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는 고대 로마 시대의 철학자로, 플루타르코스와의 관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의 가르침, 그리고 다양한 저작과 관련된 언급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플라톤주의 또는 스토아 학파 철학자로 추정되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섹스투스를 극찬하며 그의 가르침을 따랐다. 필로스트라토스와 아풀레이우스 등의 기록에서 언급되며, 특히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에 등장하여 그의 철학적 영향력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세기 철학자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철학자 - 갈레노스
    갈레노스는 로마 제국의 의사이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그의 방대한 저술은 서구 및 이슬람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해부학적 관찰과 동물 실험을 통해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을 발전시키고 인체의 기능과 질병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여 의학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2세기 그리스 사람 - 파우사니아스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기원후 2세기경 소아시아에서 태어난 그리스 지리학자이자 여행가로, 그리스 각지를 여행하며 기록한 10권 분량의 『그리스 지리서』는 고대 그리스의 지리, 역사, 문화, 예술을 담아 고고학 및 미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 2세기 그리스 사람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 조각상 (1803년 판화)
이름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
출생기원후 95년경
출생지그리스 카이로네이아
사망기원후 185년경
사망 추정지로마
철학 정보
지역서양 철학
시대헬레니즘 철학
주요 관심사인식론, 윤리학
사상적 영향플루타르코스
영향을 준 인물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아풀레이우스
헤로데스 아티쿠스
히메리우스

2. 생애

일부 역사가들은 플루타르코스와의 관계 때문에 섹스투스가 플라톤주의 철학자라고 추론한다.[24] 그 외는 대표적으로 사실성이 떨어지는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 섹스투스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교사라고 하는 애매모호한 언급 때문에 그를 스토아 학파라고 추론하였다.[25][26]

'수다'는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몹시나도 맘에 들어하여 그와 함께 재판장에 들어섰다고 하였다. 또한 '수다'에서 그의 저서로 추정되는 '윤리학'(Ἠθικάel ''Ithika'')과 '탐구'(Ἐπισκεπτικάel ''Episkeptika'')가 언급되지만, 이 두 서적이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의 것인지 또는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것인지는 불확실하다.

필로스트라토스[27]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노년이던 재위 말에 로마에서 가르침을 주던 섹스투스한테서 어떻게 가르침을 받았는지를 묘사한다:

> 마르쿠스 황제는 보이오티아 출신의 철학자 섹스투스의 열렬한 제자로, 종종 그의 무리에 있었고 그의 집에 자주 다녔다. 이제 막 로마에 도착했던 루키우스는 가는 길에 만났던 마르쿠스 황제에게 당신은 어디로 가고, 어떤 심부름을 하느냐고 묻자, "늙은이라 하더라도 배우는 것이 좋다. 나는 철학자 섹스투스에게 내가 아직까지 모르는 것을 배우고 있다."라며 마르쿠스는 답하였다. 그러자 루키우스는 손을 하늘 위로 올리며, "오 제우스여, 노년의 로마인들의 왕은 서자판을 들고 학교에 갑니다."라고 말하였다.[28]

이 만남에 대한 시기는 마르쿠스의 마지막 전쟁 출정 이전인 177–8년일 확률이 높다.[29] 마르쿠스는 또한 섹스투스 앞에서 철학을 과시했다고 전해진다.[30]

필로스트라토스는 또한 헤로데스 아티쿠스가 딸 엘피니케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슬픔에 대해 상담을 해주었던 섹스투스의 언급을 기록했다: "만일 당신이 딸에 대한 슬픔을 참는다면 딸에게 작은 선물도 주지 않는 것이다."[31]

마르쿠스는 '명상록'에서 극찬하는 어투로 섹스투스에 대해 말하며, 섹스투스한테서 그가 받은 교육의 종류를 찾아볼 수 있다:

> 섹스투스한테서 빚은 관대한 마음과 아버지다운 태도로 다스리는 가정의 본보기와 자연을 따라 사는 사상을, 또한 편애에 흐르지 않고 신중해야 하며 친구들의 관심을 조심스럽게 살피고 무식한 사람이나 깊이 생각하지도 않은 의견을 내세우는 사람들도 관대하게 대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그는 쉽게 모든 사람과 사귀는 힘을 갖고 있어서 그와의 사귐은 어떤 아첨보다도 더 즐거운 것이었다. 동시에 그는 그와 사귀는 사람들로부터 최대의 존경을 받고 있었다. 그는 지적이고 분석적인 방식으로 삶의 필수적인 원칙을 찾아내고 정리하는 재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분노나 기타의 격정을 나타낸 적이 없으며, 정념에 흔들리는 일이 전혀 없었고 언제나 친절했다. 그리고 그는 칭찬을 하는 경우에도 떠들썩하게 과시하지 않았으며, 그는 심원한 학식을 갖고 있었으나 허세를 부리지 않았다.[32]

아풀레이우스는 '황금 당나귀'의 도입 부분에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에 대해 경의를 표하였다.[33]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후손인 아테네의 니카고라스 (180년경-250년)가 비문을 통해 다시 한번 언급하였고,[34] 그리고 니카고라스의 후손 히메리우스는 그의 어린 아들의 죽음에 대해 애가에서 또한 언급하였다. 히메리우스는 "내가 너에게 얼마나 큰 희망을 품었는가! 내 [악한] 혼이 나에게 얼마나 불운을 내린 것인가! 난 지금 미누키아누스보다 더 힘있고, 니카고라스보다 더 장엄하며, 플루타르크보다 더 유창하고, 무소니우스보다 더 철학자다우며, 섹스투스보다 대담한 데다가, 그의 모든 선조들보다 뛰어나고 더 나은 그 사람을 한탄한다."라고 말했다.[35]

그는 히에로니무스가 '연대기'에서 기재한, 제224회 올림피아 제전 (117년에서 121년) 때 활동했던 섹스투스일 수 있다: "카이로네아의 플루타르코스, 섹스투스, 아가토불로스, 오이노마우스 등이 주요 철학자들로 여겨진다."[36]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의 연대기'는 109년에서 120년까지 사건들과 관련된 섹스투스에 대해 비슷한 언급을 하였다. "과거에 철학자 카이로네이아의 플루타르코스는 황제로부터 그리스의 프로쿠라토르로 임명되었다. 아가토불로스와 오이노마우스와 더불어 철학자 섹스투스는 알려지고 있다."[37]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는 "철학자 카이로네이아의 플루타르코스의 조카 섹스투스"가 젊은 시절부터 알려져 (120년경에는 25세로 추정) 노년 (165년의 70세로 추정)에 황금기를 가졌다고 시사하며 165년부터 171년까지 시기 경력의 절정에 올랐다고 섹스투스를 다시 한번 언급한다.[38]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는 플루타르코스와의 관계로 인해 일부 역사가들은 그를 플라톤주의 철학자로 추론하기도 한다.[24] 반면,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는 섹스투스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교사로 언급하며 스토아 학파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이 기록은 신빙성이 떨어진다.[25][26]

'수다'에서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섹스투스를 매우 좋아하여 함께 재판장에 들어섰다고 전한다. 또한 '윤리학'(Ἠθικάel ''Ithika'')과 '탐구'(Ἐπισκεπτικάel ''Episkeptika'')라는 섹스투스의 저서로 추정되는 책들을 언급하지만, 이 책들이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의 것인지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것인지는 불확실하다.

필로스트라토스[27]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노년에 로마에서 가르침을 주던 섹스투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묘사한다. 마르쿠스 황제는 보이오티아 출신의 철학자 섹스투스의 열렬한 제자였으며, 섹스투스에게 자신이 아직 모르는 것을 배우고 있다고 언급했다.[28] 이 만남은 마르쿠스의 마지막 전쟁 출정 이전인 177-8년일 가능성이 높다.[29]

필로스트라토스는 헤로데스 아티쿠스가 딸 엘피니케의 죽음에 대해 상담을 해주었던 섹스투스의 말을 기록했다.[31] 마르쿠스는 '명상록'에서 섹스투스에게서 배운 관대한 마음, 아버지다운 태도로 다스리는 가정의 본보기, 자연을 따라 사는 사상 등을 언급하며 그를 극찬했다.[32]

아풀레이우스는 '황금 당나귀'의 도입 부분에서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에게 경의를 표했다.[33]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후손인 아테네의 니카고라스 (180년경-250년)의 비문을 통해 다시 한번 언급되었고,[34] 니카고라스의 후손 히메리우스 또한 그의 어린 아들의 죽음에 대해 애가에서 언급하였다.[35]

히에로니무스는 '연대기에서 제224회 올림피아 제전 (117년에서 121년) 때 활동했던 섹스투스를 언급하며, "카이로네아의 플루타르코스, 섹스투스, 아가토불로스, 오이노마우스 등이 주요 철학자들로 여겨진다."라고 기록했다.[36]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의 연대기'는 109년에서 120년까지 사건들과 관련된 섹스투스에 대해 비슷하게 언급하며, "철학자 카이로네이아의 플루타르코스는 황제로부터 그리스의 프로쿠라토르로 임명되었다. 아가토불로스와 오이노마우스와 더불어 철학자 섹스투스는 알려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37]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는 섹스투스가 165년부터 171년까지 경력의 절정에 있었다고 언급한다.[38]

2. 2. 철학적 성향

일부 역사가들은 플루타르코스와의 관계 때문에 섹스투스가 플라톤주의 철학자라고 추론한다.[24] 반면, 신뢰성이 떨어지는[7]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 섹스투스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교사라고 언급한 것을 근거로[25][26] 그를 스토아 학파로 추론하기도 한다.[8]

10세기의 비잔틴 백과사전인 '수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를 총애하여 함께 재판에 참여했다고 전한다. 또한 '윤리학'(Ἠθικάel ''Ithika'')과 '탐구'(Ἐπισκεπτικάel ''Episkeptika'')라는 두 저서를 언급하지만, 이것이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의 저작인지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저작인지는 불확실하다. '수다'는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가 타르수스의 헤로도투스(Herodotus of Tarsus)의 제자이며,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와 동일 인물일 경우 섹스투스는 피론주의자일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3]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또한 섹스투스 엠피리쿠스가 헤로도투스의 제자였다고 말한다.[4]

필로스트라토스[27]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노년의 재위 말기에 로마에서 가르침을 주던 섹스투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고 묘사한다.[9] 마르쿠스 황제는 보이오티아 출신의 철학자 섹스투스의 열렬한 제자로, 그의 집에 자주 머물렀다.[10] 177-8년, 마르쿠스가 마지막 전쟁 출정 전, 로마에 도착한 루키우스가 마르쿠스 황제에게 어디로 가는지 묻자, "늙은이라 하더라도 배우는 것이 좋다. 나는 철학자 섹스투스에게 내가 아직까지 모르는 것을 배우고 있다."라고 답했다.[29][11] 이에 루키우스는 "오 제우스여, 노년의 로마인들의 왕은 서자판을 들고 학교에 갑니다."라고 말했다.[28][12] 마르쿠스는 섹스투스 앞에서 자신의 철학을 과시하기도 했다.[30][13]

필로스트라토스는 헤로데스 아티쿠스가 딸 엘피니케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섹스투스에게 상담했고, 섹스투스는 "만일 당신이 딸에 대한 슬픔을 참는다면 딸에게 작은 선물도 주지 않는 것이다."라고 조언했다고 기록했다.[31][14]

마르쿠스는 '명상록'에서 섹스투스의 관대함, 아버지다운 가정 통치, 자연스러운 삶, 신중함, 친구를 배려하고 무식한 사람을 관대하게 대하는 태도 등을 칭찬했다.[32][15] 그는 섹스투스가 모든 사람과 쉽게 사귀고 존경받았으며, 삶의 원칙을 찾고 정리하는 지적 능력을 갖추고, 분노나 격정 없이 친절했으며, 학식을 과시하지 않았다고 묘사했다.

아풀레이우스는 '황금 당나귀' 도입부에서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에게 경의를 표했다.[33][16]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는 아테네의 니카고라스(180년경-250년)의 비문[34][17]과 니카고라스의 후손 히메리우스의 애가[35][18]에서 언급되었다.

히에로니무스의 '연대기'는 제224회 올림피아 제전(117년-121년) 때 활동한 섹스투스를 언급하며, 카이로네이아의 플루타르코스, 섹스투스, 아가토불로스, 오이노마우스 등을 주요 철학자로 꼽았다.[36][19]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의 연대기'는 109년-120년 사이의 사건과 관련하여 섹스투스를 언급하며, "철학자 카이로네이아의 플루타르크는 황제로부터 그리스의 프로쿠라토르로 임명되었다. 아가토불로스와 오이노마우스와 더불어 철학자 섹스투스는 알려지고 있다."라고 기록했다.[37][20]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는 165년-171년 사이 섹스투스를 다시 언급하며, "철학자 카이로네이아의 플루타르크의 조카 섹스투스"가 젊은 시절부터 노년까지 황금기를 가졌다고 시사한다.[38][21]

2. 3.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의 관계

일부 역사가들은 플루타르코스와 그의 관계 때문에 섹스투스가 플라톤주의 철학자라고 추론하였다.[24] 그 외는 대표적으로 사실성이 떨어지는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 섹스투스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교사라고 하는 애매모호한 언급 때문에 그를 스토아 학파라고 추론하였다.[25][26]

'수다'는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총애를 받아 그와 함께 재판에 참여했다고 전한다. 또한 그의 저서로 추정되는 '윤리학'(Ἠθικάel ''Ithika'')과 '탐구'(Ἐπισκεπτικάel ''Episkeptika'')가 언급되지만, 이 두 서적이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의 것인지 또는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것인지는 불확실하다.

필로스트라토스[27]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노년이던 재위 말에 로마에서 가르침을 주던 섹스투스한테서 어떻게 가르침을 받았는지를 묘사한다.[9]

> 마르쿠스 황제는 보이오티아 출신의 철학자 섹스투스의 열렬한 제자로, 종종 그의 무리에 있었고 그의 집에 자주 다녔다. 이제 막 로마에 도착했던 루키우스는 가는 길에 만났던 마르쿠스 황제에게 당신은 어디로 가고, 어떤 심부름을 하느냐고 묻자, "늙은이라 하더라도 배우는 것이 좋다. 나는 철학자 섹스투스에게 내가 아직까지 모르는 것을 배우고 있다."라며 마르쿠스는 답하였다. 그러자 루키우스는 손을 하늘 위로 올리며, "오 제우스여, 노년의 로마인들의 왕은 서자판을 들고 학교에 갑니다."라고 말하였다.[28][11]

이 만남에 대한 시기는 마르쿠스의 마지막 전쟁 출정 이전인 177–8년일 확률이 높다.[29][12] 마르쿠스는 또한 섹스투스 앞에서 철학을 과시했다고 전해진다.[30][13]

필로스트라토스는 또한 헤로데스 아티쿠스가 딸 엘피니케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상담을 해주었던 섹스투스의 언급을 기록했다.[14] "만일 당신이 딸에 대한 슬픔을 참는다면 딸에게 작은 선물도 주지 않는 것이다."[31]

마르쿠스는 '명상록'에서 극찬하는 어투로 섹스투스에 대해 말하며, 섹스투스한테서 그가 받은 교육의 종류를 찾아볼 수 있다.[15]

> 섹스투스한테서 빚은 관대한 마음과 아버지다운 태도로 다스리는 가정의 본보기와 자연을 따라 사는 사상11을, 또한 편애에 흐르지 않고 신중해야 하며 친구들의 관심을 조심스럽게 살피고 무식한 사람이나 깊이 생각하지도 않은 의견을 내세우는 사람들도 관대하게 대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그는 쉽게 모든 사람과 사귀는 힘을 갖고 있어서 그와의 사귐은 어떤 아첨보다도 더 즐거운 것이었다. 동시에 그는 그와 사귀는 사람들로부터 최대의 존경을 받고 있었다. 그는 지적이고 분석적인 방식으로 삶의 필수적인 원칙을 찾아내고 정리하는 재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분노나 기타의 격정을 나타낸 적이 없으며, 정념에 흔들리는 일이 전혀 없었고 언제나 친절했다. 그리고 그는 칭찬을 하는 경우에도 떠들썩하게 과시하지 않았으며, 그는 심원한 학식을 갖고 있었으나 허세를 부리지 않았다.[32]

아풀레이우스는 '황금 당나귀'의 도입 부분에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에 대해 경의를 표하였다.[33][16]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후손인 아테네의 니카고라스 (180년경-250년)가 비문을 통해 다시 한번 언급하였고[34][17] 그리고 니카고라스의 후손 히메리우스는 그의 어린 아들의 죽음에 대해 애가에서 또한 언급하였다.[18]

>내가 너에게 얼마나 큰 희망을 품었는가! 내 [악한] 혼이 나에게 얼마나 불운을 내린 것인가! 난 지금 미누키아누스보다 더 힘있고, 니카고라스보다 더 장엄하며, 플루타르코스보다 더 유창하고, 무소니우스보다 더 철학자다우며, 섹스투스보다 대담한 데다가, 그의 모든 선조들보다 뛰어나고 더 나은 그 사람을 한탄한다.[35]

2. 4. 기타 활동 및 평가

일부 역사가들은 플루타르코스와 그의 관계 때문에 섹스투스가 플라톤주의 철학자라고 추론하였다.[24] 또 다른 역사가들은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 섹스투스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교사라고 하는 애매모호한 언급 때문에 그를 스토아 학파라고 추론하였다.[25][26]

'수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를 몹시나도 맘에 들어하여 그와 함께 재판장에 들어섰다고 하였다. 또한 '수다'에서 그의 저서로 추정되는 '윤리학'(Ἠθικάel ''Ithika'')과 '탐구'(Ἐπισκεπτικάel ''Episkeptika'')가 언급되지만, 이 두 서적이 카이로네이아의 섹스투스의 것인지 또는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것인지는 불확실하다.

필로스트라토스[27]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노년이던 재위 말에 로마에서 가르침을 주던 섹스투스한테서 어떻게 가르침을 받았는지를 묘사한다. 보이오티아 출신의 철학자 섹스투스의 열렬한 제자였던 마르쿠스 황제는 종종 그의 무리에 있었고 그의 집에 자주 다녔다. 이제 막 로마에 도착했던 루키우스는 가는 길에 만났던 마르쿠스 황제에게 어디로 가고, 어떤 심부름을 하느냐고 묻자, "늙은이라 하더라도 배우는 것이 좋다. 나는 철학자 섹스투스에게 내가 아직까지 모르는 것을 배우고 있다."라며 마르쿠스는 답하였다. 그러자 루키우스는 손을 하늘 위로 올리며, "오 제우스여, 노년의 로마인들의 왕은 서자판을 들고 학교에 갑니다."라고 말하였다.[28] 이 만남에 대한 시기는 마르쿠스의 마지막 전쟁 출정 이전인 177–8년일 확률이 높다.[29] 마르쿠스는 또한 섹스투스 앞에서 철학을 과시했다고 전해진다.[30]

필로스트라토스는 또한 헤로데스 아티쿠스가 딸 엘피니케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슬픔에 대해 상담을 해주었던 섹스투스의 언급을 기록했다. "만일 당신이 딸에 대한 슬픔을 참는다면 딸에게 작은 선물도 주지 않는 것이다."[31]

마르쿠스는 '명상록'에서 극찬하는 어투로 섹스투스에 대해 말하며, 섹스투스한테서 그가 받은 교육의 종류를 찾아볼 수 있다. 섹스투스에게서 관대한 마음과 아버지다운 태도로 다스리는 가정의 본보기와 자연을 따라 사는 사상을 배웠다. 또한 편애에 흐르지 않고 신중해야 하며 친구들의 관심을 조심스럽게 살피고 무식한 사람이나 깊이 생각하지도 않은 의견을 내세우는 사람들도 관대하게 대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그는 쉽게 모든 사람과 사귀는 힘을 갖고 있어서 그와의 사귐은 어떤 아첨보다도 더 즐거운 것이었다. 동시에 그는 그와 사귀는 사람들로부터 최대의 존경을 받고 있었다. 그는 지적이고 분석적인 방식으로 삶의 필수적인 원칙을 찾아내고 정리하는 재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분노나 기타의 격정을 나타낸 적이 없으며, 정념에 흔들리는 일이 전혀 없었고 언제나 친절했다. 그리고 그는 칭찬을 하는 경우에도 떠들썩하게 과시하지 않았으며, 그는 심원한 학식을 갖고 있었으나 허세를 부리지 않았다.[32]

아풀레이우스는 '황금 당나귀'의 도입 부분에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에 대해 경의를 표하였다.[33] 섹스투스와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후손인 아테네의 니카고라스 (180년경-250년)가 비문을 통해 다시 한번 언급하였고,[34] 그리고 니카고라스의 후손 히메리우스는 그의 어린 아들의 죽음에 대해 애가에서 또한 언급하였다. 히메리우스는 "내가 너에게 얼마나 큰 희망을 품었는가! 내 [악한] 혼이 나에게 얼마나 불운을 내린 것인가! 난 지금 미누키아누스보다 더 힘있고, 니카고라스보다 더 장엄하며, 플루타르코스보다 더 유창하고, 무소니우스보다 더 철학자다우며, 섹스투스보다 대담한 데다가, 그의 모든 선조들보다 뛰어나고 더 나은 그 사람을 한탄한다."라고 말했다.[35]

그는 히에로니무스가 '연대기'에서 기재한, 제224회 올림피아 제전 (117년에서 121년) 때 활동했던 섹스투스일 수 있다. "카이로네아의 플루타르코스, 섹스투스, 아가토불로스, 오이노마우스 등이 주요 철학자들로 여겨진다."[36]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의 연대기'는 109년에서 120년까지 사건들과 관련된 섹스투스에 대해 비슷한 언급을 하였다. "과거에 철학자 카이로네아의 플루타르코스는 황제로부터 그리스의 프로쿠라토르로 임명되었다. 아가토불로스와 오이노마우스와 더불어 철학자 섹스투스는 알려지고 있다."[37]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는 "철학자 카이로네이아의 플루타르코스의 조카 섹스투스"가 젊은 시절부터 알려져 (120년경에는 25세로 추정) 노년 (165년의 70세로 추정)에 황금기를 가졌다고 시사하며 165년부터 171년까지 시기 경력의 절정에 올랐다고 섹스투스를 다시 한번 언급한다.[38]

3. 저술

참조

[1] 문서 Latin nepos indicated "grandson" in the Augustan age, but by the 3rd century meant "nephew".
[2] 문서 Historia Augusta, Marcus Aurelius 3.2
[3] 문서 Suda, Sextos σ 235.
[4] 웹사이트 Lives of the Eminent Philosophers https://www.perseus.[...] Diogenes Laertius
[5] 논문 The Diffusion of Sextus Empiricus's Works in the Renaissance
[6] 간행물 Fiction, Bewitchment and Story Worlds: The Implications of Claims to Truth in Apuleius 1993
[7] 웹사이트 Parallel lives: Domitia Lucilla and Cratia, Fronto and Marcus https://www.academia[...] 2011
[8] 서적 The Inner Citadel 1998
[9] 웹사이트 Vitae sophistorum https://archive.org/[...]
[10] 문서 A philosopher friend of Herodes Atticus
[11] 문서 Vitae sophistorum
[12] 서적 Marcus Aurelius Loeb Classical Library
[13] 문서 Orat.
[14] 웹사이트 Vitae sophistorum https://archive.org/[...]
[15] 서적 Meditations
[16] 서적 The Golden Ass
[17] 서적 Sylloge Inscriptionum Graecarum
[18] 서적 Man and the Word: The Orations of Himerius 2007
[19] 웹사이트 Jerome, Chronicle (2005) pp.188-332 http://www.tertullia[...]
[20] 서적 The Chronography of George Synkellos 2002
[21] 서적 The Chronography of George Synkellos 2002
[22] 문서 라틴어 'nepos'는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손자를 가리켰으나, 3세기 무렵에는 조카를 의미했다.
[23] 문서 Historia Augusta, Marcus Aurelius 3.2
[24] 간행물 Fiction, Bewitchment and Story Worlds: The Implications of Claims to Truth in Apuleius 1993
[25] 웹사이트 Parallel lives: Domitia Lucilla and Cratia, Fronto and Marcus https://www.academia[...] 2011
[26] 서적 The Inner Citadel 1998
[27] 웹사이트 Vitae sophistorum https://archive.org/[...]
[28] 문서 Vitae sophistorum
[29] 서적 Marcus Aurelius Loeb Classical Library
[30] 문서 Orat.
[31] 웹사이트 Vitae sophistorum https://archive.org/[...]
[32] 서적 Meditations
[33] 서적 The Golden Ass
[34] 서적 Sylloge Inscriptionum Graecarum
[35] 서적 Man and the Word: The Orations of Himerius 2007
[36] 웹인용 Jerome, Chronicle (2005) pp.188-332 http://www.tertullia[...]
[37] 서적 The Chronography of George Synkellos 2002
[38] 서적 The Chronography of George Synkello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