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로스 웨스텐도르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로스 웨스텐도르프는 스페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1937년 마드리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페인의 유럽 공동체 가입 및 유럽 연합 통합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유럽 연합 주재 스페인 상임대표, 스페인 외무부 장관, 유엔 주재 스페인 대사 등을 역임했다. 또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고위 대표로서 데이턴 협정 이행을 감독하고, 유럽 의회 의원 및 마드리드 지방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미국 주재 스페인 대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펠리페 곤살레스의 수석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주재 스페인 대사 - 살바도르 데 마다리아가
    살바도르 데 마다리아가는 국제 연맹 활동, 스페인 대사 역임, 프랑코 정권 저항, 유럽 통합 운동 기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 스페인의 외교관이자 작가, 사상가이다.
  • 미국 주재 스페인 대사 - 후안 발레라이아칼라 갈리아노
    후안 발레라이아칼라 갈리아노는 19세기 스페인의 외교관, 작가, 정치가, 이베리아 연방주의자로서, 외교 정책 기여, 러시아 사회 문화 분석, 자유주의 저널 편집 활동, 국무 차관 및 공공 교육부 이사 역임, 언어의 순수함을 추구하는 문학 활동, 그리고 이베리아 연방주의 옹호 등의 활동을 펼쳤다.
카를로스 웨스텐도르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3년의 카를로스 웨스텐도르프
2013년의 웨스텐도르프
이름카를로스 웨스텐도르프 이 카베사
출생일1937년 1월 7일
출생지마드리드, 스페인
국적스페인
정당스페인 사회노동당
배우자아마야 웨스텐도르프
자녀3명
관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위 대표start_date: 1997년 6월 18일
end_date: 1999년 8월 17일
외무부 장관start_date: 1995년 12월 18일
end_date: 1996년 5월 5일
유럽 연합 담당 국무장관start_date: 1991년 3월 16일
end_date: 1995년 12월 23일
의회 의원
유럽 의회 의원start_date: 1999년 7월 20일
end_date: 2003년 6월 10일
외교관 경력
미국 주재 스페인 대사start_date: 2004년 8월 12일
end_date: 2008년 8월 21일
유럽 연합 주재 스페인 상임대표start_date: 1985년 12월 31일
end_date: 1991년 3월 16일

2. 생애 및 경력

1937년 1월 7일 마드리드에서 태어났다.[1] 1966년 스페인 외교부에 입부하며 외교관으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1] 초기에는 브라질 상파울루 부영사, 네덜란드 헤이그 주재 스페인 대사관 상무참사관 등 해외에서 근무했으며,[2] 스페인 내에서는 스페인 외교학교 경제 연구부장 등을 역임했다.[2] 그의 경력 중 상당 부분은 스페인의 유럽 공동체 통합 과정에 집중되었다.

1979년부터 유럽 담당 부서에서 여러 직책을 거치며 스페인의 유럽 공동체 가입 협상을 이끌었고,[2] 1986년 스페인이 가입하자 초대 유럽 연합 주재 스페인 상임대표로 임명되었다.[2] 이후 유럽 연합 담당 차관을 역임하며[1] 유로화 채택, 바르셀로나 프로세스 시작 등 스페인의 유럽 내 역할 강화에 기여했다.

1995년 12월에는 펠리페 곤살레스 총리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2] 이후 유엔 주재 스페인 대사를 지냈다.[2]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제2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위 대표를 맡아 데이턴 협정 이행을 감독했으며,[1][3] 이 과정에서 새로운 국기국가 제정에 관여하기도 했다.[4][5]

1999년에는 유럽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했고,[2] 2003년에는 마드리드 지방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미국 주재 스페인 대사를 역임했다.[2][1] 이후 톨레도 평화 센터 공동 설립, 마드리드 클럽 사무총장 등을 지냈으며,[7] 현재는 펠리페 곤살레스가 의장을 맡은 반성 그룹의 수석 고문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유럽 문제에 관한 강연 및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며 여러 훈장을 받았다.

2. 1. 초기 경력 (1966년 ~ 1985년)

1966년 스페인 외교부에 입부하며 외교관 경력을 시작했다.[1] 1966년부터 1969년까지 브라질 상파울루 주재 스페인 부총영사를 역임했고,[2] 이후 스페인으로 돌아와 1969년부터 1975년까지 스페인 외교학교에서 경제학과 학장(경제 연구부장)을 지냈다.[2] 또한 이 기간 동안 국내에서 외무부 기술 협정 국장, 산업부 장관 비서실장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1975년부터 1979년까지는 네덜란드 헤이그 주재 스페인 대사관에서 경제·상무 담당 참사관으로 근무했다.[2]

웨스텐도르프는 자신의 전문 경력 상당 부분을 스페인의 유럽 공동체 통합 과정에 기여했다. 특히 1979년부터 1985년까지 스페인 유럽 담당 부서에서 장관 보좌관(고문), 장관 사설 실장(비서실장), 사무총장 등 여러 직책을 거치며[2] 스페인의 유럽 공동체 가입 협상을 담당하는 기술팀을 이끌었다.[2] 1985년 말, 그는 유럽 연합 주재 스페인 상임대표로 임명되었다.[2]

2. 2. 스페인의 유럽 통합 주도 (1985년 ~ 1995년)

웨스텐도르프는 자신의 전문 경력 상당 부분을 스페인의 유럽 공동체 통합 과정에 헌신했다. 1979년부터 1985년까지 유럽 담당 부서에서 장관 고문, 장관 비서실장, 사무총장 등을 역임하며 스페인의 유럽 공동체 가입 협상을 담당하는 기술팀을 이끌었다.[1][2]

1986년 스페인이 유럽 경제 공동체에 가입하자, 그는 1985년 12월 31일부터 1991년 3월 16일까지 초대 유럽 연합 주재 스페인 상임대표를 역임했다.[2] 1989년, 스페인이 처음으로 유럽 경제 공동체 이사회 의장국을 맡았을 때, 그는 상임대표 위원회(COREPER)의 의장을 맡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91년 3월 16일부터 1995년 12월 23일까지는 스페인 유럽 연합 담당 차관 (스페인 유럽 경제 공동체국장)을 지냈다.[1] 특히 1995년 스페인이 유럽 연합 이사회 의장국을 다시 맡았을 때, 그는 이 의장국 운영 과정에 참여했다. 이 시기에는 유로화 채택 결정, 바르셀로나 프로세스 시작, 대서양 의제 서명과 같은 중요한 성과들이 있었다. 또한 그는 암스테르담 조약과 이후 니스 조약으로 이어질 조약 개정 협상을 준비하기 위해 설립된 반성 그룹(Reflection Group)의 의장을 맡아 유럽 연합의 미래 설계에 기여했다.

2. 3. 외무부 장관 및 유엔 주재 스페인 대사 (1995년 ~ 1997년)

1995년 12월, 펠리페 곤살레스 총리가 주재한 마지막 정부에서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1996년 5월 5일까지 직책을 수행했다.[2] 이후 1996년 5월에는 뉴욕에 있는 유엔 주재 스페인 상임대표 대사로 임명되었다.[2]

2. 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위대표 (1997년 ~ 1999년)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제2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위 대표를 역임했다.[1] 이 기간 동안 그는 데이턴 협정의 이행을 감독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른바 "본 권한"에 따라 그는 데이턴 협정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3] 이 새로운 권한을 바탕으로 그가 처음 시행한 조치는 시민권에 관한 법률이었다.[3] 이후 새로운 국기국가 제정을 강행하기도 했다.[4][5] 또한, 선출된 대통령이었던 니콜라 포플라센을 해임하는 결정에도 관여했다.[6]

2. 5. 유럽 의회 및 마드리드 지방 의회 의원 (1999년 ~ 2004년)

1999년 PSOE 소속으로 유럽 의회 의원에 선출되었다.[2] 유럽 의회에서는 2003년까지 산업, 통상, 에너지 및 연구 위원회(Committee on Industry, External Trade, Research and Energy)의 위원장을 맡았다.[2] 2003년에는 마드리드 지방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사회당 그룹의 경제 담당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2. 6. 이후 경력 (2004년 ~ 현재)

2004년 선거 이후 미국 주재 대사로 임명되어 2008년까지 이 직책을 수행했다.[2][1] 그는 톨레도 평화 센터의 공동 설립자이자 부회장이었으며, 현재 이사회의 일원이다. 2010년 4월에는 마드리드 클럽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7]

현재 그는 유럽 연합 회원국 정상 및 정부가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직면한 과제를 예상하고 해결하도록 돕기 위해 설립된 반성 그룹의 의장인 펠리페 곤살레스의 수석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개인 컨설팅 회사인 Westendorp International S.L.의 사장을 맡고 있다.

그는 주로 유럽 문제에 관한 컨퍼런스와 강연을 진행했으며, 관련 기사와 책을 집필하여 이 공로로 살바도르 데 마다리아가 언론상을 수상했다. 스페인과 외국의 여러 훈장을 받았으며, 그중에는 카를로스 3세 훈장 대십자 훈장과 프랑스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 장교 훈장이 포함된다.

3. 평가 및 비판

(작성할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Carlos Westendorp - short bio. http://www.europarl.[...] European Union 2020-01-14
[2] 웹사이트 Carlos Westendorp short bio. http://www.exterior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pain) 2020-01-14
[3] 서적 Peacebuilding and International Administration: The Cases of Bosnia and Herzegovina and Kosovo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뉴스 New flag imposed on Bosnians http://news.bbc.co.u[...] BBC News 2020-01-14
[5] 웹사이트 Decision imposing the Law on the National Anthem of BiH http://www.ohr.int/?[...] Office of the High Representative 2020-01-14
[6] 뉴스 Bosnian Serb president is sacked by the Wes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1-14
[7] 웹사이트 El Club de Madrid elige como secretario general al embajador Carlos Westendorp https://cadenaser.co[...] 2023-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