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세기는 동아시아에서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고, 중국에서는 송이 오대 십국 시대를 통일하며 정치적 변화가 두드러진 시기이다. 한국에서는 고려 건국과 과거제 도입이 있었고, 중국에서는 송나라의 건국으로 혼란스러운 오대 십국 시대가 종식되었다. 일본은 헤이안 시대 중기에 접어들어 율령제가 쇠퇴하고 무사 계급이 등장했으며, 유럽에서는 노르만디 건국, 잉글랜드 왕국 통일, 동유럽의 크리스트교 개종 등이 일어났다. 서아시아 및 이슬람 세계에서는 가즈나 왕조와 파티마 왕조가 등장했으며,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마야 문명 붕괴와 톨텍의 부상, 선조 푸에블로인의 황금기가 시작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화약, 파운드 락, 혼천의 등의 발명과 홉의 맥주 양조 관련 언급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 창부정치
창부정치는 9세기 말부터 10세기 중반까지 로마 교황청이 테오필락트 가문의 여성들, 특히 테오도라와 그녀의 딸 마로치아에 의해 좌우되었던 시기를 말하며, 이 시기 동안 교황은 로마 귀족들의 영향력 아래 선출 및 폐위가 반복되었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10세기 | |
---|---|
10세기 | |
기간 | 901년 ~ 1000년 |
주요 사건 | |
유럽 | 마자르족의 서유럽 침공 바이킹의 노르망디 정착 신성 로마 제국의 성립 폴란드의 성립 키예프 루스의 전성기 크로아티아 왕국의 전성기 |
아시아 | 발해의 멸망 후삼국 시대의 시작 및 통일 요나라의 건국 송나라의 건국 베트남의 독립 |
문화 | |
건축 | 클뤼니 수도원 건축 시작 |
기술 | |
발명 | 화약의 발명 나침반의 발명 |
인물 | |
유럽 | 오토 1세 위그 카페 올가 블라디미르 1세 미에슈코 1세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 |
아시아 | 견훤 궁예 왕건 광종 성종 야율아보기 조광윤 |
2. 동아시아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였다.[9]
사건 |
---|
901년 - 궁예가 후고구려를 건국했다. |
918년 - 태조 왕건이 궁예의 태봉을 무너뜨리고 개경을 도읍으로 삼아 고려를 건국했다. |
926년 - 발해가 요나라에게 멸망당했다. |
935년 - 신라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했다. |
936년 - 고려가 후백제를 무너뜨리고 후삼국을 통일했다. 고려 건국은 한국사에서 중세의 개막을 의미한다. |
인물 |
---|
궁예 후고구려(마진, 태봉)의 창시자 (857년 - 918년) |
견훤 후백제의 창시자 (867년 - 936년, 재위 900년 - 935년) |
왕건(877년 - 943년) - 고려의 초대 왕(재위 918년 - 943년). |
907년 주전충이 당나라 애제를 폐위시키고 후량 왕조를 세웠다.[9] 923년 이존욱이 후량을 멸망시키고 후당을 건국했다. 936년 석경당이 후당을 멸망시키고 후진을 건국하면서 거란 (요나라)이 연운 16주를 획득했다.[9] 960년 조광윤이 송나라를 세웠고, 979년 송나라는 중국을 통일하였다.[9]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중기였다. 율령 국가 체제를 지탱하던 고분 시대 이래의 재지 수장 계층과 전통적인 지역 공동체가 급속히 몰락하면서, 반전이나 호적에 의한 지방 통치와 세수가 어려워졌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지방으로 향하는 필두 국사(수령)에게 큰 권한을 부여하고, 새롭게 경제력을 쥔 부호층을 부명에 편성하여 공전 경영을 맡게 하는 왕조 국가 체제로 변화하면서 율령제가 형해화되었다. 수령의 국아 통치에서 사적 무력을 축적한 부호층을 통제하는 군사 경찰력을 담당하는 계층으로서 무사가 등장하면서 중세 사회로의 변화가 본격화되었다.
'''10세기 일본의 주요 인물'''
이름 | 출생-사망 | 주요 활동 |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 845년 - 903년 | 공경(公卿)·우대신·쇼타이의 변으로 실각·원령 전설에서 덴만구의 제신으로 숭배됨 |
미요시노 키요유키 | 847년 - 919년 | 공경·산기·한학자·『엔기시키(延喜式)』의 편찬에 참가·『의견봉사십이개조』로도 유명 |
후지와라노 도키히라 | 871년 - 909년 | 공경·좌대신·쇼타이의 변 주모자·최초의 장원정리령 시행 |
후지와라노 다다히라 | 880년 - 949년 | 공경·섭정·관백·태정대신·후지와라노 도키히라나 후지와라노 나카히라의 동생·엔기의 치세 지도 |
후지와라노 도시히토 | 생몰년 미상 | 무장·진수부장군·무사시노카미 외 각지의 지방관 역임·『고금물어집』 설화로 유명 |
키노 쓰라유키 | 872년? - 945년 | 관인·목공권두·『토사일기』작가·『고금와카집』선자 |
다이라노 마사카도 | ? - 940년 | 무장·조평천경의 난에서 간토에서 "신황" 칭함·원령 전설에서 칸다묘진 등의 제신으로 숭배됨 |
후지와라노 히데사토 | 생몰년 미상 | 무장·진수부장군·다이라노 마사카도 추토 공적·오미 산가미야마 멧돼지 퇴치 전설 |
오노노 요시고 | 884년 - 968년 | 공경·산기·다자이 다이니·추포사 장관으로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 추토 |
후지와라노 스미토모 | 893년? - 941년 | 관인·이요노스케·조평천경의 난에서 세토 내해에서 해적 이끌고 국부 습격 |
오노노 미치카제 | 894년 - 967년 | 관인·내장두·서예가 "삼적" 중 한 명·"지증대사 시호 칙서" |
후지와라노 사네요리 | 900년 - 970년 | 공경·섭정·관백·태정대신·호쿠케 오노미야류의 조·덴랴쿠의 치세 지도·안와의 변 주모자 |
쿠우야 | 903년 - 972년 | 승려·정토교 선구자 "시성"·로쿠하라미쓰지 개산 |
후지와라노 모로스케 | 909년 - 960년 | 공경·우대신(구조 우대신)·호쿠케 구조류의 조·덴랴쿠의 치세 지도 |
쇼쿠 | 910년 - 1007년 | 덴다이종 승려·쇼샤쇼닌·하리마국쇼샤산 엔교지 개산, 가잔 법황 존숭 |
미나모토노 준 | 911년 - 983년 | 학자·가인·일본 최초 분류체 사전 『와묘루이쥬쇼』 편찬·나시쓰보의 오인 중 한 명 |
탄바노 야스요리 | 912년 - 995년 | 의사·일본 최초 의학서 『이심방』 편찬 |
료겐(지혜대사) | 912년 - 985년 | 덴다이좌주·통칭 겐산대사·히에이산엔랴쿠지 중흥의 조 |
미나모토노 미쓰나카 | 912년 - 997년 | 무장·진수부장군·셋쓰 겐지/야마토 겐지/가와치 겐지의 조 |
미나모토노 다카아키라 | 914년 - 983년 | 공경·좌대신(사이쿄 좌대신)·안와의 변으로 실각·유식고실의 서 『사이쿄키』 |
간초 | 916년 - 998년 | 진언종 승려(대승정)·도지 장자·교토헨조지 개산·다이라노 마사카도 조복, 나리타산 신쇼지 개창 |
미나모토노 히로마사 | 918년 - 980년 | 공경(황후궁 권대부)·아악가·"하쿠가 산미"로 불리는 명수, 피리나 비파 전설 |
아베노 세이메이 | 921년 - 1005년 | 음양사·천문박사·신비적 인물, 전설화 |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 929년 - 990년 | 공경·섭정·관백·태정대신·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아버지·간와의 변에서 이치조 천황 옹립 |
게이지 호인 | 933년 이후 - 1002년 | 문인·유학자, 『이테이기』·『일본왕생극락기』 저자 |
후지와라노 미치쓰나의 어머니 | 936년? - 995년 |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아내, 후지와라노 린네이의 딸·『가물거리는 일기』 |
초젠 | 938년 - 1016년 | 입송승·송 태종 알현·교토세이료지 개조 |
겐신 | 942년 - 1017년 | 덴다이종 승려·료겐의 제자·『왕생요집』저자 |
후지와라노 스케사다 | 944년 - 998년 | 공경·산기·서예가 "삼적" 중 한 명·"시회가" "리락첩" |
미나모토노 요리미쓰 | 948년 - 1021년 | 무장·후지와라 셋칸가 가신·오에산슈텐도지 정벌 전설 |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 953년 - 995년 | 공경·섭정·관백([중관백])·후지와라노 가네이에 장남·고레치카나 데이시 아버지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 966년 - 1027년 | 공경·섭정·내람·통칭 미도 관백·후지와라노 가네이에 넷째 아들·셋칸 정치 최성기 |
세이 쇼나곤 | 966년경 - 1025년? | 이치조 천황 중궁데이시 뇨보·『마쿠라노소시』작가 |
2. 1. 한국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였다.[9]사건 |
---|
901년 - 궁예가 후고구려를 건국했다. |
918년 - 태조 왕건이 궁예의 태봉을 무너뜨리고 개경을 도읍삼아 고려를 건국했다. |
926년 - 발해가 요나라에게 멸망당했다. |
935년 - 신라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했다. |
936년 - 고려가 후백제를 무너뜨리고 후삼국을 통일했다. 고려 건국은 한국사에서 중세의 개막을 의미한다. |
인물 |
---|
궁예 후고구려(마진, 태봉)의 창시자 (857년 - 918년) |
견훤 후백제의 창시자 (867년 - 936년, 재위 900년 - 935년) |
왕건(877년 - 943년) - 고려의 초대 왕(재위 918년 - 943년). |
2. 2. 중국
907년 주전충이 당나라 애제를 폐위시키고 새로운 후량 왕조를 세웠다.[9] 923년에는 이존욱이 후량을 멸망시키고, 낙양을 도읍으로 후당을 건국하였다. 936년에는 석경당이 후당을 멸망시키고 후진을 건국하였는데, 건국에 협력한 거란 (요나라)이 후진으로부터 연운 16주를 획득하였다.[9] 960년에는 조광윤이 송나라를 세웠고, 979년 송나라는 중국을 통일하였다.[9]2. 3. 일본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중기에 접어들 무렵이었다. 율령 국가 체제를 지탱하고 있던 고분 시대 이래의 재지 수장 계층과 그들에 이끌린 전통적인 지역 공동체가 급속히 몰락하고, 그것에 의존하고 있던 반전이나 호적에 의한 지방 통치나 세수가 곤란하게 되었다. 이 지방 사회의 변동에 대한 대책으로서 지방으로 향하는 필두 국사(수령)에게 큰 권한을 부여하고, 새롭게 경제력을 쥐고 대두한 부호층을 부명에 편성하여, 전도로서 공전 경영을 맡게 하는 왕조 국가 체제로의 사회 변동으로 율령제가 형해화되었다. 수령의 국아 통치에 있어서 사적 무력을 축적한 부호층을 통제하는 군사 경찰력을 담당하는 계층으로서 무사가 등장하면서 중세 사회로의 변화가 본격적으로 발생한다.- 901년
- * 후지와라노 토키히라에 의해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다자이후로 좌천된다(쇼타이의 변)[8]。
- ** 연호가 "쇼타이"에서 "엔기"로 바뀐다(엔기의 치).
- ** 육국사의 마지막인 『일본삼대실록』이 완성된다.
- 902년
- * 엔기의 장원 정리령에 의해 원궁왕신가가 황전 폐지를 청점하는 것을 금한다.
- ** 같은 해, 마지막 반전이 행해져, 반전은 이후 단절된다.
- 903년 - 다자이후에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사망한다.
- 905년 - 엔기식 편찬 시작. 키노 쓰라유키, 키노 토모노리, 미부노 타다미네 등이 고금와카집을 선정한다.
- 907년 - 일본에서 엔기격이 완성된다.
- ** 909년에는 엔기격을 반하하고, 910년에는 각국에 엔기격을 베끼게 한다.
- 912년 - 엔기시키의 편집을 촉진하다.
- 914년 - 미요시노 키요유키가 다이고 천황에게 의견 12개조를 제출하다.
- 930년 - 세이료덴 낙뢰 사건. 다이고 천황이 붕어하고 제61대 스자쿠 천황이 즉위.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섭정에 취임.
- 935년
- * 다이라노 마사카도・후지와라노 스미토모에 의한 조헤이・텐교의 난이 시작됨 (- 941년).
- * 오월국의 사자 장승훈이 내일.
- ** 다음 해에는 좌대신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장승훈에게 부탁하여 오월 국왕 전유에게 서신을 보낸다.
- 935년경 - 키노 쓰라유키가 최초의 가나 일기인 토사 일기를 저술.
'''10세기 일본의 주요 인물'''
이름 | 출생-사망 | 주요 활동 |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 845년 - 903년 | 공경(公卿)·우대신·쇼타이의 변으로 실각·원령 전설에서 덴만구의 제신으로 숭배됨 |
미요시노 키요유키 | 847년 - 919년 | 공경·산기·한학자·『엔기시키(延喜式)』의 편찬에 참가·『의견봉사십이개조』로도 유명 |
후지와라노 도키히라 | 871년 - 909년 | 공경·좌대신·쇼타이의 변의 주모자·최초의 장원정리령을 시행하여 엔기의 치세의 시초가 됨 |
후지와라노 다다히라 | 880년 - 949년 | 공경·섭정·관백·태정대신·후지와라노 도키히라나 후지와라노 나카히라의 동생·엔기의 치세를 지도 |
후지와라노 도시히토 | 생몰년 미상 | 무장·진수부장군·무사시노카미 외 각지의 지방관을 역임·『고금물어집』의 설화나 전설로 유명 |
키노 쓰라유키 | 872년? - 945년 | 관인·목공권두·『토사일기』작가·『고금와카집』선자 |
다이라노 마사카도 | ? - 940년 | 무장·조평천경의 난에서는 간토에서 "신황"을 칭함·원령 전설에서 칸다묘진 등의 제신으로 숭배됨 |
후지와라노 히데사토 | 생몰년 미상 | 무장·진수부장군·다이라노 마사카도 추토의 공적으로 유명·오미 산가미야마의 멧돼지 퇴치 전설로도 알려짐. |
오노노 요시고 | 884년 - 968년 | 공경·산기·다자이 다이니·추포사 장관으로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를 추토 |
후지와라노 스미토모 | 893년? - 941년 | 관인·이요노스케·조평천경의 난에서는 세토 내해에서 해적을 이끌고 국부를 습격 |
오노노 미치카제 | 894년 - 967년 | 관인·내장두·서예가로 "삼적"의 한 사람·"지증대사 시호 칙서" 등이 남아 있음 |
후지와라노 사네요리 | 900년 - 970년 | 공경·섭정·관백·태정대신·호쿠케 오노미야류의 조·덴랴쿠의 치세를 지도·안와의 변의 주모자인가 |
쿠우야 | 903년 - 972년 | 승려·정토교의 선구자로서 "시성"으로 불림·로쿠하라미쓰지 개산 |
후지와라노 모로스케 | 909년 - 960년 | 공경·우대신(구조 우대신)·호쿠케 구조류의 조·덴랴쿠의 치세를 지도 |
쇼쿠 | 910년 - 1007년 | 덴다이종의 승려·쇼샤쇼닌·하리마국쇼샤산 엔교지 개산으로 가잔 법황의 존숭을 받음 |
미나모토노 준 | 911년 - 983년 | 학자·가인·일본 최초의 분류체 사전 『와묘루이쥬쇼』를 편찬·나시쓰보의 오인의 한 사람 |
탄바노 야스요리 | 912년 - 995년 | 의사·일본 최초의 의학서 『이심방』을 편찬 |
료겐(지혜대사) | 912년 - 985년 | 덴다이좌주·통칭은 겐산대사·히에이산엔랴쿠지 중흥의 조 |
미나모토노 미쓰나카 | 912년 - 997년 | 무장·진수부장군·셋쓰 겐지/야마토 겐지/가와치 겐지의 조 |
미나모토노 다카아키라 | 914년 - 983년 | 공경·좌대신(사이쿄 좌대신)·안와의 변으로 실각·유식고실의 서 『사이쿄키』를 남김 |
간초 | 916년 - 998년 | 진언종의 승려(대승정)·도지 장자·교토헨조지 개산·다이라노 마사카도 조복으로 나리타산 신쇼지를 개창 |
미나모토노 히로마사 | 918년 - 980년 | 공경(황후궁 권대부)·아악가·"하쿠가 산미"로 불리는 명수로 피리나 비파에 얽힌 전설도 많음 |
아베노 세이메이 | 921년 - 1005년 | 음양사·천문박사·신비적인 인물로서 전설화됨 |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 929년 - 990년 | 공경·섭정·관백·태정대신·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아버지·간와의 변에서 이치조 천황을 옹립 |
게이지 호인 | 933년 이후 - 1002년 | 문인·유학자로 『이테이기』·『일본왕생극락기』의 저자 |
후지와라노 미치쓰나의 어머니 | 936년? - 995년 |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아내 중 한 사람·후지와라노 린네이의 딸·『가물거리는 일기』를 남김 |
초젠 | 938년 - 1016년 | 입송승·송의 태종에게 알현됨·교토세이료지의 개조 |
겐신 | 942년 - 1017년 | 덴다이종의 승려·료겐의 제자·『왕생요집』저자 |
후지와라노 스케사다 | 944년 - 998년 | 공경·산기·서예가로 "삼적"의 한 사람·"시회가" "리락첩" 등이 남아 있음 |
미나모토노 요리미쓰 | 948년 - 1021년 | 무장·후지와라 셋칸가의 가신·오에산슈텐도지 정벌 전설로 알려짐 |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 953년 - 995년 | 공경·섭정·관백([중관백])·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장남·고레치카나 데이시의 아버지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 966년 - 1027년 | 공경·섭정·내람·통칭은 미도 관백·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넷째 아들·셋칸 정치의 최성기 |
세이 쇼나곤 | 966년경 - 1025년? | 이치조 천황의 중궁데이시의 뇨보·『마쿠라노소시』작가 |
3. 남아시아
4. 서아시아 및 이슬람 세계
10세기 서아시아와 이슬람 세계는 여러 왕조와 인물들이 등장하며 복잡한 역사를 만들어 갔다.
- 928년: 지야르 왕조가 이란 북부에 세워졌다.
- 930년대: 시아파 부야 왕조가 이란 중서부와 이라크 대부분을 지배했다.
- 960년: 셀주크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 965년: 하자르가 키예프 루스에 패배했다.
- 975년: 가즈나 왕조가 중앙 아시아에 최초의 튀르크족 술탄국으로 세워졌다.
주요 인물
5. 유럽
- 907년: 바이에른 변경백 루이트폴트가 이끄는 독일 군대가 헝가리인의 카르파티아 분지 추방을 위해 헝가리 영토에 진입했으나 프레스부르크 전투에서 헝가리 군대에 의해 전멸하였다.
- 최초의 연합 수도원 질서인 클뤼니이 창설되었다.
- 황제 시메온 1세가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을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 중 하나로 공고히 하였다.
- 마자르 (헝가리) 기병의 서유럽 침략 (899년–970년에 걸쳐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에서 47차례 원정).
- 대모라비아가 멸망하였다.
- 사자가 이 시점까지 유럽에서 멸종되었고, 마지막 사자는 코카서스에서 사망하였다.
- 907년: 루아르 바이킹이 브르타뉴를 점령하였고, 브르타뉴 궁정은 에드워드 1세의 잉글랜드로 도망하였다.
- 911년: 바이킹 롤로가 프랑스로부터 루앙 백국을 하사받아 노르망디가 공식적으로 건국되었다.
- 917년: 불가리아인이 앙키알루스 전투에서 비잔틴 군대를 격파하였다.
- 927년: 유럽 최초의 독립적인 국가 교회인 불가리아 총대주교청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10세기 잉글랜드의 정치적 분열. - 927년: 잉글랜드 왕국이 통일 국가가 되었다.
- 936년경: 고름이 덴마크 최초의 공인된 왕이 되면서 덴마크 왕조가 창건되었다.
- 936년: 알랭 2세는 애설스탄의 지원을 받아 브르타뉴의 재정복을 시작하였다.
- 955년: 레흐펠트 전투에서 독일 왕 오토 1세가 헝가리 불추와 족장 렐 (레헬) 및 수르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 968년: 키예프 루스와 불가르족 간의 실리스트라 전투가 벌어졌다.
- 985년–986년: 노르드인 에리크 르 뢰드가 그린란드 식민지화를 시작하였다.
- 925년: 중세 크로아티아 국가는 통일 왕국이 되어 토미슬라브 왕 치하에 놓였다.
- 988년: 블라디미르 1세 공작이 기독교로 세례를 받았다.
- 1000년경: 그린란드에 동부 정착지와 서부 정착지가 설립되었다.
- 1000년: 스벤 포크바르트가 노르웨이를 정복하였다.
- 10세기 후반: 파리 시편의 다윗 시편 기자 페이지가 제작되어 현재 파리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 10세기 후반 또는 11세기 초: 대천사 미카엘 이콘이 제작되어 현재 베네치아 성 마르코 대성당 보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944년
- * 동로마 황제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가 에데사를 점령하고 "예수의 자수 성화(에데사의 만디리온)"를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송하였다.
- *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가 폐위되고, 콘스탄티노스 7세가 정제로 복위하였다.
- 945년
- * 키예프 대공 이호르 1세가 드레블렌족에게 살해되었다.
- ** 어린 아들 스뱌토슬라프 1세가 후계자가 되고, 그의 어머니 올가가 섭정하였다.
- 951년
- * 동프랑크 왕 오토 1세가 이탈리아로 원정하여 부르고뉴의 아델하이트와 결혼하고 이탈리아 왕을 겸임하였다.
- * 프랑스 르 퓌 주교 고데스칼크에 의한 가장 오래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의 기록이 남겨졌다.
- 953년
- * 동프랑크 왕 오토 1세에 대한 아들 리우돌프와 사위 콘라트 적모공의 반란이 일어났다.
- * 동프랑크 왕 오토 1세의 사자로서 골체의 요하네스가 후우마이야 왕조에 파견되었다(- 956년).
- 954년
- * 잉글랜드 왕 에드레드가 요크 왕 에릭을 물리치고 데인로우를 정복하였다.
- * 동프랑크 왕 오토 1세가 막내 동생 쾰른 대주교 브루노를 로트링겐 공작에 봉함(제국 교회 정책의 시작).
- 957년: 키예프 루스 국모 올가가 동방 정교회에 귀의하였다.
- 960년대
- * 동로마 제국에서 가장 오래된 백과사전인 『수다 사전』이 편찬되었다(- 970년대).
- 961년: 동로마 제국이 크레타 섬을 탈환하였다.
- 962년: 동프랑크 왕 오토 1세가 교황요한 12세로부터 제관을 받아 신성 로마 제국이 성립되었다.
- 963년
- * 동로마 황제 로마노스 2세가 사망하고, 그의 황후 테오파노와 결혼한 장군 니키포루스 2세 포카스가 황제가 되었다.
- * 아토스의 아타나시우스가 동로마 황제 니키포루스 2세로부터 칙허를 받아 아토스 산에 메기스티 라브라 수도원을 건설하였다.
- 965년
- * 신성 로마 황제 오토 1세가 마이센 변경백을 설치하였다.
- * 키예프 대공스뱌토슬라프 1세의 원정으로 사르켈과 이틸이 함락되어 하자르가 멸망하였다.
- 966년: 노르망디 공작 리샤르 1세가 베네딕토회 수도원을 몽생미셸 섬에 세웠다.
- 967년: 신성 로마 제국의 사절로서 크레모나 주교 리우트프란트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문하였다.
- 968년
- * 동로마 황제 니키포루스 2세가 안티오키아를 점령하였다.
- ** 동로마 제국은 헤라클리우스 황제 이후 약 330년 만에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안티오키아를 탈환하였다.
- * 신성 로마 황제 오토 1세가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좌를 설치하였다.
- * 레온 왕국 북서쪽 갈리시아에 상륙한 바이킹을 갈리시아 귀족 로센도 등이 격퇴하였다.
- 969년: 동로마 황제 니키포루스 2세 포카스가 암살되고, 조카 요한 1세 치미스키가 즉위하였다.
- 클뤼니 수도원 초대 원장(850년 - 927년).
- 롤로(860년경 - 933년) - 노르만족 족장, 초대 노르망디 공작(재위 911년 - 933년)
- 클뤼니 수도원 2대 원장(879년 - 942년).
- 고르체 수도원 원장(900년 - 974년).
- 위그 카페(941년 - 996년) - 프랑스 초대 국왕, 카페 왕조의 시조(재위 987년 - 996년).
- 로베르 2세 (972년 - 1031년) - 프랑스 국왕(재위 996년 - 1031년).
- 오토 1세 (912년 - 973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재위 962년 - 973년).
- 부르군트의 아델하이트(931년/932년 - 999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의 황후.
- 오토 2세(955년 - 983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재위 973년 - 983년).
- 테오파누(960년 - 991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2세의 황후.
- 오토 3세(980년 - 1002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재위 996년 - 1002년).
- 로스비타(935년경 - 973년경) - 독일의 베네딕토회 수녀, 라틴어 극작가, 시인.
- 베렌가리오 1세 (850년? - 924년) - 이탈리아 왕, 서 로마 황제(재위 915년 - 924년).
- 마로치아 (890년경 - 932년/937년) - 로마의 여성 정치가.
-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 (922년경 - 972년) - 크레모나 주교.
- 요한 12세 (937년 - 964년) - 로마 교황(재위 955년 - 964년).
- 실베스테르 2세 (950년? - 1003년) - 로마 교황(재위 999년 - 1003년).
- 우고 (953년/954년 - 1001년) - 토스카나 변경백 (재위 969년 - 1001년).
- 레오 6세 (866년 - 912년) -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의 황제 (재위 886년 - 912년).
- (10세기 초) - 동로마 제국의 문인.
- 콘스탄티노스 7세 (905년? - 959년) -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의 황제 (재위 913년 - 920년, 944년 - 959년).
- 니케포로스 2세 포카스 (913년 - 969년) -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의 황제 (재위 963년 - 969년).
- 요한 1세 치미스키 (925년 - 976년) -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의 황제 (재위 969년 - 976년).
- 테오파노 (941년경 - ?) - 동로마 황제 로마노스 2세의 황후.
- --바실리우스 2세 (958년 - 1025년) - 동로마 제국 마케도니아 왕조 최성기 황제 (재위 976년 - 1025년).
- 아토스의 아사나시우스 (920년경 - 1000년경) - 동로마 제국의 수도사.
- 시메온 메타프라테스 (10세기 후반) - 동로마 제국의 신학자.
- 시메온 1세(864년 - 927년) - 불가리아 국왕(재위 893년 - 913년)·불가리아 황제(재위 913년 - 927년).
- 보고밀(10세기 전반) - 불가리아 지배하의 서마케도니아의 사제.
- 토미슬라브(? - 928년) - 크로아티아의 초대 국왕(925년 - 928년).
- 올가(? - 969년) - 키예프 대공국의 제2대 대공 이고리 1세의 비(妃).
- 바츨라프 1세(907년 - 935년) - 프르셰미슬 왕조의 보헤미아 공작(재위 921년 - 935년).
- --스뱌토슬라프 1세(942년경 - 972년) - 키예프 대공(재위 945년 - 972년).
- 블라디미르 1세(956년 - 1015년) - 키예프 대공(재위 980년 - 1015년).
- 프라하의 아달베르트(956년 - 997년) - 프라하 주교.
6. 아프리카
7. 아메리카
8. 오세아니아
9. 발명, 발견, 도입
- 차오 웨이요가 운하 락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최초의 파운드 락을 발명했다.
- 중국에서 화살이 발명되었다.
- 멕시코에서 로스트 왁스 주조가 처음으로 발생했다.
- 세 권의 《송나라의 4대 서적》이 출판되었다(마지막 권은 1013년에 출판). 이들은 각각 수백만 자의 한자로 이루어진 거대한 중국 백과사전이었다.
- 홉이 맥주 양조와 관련하여 처음 언급되었다.
- 중국의 장사순은 겨울철에 물처럼 쉽게 얼지 않고 금속 부품을 녹슬게 하지 않는 액체 수은을 사용하여 혼천의를 회전시키는 탈진기 메커니즘을 구동했다.
- 919년: 중국 랑산 강 전투 (늑대 산 강)에서 화약이 전투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첸위안관 휘하의 우월 해군 함대가 오 함대를 격파했다. 첸위안관은 화약 뇌관으로 점화된 화염방사기를 사용하여 오 함대를 불태웠다.[6]

참조
[1]
서적
The Tenth Century: How Dark the Dark Ages?
Holt, Rinehart and Winston
1959
[2]
논문
Authority and Reform. Historiographical Frameworks for Understanding Tenth and Eleventh-Century Bishops.
2019
[3]
간행물
Global Signatures and Dynamical Origins of the Little Ice Age and Medieval Climate Anomaly
https://www.geo.umas[...]
2022-08-26
[4]
웹사이트
Asian maritime & trade chronology to 1700 CE
https://www.maritime[...]
[5]
서적
Pengantar Sejarah Kebudayaan Indonesia 2
Penerbit Kanisius, Yogyakarta
1973
[6]
서적
The Muslim world : a historical survey, Part 4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981-12-31
[7]
서적
Pengantar Sejarah Kebudayaan Indonesia 2
Penerbit Kanisius, Yogyakarta
1973
[8]
웹사이트
第60代・醍醐天皇の皇位継承と昌泰の変
https://shuchi.php.c[...]
WEB歴史街道
2020-05-18
[9]
서적
고등학교 동아시아 교과서
천재교육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