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대프랑스 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1793년부터 1797년까지 프랑스 혁명에 대항하여 유럽 국가들이 결성한 동맹이다. 루이 16세의 처형 이후 프랑스 혁명 사상의 확산을 우려한 유럽의 왕정 국가들이 주도하여 결성되었으며,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영국 등이 참여했다. 동맹군은 프랑스를 공격했으나, 프랑스의 반격과 나폴레옹의 활약으로 동맹은 붕괴되었고, 영국만이 프랑스와 전쟁을 지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대프랑스 동맹 - 방데 전쟁
방데 전쟁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1793년부터 1796년까지 프랑스 서부 방데 지역에서 혁명 정부의 정책에 반발한 농민 반란으로 시작된 내전으로, 혁명 정부의 잔혹한 진압과 대량 학살 논쟁을 야기하며 프랑스 혁명의 폭력성과 종교·정치적 갈등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아있다. - 제1차 대프랑스 동맹 - 이탈리아 전역 (프랑스 혁명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 총재정부가 오스트리아를 굴복시키기 위해 1796년부터 감행한 이탈리아 전역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명성을 드높이고 제1차 대프랑스 동맹 붕괴와 프랑스의 이탈리아 지배 확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프랑스의 역사 - 삼부회
삼부회는 프랑스에서 성직자, 귀족, 평민 대표로 구성된 신분제 의회로, 국왕의 과세 동의 기능을 수행하며 왕권 강화에 기여했으나, 프랑스 혁명 직전 소집 후 의결 방식 갈등으로 국민 의회 결성되어 해체되고 프랑스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 프랑스의 역사 - 프랑스 제4공화국
프랑스 제4공화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립되어 의회 권한이 강력한 양원제 공화정 체제였으나, 정치적 불안정과 식민지 문제에 직면하여 군부 쿠데타로 붕괴하고 프랑스 제5공화국으로 대체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시기 | 1792년 4월 20일 – 1797년 10월 17일 |
장소 | 프랑스, 중앙 유럽,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스페인, 서인도 제도 |
결과 | 프랑스 승리; 헤이그 조약, 파리 조약, 바젤 평화 협정, 톨렌티노 조약, 캄포 포르미오 조약 |
영향 | 프랑스 제1공화국 수립 및 존속, 영토 확장 프랑스에 의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라인강 좌안, 사보이, 기타 소규모 영토 합병 프랑스의 자매 공화국 수립 프랑스의 총동원령 선포 산토도밍고를 프랑스에 할양 천년 넘게 존속한 베네치아 공화국 멸망 1798년 프랑스에 대한 제2차 대프랑스 동맹 결성 및 적대 행위 재개 |
교전 세력 | |
제1차 동맹 | 네덜란드 공화국 (1795년까지)헤이그 조약 이후 전쟁에서 이탈 프랑스 왕당파 영국 (콩데 공 군대 포함) 신성 로마 제국 (1797년까지), 명목상 합스부르크 가의 통치 하에 있었으며, 모데나 공국, 마사 공국 등의 이탈리아 국가들도 포함. 캄포 포르미오 조약 이후 전쟁에서 이탈 헤센-카셀 방백국 (1795년까지)바젤 평화 조약 이후 전쟁에서 이탈 뷔르템베르크 공국 (1796년까지) 파리 조약 이후 전쟁에서 이탈 [[File:Banner of Baden (3^2).svg|23px|border]] 바덴 변경백국 (1796년까지) 파리 조약 이후 전쟁에서 이탈 교황령 (1797년까지) 톨렌티노 조약 이후 전쟁에서 이탈 파르마 공국 (1796년까지) 포르투갈 왕국 프로이센 왕국 (1795년까지)바젤 평화 조약 이후 전쟁에서 이탈 사르데냐 (1796년까지) 파리 조약 이후 전쟁에서 이탈 스페인 제국 (1795년까지)바젤 평화 조약 이후 전쟁에서 이탈 나폴리 왕국 (1796년까지) 기타 이탈리아 국가: 제노바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 토스카나 대공국 포함, 1796년 나폴레옹 침공 이후 프랑스 위성국이 됨. 모나코 공국은 1793년 합병. 스위스 연방은 발텔리나를 잃음 |
프랑스 및 위성국 | 프랑스 왕국 (1792년까지) 프랑스 제1공화국 (1792년부터) 프랑스 위성국: 폴란드 군단(1797년부터) 포함 바타비아 공화국 (1795년부터) Sister republics 치살피나 공화국 (1797년부터) 포함 프랑스 해군 동맹국: 스페인 제국 (1796년부터, 해군만) 제2차 산 일데폰소 조약 체결 후 영국에 대항하여 프랑스 동맹으로 전쟁 재참여 |
지휘관 및 지도자 | |
제1차 동맹 | 프란츠 2세 조지 3세 윌리엄 피트 카를로스 4세 (1795년까지) 페르디난도 1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주앙 6세 비오 6세 페르디난도 3세 페르디난도 1세 에르콜레 3세 데스테 마리아 베아트리체 데스테 프리드리히 2세 오이겐 루도비코 마닌 자코모 마리아 브리뇰레 카를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빌럼 5세 라우렌스 피터르 반 데르 스피겔 오노레 3세 연방 의회 |
프랑스 | 루이 16세 자크 피에르 브리소, 국민 공회 의원 막시밀리앵 로베스피에르, 국민 공회 의장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폴 바라스, 총재정부 대통령 (1795년부터) |
병력 규모 | |
프랑스 공화국 (1794년) | 1,169,000명 |
피해 규모 | |
제1차 동맹 | 전투 중 사망: 94,000명 질병으로 사망: ~282,000명 포로: 220,000명 부상: 100,000명 |
프랑스 공화국 | 전투 중 사망: 100,000명 질병으로 사망: ~300,000명 포로: 150,000명 |
2. 역사적 배경
1789년 프랑스 혁명 발발 이후, 프랑스에서는 봉건제 폐지, 인권 선언, 교회 재산 몰수 등 혁명적인 사회 개혁이 진행되었다. 바렌 사건에도 불구하고 1791년 9월 헌법을 통해 입헌군주제가 실시되었으나, 혁명의 확산을 우려한 유럽 군주국들은 이에 반발했다. 특히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은 1792년 2월 동맹을 맺고 프랑스 혁명 정부를 압박했다.
1792년 9월, 발미 전투에서 승리한 프랑스 혁명정부(국민공회)는 군대를 공세로 전환하고 국경을 넘도록 명령하였다.[29] 혁명 세력은 승리의 기쁨 속에 혁명 사상의 전파와 인민 해방 등 혁명적 낭만주의에 사로잡혀 급진화되었고, 혁명의 후퇴를 막고 성과를 공고히 한다는 명분으로[29] 1793년 1월 21일 루이 16세를 재판에 회부한 뒤 처형했다.
루이 16세의 처형은 유럽 각국에 위기감을 안겨주었다. 이는 프랑스 혁명 정권이 왕정을 부정하는 지경에 이르렀음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혁명 사상이 자국으로 퍼지는 것을 두려워한 여러 왕국들은 동맹을 맺어 프랑스 혁명 정권을 타도하고자 했다.
2. 1. 프랑스 혁명과 유럽의 군주국들
1789년에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여 프랑스에서는 봉건제 폐지, 인권 선언, 교회 재산 몰수 등 혁명적인 사회 개혁이 진행되었다. 바렌 사건에도 불구하고 1791년 9월 헌법을 통해 입헌군주제가 실시되어 군주제 자체는 유지되었다. 그럼에도 혁명 사상의 전파를 염려한 유럽 군주들은 반발하였고, 특히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은 1792년 2월 동맹을 체결하여 혁명 정부를 압박하였다.[30]프랑스 혁명 정부는 오스트리아의 《필니츠 선언》과 망명 귀족들의 선동이 혁명 성과를 위협한다고 판단하여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 선전포고를 하였다.[30] 전쟁 초기, 혁명에 반대하는 귀족 출신 장교들이 망명하고[31] 군 기강이 문란해지면서 프랑스 군은 연패하여 위기에 처했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루이 16세가 병력 증원을 위한 의용군 모집에 거부권을 행사하자, 왕실이 외국 군대와 내통한다고 의심하던 시민들은 분노하였다. 패전, 식량 부족, 물가 폭등으로 민심이 흉흉한 가운데, 도시 노동자 중심의 상퀼로트들이 1792년 8월 왕궁을 공격하고 왕실 일가를 탕플탑에 유폐시켰다.[32] 이들의 협박에 굴복한 의회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1792년 9월 21일 제1공화국을 출범시켰다.[33]
1791년부터 유럽의 다른 군주국들은 프랑스의 상황을 우려하며 루이 16세를 지원하거나 프랑스의 혼란을 틈타 개입하는 것을 고려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2세는 프랑스 여왕 마리 앙투아네트의 오빠였는데, 처음에는 혁명을 차분하게 지켜봤으나 혁명이 과격해지면서 점점 더 우려하게 되었다.
1791년 8월 27일, 레오폴트와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는 프랑스 망명 귀족들과 협의하여 필니츠 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유럽 군주들이 루이와 그의 가족의 안녕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만약 그들에게 불행한 일이 닥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레오폴트는 필니츠 선언을 프랑스에 대해 실제로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행동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았지만, 파리에서는 이 선언을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혁명 지도자들은 이를 비난했다.
프랑스와 유럽 군주국 간의 이념적 차이 외에도 알자스에 있는 제국 영지의 지위에 대한 분쟁이 계속되었으며, 프랑스 당국은 특히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와 독일 소국에서 망명 귀족들의 선동에 대해 우려하게 되었다. 결국, 프랑스는 오스트리아에 먼저 선전포고했으며, 의회는 1792년 4월 20일, 긴 불만 사항 목록을 제출한 후 전쟁을 결정했다.
2. 2. 필니츠 선언과 프랑스의 선전포고
1789년에 프랑스에서 혁명이 발발하여 봉건제 폐지, 인권 선언, 교회 재산 몰수 등 사회 개혁이 이루어졌으나, 바렌 사건에도 불구하고 1791년 9월 헌법을 통해 입헌군주제가 실시되며 군주제는 유지되었다. 그럼에도 혁명 사상 전파를 염려한 유럽 군주들은 반발했고, 특히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은 1792년 2월 동맹을 맺어 혁명 정부를 압박했다.[30]1791년부터 유럽 군주국들은 프랑스 상황을 우려했고, 루이 16세를 지원하거나 프랑스 혼란을 틈타 개입하는 것을 고려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2세는 프랑스 여왕 마리 앙투아네트의 오빠로, 처음에는 혁명을 차분히 지켜봤으나 혁명이 과격해지면서 우려했지만, 전쟁은 피하고자 했다.
1791년 8월 27일, 레오폴트 2세와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는 프랑스 망명 귀족들과 협의하여 필니츠 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유럽 군주들이 루이 16세와 그 가족의 안녕에 대해 우려하며, 불행한 일이 닥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레오폴트 2세는 필니츠 선언을 통해 프랑스에 대해 실제로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행동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파리에서는 이를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혁명 지도자들은 이를 비난했다.
프랑스와 유럽 군주국 간 이념적 차이 외에도 알자스에 있는 제국 영지 지위에 대한 분쟁이 계속되었고, 프랑스 당국은 특히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와 독일 소국에서 망명 귀족들의 선동에 대해 우려했다. 결국 프랑스는 오스트리아에 먼저 선전포고했으며, 의회는 1792년 4월 20일, 새로 임명된 외무 장관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가 긴 불만 사항 목록을 제출한 후 전쟁을 결정했다.
프랑스 혁명정부는 오스트리아의 필니츠 선언과 망명 귀족들의 선동이 혁명 성과를 위협하는 요소로 판단하고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 선전포고를 하였다.[30]
2. 3. 루이 16세 처형과 대프랑스 동맹 결성
루이 16세의 처형은 유럽의 각 왕국에 위기감을 안겨 주었다. 이는 프랑스 혁명 정권이 왕정을 부정하게 된 것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왕권신수설을 신봉하는 그들 입장에서는 국왕 없이도 국가가 통치될 수 있다는 생각은 매우 불온한 사상이었다. 혁명 사상이 자국에 파급될까 두려워한 여러 왕국은 동맹을 맺어 프랑스 혁명 정부의 타도를 목표로 했다.[34]제1차 대프랑스 동맹 참가국 |
---|
1793년 루이 16세가 처형되면서, 프랑스 혁명에 위협을 느낀 유럽 국가들은 오스트리아,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영국), 프로이센 왕국, 사르데냐 왕국, 스페인 등을 중심으로 동맹을 맺어 프랑스를 공격했다.
1793년 1월 21일 혁명 정부는 재판을 거쳐 루이 16세를 처형했다. 이는 스페인, 나폴리 & 시칠리아, 네덜란드를 포함한 모든 유럽 정부를 혁명에 대항하여 연합하게 했다. 프랑스는 1793년 2월 1일 영국과 네덜란드에 선전포고했고, 곧이어 스페인에도 선전포고했다. 1793년 한 해 동안 신성 로마 제국(3월 23일), 포르투갈과 나폴리 왕, 그리고 토스카나 대공이 프랑스에 선전포고했다. 이로써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었다.[34]
3. 제1차 대프랑스 동맹 (1793년 ~ 1797년)
동맹군은 남네덜란드와 라인란트에서 공세를 펼치고, 영국은 해상 봉쇄를 통해 프랑스를 압박했다. 프랑스는 네르윈덴 전투 패배와 뒤무리에의 투항, 국내 반란 등으로 위기에 처했으나, 공안위원회를 조직하고 징병제를 실시하여 전력을 회복했다.
1793년 말부터 프랑스는 반격하여 동맹군을 몰아내고, 나폴레옹은 툴롱 공방전에서 명성을 얻었다. 1795년에는 프로이센, 네덜란드, 스페인과 평화 조약을 맺어 동맹을 약화시켰다.
1796년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원정 성공과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 체결로 오스트리아가 전쟁에서 이탈하면서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다. 영국만이 프랑스와의 전쟁을 계속 이어갔다.
3. 1. 동맹의 결성
루이 16세의 처형은 유럽 각국 왕실에 위기감을 불러일으켰다. 프랑스 혁명 정부가 왕정을 부정했기 때문이다. 왕권신수설을 믿던 그들에게 국왕 없는 통치는 불온한 사상이었다. 혁명 사상이 자국에 퍼질까 두려워한 여러 왕국은 동맹을 맺고 프랑스 혁명 정부 타도를 목표로 했다.[34]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3. 2. 전쟁 초기: 동맹군의 우세와 프랑스의 위기
1793년 지중해에서 동맹군이 프랑스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공화국은 라인강에서 공격했고, 영국은 해상 봉쇄를 시작하여 프랑스 해군의 거점인 툴롱 항을 포위했다.[35] 프랑스는 1793년 3월 18일 네르빈덴 전투에서 패배하고, 이어진 뒤무리에의 투항으로 대외적으로 열세에 놓였다.국내에서도 서부 방데 지역과 남동부 리옹 등에서 왕당파의 선동에 의한 반란(방데 반란, 리옹 반란)이 일어났고, 툴롱 항에서도 도시 내의 왕당파가 영국과 스페인 함대를 입항시키는 등 내우외환을 안고 있었다. 같은 해 4월 6일, 혁명 정권은 공안위원회를 조직하여 내부의 긴축을 도모함과 동시에 8월 23일, '국민 총동원령'을 의결하여 상실한 병력의 복구를 시도했다.[35]
3. 3. 프랑스의 반격과 국민 총동원령
1793년 3월 18일 네르빈덴 전투 패배와 뒤무리에의 투항으로 프랑스는 대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35] 국내에서도 방데 지역과 리옹 등에서 왕당파의 반란이 일어났고, 툴롱에서는 왕당파가 영국과 스페인 함대를 항구로 불러들이는 등 안팎으로 위기에 처했다.1793년 4월 6일, 혁명 정부는 공안위원회를 설치하여 내부 단속을 강화하고, 8월 23일에는 '국민 총동원령'을 내려 병력 보충을 시도했다.[35]
1793년 말부터 프랑스는 반격에 나서 국내로 침입한 동맹군을 모두 몰아냈다. 같은 해 12월 19일, 나폴레옹은 툴롱 탈환에서 큰 공을 세워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36] 이후 프랑스는 계속 공격을 이어가 1795년 4월 6일 프로이센과 바젤 조약을 맺고 라인란트를 차지했다. 같은 해 5월에는 남부 네덜란드에 바타비아 공화국을 세웠고, 스페인도 제2차 바젤 조약을 통해 프랑스와 휴전했다.
3. 4. 프랑스의 공세와 동맹의 붕괴
1793년 말부터 프랑스는 반격에 나서 국내에 침입했던 동맹군을 모두 국외로 몰아냈다. 같은 해 12월 19일, 나폴레옹은 툴롱 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36] 1795년 4월 6일에는 프로이센과 《바젤 조약》을 체결하여 라인란트를 얻었고, 같은 해 5월에는 네덜란드에 위성국인 바타비아 공화국을 건국했다. 스페인 또한 《제2차 바젤 조약》으로 프랑스와 휴전했다.1795년 10월 26일, 국민공회가 해산되고 총재정부가 성립되면서 프랑스군은 독일과 북부 이탈리아 정복에 착수했다. 그러나 라인 전선에서는 샤를 피슈그뤼 장군이 망명한 부르봉 왕가의 왕당파와 협상하면서 군대를 배신했고, 이로 인해 만하임이 철수되고 장바티스트 주르당이 지휘하는 마인츠 전투가 실패로 돌아갔다.
1797년 2월 22일에는 윌리엄 테이트 대령이 이끄는 아일랜드계 미국인 병력 1,400명으로 구성된 프랑스 침공군이 웨일스의 피시가드 근처에 상륙했다. 그러나 이들은 존 캠벨이 지휘하는 영국 예비군, 민병대, 해군과 충돌하여 2월 24일 무조건 항복해야 했다.[1]
오스트리아는 1797년 10월 17일 캄포포르미오 조약을 체결하여 벨기에를 프랑스에 할양하고, 프랑스의 라인란트 및 이탈리아 대부분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했다. 고대 베네치아 공화국은 오스트리아와 프랑스에 의해 분할되었다. 이로써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고, 영국만이 전쟁을 계속하게 되었다.
3. 4. 1.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원정
1796년 3월, 나폴레옹은 이탈리아 방면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이탈리아 원정에 나섰다. 그는 알프스 산맥을 우회하여 이탈리아로 진군, 각 방면에서 동맹군을 격파했다. 1797년 4월 7일, 레오벤 조약으로 오스트리아와 임시 휴전하였고, 1797년 10월 17일 캄포포르미오 조약을 체결하여 완전히 휴전하고 많은 영토를 할양받았다. 이로써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고, 영국만이 전쟁을 계속하게 되었다.
프랑스는 요르단과 장 빅토르 마리 모로는 라인 방면에서, 나폴레옹은 이탈리아 방면에서 공격하여 티롤 백국에서 합류, 빈으로 진격할 계획이었다.
나폴레옹은 이탈리아를 대담하게 침공하여 몬테노테 작전에서 사르데냐 왕국과 합스부르크 군주국 군대를 분리하여 차례로 격파한 후 사르데냐와 평화 조약을 맺고, 밀라노를 점령하고 만토바 공방전을 시작했다. 나폴레옹은 요한 페터 뵘리, 다고베르트 지크문트 폰 부름저, 요제프 알빈치가 이끄는 오스트리아 군대를 연이어 격파하면서 공방전을 계속했다.

1797년 2월 2일, 나폴레옹은 만토바를 점령했고, 오스트리아군은 18,000명을 항복시켰다. 오스트리아의 카를 대공은 나폴레옹의 티롤 침공을 막을 수 없었고, 오스트리아 정부는 4월에 평화를 요구했다. 동시에 모로와 라자르 오슈 휘하의 새로운 프랑스군이 독일을 침공했다.
3. 4. 2. 라인 전역
프랑스는 3개 전선에서 대규모 진격을 준비했다. 장바티스트 주르당과 장 빅토르 마리 모로는 라인 방면에서, 새롭게 승진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이탈리아 방면에서였다. 이 세 군대는 티롤 백국에서 합류하여 빈으로 진격할 예정이었다.[1]1796년 라인 전역에서, 주르당과 모로는 라인강을 건너 독일로 진격했다. 주르당은 8월 말 암베르크까지 진격했고, 모로는 9월까지 바이에른 선제후국과 티롤 변경 지역에 도달했다. 그러나 주르당은 테셴 공작 카를 대공에게 패배했고, 양 군대는 라인강을 건너 후퇴해야 했다.[2][3]
3. 4. 3. 영국군의 웨일스 상륙 시도
1797년 2월 22일, 윌리엄 테이트 대령이 지휘하는 검은 군단(La Legion Noire) 소속 1,400명의 아일랜드계 미국인 병력으로 구성된 프랑스 침공군이 웨일스의 피시가드 근처에 상륙했다.[1] 이들은 존 캠벨 지휘하에 신속하게 소집된 약 500명의 영국 예비군, 민병대 및 해군과 맞닥뜨렸다.[1] 1797년 2월 23일 현지 민간인과 콜더 경의 군대와 짧은 충돌을 겪은 후, 테이트는 2월 24일까지 무조건 항복해야 했다.[1] 이는 혁명 전쟁 동안 영국 영토에서 벌어진 유일한 전투였다.[1]4. 결과 및 영향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은 프랑스 혁명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 전쟁의 결과로 유럽의 정치 지형은 크게 변화했으며, 이후 나폴레옹 전쟁으로 이어지는 발판을 마련했다.
참조
[1]
문서
Treaty of The Hague (1795)
[2]
웹사이트
Wars of the Vendee
https://www.britanni[...]
[3]
문서
Army of Condé
[4]
문서
Duchy of Modena
[5]
문서
Peace of Basel
[6]
문서
Peace of Paris
[7]
문서
Peace of Paris
[8]
문서
Treaty of Tolentino
[9]
문서
Treaty of Paris
[10]
문서
Republic of Genoa
[11]
문서
Polish Legions
[12]
문서
Batavian Republic
[13]
문서
Cisalpine Republic
[14]
문서
Second Treaty of San Ildefonso
[15]
웹사이트
The French Revolution, 1789–1799
https://www.habsburg[...]
2023-02-20
[15]
웹사이트
Austria's Leopold II on the French Revolution (1791)
https://alphahistory[...]
30 March 2015
2023-02-20
[16]
서적
The Military Revolution Debate
Routledge
2018
[17]
웹사이트
Victimario Histórico Militar Capítulo IV Guerras de la Revolución Francesa (1789 a 1815)
http://remilitari.co[...]
2020-04-02
[18]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2017
[19]
서적
De Franse Revolutie (The French Revolution)
Veen Media, Amsterdam
2015
[20]
서적
Foreign Policy and the French Revolution
Palgrave Macmillan US
2008
[21]
간행물
Progress of the war
1911
[22]
문서
신성 로마 제국
[23]
문서
바젤의 화약
[24]
문서
제2차 산 일데폰소 조약
[25]
문서
바타비아 공화국
[26]
문서
폴란드 분할
[27]
서적
Battle of Valmy.
1911
[28]
서적
De Franse Revolutie (The French Revolution).
Veen Media, Amsterdam
2015
[29]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30]
웹사이트
입법국민의회 - 인민주권과 자유의 보장 그리고 대외전쟁
네이버 지식백과
2007-07-05
[31]
웹사이트
입법국민의회 - 인민주권과 자유의 보장 그리고 대외전쟁
네이버 지식백과
2007-07-05
[32]
서적
서양 문명의 역사 3
소나무
1996-04-05
[33]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34]
서적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35]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36]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