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토 카즈히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토 카즈히코는 일본의 음악가로, 1960년대 중반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 멤버로 데뷔하여 솔로 활동, 사디스틱 미카 밴드 결성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펼쳤다. 그는 '내 장난감 상자', '싱가푸라' 등의 곡을 발표하고, 영화 음악 감독으로도 활동하며 일본 애니메이션 대상 주제가상을 수상했다. 2009년 자살로 생을 마감하기 전까지 우울증을 앓았으며, 1993년 기독교 세례를 받았으나 장례는 무종교 방식으로 치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 포크 크루세이더즈 - 돌아온 술주정뱅이
《돌아온 술주정뱅이》는 1967년 동경 포크 크루세이더스가 발표한 싱글 앨범으로, 음주 운전으로 사망한 남자가 천국에서 쫓겨나 다시 살아나는 이야기를 독특한 가사와 빠른 템포, 테이프 속도 변조 등의 기법으로 담아내 간사이 포크 붐을 일으키며 일본 코믹 송의 대표작이자 사회 현상으로 자리매김했다. - 더 포크 크루세이더즈 - 림진강 (시)
림진강은 박세영 작사, 고종한 작곡의 북한 가곡으로, 북한에서는 잠시 잊혔으나 재일 조선인 사회와 일본에서 널리 불리며 다양한 버전으로 발표되었고, 대한민국에서도 분단과 통일에 대한 염원을 담은 노래로 알려져 있다. - 2009년 자살 - 정남규 (범죄인)
정남규는 1969년 전라북도 장수군 출생으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과 경기 일대에서 연쇄살인 범죄를 저질렀으며, 2007년 사형이 확정되어 수감 중 2009년 자살로 사망했다. - 2009년 자살 - 우승연 (배우)
우승연은 중앙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잡지 모델과 텔레비전 광고 모델로 활동하며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대한민국의 배우로, 2009년 자살로 생을 마감하여 젊은 예술가들의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 일본의 음악 프로듀서 - 타케우치 마리야
타케우치 마리야는 1978년 데뷔하여 'SEPTEMBER', 'Plastic Love'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시티팝 재조명에 영향을 미친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음악 프로듀서이다. - 일본의 음악 프로듀서 - 센주 아키라
센주 아키라는 일본의 작곡가이자 편곡가로,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음악을 제작하며, 일본 아카데미상과 드라마 아카데미상에서 여러 차례 수상했다.
카토 카즈히코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가토 가즈히코 (加藤 和彦) |
로마자 표기 | Katō Kazuhiko |
별칭 | Tonovan (トノヴァン) |
출생일 | 1947년 3월 21일 |
출생지 | 교토부교토시후시미구 |
사망일 | 2009년 10월 17일 |
사망지 | 나가노현기타사쿠군가루이자와 |
국적 | 일본 |
학력 | 류코쿠 대학경제학부 중퇴, 도쿄도립 다케다이 고등학교 졸업 |
활동 시기 | 1967년–2009년 |
직업 | 음악 프로듀서 작곡가 가수 |
장르 | 포크 음악 팝 음악 록 음악 사이키델릭 음악 |
담당 악기 | 발현악기 전반 건반악기 전반 |
참여 그룹 | |
소속 그룹 |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 (1965년-1968년, 2002년) 새디스틱 미카 밴드 (1971년-1975년, 1989년, 2006년) 가즈코 (2007년-2009년) VITAMIN-Q featuring ANZA (2008년-2009년) |
협업자 | |
협연자 | 기타야마 오사무 (1971년) 요시다 다쿠로 (1985년, 1993년) 니시다 히카루 (1996년) 사도 유타카 (2005년) |
작사가 | 아키모토 야스시 아쿠 유 아리마 미에코 이토 아키라 이와타니 토키코 가와무라 마스미 기타조 다다시 기타야마 오사무 사토 하치로 센게 가즈야 도자와 노부미 나카하타 다카시 후유모리 가요코 마쓰야마 다케시 마리무라 유키코 미우라 도쿠코 모리 유키노조 야스이 가즈미 |
기타 | 이치카와 엔노스케 후지오카 와카오 가네코 구니요시 쇼노 하루히코 크리스 토머스 록시 뮤직 닉 데카로 마크 골든버그 칼로 사비나 이노우에 미치요시 이즈쓰 가즈유키 |
개인 정보 | |
배우자 | 후쿠이 미카 (1970년-1975년) 야스이 가즈미 (1977년-1994년, 사별) |
레이블 | EXPRESS DOUGHNUT Warner Bros. Records CBS/SONY EASTWORLD 콜롬비아 뮤직 엔터테인먼트 |
2. 생애
1960년대 포크 그룹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通称 포크루)로 데뷔했다. 이후 솔로 활동으로 전환했고, 1970년대 초중반에는 록 밴드 사디스틱 미카 밴드에서 활동하는 등, 참신한 아이디어로 가득찬 창작 활동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일본 음악계를 이끌었다.
1970년 후에 사디스틱 미카 밴드의 보컬리스트가 되는 후쿠이 미카(福井ミカ)와 결혼했지만 1975년에 이혼했다. 사디스틱 미카 밴드도 같은 해 해산했다.[7] 1977년 작사가 안이 가즈미와 재혼하여, 1990년대 초반까지 "작사・안이 가즈미/작곡・가토 카즈히코" 콤비로 '유럽 3부작'[7] 등의 솔로 작품 외에도 수많은 작품을 다른 뮤지션들에게 제공했다. 시대를 앞서가는 세련된 두 사람의 라이프 스타일 또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8] 작곡가 Carlo Savina|카를로 사비나it에게 사사하여 음악 이론, 오케스트레이션을 배우고, 1980년대부터 영화·무대 음악, 1990년대 후반부터 슈퍼 가부키 음악 등 팝뮤직의 틀을 넘어선 다양한 장르의 음악도 폭넓게 다루었다.
가토 가즈히코는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The Folk Crusaders) 멤버로서 1960년대 중반 음반 활동을 시작했다. 그가 작곡한 사이키델릭 데뷔곡 카엣테키타 요파라이 (I Only Live Twice)는 1967년 발매되어 일본에서 130만 장 이상 판매되며 초기 일본 대중음악계 베스트셀링 싱글 중 하나가 되었다.[1] 이 그룹은 오시마 나기사(大島渚) 감독의 1968년 영화 카엣테키타 요파라이(다른 제목으로는 '천국의 죄인'(Sinner in Paradise) 또는 '삼인의 부활한 술꾼들'(Three Resurrected Drunkards))에도 출연했다.
1970년 포크 크루세이더스 해체 후, 이즈미야 시게루(泉谷しげる), 타케우치 마리야(竹内まりや), 요시다 타쿠로(吉田拓郎) 등 다른 음악가들의 프로듀싱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첫 번째 부인 후쿠이 미카(福井ミカ)와 함께 시작한 밴드 사디스틱 미카 밴드(Sadistic Mika Band)는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1974년 앨범 쿠로후네 (The Black Ship)는 1970년대 중반 가장 중요한 일본 록 앨범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그룹은 여러 차례 해산과 재결합을 거듭했으며, 마츠토야 유미(松任谷由実), 기리시마 카렌, 키무라 카에라(木村カエラ) 등 새로운 보컬들이 참여했다.[2]
작곡가로서 가토는 1984년 여름 일본에서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 기억하십니까?의 주제가 아이 오보에테 이마스카 (Ai Oboete Imasu ka)를 작곡했다. 이후 두 번째 부인인 안이 가즈미(安井かずみ)와 작곡 팀을 결성했다. 그들이 작곡한 대부분의 노래는 사와다 켄지(沢田研二)가 녹음 및 프로듀싱했다. 1990년 가토는 그래픽 아티스트 쇼노 하루히코(庄野晴彦)와 카네코 쿠니요시(金子國義)와 협력하여 수상 경력에 빛나는 일본 컴퓨터 게임 앨리스: 인터랙티브 뮤지엄(Alice: An Interactive Museum)의 음악을 제공했다.
2008년 3월, 오하라 레이, 야시키 고타, 쓰치야 마사미, 안자(安座)와 함께 록 밴드 비타민-큐(Vitamin-Q)를 결성했다.
2009년 10월 17일, 나가노현(長野県) 키타사쿠군(北佐久郡) 카루이자와정(軽井沢町)의 한 호텔에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되었다. 사인은 목 매달기에 의한 자살로 추정된다.[5][19] 경찰은 그의 호텔 방에서 유서를 발견했다.[3] 유서에는 "세상이 음악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더 이상 창작 의욕이 없어졌다. 죽고 싶다기보다는 사라지고 싶다"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2. 1. 초기 (1947년 ~ 1960년대)
교토시 후시미구에서 태어났다. 출생 직후 가나가와현으로 이사하여 초등학교 4학년까지 가마쿠라와 즈시시에서 생활했다.[9] 그 후 교토로 돌아와 1년 만에 도쿄로 이주하여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주오구 일본바시에서 성장했다.[9][10] 가토 자신은 "사실은 에도っ子입니다"라고 말하고 있다.[9]2. 2.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 결성 및 활동 (1965년 ~ 1968년)
1963년에 발표된 밥 딜런의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에 영향을 받아 기타를 시작했다. 1965년 도쿄도립 다케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11] 불교 조각가였던 조부의 뒤를 잇고자 하는 마음 반으로[12] 류코쿠 대학에 입학했다. 이 무렵부터 아마추어 포크 그룹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 활동을 시작했다.1967년에 자비로 앨범 『하렌치(파렴치)・더 포크 크루세이더즈』를 제작하여 더 포크 크루세이더즈 해산 기념으로 삼았다. 그 안에 수록된 『돌아온 요파라이』에 대한 요청이 라디오 방송국에 쇄도하여 프로 데뷔 제안이 들어왔다. 가토는 난색을 표했지만, 기타야마 오사무의 설득[13]을 받아 류코쿠 대학 경제학부를 중퇴했다. EMI 음악 재팬과 계약을 맺고 1년 한정으로 프로 세계에 발을 들여놓았다.
1968년에 더 포크 크루세이더즈의 두 번째 싱글로 예정되었던 『임진강』이 발매 중지되었다. 같은 해 10월 17일에 더 포크 크루세이더즈는 해산했다.
2. 3. 솔로 활동 (1969년 ~ 1971년)
1969년 싱글 「내 장난감 상자(僕のおもちゃ箱)」를 발표하며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14] 동시에 작곡가로서 작품 제공을 시작했고, 킹스턴 트리오의 멤버 존 스튜어트를 본떠 "존(ジョン)"이라는 필명을 사용하여 자신의 팬클럽 "클럽 존(クラブ・ジョン)"을 설립하고 악보 출판 등도 진행했다.가수로서는 "토노반(トノヴァン)"이라는 애칭에서 알 수 있듯이 도노반(ドノヴァン)의 영향을 받은 창법을 확립해 나갔다. 이 시기에는 런던을 자주 방문하여 요시다 카츠유키(吉田克幸)와 알게 되었다. 1970년 7월 후쿠이 미카(福井ミカ)와 결혼했다.[14] 1971년 4월 5일, 기타야마 오사무와의 공동 명의로 싱글 「그 멋진 사랑을 다시 한번(あの素晴しい愛をもう一度)」을 발표했다.
2. 4. 사디스틱 미카 밴드 결성 및 활동 (1971년 ~ 1975년)
1971년 11월에 부인 미카를 보컬로 한 록 밴드 사디스틱 미카 밴드를 결성했다. 런던 팝, 글램록, 레게, 류큐 음계 등을 도입하는 등 실험적인 사운드를 전개했다.[2]1973년 영국 체류 당시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의 인세를 투입하여 구입한 PA 기기 WEM(Watkins Electric Music)을 사용하여 일본 최초의 PA 회사 "긴가무(ギンガム)"를 설립했다.[9] 같은 해 내쇼날 주택 건재 주식회사의 CM에 사용된 『집을 짓는다면』을 솔로 명의로 싱글 발매했다.
1974년 크리스 토마스의 프로듀스로 두 번째 앨범 『흑선』을 발표했다. 10월 2일부터 10월 23일까지 록시 뮤직의 오프닝 액트로 영국 투어를 개최했다.[15] 1975년 미카와 이혼하고 사디스틱 미카 밴드는 해산했다.[7]
2. 5. 솔로 활동 재개 (1976년 ~ 2009년)
1976년 싱글 「싱가푸라」를 발표하며 솔로 활동을 재개했다. 1977년 안이 가즈미와 재혼하여 이후 안이와의 콤비로 수많은 작품을 발표했다.[8] 1983년 CBS/소니로 이적하여 솔로 앨범 「그때, 마리 로랑생」을 발표했다. 같은 해, 무라카미 류 원작 영화 「괜찮아, 마이 프렌드」의 음악 감독을 맡았고, 이후 많은 영화 음악을 담당했다. 1984년 애니메이션 영화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 기억해요」의 주제가 「사랑 기억해요」로 제2회 일본 애니메이션 대상 주제가상을 수상했다.1990년대 초반까지 '작사・안이 가즈미/작곡・카토 카즈히코' 콤비로, '유럽 3부작'[7] 등의 솔로 작품 외에도 수많은 작품을 다른 뮤지션들에게 제공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슈퍼 가부키 음악 등 팝뮤직의 틀을 넘어선 다양한 장르의 음악도 폭넓게 다루었다. 이치카와 사루노스케는 가토와 공동으로 제작한 「슈퍼 가부키」에 대해 "가부키 역사상 처음으로 서양 음악 오케스트라를 가부키에 도입했다"고 말했다.[17]
2. 6. 밴드 활동 재개 (1985년 ~ 2009년)
1985년 6월 15일, 국립경기장에서 5만 명의 관객을 모아 개최된 국제청소년의 해(IYY) 기념 이벤트 "ALL TOGETHER NOW"에 마쓰토야 유미를 보컬로 한 사디스틱・미카・밴드로 출연했다.[18] 1989년에는 기리시마 카렌을 보컬리스트로 맞이하여 사디스틱・미카・밴드를 재결성, 앨범 『천청(天晴)』을 발표했다.[2]1995년, 클래식 음악 소프라노 가수인 나카마루 미치에와 재혼했다가, 2000년에 이혼했다.[18]
2002년,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를 재결성했다.[18] 재결성 해산 콘서트는 이치카와 사루노스케와 함께 가부키의 구창(口上)으로 막을 열었다.
2006년, 키무라 카에라를 보컬로 맞이하여 사디스틱・미카・밴드를 재결성하고, 앨범 『나르키소스(NARKISSOS)』를 발표했다.[18]
2008년 3월, 오하라 레이, 야시키 고타, 쓰치야 마사미와 함께 록 밴드 VITAMIN-Q featuring ANZA를 결성했다.[18] 밴드 이름은 일렉트릭 기타나 베이스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오일 콘덴서의 이름에서 따왔다. 같은 해 12월, 『VITAMIN-Q』를 발표했다.[18]
2. 7. 사망 (2009년)
2009년 10월 17일, 나가노현(長野県) 키타사쿠군(北佐久郡) 카루이자와정(軽井沢町)의 한 호텔에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되었다. 사인은 목 매달기에 의한 자살로 추정된다.[5][19] 경찰은 그의 호텔 방에서 유서를 발견했다.[3] 유서에는 "세상이 음악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더 이상 창작 의욕이 없어졌다. 죽고 싶다기보다는 사라지고 싶다"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3. 음악 스타일
加藤和彦일본어는 "같은 일을 두 번 다시 하지 않는다"는 모토를 가지고,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으로 음악 작업을 하였다.[7] "자신 이상도, 자신 이하도 아닌 음악"을 만드는 것을 신조로 하였다.[7] 영화 음악의 경우, 영화와 음악의 비중을 조절하여 둘을 합쳐 더 큰 효과를 내는 작품을 추구하였다.[7]
4. 사생활
가토는 본격적인 요리를 즐겨 만들었으며, 전문 요리사에게 배우기도 했다. 독서가이자 패션 리더로도 알려졌다.[8] 1977년에 작사가 안이 가즈미와 재혼했다. 안이가 병으로 쓰러진 1990년대 초반까지 "작사・안이 가즈미/작곡・가토 카즈히코" 콤비는 '유럽 3부작'[7] 등의 솔로 작품 외에도 수많은 작품을 다른 뮤지션들에게 제공했다. 시대를 앞서가는 세련된 두 사람의 라이프 스타일 또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8] 말년에는 우울증을 앓았으며, 죽기 직전에는 증세가 악화되었다.[3]
5. 수상
연도 | 상 이름 | 작품 |
---|---|---|
1968년 | 일본 레코드 대상 특별상 | 더 포크 크루세이더즈 |
1984년 |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음악상 | 《괜찮아 친구야》, 《탐정 이야기》 |
1984년 | 일본 애니메이션 대상 주제가상 | 《사랑 기억하고 있습니까》 |
1987년 |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음악상 | 《막말 청춘 그라피티 낭인 사카모토 료마》, 《야만인처럼》 |
1991년 | 베스트 드레서상 특별상 | |
1991년 | AVA 멀티미디어 그랑프리 통상산업대신상 | Macintosh용 CD-ROM 《앨리스》 |
2004년 |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음악상 | 《박치기!》 |
6. 작품 목록
가토 카즈히코는 1960년대 포크 그룹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通称 포크루)로 데뷔하여, 이후 솔로 활동과 사디스틱 미카 밴드 활동을 병행하며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일본 음악계를 이끌었다.
1970년대에는 사디스틱 미카 밴드(サディスティック・ミカ・バンド)를 결성하여 글램록(グラム・ロック), 레게(レゲエ) 등 실험적인 사운드를 선보였다. 1974년에는 크리스 토마스(クリス・トーマス) 프로듀싱으로 앨범 『흑선(黒船 (サディスティック・ミカ・バンドのアルバム))』을 발표하고, 록시 뮤직(ロキシー・ミュージック)의 오프닝 액트로 영국 투어를 진행했다.[15]
1976년 솔로 활동을 재개한 후, 안이 가즈미와 콤비를 이루어 수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1983년에는 무라카미 류 원작 영화 「괜찮아, 마이 프렌드」의 음악 감독을 맡았고, 1984년 애니메이션 영화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 기억해요」의 주제가 「사랑 기억해요」로 일본 애니메이션 대상 주제가상을 수상했다.[17] 1980년대 후반부터는 무대 음악도 담당하여 이치카와 사루노스케와 함께 「슈퍼 가부키」를 제작했다.[17]
다음은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앨범에 참여한 목록이다.
발매일 | 상품명 | 노래 | 곡 | 비고 |
---|---|---|---|---|
1969년 11월 | 칼리지 팝스 콘서트 실황 녹음반 | 가토 카즈히코 (加藤和彦) | 「ぼくのそばにおいでよ」 | 게스트로 참가. |
1970년 3월 | 칼리지 팝스 신년식 | 「カフェ・ル・モンドのメニュー」 | ||
1970년 12월 | 칼리지 팝스 인 U.S.A. | V.A. | 「カリフォルニア・ドリーミン」 | 서포트 멤버로 참가하여 12현 기타를 연주하였다. |
「アーリー・イン・ザ・モーニング」 | ||||
「あなたの世界」 | ||||
「サマータイム〜때로는 어머니 없는 아이처럼」 | ||||
「ジス・リトル・ライト」 | ||||
「ロード・トゥ・フリーダム」 | ||||
「눈부시게 흰 후지산의 봉우리」 | ||||
「소란절」 | ||||
「さらば」 | ||||
「グッドナイト」 | ||||
「라 밤바〜성자가 마을에 온다〜올챙이는 개구리의 새끼」 | ||||
「눈부시게 흰 후지산의 봉우리」 | ||||
「소란절」 | ||||
「さらば」 | ||||
「グッドナイト」 | ||||
「싱 아웃: 라 밤바」 | ||||
「싱 아웃: 성자가 마을에 온다」 | ||||
「싱 아웃: 올챙이는 개구리의 새끼」 | ||||
「클로징: 아이 아이 아이」 | ||||
1971년 4월 | S.O.S. 콘서트〜포크와 록의 대합동 연주회 | 가토 카즈히코 (加藤和彦) | 「ウィズ・ア・リトル・ヘルプ・フロム・マイ・フレンズ」 | 게스트로 참가. |
「もしも」 | ||||
「ふしぎな日」 | ||||
1971년 9월 | 기타야마 슈 버스데이 콘서트 | 기타야마 슈 (北山修)・가토 카즈히코 (加藤和彦) | 「그 멋진 사랑을 다시 한번」 | 오사카 매일홀에서의 실황반 |
1971년 12월 | 영 쟌 국제 친선 연주 여행 | 가토 카즈히코 (加藤和彦) | 「집을 짓는다면」 | 게스트로 참가. |
「라라 무라」 | ||||
1972년 6월 5일 | 지로즈 사요나라 콘서트 | 지로즈 (ジローズ) | 「집을 짓는다면」 | |
1973년 8월 | 러브 제너레이션〜러브 제너레이션 라이브 콘서트 | 가토 카즈히코 (加藤和彦)와 새디스틱 미카 밴드 (サディスティック・ミカ・バンド) | 「ピクニック・ブギ」 | |
「銀河列車」 | ||||
1981년 2월 21일 | 스네이크맨 쇼 (スネークマン・ショー) | 닥터 케슬러 (ドクター・ケスラー) | 「메케 메케」 | |
1983년 | 해변에서… | 스티브 하이엣 (スティーヴ・ハイエット) | 「Standing There」 | 기타로 참가. |
1988년 4월 6일 | 포옹하고 싶어 | 가토 카즈히코 (加藤和彦) | 「허니 파이」 | 비틀즈의 트리뷰트 음반. |
1995년 4월 1일 | 갱스부르 트리뷰트 95 (ゲンスブール・トリビュート95) | 미셸 플린 (MICHELLE FLYNN) | 「うまうまマンボ」 | 세르주 갱스부르 (セルジュ・ゲンスブール)의 트리뷰트 음반. 프로듀스, 어레인지 담당. |
2009년 4월 8일 | 그리고 다시 한번 꿈꿀 것이다 (そしてもう一度夢見るだろう) | 마츠토야 유미 (松任谷由実) | 「노란 롤스로이스」 | 유미의 오리지널 음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