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보타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보타지는 자국 연안에서의 해상 및 항공 운송을 자국 선박 및 항공사에 한정하는 규제 제도를 의미한다. 프랑스어 'caboter'에서 유래되었으며, 해운 분야에서는 국내 해운 산업 보호, 국가 안보, 영해 안전을 목적으로 한다. 각국은 자국의 법규에 따라 카보타지 제도를 운영하며, 미국, 일본, 대한민국 등은 엄격한 규제를 적용한다. 반면, 유럽 연합(EU)은 항공 분야에서 제한적으로 카보타지를 허용하며, 칠레는 외국 항공사에 상호주의를 조건으로 국내선 운항을 허용하는 등 유연한 정책을 펼치기도 한다. 카보타지는 수정된 제6의 자유, 부가 권리와 같은 개념과 관련되며, 국가 간의 항공 협정 및 경제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물 운송 - 파이프라인 수송
파이프라인 수송은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기체나 액체 상태의 물질을 대량 운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석유, 천연가스, 물 등을 장거리, 중거리 수송에 사용하며, 운임이 저렴하고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전성이 높다. - 화물 운송 - 컨테이너
컨테이너는 화물 운송과 보관에 사용되는 규격화된 대형 상자로서, 해상 운송을 통해 물류 혁명을 이끌었으며, 표준화된 크기와 다양한 종류로 효율적인 운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동식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 민간 항공 - 에어택시
에어택시는 단거리 및 중거리 주문형 항공편에 사용되는 첨단 항공 모빌리티 시스템의 응용 분야이며, 수직 이착륙 및 자율 비행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예약 가능한 서비스로 발전했다. - 민간 항공 - 상업 항공
상업 항공은 유상 또는 임차를 목적으로 사람, 화물, 우편물을 운송하는 항공기 운영 분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급속히 발전했으며 안전 문제, 우주 방사선 노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사업 용어 - 리스
리스는 자산 소유자가 사용 권한을 타인에게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계약으로, 자금조달 성격의 금융리스와 임대차 성격의 운영리스로 구분되며, 리스료는 자산가액, 제세공과금, 자금조달 비용을 고려하여 산정되고, 비용 평준화, 세금 혜택, 유동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회계 처리 및 세제 혜택은 국가별로 다르며, 국제회계기준(IFRS) 16호와 미국 일반회계기준(US GAAP) ASC 842는 단기리스를 제외한 모든 리스를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로 인식하도록 규정한다. - 사업 용어 - 물류
물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화, 서비스 및 관련 정보를 발생 지점에서 소비 지점까지 계획, 실행, 통제하는 과정이며, 전자상거래 발달과 함께 전자 물류의 중요성이 커지고 물류 자동화 및 시스템, 교육 기관들이 발전하고 있다.
카보타지 | |
---|---|
정의 | |
카보타주 | 한 국가 내에서 발생하는 국내 운송을 해당 국가의 운송 사업자에게만 허용하는 정책 |
목적 | |
국내 산업 보호 | 국내 운송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 |
고용 유지 | 자국민의 고용 기회 유지 |
안전 및 보안 | 국내 운송망의 안전 및 보안 유지 |
카보타주 규제 | |
범위 | 해상 운송 항공 운송 육상 운송 (일부 국가) |
내용 | 외국 국적의 운송 사업자는 국내 운송 불가 자국 국적의 운송 사업자만 국내 운송 가능 |
장점 | |
국내 산업 보호 | 국내 운송 산업의 경쟁력 강화 |
고용 창출 | 자국민의 고용 안정 및 창출 |
운송 서비스 품질 향상 | 국내 운송 사업자의 서비스 개선 유도 |
단점 | |
운송 비용 증가 | 경쟁 제한으로 인한 운송 비용 상승 가능성 |
운송 서비스 선택의 폭 제한 | 소비자의 다양한 운송 서비스 선택 기회 제한 |
국제 무역 장벽 | 국제 무역 및 투자 활성화 저해 가능성 |
카보타주 현황 | |
국가별 시행 여부 | 많은 국가에서 해상 운송에 카보타주 규정 시행 항공 운송은 상대적으로 자유화된 경향 육상 운송은 국가별로 규제 수준 상이 |
유럽 연합 (EU) | 회원국 간 해상 카보타주 점진적 자유화 추진 |
미국 | 존스 Act에 따라 해상 카보타주 엄격히 규제 |
카보타주 논쟁 | |
찬성 측 | 국내 산업 보호 필요 국가 안보 중요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 |
반대 측 | 소비자 후생 저해 국제 경쟁력 약화 무역 장벽 철폐 필요 |
2. 어원
"cabotage"라는 용어는 프랑스어에서 빌려온 것으로, '해안을 따라 여행하다'라는 뜻의 caboter|카보테프랑스어에서 유래했다. caboter|카보테프랑스어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곶"을 의미하는 ''cap'' 또는 ''cabo''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고, 특정 유형의 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이 단어를 이탈리아 탐험가 캐벗과 연결하려는 시도는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는다.[2]
대부분의 해안 국가들은 국내 해운 산업 보호, 국가 안보 유지, 혼잡한 영해에서의 안전 확보를 위해 카보타지법을 시행하고 있다.[3]
3. 해운 분야
'''카보타지 제도''' 또는 '''카보타지 규제'''란, 자국의 연안 수송(내항 해운)을 자국적 선박으로 한정하는 규제이다.[22][23] 이는 국가 안전 보장 등의 목적을 가진다.[22]
카보타지 규제가 없을 경우, 국내 항로에서 여객선과 화물선 모두 편의치적선이 진입할 수 있어 이용자 입장에서는 해운 비용이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국가의 세입이 감소하고, 자국 내항 해운 산업이 일자리를 빼앗겨 자국민 선원 및 해운 종사자가 감소할 수 있으며, 안전 규칙이 허술한 편의치적선에 의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국제적으로 시장 개방과 경쟁이 우선시되고 있지만, 규제와 개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899년에 제정된 선박법 제3조에 따라 카보타지 제도를 규정하여[22] 국제적인 경쟁을 배제해 왔다.
일본 내항 해운 조합 총연합회와 전일본 해원 조합은 카보타지 제도 완화에 반대하며, 유사시의 국민 보호나 긴급 수송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들은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 당시 외국 선박들이 게이힌 공업지대 기항을 거부한 사례를 들어 자국 선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JR큐슈 고속선에 납품된 파나마 선적 고속선 퀸 비틀의 국내 유람 운항에 대해, 내항총련[26]과 전일본 해원 조합[27]은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2021년 3월 10일 국토교통성은 "동일 항구 발착에 한정한다" 등의 조건을 붙여 해당 선박에 대한 국내 특례 운항 허가를 발급했고[28], 3월 20일 이후 퀸 비틀은 하카타항 발착의 주유 운항에 사용되고 있다.
3. 2. 미국
1920년 상선법(존스법)과 1886년 여객선 서비스법에 따라, 미국 항구 간 해상 운송은 엄격히 제한된다. 존스법은 미국 항구 사이를 수로로 운송되는 모든 화물은 미국에서 건조되고, 미국 국기를 게양하며, 미국 시민이 소유하고, 미국 시민과 미국 영주권자가 승무하는 선박으로 운송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6] 1886년 여객선 서비스법은 외국 선박이 외국 항구를 경유하든 직접적으로든 미국 내 항구나 장소 간에 여객을 운송할 수 없다고 명시한다.[6]
"미국 건조" 요건을 충족하는 선박은 다음과 같다:[6]
존스법은 다음 운송에 적용된다:[6]3. 3.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2005년에 카보타지 정책을 시행하여, 이전까지 비교적 자유롭게 허용되던 외국 소유 선박의 국내 운항을 제한했다.[4]
3. 4. 필리핀
필리핀에서는 필리핀 관세법(공화국 법률 제1937호)으로도 알려진 카보타지법이 연안 무역 또는 국내 여객 및 화물 운송을 필리핀 등록 선박으로 제한하며, 해양 산업청으로부터 연안 면허를 받아야 한다.[5] 2015년 외국 선박 공동 적재법(공화국 법률 제10668호) 통과 후, 외국 선박은 국외로 수출할 화물을 싣고 국내 여러 항구에 기항한 후 외국 항구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5]
3. 5. 중국
중국은 외국 선박이 교통부의 사전 승인 없이는 국내 운송이나 국내 환적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6] 홍콩과 마카오는 본토와는 별개로 각각 내부 카보타지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이 두 지역과 본토 간의 해상 카보타지는 국내 운송으로 간주되어 외국 선박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다.[6] 마찬가지로, 타이완 해협을 횡단하는 해상 운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양측의 특별 허가가 필요하며, 통상적으로 외국 선박은 접근할 수 없다.[6]
3. 6. 유럽 연합 (EU)
유럽 연합(EU)에서는 신규 가입 회원국(특히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의 카보타지 권리가 제한되었지만,[7] 이러한 도입 조항은 파로스 페리 참사를 고려한 비판 이후 폐기되었다.[8]
3. 7. 헤이그-비스비 규칙
헤이그-비스비 규칙은 "두 개의 다른 국가의 항구 간의 해상 화물 운송"에만 적용되므로 카보타지 운송에는 적용되지 않는다.[9] 그러나 영국 1971년 해상 화물 운송법 제1조 (3)항은 규칙이 "선적 항구가 영국 내 항구인 경우, 운송이 두 개의 다른 국가의 항구 사이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 효력을 가진다"고 선언한다.
4. 항공 분야
시카고 협약은 회원국이 배타적인 조건으로 카보타지를 부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는 양자 항공 협정 협상에서 카보타지를 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해 왔다.[10] 대부분의 오픈 스카이 협정 하에서는 카보타지가 허용되지 않는다.
4. 1. 유럽 연합 (EU)
라이언에어, 이지젯, 부엘링, 위즈 에어, 에어 링구스와 같은 항공사들은 본거지를 두고 자국 외에서 국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11]4. 2. 호주와 뉴질랜드
더욱 긴밀한 경제 관계 협정에 따라 호주 항공사는 뉴질랜드에서 국내선 및 국제선을 운항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허용된다.[10] 콴타스 자회사인 젯스타는 뉴질랜드 내 국내선을 운항한다. 에어 뉴질랜드는 호주에서 뉴질랜드 외의 한 국제선 목적지를 제공하며, 호주 시드니와 쿡 제도의 라로통가를 운항한다. 에어 뉴질랜드는 또한 호주 내에서 국내선 노선 하나를 운항하며, 호주 시드니와 노퍽 섬 사이를 운항한다. 이전에는 콴타스 젯커넥트 인 젯커넥트,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자회사인 퍼시픽 블루 항공 및 앤셋 뉴질랜드가 뉴질랜드에 기반을 둔 호주 소유 항공사로 뉴질랜드 국내 서비스를 운영했다.호주는 또한 호주 법에 따라 설립된 외국 소유 항공사(예: 버진 오스트레일리아의 국내선 부문)가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이러한 항공사가 호주의 국적 항공사로서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는 것은 금지한다. 그러나 호주 소유 자회사가 운영하는 경우 국제선 노선을 계속 운항할 수 있다.
4. 3. 칠레
칠레는 1979년에 제정된 세계에서 가장 자유로운 카보타지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 외국 항공사가 자국 항공사에 대한 상호 대우를 조건으로 국내선을 운항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10] 이러한 제도는 칠레의 항공 서비스에 대한 지리적 필요성과 LATAM 칠레가 여러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주요 사업을 확장하는 가운데 다른 국가의 자유화를 장려하기 위한 목적도 겸하고있다.[10] 호주와 마찬가지로 칠레는 외국 기업이 상호주의 여부에 관계없이 칠레 자회사를 설립하여 칠레 국내 항공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12]4. 4. 기타 사례
1991년 이전에는 루프트한자가 서베를린으로 비행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팬 아메리칸, 영국항공, 에어 프랑스가 서독과 서베를린 사이의 노선을 운항했다.[10] 이 기간 동안 팬 암은 베를린 테겔로 뮌헨-림 공항(현재 폐쇄됨), 함부르크, 프랑크푸르트에서 비행했다. 에어 프랑스는 뒤셀도르프에서, 영국항공은 뮌스터-오스나브뤼크, 하노버 등지에서 비행했다.2003년-2004년, 미국 교통부는 미국 국적 항공사들이 해당 지역에서 운항을 중단한 후 아메리칸 사모아에서 임시 카보타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폴리네시안 항공을 승인했다. 이는 미국이 비상 사태에서 카보타지 권리를 부여한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이다.
2007년 10월, 영국은 싱가포르 항공사에 오픈 스카이 협정의 일환으로 영국 국내 노선을 운항할 권리를 부여했으며, 이 협정은 영국 항공사가 싱가포르에서 모든 도시로 비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호 카보타지 권리는 뉴질랜드와 브루나이,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알바니아 간의 조약에 의해 존재한다.
202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서방 제재로 인해 러시아 항공 산업에 제재가 가해지면서 러시아는 항공기 부족을 완화하기 위해 인도 및 중국과 같은 "우호 국가"에 카보타지 제안을 보냈으며, 이들 국가의 항공사가 러시아 국내 노선을 운항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5. 육상 운송 분야
유럽 연합은 도로 운송에 대해 제한적인 카보타지를 허용한다. 다른 EU 국가로 운송한 비거주 운송업체는 국경으로 돌아가기 전에, 해당 국가 내에서 추가 화물을 픽업하여 배송하는 것이 허용된다.[16]
6. 관련 개념
카보타지와 관련된 개념은 다음과 같다.
- 수정된 제6의 자유: A 국가의 두 지점 사이에서 B 국가의 허브를 경유하여 승객을 운송할 수 있는 권리이다. 예를 들어 보스턴-토론토-시애틀 여정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현재 카보타지로 간주되어 허용되지 않는다. 2002년 아시아나항공은 서울을 경유하여 미국 본토에서 괌과 사이판으로 가는 항공권을 판매한 혐의로 미국으로부터 벌금을 부과받았다.[17][18][19]
- 부가 권리 (Tag Rights): 국제 연결 승객만 이용할 수 있도록 특정 구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카보타지로 간주되지 않는다. 콴타스 항공은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 서비스는 국제 연결 승객만 이용할 수 있다.
6. 1. 수정된 제6의 자유
"수정된 제6의 자유"는 A 국가의 두 지점 사이에서 B 국가의 허브를 경유하여 승객을 운송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보스턴-토론토-시애틀 여정이 이에 해당한다.[17] 이러한 서비스는 현재 카보타지로 간주되어 허용되지 않는다.[18] 2002년, 아시아나항공은 서울을 경유하여 미국 본토에서 괌과 사이판으로 가는 항공권을 판매한 혐의로 미국으로부터 벌금을 부과받았다.[19]6. 2. 부가 권리 (Tag Rights)
콴타스 항공은 국제 연결 승객만 이용할 수 있도록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카보타지로 간주되지 않는다.참조
[1]
웹사이트
'European transport policy for 2010: time to decide' EU Commission White paper
http://ec.europa.eu/[...]
Ec.europa.eu
2005-12-01
[2]
웹사이트
Centre National de Ressources Textuelles et Lexicales
https://www.cnrtl.fr[...]
[3]
웹사이트
Adherence to the cabotage system
http://www.naiko-kai[...]
Japan Federation of Coastal Shipping Associations
2014-12-26
[4]
뉴스
Cabotage provides a big boost to shipping industry
http://www.thejakart[...]
2013-09-23
[5]
웹사이트
Beyond Republic Act No. 10668: Policy Considerations to Improve Coastwise Trade
http://industry.gov.[...]
Sector Planning Bureau of the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2015
[6]
웹사이트
Legal Briefing: A Quick Overview of Maritime Cabotage Regimes
https://www.ukpandi.[...]
UK P&I Club
2018-08
[7]
EU derogations
http://www.bloomsbur[...]
[8]
Paros ferry disaster
http://www.greekisla[...]
2011-01-20
[9]
문서
Hague-Visby rules, Article X
[10]
서적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ternational Aviation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European Commission
Cabotage
http://ec.europa.eu/[...]
[12]
웹사이트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 Strengthening aviation relations with Chile
http://eur-lex.europ[...]
Eur-lex.europa.eu
[13]
웹사이트
Cabotage definition and standards for emergency exemption
http://www.doi.gov/o[...]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4]
웹사이트
Channelnewsasia.com
http://www.channelne[...]
Channelnewsasia.com
[15]
뉴스
Hit by mid-war turbulence, Moscow issues a mayday call to Indian airlines
https://economictime[...]
2024-10-29
[16]
International and cabotage road transport
http://www.europarl.[...]
[17]
서적
Introduction to Air Transport Economics: From Theory to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08
[18]
간행물
Canada's new government delivers greater Air Travel choice through Open Skies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http://news.gc.ca/we[...]
Government of Canada
2007-03-12
[19]
뉴스
DOT fines Asiana for violating cabotage laws
http://www.travelwee[...]
2002-10-31
[20]
웹사이트
用語集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海事局
2022-06-11
[21]
Kotobank
カボタージュ
2022-06-11
[22]
웹사이트
カボタージュ制度の堅持
http://www.naiko-kai[...]
日本内航海運組合総連合会
2021-01-03
[23]
학술지
カボタージュ規制と内航海運業
https://dlisv03.medi[...]
大阪市立大学経済学会
[24]
문서
近隣の[[釜山港]]([[韓国]])や、[[基隆港]]([[台湾]])に寄港することで、この規制を回避している。
[25]
웹사이트
日本の代表的客船「飛鳥」3代目登場か しかし多い課題、頓挫の可能性も
https://trafficnews.[...]
2016-06-12
[26]
웹사이트
内航総連・栗林会長、カボタージュ規制堅持を。外国籍客船、国内運航 特措要望に
https://www.jmd.co.j[...]
日本海事新聞 電子版
2020-12-11
[27]
웹사이트
海員組合、外国籍旅客船の国内運航 特例措置「断固反対」
https://www.jmd.co.j[...]
日本海事新聞 電子版
2021-03-15
[28]
웹사이트
JR九州系の新型高速船、国内で周遊運航 国交省が許可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