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툰 (칭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툰은 중앙아시아 및 튀르크 문화권에서 사용된 여성의 칭호로, '부인' 또는 '귀부인'을 의미한다. 소그드어에서 유래하여 돌궐, 몽골 제국,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유목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각 문화권에 따라 하툰(Khatun), 하툰(Hatun) 등으로 표기되었다. 몽골 제국 시대에는 '하툰' 형식이 고정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에서는 술탄의 어머니나 배필에게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우즈베크어에서 여성, 튀르키예어에서 여성과 같은 어원에서 파생된 단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후 - 프랑스의 군주 배우자
    프랑스의 군주 배우자는 프랑스를 통치한 군주의 배우자를 지칭하며, 각 왕조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프랑스 역사와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황후 - 에우도키아 마크렌보리티사
    에우도키아 마크렘보리티사는 11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이자 섭정으로, 콘스탄티누스 10세 두카스의 황후였으며 그의 사후 아들 미하일 7세의 섭정으로서 제국을 통치했고, 로마노스 4세 디오게네스와 재혼 후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 정권을 잃고 은퇴했으며, 학자로서 "제2의 히파티아"로 칭송받았다.
  • 몽골의 귀족 -
    칸은 튀르크어로 우두머리를 뜻하는 칭호로, 몽골 제국 시대에는 카간이 칸 중의 칸으로 사용되었으며, 통치자를 지칭하며 칸이 통치하는 국가는 칸국이라고 불린다.
  • 몽골의 귀족 - 콩타이지
    콩타이지는 황태자를 음차한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에는 몽골 지도자를 지칭하다가 후금 시대에 정치적, 군사적 협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청나라 시대에도 지배 체제 강화에 활용되었으나, 몽골 제국에서는 황태자가 제대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북원 시대 알탄 칸이 칸의 후계자를 의미하는 작위로 사용하기도 했다.
  • 몽골 제국의 카툰 - 오굴 카미시 카툰
    오굴 카이미시는 13세기 몽골 제국 귀유크 칸의 황후이자 섭정이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과 몽케 칸과의 대립으로 암살 음모 혐의를 받아 처형당하며 오고타이 가문과 툴루이 가문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몽골 제국의 카툰 - 차브이 카툰
    차브이 카툰은 쿠빌라이 칸의 황후로서 유교와 불교를 융합하고, 원나라의 중국 정복 후 송나라 황실에 관대한 대우를 제안하는 등 정치적, 문화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카툰 (칭호)
일반 정보
칭호카툰
다른 이름하툰
어원튀르크어, 몽골어
성별여성
문화권튀르크족, 몽골족
역할
역할왕비
여왕
귀족
여성 통치자
설명카툰은 튀르크와 몽골 사회에서 여성 귀족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왕비, 여왕, 여성 통치자 등을 지칭했다.
역사적 맥락
사용 시기중세 시대
관련 국가/민족돌궐
위구르
몽골 제국
기타 튀르크 및 몽골 국가
같이 보기
관련 용어
비키
하렘
언어별 표기
고대 튀르크어𐰴𐰍𐰣 (katun)
오스만 튀르크어خاتون (hatun)
우즈베크어xotun
페르시아어خاتون (xâtun)
타지크어хотун
몽골어хатун/ᠬᠠᠲᠤᠨ (khatun)
우르두어خاتون (xatun)
힌디어ख़ातून (khātūn)
벵골어খাতুন (khatun)
실레티어ꠈꠣꠔꠥꠘ
튀르키예어hatun
아제르바이잔어xatun
펀자브어ਖਾਤੂਨ (구르무키 문자), خاتون (샤무키 문자)
중국어可敦 (kě dūn)
한국어 (한자)可敦 (가돈)

2. 어원 및 역사

카툰이라는 칭호는 중앙아시아에 이슬람교가 전파되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앙아시아에 이슬람교가 전파되기 전에는, 카툰은 부하라의 여왕의 칭호였다. 이슬람 백과사전에 따르면, "카툰[은] 소그드어 기원을 가진 칭호로, 돌궐과 그 이후의 튀르크 지배자들의 아내와 여성 친족들이 사용했다."[1]

브루노 데 니콜라(Bruno De Nicola)는 ''몽골 이란의 여성들: 카툰, 1206–1335''에서 "카툰"이라는 용어의 언어학적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대 튀르크어 또는 소그드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데 니콜라는 몽골족이 중앙아시아 전역으로 퍼지기 전에 카툰은 '부인' 또는 '귀부인'을 의미했으며, 중세 페르시아어 및 아랍어 텍스트에서 널리 사용되었다고 언급한다.[2]

피터 벤자민 골든은 ''카툰(qatun)''이라는 칭호가 돌궐에서 카간의 아내를 지칭하는 칭호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치자의 아내"를 의미하는 소그드어 ''xwāten''에서 차용된 것이라고 지적했다.[3] 영국의 오리엔탈 연구 학자인 제라드 클라우슨(1891–1974)은 ''xa:tun''을 "'부인' 등"으로 정의하고, "소그드어 ''xwt'yn'' (''xwatēn''), 소그드어 ''xwt'y'' ('주군, 지배자') 및 ''xwt'yn'' '주군 또는 지배자의 아내')에서 차용된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이는 초기 시대의 ''xa:tun''의 정확한 의미이다."[4] 어원의 기원은 카간과 마찬가지로 선비·돌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옛 문헌에는 카가툰(可賀敦)으로도 표기되었다[7]

오르혼 비문에 적힌 돌궐 문자에서는 qatun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카간(qaγanmn)이 칸(khaan)으로 변화한 것과 마찬가지로, 카가툰(qaγatunmn)이 카아툰(qa'atun)으로 변화하고, 더 나아가 카툰(qatun)에서 하툰(khatun)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8]

몽골 제국 시대에는 "하툰"이라는 형식이 고정되었고, 동방 한문 사료권에서는 합둔/합돈, 서방 이슬람 사료권에서는 خَاتُون khātūn으로 표기되었다.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의 여러 지역을 정복하고 통치하게 되면서, 몽골 제국의 계승 정권이 성립한 유라시아 각지에서 "하툰"이라는 단어가 남겨졌다.

2. 1. 어원

카툰(Khatun)이라는 칭호는 소그드어에서 기원했으며, 돌궐과 그 이후의 튀르크 지배자들의 아내와 여성 친족들이 사용했다.[1] 중앙아시아에 이슬람교가 전파되기 전에는, 부하라의 여왕의 칭호였다.[1]

"카툰"이라는 용어의 언어학적 기원은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대 튀르크어 또는 소그드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2] 피터 벤자민 골든은 ''카툰(qatun)''이라는 칭호가 돌궐에서 카간의 아내를 지칭하는 칭호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치자의 아내"를 의미하는 소그드어 ''xwāten''에서 차용된 것이라고 지적했다.[3] 제라드 클라우슨은 ''xa:tun''을 "'부인' 등"으로 정의하고, "소그드어 ''xwt'yn'' (''xwatēn''), 소그드어 ''xwt'y'' ('주군, 지배자') 및 ''xwt'yn'' '주군 또는 지배자의 아내')에서 차용된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하였다.[4]

오르혼 비문에 적힌 돌궐 문자에서는 qatun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카간(qaγanmn)이 칸(khaan)으로 변화한 것과 마찬가지로, 카가툰(qaγatunmn)이 카아툰(qa'atun)으로 변화하고, 더 나아가 카툰(qatun)에서 하툰(khatun)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8] 어원의 기원은 카간과 마찬가지로 선비·돌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옛 문헌에는 카가툰(可賀敦)으로도 표기되었다[7]

몽골 제국 시대에는 "하툰"이라는 형식이 고정되었고, 동방 한문 사료권에서는 합둔/합돈, 서방 이슬람 사료권에서는 خَاتُون khātūn으로 표기되었다.

2. 2. 역사

카툰(Khatun)은 소그드어 기원을 가진 칭호로, 돌궐에서 카간의 아내를 지칭하는 칭호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치자의 아내"를 의미하는 소그드어 ''xwāten''에서 차용된 것이다.[3] 영국의 오리엔탈 연구 학자인 제라드 클라우슨(1891–1974)은 ''xa:tun''을 "'부인' 등"으로 정의하고, "소그드어 ''xwt'yn'' (''xwatēn''), 소그드어 ''xwt'y'' ('주군, 지배자') 및 ''xwt'yn'' '주군 또는 지배자의 아내')에서 차용된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이는 초기 시대의 ''xa:tun''의 정확한 의미이다."라고 언급했다.[4] 어원의 기원은 카간과 마찬가지로 선비·돌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옛 문헌에는 카가툰(可賀敦)으로도 표기되었다[7]

오르혼 비문에 적힌 돌궐 문자에서는 qatun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카간(qaγanmn)이 칸(khaan)으로 변화한 것과 마찬가지로, 카가툰(qaγatunmn)이 카아툰(qa'atun)으로 변화하고, 더 나아가 카툰(qatun)에서 하툰(khatun)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8]

몽골 제국 시대에는 "하툰"이라는 형식이 고정되었고, 동방 한문 사료권에서는 합둔/합돈, 서방 이슬람 사료권에서는 خَاتُون khātūn으로 표기되었다.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의 여러 지역을 정복하고 통치하게 되면서, 몽골 제국의 계승 정권이 성립한 유라시아 각지에서 "하툰"이라는 단어가 남겨졌다.

중앙아시아에 이슬람교가 전파되기 전에는, 카툰은 부하라의 여왕의 칭호였다. 이슬람 백과사전에 따르면, "카툰[은] 소그드어 기원을 가진 칭호로, 돌궐과 그 이후의 튀르크 지배자들의 아내와 여성 친족들이 사용했다."[1] 브루노 데 니콜라(Bruno De Nicola)는 ''몽골 이란의 여성들: 카툰, 1206–1335''에서 "카툰"이라는 용어의 언어학적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대 튀르크어 또는 소그드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다. 데 니콜라는 몽골족이 중앙아시아 전역으로 퍼지기 전에 카툰은 '부인' 또는 '귀부인'을 의미했으며, 중세 페르시아어 및 아랍어 텍스트에서 널리 사용되었다고 언급한다.[2]

3. 주요 카툰


  • 보르테 우진 카툰: 칭기즈 칸의 제1카툰이다.
  • 불루칸 카툰: 아바카 칸의 카툰이다.
  • 불루간 카툰: 테무르 올제이투 칸의 카툰이다.
  • 차브이 카툰: 쿠빌라이 세첸 칸의 카툰이다.
  • 데스피나 카툰: 우준 하산 샤한샤의 카툰이다. 동로마 황족.
  • 도쿠즈 카툰: 훌라구 칸의 카툰이다.
  • 에르케투 카툰: 알탄 칸의 카툰이다.
  • 만투하이 카툰: 다얀 칸의 카툰이다.
  • 모미네 카툰: 자한 파흘라완 아타벡의 제1카툰이다. 아제르바이잔에 소재한 능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 오굴카미시 카툰: 귀위크 칸의 카툰이다. 1248년 남편이 죽자 3년간 섭정했다.
  • 포벡 카툰: 빌게 카간의 카툰이다. 톤유쿡의 딸.
  • 라드나시리 카툰: 아유르바르와다 부얀투 칸의 카툰이다.
  • 퇴레게네 카툰: 우구데이 칸의 카툰이다.
  • 사라 카툰: 우준 하산의 어머니다.
  • 쿠틀루그 사베그 카툰: 제2 튀르크 카간국의 섭정 여왕이다.
  • 보르테: 칭기즈 칸의 아내다.
  • 퇴레게네 카툰 (1246년 사망): 오고타이 칸의 아내로, 1241년부터 1246년까지 몽골 제국의 섭정을 맡았다.
  • 에부스쿤: 무투칸의 아내다.
  • 보락친: 바투 칸의 아내다.
  • 오굴 카이미쉬: 가이유크 칸의 아내다.
  • 차비: 쿠빌라이 칸의 아내다.
  • 구르주 카툰: 카이호스로 2세의 아내다.
  • 코케진/바이람 에그치: 진금의 아내다.
  • 불루간: 테무르 칸의 아내다.
  • 다기 카툰: 다르마발라의 아내다.
  • 사무르 카툰: 엘베그 칸의 딸이다.
  • 아누 카툰: 센게와 갈단 보슈그투 칸의 아내다.
  • 세다 모메나 카툰: 기야스우딘 마흐무드 샤의 딸이다.
  • 라비아 발라 하툰 (1324년 사망): 술탄 오스만 1세의 아내다.
  • 귈치체크 하툰 (14세기 활동): 술탄 무라드 1세의 아내다.
  • 데블레트 하툰 (1411년 사망): 술탄 바예지드 1세의 아내다.
  • 귈펨 하툰 (1561/1562년 사망): 술탄 쉴레이만 1세의 배필이다.
  • 잔페다 하툰 (1600년 사망): 누르바누 술탄의 시녀다.
  • 셈스루하사르 하툰 (1613년 사망): 술탄 무라드 3세의 배필이다.
  • 멜리케 마마 하툰: 살투크 왕조 여성 통치자 (1191년에서 1200년 사이 통치)다.
  • 네네 하툰 (1857–1955): 터키 민간 영웅이다.
  • 할리메 하툰 (?–1281년경): 에르투르룰 가지의 아내다.

3. 1. 몽골 제국 및 관련 인물

3. 2. 기타 유목 국가 및 인물

불루칸 카툰은 아바카 칸의 카툰이었다. 데스피나 카툰은 우준 하산 샤한샤의 카툰으로 동로마 황족이었다. 포벡 카툰은 빌게 카간의 카툰이자 톤유쿡의 딸이었다.

3. 3. 아제르바이잔

모미네 카툰은 자한 파흘라완 아타벡의 제1카툰이다. 아제르바이잔에 소재한 능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4.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 초기에는 술탄의 어머니, 공주, 주된 배필에게 하툰 칭호가 사용되었으나, 16세기부터 "술탄"으로 대체되었다.[6] 이는 주권 권력을 가족 특권으로 보는 오스만 제국의 개념을 강조한 결과였다.

발리데 하툰(Valide Hatun)은 16세기 이전 오스만 제국의 통치 술탄의 "법적 어머니"가 사용하던 칭호였으며, 이후 발리데 술탄으로 변경되었다.[6]


  • 발리데 하툰 목록
  • * 니뤼페르 하툰은 그리스 출신으로 오르한 1세의 부인이자 무라드 1세의 어머니로 1362년 3월 아들이 즉위하면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363년까지 자리를 지켰다.

  • * 귈치체크 하툰은 그리스 출신으로 무라드 1세의 부인이자, 바예지드 1세의 어머니이다. 1389년 6월 16일 아들의 즉위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00년경까지 자리를 지켰다.

  • * 데블레트 하툰은 바예지드 1세의 부인이자 메흐메드 1세의 어머니이다. 1413년 7월 5일 아들의 즉위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으며, 1421년 5월 26일 아들의 사망으로 지위가 종료되었고 1422년에 사망하였다.

  • * 에미네 하툰은 둘카디르 출신으로 메흐메드 1세의 부인이자 무라드 2세의 어머니이다. 1421년 5월 26일 아들이 즉위하면서 첫 번째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44년 8월 첫 번째 재임이 끝났다. 1446년 9월 아들의 복위로 두 번째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49년까지 자리를 지켰다.

  • * 후마 하툰은 무라드 2세의 부인이자 메흐메드 2세의 어머니로, 1444년 8월 아들의 첫 번째 즉위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46년 9월까지 자리를 지켰다.

  • * 마라 데스피나 하툰은 세르비아 출신으로, 무라드 2세의 부인이다. 1457년 메흐메드의 초대로 오스만 궁정에 복귀하여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81년 5월 3일 메흐메드의 사망때까지 자리를 지켰다.

  • * 귈바하르 하툰은 그리스 또는 알바니아 출신으로 메흐메드 2세의 부인이자, 바예지드 2세의 어머니이다. 1481년 5월 3일 아들의 즉위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92년까지 자리를 지켰다.

4. 1. 발리데 하툰 목록

니뤼페르 하툰(Nilüfer Hatun)은 그리스 출신으로 오르한 1세의 부인이자 무라드 1세의 어머니로 1362년 3월 아들이 즉위하면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363년까지 자리를 지켰다.

귈치체크 하툰(Gülçiçek Hatun)은 그리스 출신으로 무라드 1세의 부인이자, 바예지드 1세의 어머니이다. 1389년 6월 16일 아들의 즉위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00년경까지 자리를 지켰다.

데블레트 하툰(Devlet Hatun)은 바예지드 1세의 부인이자 메흐메드 1세의 어머니이다. 1413년 7월 5일 아들의 즉위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으며, 1421년 5월 26일 아들의 사망으로 지위가 종료되었고 1422년에 사망하였다.

에미네 하툰(Emine Hatun)은 둘카디르 출신으로 메흐메드 1세의 부인이자 무라드 2세의 어머니이다. 1421년 5월 26일 아들이 즉위하면서 첫 번째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44년 8월 첫 번째 재임이 끝났다. 1446년 9월 아들의 복위로 두 번째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49년까지 자리를 지켰다.

후마 하툰(Hüma Hatun)은 무라드 2세의 부인이자 메흐메드 2세의 어머니로, 1444년 8월 아들의 첫 번째 즉위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46년 9월까지 자리를 지켰다.

마라 데스피나 하툰(Mara Branković|Mara Despina Hatun)은 세르비아 출신으로, 무라드 2세의 부인이다. 1457년 메흐메드의 초대로 오스만 궁정에 복귀하여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81년 5월 3일 메흐메드의 사망때까지 자리를 지켰다.

귈바하르 하툰(Gülbahar Hatun (mother of Bayezid II))은 그리스 또는 알바니아 출신으로 메흐메드 2세의 부인이자, 바예지드 2세의 어머니이다. 1481년 5월 3일 아들의 즉위로 발리데 하툰이 되었고, 1492년까지 자리를 지켰다.

5. 현대적 용법

우즈베크어에서는 ''xotin''으로 표기되며, 단순히 여성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된다.[5] 튀르키예어에서는 ''hatun''으로 표기되며, '여자'를 뜻하는 일반적인 튀르키예어 단어 ''kadın''은 같은 어원에서 파생된 이중어이다.[5]

6. 이름으로 사용된 예

아이셰 하툰 외날은 튀르키예 모델이다. 하툰 쉬뤼쥐는 독일 살해 피해자이다. 카툰 삽나라는 방글라데시 출생 영국 판사이다.

참조

[1] 서적 The Forgotten Queens of Islam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 서적 Women in Mongol Iran: The Khatuns, 1206-1335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
[3] 서적 The Turk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e-Thirteenth-Century Turkish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5] 문서 Clauson, p. 602
[6] 서적 The Imperial Harem: Women and Sovereignty in the Ott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7] 문서 村上1970,73頁
[8] 문서 村上1970,74頁
[9] 서적 The Forgotten Queens of Islam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