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1796년부터 1802년까지 사르데냐의 국왕이었다. 그는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의 아들로 1775년 프랑스 루이 16세의 여동생 클로틸드 디 보르보네-프란치아와 결혼했다. 1796년 즉위 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이탈리아 본토를 프랑스에 빼앗기고 사르데냐 섬으로 피신했다. 그는 1802년 아내의 죽음으로 인해 동생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로마에서 여생을 보냈다. 또한 자코바이트 왕위 계승권을 물려받았으나, 실제로 왕위를 주장하지는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르데냐 국왕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는 사보이아 공작이자 사르데냐 왕국의 왕으로,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 개혁, 군대 강화, 교육 진흥, 예술 분야 발전에도 기여했다.
  • 사르데냐 국왕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사보이아 왕가 출신으로, 카부르 백작과 협력하여 리소르지멘토를 이끌고 이탈리아 왕국을 건국하여 통일 이탈리아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 자코바이트 왕위 요구자 -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제임스 2세의 아들로, 가톨릭 신앙 때문에 명예혁명의 원인이 되었고, 아버지의 폐위 후 영국 왕위 계승을 주장하며 여러 차례 왕위 획득을 시도했으나 실패 후 로마에서 망명 궁정을 운영했다.
  • 자코바이트 왕위 요구자 -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보니 프린스 찰리"라는 애칭으로 알려진 18세기 자코바이트 반란 지도자이자 스튜어트 왕가의 왕위 요구자였으나, 컬로든 전투에서 패배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왕위 계승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 피에몬테 후작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는 사보이아 공작이자 사르데냐 왕국의 왕으로,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 개혁, 군대 강화, 교육 진흥, 예술 분야 발전에도 기여했다.
  • 피에몬테 후작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는 이탈리아 왕위 계승자였으나 왕가 추방 이후 스위스에서 거주하며 사업가로 활동했고, 2002년 이탈리아 귀환이 허용되었지만 논란을 겪었으며, 2024년 사망했다.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1796년경
군주 칭호사르데냐 국왕
사보이 공작
전체 이름카를로 에마누엘레 페르디난도 마리아 디 사보이아
출생일1751년 5월 24일
출생지사르데냐 왕국 토리노 토리노 왕궁
사망일1819년 10월 6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콜로나 궁전
매장지산탄드레아 알 퀴리날레 성당
종교가톨릭교회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의 서명
통치
재위 기간1796년 10월 16일 - 1802년 6월 4일
이전 통치자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다음 통치자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가문
왕가사보이 왕가
아버지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어머니마리아 안토니아 페르디난다 디 스파냐
배우자
배우자마리아 클로틸데 디 프랑스 (1775년 8월 21일 결혼, 1802년 사망)

2. 생애

1796년 아버지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가 사망하자 사르데냐 왕위를 계승했지만,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의 이탈리아 전역에서 패배하여 5월 15일 파리 조약을 맺었다. 게다가 군대는 약체였고 국가는 파산 직전이라 문제가 많았다. 카를로 에마누엘레는 왕위를 "가시 왕관"이라고 칭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에서 탈락한 사르데냐는 프랑스 스파이와 지역 자코뱅의 국왕 암살 미수 사건에 시달렸다. 약한 군대밖에 없는 사르데냐는 프랑스에 대항할 수 없었고, 1798년 12월 6일 주베르 장군에게 토리노를 점령당했다.

제2차 대프랑스 동맹으로 러시아군이 토리노를 탈환하자 귀환하려 했다. 그러나 1799년 9월 리보르노에 상륙하자마자 피에몬테가 오스트리아군에 점령당한 것을 알고 피렌체로 향했다. 프랑스가 반격하자, 1800년 6월부터 아레초, 폴리뇨, 프라스카티, 로마를 거쳐 11월에는 나폴리로 피신했다.

1802년 3월 아내 클로틸드가 사망하자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그해 6월에 퇴위하여 로마로 거처를 옮겼다. 왕위는 동생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가 계승했다.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퇴위 후에도 왕의 칭호를 사용했다. 1819년에 사망했고, 자코바이트 왕위 청구권은 동생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가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1751년 토리노에서 사르데냐 왕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와 왕비 마리아 안토니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796년 사르데냐 왕위 계승 전까지 "피에몬테 공"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

1775년, 카를로 에마누엘레는 프랑스의 루이 16세의 여동생인 클로틸드와 결혼했다.[1] 비록 이 결혼이 정치적인 이유로 이루어졌지만, 부부 사이는 매우 좋았다. 두 사람은 아이를 가지려 했지만 실패하여 1782년에는 포기했다.[2]

2. 2. 사르데냐 국왕 즉위

카를로 에마누엘레는 1796년 10월 14일 아버지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가 사망하자 사르데냐 국왕으로 즉위했다.[3] 당시 사르데냐 왕국은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파리 조약 (1796년)을 체결한 상태였다. 이 조약으로 프랑스 군대는 피에몬테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되었다.[4]

즉위 당시 사르데냐는 군대가 약화되고 국가 재정이 파산 직전에 이르는 등 여러 문제가 산적해 있었다.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자신의 왕위를 "가시 왕관"이라고 표현할 정도였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에서 탈락한 약체 사르데냐였지만, 프랑스 스파이와 지역 자코뱅에 의한 국왕 암살 미수 사건이 이어졌다.

1798년 12월 6일, 주베르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군은 토리노를 점령했다.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이탈리아 본토의 모든 영토를 포기하고 사르데냐 섬으로 물러나야 했다.[4] 1799년 피에몬테를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로마나폴리에서 콜론나 가문의 손님으로 살았다.

2. 3. 프랑스 혁명 전쟁과 피난

1796년 왕위에 오른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프랑스 공화국과 불리한 파리 조약 (1796년)을 체결하여 프랑스 군대가 피에몬테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했다.[3] 1798년 12월 6일, 주베르 휘하의 프랑스군이 토리노를 점령하자,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이탈리아 본토의 모든 영토를 포기하고 사르데냐 섬으로 피신해야 했다.[4]

이듬해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피에몬테를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는 파르마를 거쳐 피렌체로 피신했다. 피렌체에서 교황 비오 6세와 면담했지만, 프랑스의 공세가 계속되어 1799년 2월 토스카나 대공국이 점령될 위기에 처하자 사르데냐 섬으로 도망쳤다.

제2차 대프랑스 동맹으로 러시아군이 토리노를 탈환하자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귀환을 시도했다. 그러나 1799년 9월 리보르노에 상륙하자마자 피에몬테가 오스트리아군에 점령당한 것을 알고 피렌체로 향했다. 프랑스가 반격을 시작하자,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1800년 6월부터 아레초, 폴리뇨, 프라스카티, 로마로 남쪽으로 이동하여, 11월에는 나폴리에 도착했다. 프랑스군이 로마를 점령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로마로 돌아갔지만, 2개월 후 다시 나폴리에 정착했다. 그 후,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로마나폴리에서 콜론나 가문의 집에 머물렀다. 또한 프라스카티에서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를 방문하기도 했다.[4]

2. 4. 퇴위와 말년

1802년 3월 7일, 카를로 에마누엘레의 아내 마리 클로틸데가 사망했다. 그는 아내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아 1802년 6월 4일, 동생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에게 양위하기로 결정했다.[1] 카를로 에마누엘레는 국왕이라는 개인 칭호를 유지했다. 그는 로마와 인근 도시인 프라스카티에서 살았다.



프라스카티에서 그는 사촌이자 마지막 왕족 스튜어트 왕가의 일원인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요크 공작 추기경의 단골 손님이었다. 카를로는 잉글랜드의 찰스 1세의 막내딸인 헨리에타 앤 스튜어트의 후손이었고,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는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의 후손이었다. 헨리가 1807년에 사망하자 카를로 에마누엘레는 잉글랜드 국왕 찰스 1세의 일반적인 상속자가 되어 영국 왕위에 대한 자코바이트 계승권을 물려받았다. 그러나 그와 그의 후계자들은 왕위를 주장하려는 시도를 전혀 하지 않았다.

1815년, 64세의 나이에 카를로 에마누엘레는 예수회에서 단순 서약을 했다. 그는 사제로 서품되지 않았지만 로마의 예수회 수련원에서 남은 생을 보냈다.

카를로 에마누엘레는 1819년 10월 6일 로마의 콜론나 궁전에서 사망했다. 그는 산탄드레아 알 퀴리날레 성당에 묻혔다.

3. 자코바이트 왕위 계승권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프라스카티에서 그의 사촌이자 스튜어트 왕가의 마지막 왕족인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요크 공작 추기경을 자주 방문했다. 카를로는 잉글랜드의 찰스 1세의 막내딸인 헨리에타 앤 스튜어트의 후손이었고,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는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의 후손이었다.[1] 1807년 헨리가 사망하면서 카를로 에마누엘레는 잉글랜드 국왕 찰스 1세의 상속자가 되어 영국 왕위에 대한 자코바이트 계승권을 물려받았다.[1] 그러나 그와 그의 후계자들은 이전의 세 명의 자코바이트 왕위 주장자들과는 달리 왕위를 주장하지 않았다.[1]

참조

[1] 박물관 Carlo Emanuele IV, King of Sardinia https://www.britishm[...] The British Museum
[2] 고서 A sister of Louis XVI, Marie-Clotilde de france, queen of Sardinia (1759–1802) https://archive.org/[...] 1911
[3] 서적 Beeton's Modern European Celebrities. A Biography of Continental Men and Women of Note https://books.google[...] Ward, Lock&Company 1874
[4] 서적 Southern Europe: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