이 구는 타이완의 칭수이 평원에 위치해 있다. 서쪽으로는 타이완 해협, 북쪽으로는 다자강, 동쪽으로는 다두 고원과 접한다. 칭수이 구는 북쪽으로 다안 구, 다자 구, 와이푸 구와 경계를 접하고, 동쪽으로는 선강 구, 남쪽으로는 우치 구, 사루 구와 경계를 접한다.
3. 역사
칭수이구는 옛날에 우매두(牛罵頭)라고 불렸으며, 청나라가 대만을 통치하면서 제라현 우매사에 속했다. 1723년, 제라현 북쪽 첩호미에서 대갑계에 이르는 지역에 창화현이 설치되면서 칭수이 지역도 창화현 관할이 되었고, 천주에서 양(楊), 채(蔡)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이주하여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1733년에는 한족 이주지가 13곳에 달했다. 1764년에 편찬된 《속수대만부치》의 '우매가조'에 따르면, 점차 거리가 형성되었고 한족 취락은 우매사 부근에 있었기 때문에 우매두가(牛罵頭街)로 불렸다고 한다.[4]
이 지역에 인간이 거주한 가장 초기의 증거는 신석기 시대인 4,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뉴마터우 유적에서 고고학 유적지가 발견되었다. 한족 유입 전에는 파포라족에 의해 '고마치'(牛罵頭)로 알려졌다.
일본 통치 시대인 1920년 칭수이 구는 일본식 지명인 기요미즈(清水)로 개칭되었으며, 타이코 구, 타이츄 현의 관할 하에 있었다.[4]
중화민국이 인수한 후, 일본식 이름은 보존되었지만 중국어 발음으로 '칭수이 향'이 되었다. 이는 타이중 현에 위치했다. 2010년, 타이중 현은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칭수이는 "향"에서 "구"로 승격되었다.
3. 1. 선사 시대 및 원주민 거주
이 지역에 인간이 거주한 가장 초기의 증거는 신석기 시대인 4,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고학 유적지는 뉴마터우 유적에 보존되어 있다. 한족 유입 전에 이 지역은 파포라족에 의해 '고마치'(牛罵頭)로 알려졌다.
3. 2. 청나라 시대
칭수이구는 옛날에 우매두(牛罵頭)라고 불렸으며, 청나라가 대만을 통치하면서 제라현 우매사에 속했다. 1723년, 제라현 북쪽의 첩호미에서 대갑계에 이르는 지역에 창화현이 설치되면서 칭수이 지역도 창화현 관할이 되었고, 천주에서 양(楊), 채(蔡)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이주하여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1733년에는 한족 이주지가 13곳에 달했다. 1764년에 편찬된 《속수대만부치》의 '우매가조'에 따르면, 점차 거리가 형성되었고 한족 취락은 우매사 부근에 있었기 때문에 우매두가(牛罵頭街)로 불렸다고 한다.[4]
3. 3. 일본 통치 시대
1920년 일본 통치 시대에 칭수이 구는 일본식 지명인 기요미즈(清水)로 개칭되었다.[4] 이전에는 우마터우(牛罵頭)로 불렸다.
이 지역에 인간이 거주한 가장 초기의 증거는 신석기 시대인 4,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뉴마터우 유적에서 고고학 유적지가 발견되었다. 한족 유입 전에는 파포라족에 의해 ''고마치''(牛罵頭)로 알려졌다.
일본 통치 기간 동안, ''기요미즈 거리''(清水街)로 개칭되었으며, 타이코 구, 타이츄 현의 관할 하에 있었다.
1935년4월 21일에는 신주·타이중 지진이 발생하여, 약 1200호 중 90%가 붕괴되는 피해를 입었다.[5]
3. 4. 중화민국 시대
1920년 "그 칭호가 매우 비속하므로, 섬 안에서도 가장 청수가 솟아나는 곳이기 때문에[4]" 일본풍 지명인 "청수"(기요미즈)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
1935년4월 21일 신주·타이중 지진이 발생했다. 약 1200호 중 90%가 붕괴되는 피해를 입었다.[5]
4. 경제
칭수이 구는 전형적인 농업형 경제를 이루고 있으며, 토지의 대부분은 농목업에 사용되고 있다. 동부의 다양구에서는 밭농사와 양계업이 주를 이루며, 서부의 다슈구, 가오메이구, 싼톈구에서는 벼농사 및 채소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품 가치가 높은 과일은 바다에서 불어오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발달하지 못했으며, 소규모의 여주 재배를 볼 수 있는 정도이다.[1]
칭수이구는 TRA 해안선의 철도 노선과 여러 국도 및 성도로 연결된다. 주요 철도역으로는 칭수이역과 타이중항역이 있다.[1]
도로 교통으로는 국도 3호선과 국도 4호선이 지나가며, 중강 분기점에서 서로 연결된다. 칭수이구 내에는 국도 3호선의 칭수이 휴게소와 국도 4호선의 칭수이 인터체인지가 있다. 이 외에도 성도 1호선, 성도 10호선(및 지선), 성도 17호선, 성도 61호선이 칭수이구를 지난다.
6. 1. 철도
타이완 철로관리국 해안선의 칭수이역 및 타이중항역에서 열차 노선이 운행된다.[1]
칭수이역
종류
노선명
기타
철도
해안선
칭수이역, 타이중항역
6. 2. 도로
국도 3호선: 중강 분기점은 국도 4호선과 연결되며, 칭수이 휴게소가 구내에 위치해 있다.
국도 4호선: 중강 분기점은 국도 3호선과 연결되며, 칭수이 인터체인지가 구내에 위치해 있다.
성도 1호선
성도 10호선
* 성도 10B, 성도 10호선의 지선
성도 17호선
성도 61호선
종류
노선명
기타
철도
해안선
칭수이역, 타이중항역
고속도로
포르모사 고속도로
칭수이 나들목
국도
4호 타이중 순환선
칭수이단 나들목
성도
타이1선
성도
타이10을선
성도
타이17선
성도
타이61선
시빈 쾌속공로
7. 교육
칭수이구에는 타이중 시립 칭수이 고급중학교와 자양 고급중학교(사립) 등 고등학교 2곳, 타이중 시립 칭수이 국민중학교, 타이중 시립 칭취안 국민중학교, 타이중 시립 칭하이 국민중학교 등 중학교 3곳이 있다. 초등학교는 타이중시 칭수이 국민소학교를 비롯해 여러 곳이 있다.
7. 1. 고등학교
타이중 시립 칭수이 고급중학교
자양 고급중학교(사립)
7. 2. 중학교
타이중 시립 칭수이 국민중학교
타이중 시립 칭취안 국민중학교
타이중 시립 칭하이 국민중학교
7. 3. 초등학교
타이중시 칭수이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우처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다슈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둥산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다양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젠궈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싼톈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가오메이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자난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캉랑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시닝 국민소학교
8. 관광 명소
가오메이 습지: 타이중 항 건설을 위해 제방이 건설되면서 701acre 규모의 습지가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다자강의 퇴적물이 이 지역에 쌓이게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