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카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카라는 몰타 동해안에 위치한 마을로, 칼카라 크릭 주변에 자리 잡고 있다. 초기 역사가들은 이곳이 몰타의 초기 정착지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하며, 지명은 석회를 의미하는 라틴어 '칼체'에서 유래했다. 성 요한 기사단 시대에 코토네라 라인 건설로 요새화되었고, 19세기와 20세기에 해변 리조트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피해를 입었지만, 독립 이후에도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며 개발이 이루어졌다. 현재 칼카라는 지방 위원회 소재지이며, 스마트 시티 몰타 건설 및 다양한 명소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타의 도시 - 나두르
나두르는 몰타 고조 섬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정착 추정 흔적과 바르바리 해적 방어 역할, 성 요한 기사단 및 영국 시대의 탑 건설, 그리고 2014년 기준 약 4,500명의 인구와 성 베드로와 성 바울 대성당을 포함한 다양한 건축물과 지역 특색을 지니고 있다. - 몰타의 도시 - 모스타
몰타섬 중앙에 위치한 모스타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서 깊은 도시로, 성모 승천 성당(모스타 로툰다)과 다양한 역사적 명소가 있으며, 현대에는 몰타 제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다. - 행정 구역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 행정 구역 - 마셜 제도
마셜 제도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1986년 미국 신탁통치령으로부터 독립했으며, 영어와 마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코프라, 수산물, 미국의 지원에 경제를 의존하며, 미국과 자유 연합 조약을 체결하여 국방을 미국에 의존한다.
칼카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일-칼카라 (Il-Kalkara) |
다른 이름 | 칼카라 (Calcara) |
지리적 구분 | 몰타의 지방 의회 |
![]() | |
![]() | |
별칭 | 없음 |
표어 | "밀-기르 이스미" (Mill-Ġir Ismi, 석회에서 나의 이름이 유래) |
인구 통계 | 칼카리ż (남성), 칼카리ża (여성), 칼카리żi (복수) |
행정 | |
국가 | 몰타 |
지역 | 남동부 지역 |
구 | 남부 항구 구 |
시장 | 웨인 아퀼리나 (Wayne Aquilina) |
시장 소속 정당 | PL |
경계 | 비르구, 시라, 자바르 |
면적 | |
총 면적 | 1.8 km2 |
인구 | |
2019년 1월 | 3059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1 |
하계 시간 | CEST |
하계 시간 오프셋 | +2 |
식별 코드 | |
우편 번호 | KKR |
지역 번호 | 356 |
ISO 3166-2 | MT-21 |
종교 | |
수호 성인 | 성 요셉 |
축제일 | 7월 둘째 주 일요일 |
칼카라의 날 | 12월 10일 |
기타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칼카라라는 이름은 라틴어 단어 '칼체(calc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석회(몰타어로는 ġir)를 의미한다. 이 지역에서 석회 가마가 흔히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칼카라의 모토는 "A Calce Nomen"이다. 칼카라의 엠블럼은 두 부분으로 나뉜 녹색 방패인데, 절반은 바다를 나타내는 파란색이고, 다른 절반은 타오르는 불꽃이 있는 금색이다.
칼카라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은 아니었지만, 코토네라와 드라이독에 가까웠기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의 피해를 입었다. 현재의 교구 교회 근처에 있던 첫 번째 교구 교회는 1942년 4월 10일 공습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1]
1964년 몰타 독립 이후, 칼카라에도 개발과 건설이 진행되었지만 그 영향은 크지 않았다. 정부는 Bighi 병원 근처에 새로운 주택 단지를 건설했고, Triq il-Missjoni Taljana를 따라 대형 연립 주택과 작은 빌라가 건설되었다. 칼카라는 여전히 매력적이고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며, 그림 같은 위치 덕분에 많은 그림과 엽서에 등장한다. 칼카라는 몰타 동해안, 그랜드 하버의 내부 항구 지역에 있으며, 칼카라 크릭 주변 지역과 양쪽 계곡으로 뻗어 있다. 그랜드 하버의 유일한 모래 해변인 리넬라 만은 리넬라 계곡 입구에 있다. 칼카라는 그랜드 하버 지역 내에서 다른 도시 및 마을과 자연스럽게 구분되는 비교적 넓은 열린 공간을 가진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이 도시는 비르구, 자바르 도시, 슈자이라 마을과 접해 있다.
2. 1. 초기 역사와 기독교 시대
칼카라 마을은 칼카라 크릭의 보호를 받는 만 주변의 작은 어촌으로 발전했습니다. 일부 역사가들은 오늘날 칼카라로 알려진 땅이 시칠리아 인근 섬에서 온 몰타의 초기 거주자들이 처음으로 거주한 곳 중 하나라고 믿습니다. 이러한 이론은 그랜드 하버의 만이 지중해에서의 오랜 항해를 견뎌낸 후 이러한 원시 이민자들에게 필요한 안식처를 제공했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론은 증명될 수 없으며 칼카라의 초기 역사는 대부분 알려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칼카라의 기독교 시대는 교구 경계에 위치한 Xagħra ta' Santa Duminka로 알려진 지역에 고대 기독교 지하 묘지(Palaeochristian hypogea)가 건설되면서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안에서 첫 번째 기독교 예배가 행해지기 시작했으며, 오늘날에는 지하 묘지 내부의 오란트(Orant, 기도하는 사람) 묘사로 여겨집니다.[1]
2. 2. 성 요한 기사단 시대
1530년 성 요한 기사단이 몰타로 건너와 인근 비르구에 본부를 설립하면서, 이 지역의 개발과 요새화 과정이 시작되었다. 이는 비르구, 보름라, 이슬라 도시를 둘러싸는 대규모 요새선인 코토네라 라인과 그랜드 하버 입구의 리카솔리 요새 건설로 절정에 달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몰타 섬에 대한 해적과 터키의 공격은 사실상 종식되었고, 새롭게 발견된 안전감은 칼카라가 코토네라, 특히 비토리오사(Birgu) 도시의 교외로 발전하는 것을 보장했다.인구는 서서히 증가했고, 19세기와 20세기에 칼카라는 작지만 매력적인 해변 리조트로 발전했으며, 해안가와 역사적인 중심지는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코토네라는 특히 드라이독(Drydocks)의 존재로 인해 주요 주거, 상업 및 산업 중심지였다. 드라이독은 영국 해군이 몰타에 주둔하기 시작한 이래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칼카라의 새로운 주택 대부분이 코토네라 지역 사람들이 번잡한 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은 여름 별장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코토네라 자체의 개발 부지가 매우 제한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칼카라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1850년대와 1950년대 사이에 지어진 이러한 주택 중 많은 수가 오늘날까지 남아 있으며, 지역에서는 타운 하우스(Town House)라고 불린다. 타운 하우스는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몰타식 나무 발코니, 나무 또는 철제 빔으로 지지되는 석판 천장, 몰타식 패턴의 바닥 타일이 있는 2층짜리 연립 주택이다. 해안가를 따라 있는 일부 주택은 다른 주택보다 더 정교하며 3층 또는 4층 건물과 복잡한 석조 조각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구 증가는 1897년에 칼카라를 비토리오사에서 독립 교구로 승격시켰다.

2. 3. 영국 식민지 시대
1530년 성 요한 기사단이 몰타로 건너와 인근 비르구에 본부를 설립하면서, 이 지역의 개발과 요새화 과정이 시작되었다. 이는 코토네라 라인의 건설로 절정에 달했는데, 비르구, 보름라, 이슬라 도시를 둘러싸는 대규모 요새선과 그랜드 하버 입구의 리카솔리 요새 건설이 그것이다.[1] 시간이 흐르면서 몰타 섬에 대한 해적과 터키의 공격은 사실상 종식되었고, 새롭게 발견된 안전은 칼카라가 코토네라의 교외, 특히 비토리오사(Birgu) 도시로 발전하는 것을 보장했다.[1]인구는 서서히 증가했고, 19세기와 20세기에 칼카라는 작지만 매력적인 해변 리조트로 발전했으며, 해안가와 역사적인 중심지는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1] 이 기간 동안 코토네라는 특히 드라이독(Drydocks)의 존재로 인해 주요 주거, 상업 및 산업 중심지였다.[1] 드라이독은 영국 해군이 몰타에 머물기 시작한 이래 사용했다.[1] 처음에는 칼카라의 새로운 주택 대부분이 코토네라 지역의 사람들이 더 바쁜 생활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은 여름 별장이었다.[1]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코토네라 자체의 개발 부지가 매우 제한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칼카라 자체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했다.[1] 1850년대와 1950년대 사이에 지어진 이러한 주택 중 많은 수가 오늘날까지 남아 있으며, 지역에서는 타운 하우스(Town House)라고 불린다.[1] 타운 하우스는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몰타식 나무 발코니, 나무 또는 철제 빔으로 지지되는 석판 천장, 몰타식 패턴의 바닥 타일이 있는 2층짜리 연립 주택이다.[1] 해안가를 따라 있는 일부 주택은 다른 주택보다 더 정교하며 3층 또는 4층 건물과 복잡한 석조 조각을 포함한다.[1] 이러한 인구 증가는 1897년에 칼카라를 비토리오사에서 독립 교구로 승격시켰다.[1]
칼카라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은 아니었지만, 코토네라와 드라이독과의 근접성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의 타격을 입었다.[1] 현재의 교구 교회 근처에 위치한 첫 번째 교구 교회는 1942년 4월 10일 공습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1]
2. 4. 몰타 독립 이후
1964년 몰타 독립 이후, 몰타는 고도의 개발과 건설 기간을 겪었으며, 이는 칼카라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그 정도는 덜했다. 정부는 Bighi 병원 근처 지역에 새로운 주택 단지를 건설했으며, Triq il-Missjoni Taljana를 따라 대형 연립 주택과 작은 빌라도 건설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카라는 여전히 매력적이고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며, 그림처럼 아름다운 위치를 강조하는 많은 그림과 엽서에 꾸준히 등장한다.3. 지리
칼카라 마을은 칼카라 크릭의 보호받는 만 주변의 작은 어촌으로 발전하였다. 일부 역사가들은 오늘날 칼카라로 알려진 땅이 시칠리아 인근 섬에서 온 몰타의 초기 거주자들이 처음으로 정착한 곳 중 하나라고 믿는다. 이는 그랜드 하버의 만이 지중해에서의 오랜 항해를 견뎌낸 후 이러한 원시 이민자들에게 필요한 안식처를 제공했을 수 있다는 추측에 기반한다.
칼카라는 몰타 동해안, 그랜드 하버의 내부 항구 지역에 위치한다. 칼카라 크릭 주변 지역을 차지하며 크릭 양쪽 계곡으로 확장된다. 그랜드 하버의 유일한 모래 해변인 리넬라 만(Rinella Bay)은 리넬라 계곡 입구에 있다. 칼카라는 그랜드 하버 지역 내에서 다른 도시 및 마을과 자연스럽게 구분되는 비교적 넓은 열린 공간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이 도시는 비르구, 자바르 도시와 슈자이라 마을에 접해 있다.
4. 행정
칼카라는 1993년 지방 자치 위원회 법 제정 이후 지방 위원회가 설치되어 지역의 일반적인 유지 관리, 주거 도로의 유지 보수 및 건설, 지역 환경 등 다양한 지역 문제를 담당하고 있다.[1]
지방 위원회는 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
5. 인구
2014년 3월 현재 기록에 따르면 칼카라의 인구는 3,014명[1]으로, 2009년 12월의 2,856명에서 증가했다. 쾌적하고 조용한 환경과 상대적으로 낮은 부동산 가격은 칼카라를 거주하기에 이상적인 장소로 만들며, 칼카라는 인구 증가를 보이는 지역 중 하나이다.
연도 | 인구 |
---|---|
1901 | 1,158 |
1911 | 1,491 |
1921 | 1,698 |
1931 | 1,899 |
1948 | 2,068 |
1957 | 2,101 |
1967 | 1,945 |
1985 | 2,086 |
1995 | 2,833 |
2005 | 2,882 |
2011 | 2,946 |
6. 문화
칼카라에는 두 개의 밴드 클럽이 있다. 1897년에 창단된 치르콜로 산 주세페 필라르모니카 사그라 파밀라와 1987년에 창단된 성 요셉 밴드 클럽(L-Għaqda Mużikali San Ġużepp몰타어)이다.
지역 NGO로는 아소치아지오니 비르트 일-칼카라가 있다.[3]
6. 1. 종교
칼카라 지역의 종교 역사는 1487년 '라 푼타 소틸레 델라 리넬라'에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에게 헌정된 예배당이 세워지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예배당은 1565년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대비하여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의 명령으로 철거되었다.[1]1580년, 클라우디오 아벨라와 다비데 부를로는 그랜드 마스터 라 카시에르로부터 같은 부지에 예배당 건축 허가를 받았다. 이 예배당에는 1676년 페스트 유행으로 사망한 교황 알렉산데르 7세의 조카 프라 조반니 비키가 매장되었다.[1]
1680년, 로렌조 가파의 설계로 예배당이 재건되었다. 마티아 프레티가 그린 '우리 주님의 변용' 제단화는 1798년 프랑스군에 의해 도난당했고, 프란체스코 마디오나의 그림으로 대체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첫 번째 본당 교회가 파괴된 후, 구세주 예배당은 1940년대 칼카라의 본당 교회 역할을 했다.[1]
1897년 12월 10일, 칼카라는 독립된 본당이 되었고, 조셉 치앙구라 신부가 첫 본당 신부로 임명되었다. 1898년 주세페 칼리의 성 요셉 주 제단화가 완성되었고, 첫 행렬 축제가 열렸다.[1]
1942년 4월 10일, 본당 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공습으로 파괴되었으나, 그림들은 고조로 대피하여 피해를 면했다.[1]
1944년, 옛 몰타 가스 공장 창고에 임시 교회가 설치되었고, 주제 다마토와 빈센조 보넬로가 설계한 새 본당 교회가 다른 위치에 건설되었다. 1946년 10월 13일, 새 교회의 첫 돌이 놓였고, 1952년 9월 7일에 축복식이 거행되었다. 1954년 12월 12일, 새 본당 교회는 봉헌되었다.[1]
7. 명소
칼카라 마을은 칼카라 크릭(Kalkara Creek)의 만 주변에 있는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칼카라가 시칠리아 섬에서 온 몰타 초기 거주자들이 처음으로 정착한 곳 중 하나라고 추정한다.
칼카라라는 이름은 석회(몰타어: ġir)를 의미하는 라틴어 '칼체(calce)'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지역에서 석회 가마가 많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1530년 성 요한 기사단이 몰타에 오면서 코토네라 라인(Cottonera Lines)과 리카솔리 요새(Fort Ricasoli) 건설 등 이 지역의 요새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요새화 덕분에 칼카라는 코토네라의 교외 지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 칼카라는 해변 리조트로 발전했으며, 특히 드라이독의 존재로 인해 코토네라는 주거, 상업, 산업 중심지가 되었다. 코토네라 지역 사람들이 여름 별장으로 칼카라에 집을 짓기 시작했고, 점차 영구적으로 정착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1850년대에서 1950년대 사이에 지어진 전통적인 몰타식 타운 하우스들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이러한 인구 증가로 1897년 칼카라는 비르구에서 독립된 교구가 되었다.
칼카라는 제2차 세계 대전 때 코토네라와 드라이독에 근접했기 때문에 피해를 입었다. 1942년 4월 10일 공습으로 첫 번째 교구 교회가 파괴되었다.
1964년 몰타 독립 이후 칼카라에도 개발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조용하고 매력적인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칼카라는 몰타 동해안, 그랜드 하버의 내부 항구 지역에 위치하며, 비르구, 자바르, 슈자이라와 접해 있다.
칼카라에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 명소와 건축물들이 있다.
- 구세주 예배당: 1487년에 처음 지어졌다고 추정되며, 1565년 대공성전 때 철거되었다가 재건되었다. 1676년 몰타 페스트 때 사망한 프라 조반니 비키가 매장되어 있다. 1680년 몰타 건축가 로렌조 가파의 설계로 재건되었으며, 주 제단화는 마티아 프레티가 그렸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첫 번째 본당 교회가 파괴된 후 임시 본당 교회 역할을 했다.
- 첫 번째 본당 교회: 1890년 6월 22일 첫 돌을 놓았고 1897년 12월 10일 칼카라가 독립된 본당이 되면서 본당 교회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2년 4월 10일 공습으로 파괴되었다.
- 현재 본당 교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된 교회를 대신하여 1946년 10월 13일 첫 돌을 놓았고, 1952년 9월 7일에 축성되었다. 주제 다마토와 빈센조 보넬로가 설계했다.
- 칼카라 해군 묘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사망한 군인들과 민간인들이 안장되어 있다.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CWGC)에서 제작한 묘비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몰타를 방어하다 사망한 일본 잠수함 승조원을 기리는 일본 해군 기념비가 있다.[4]
- 리카솔리 요새: 1670년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성 요한 기사단과 영국군이 사용했다. 성 니콜라스 예배당이 있다.
- 리넬라 포대: 19세기에 영국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NGO인 Fondazzjoni Wirt Artna가 관리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대포인 100톤 포가 있다.
- 빌라 비기: 1650년 프라 지오반니 비기가 지은 대규모 빌라로, 1813년 역병 기간 동안 임시 병원으로 사용되었다. 1830년 해군 병원으로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Esplora라는 과학 및 혁신 센터로 운영되고 있다.
- 빌라 포르텔리: 아고스티노 포르텔리 경의 여름 별장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기함 장교의 거주지로 사용되었다.[5]
8. 경제
정부는 그랜드 하버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비전의 일환으로, 칼카라 외곽의 과거 리카솔리 산업 단지가 있던 부지를 두바이 인터넷 시티와 같은 방식으로 건설될 스마트 시티 몰타의 부지로 지정하였다. 2008년에 건설이 시작되었고, 첫 번째 사무실 건물인 SCM1이 완공되었으며, 현재 사무 공간, 호텔, 주거 시설, 요식 업체 및 일반에 개방된 조경 공간을 포함하는 나머지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정부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완공 시 약 7,000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이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다.
칼카라의 해양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2010년 정부는 이 부문의 증가하는 수요에 더 많은 정박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칼카라 크릭에 임시 마리나를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이 도시에는 ''몰타 영화 위원회(Malta Film Commission)''와 ''몰타 영화 스튜디오(Malta Film Studios)''의 주요 시설이 있다.[6]
9. 교통
칼카라는 아르바 몰타(Arriva Malta)가 운행하는 3번 노선 버스가 정기적으로 운행하며, 이 노선은 칼카라와 수도 발레타를 직접 연결한다. 그랜드 하버 지역의 교통 전략은 또한 칼카라에 발레타, 쓰리 시티스 및 항구 내 다른 지역으로 연결되는 페리 서비스 지점을 계획하고 있다.[1] 213번 노선 또한 칼카라의 일부 지역을 지나가며, 마테르 데이 병원으로 가는 교통편을 제공한다.[1]
리카솔리 지역에 스마트 시티 몰타 건설 및 개발로 인해, 이 지역의 도로망을 업그레이드하고 개선하며 스마트 시티 몰타가 완전히 운영될 경우 교통량 유입에 대비하기 위해 사우스 하버 링크 로드(South Harbour Link Road) 건설이 제안되었다.[1] 제안된 새로운 링크 로드는 스마트 시티 몰타를 몰타의 주요 간선 도로망과 직접 연결하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이 제안이 승인될 경우 칼카라와 하즈자바르 사이 지역의 농지를 희생하게 된다.[1]
10. 스포츠
칼카라는 몰타 전통 배인 몰타 다이사로 알려진 지역 전통 배의 건조와 노를 젓는 사람(바클로리)으로 유명하다. 칼카라팀은 9월 8일과 3월 31일에 열리는 전통적인 국가 레가타에 자체 제작한 배를 가지고 여전히 참가하고 있다.
11. 자매 도시
칼카라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7]
- -- 크레스펠라노, 이탈리아
- -- 핼리팩스, 캐나다
참조
[1]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by Locality 31st March, 2014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Malta
2014-05-16
[2]
웹사이트
Il-Kalkara
http://www.ngw.nl/he[...]
2015-06-24
[3]
웹사이트
Merħba - Assoċjazzjoni Wirt il-Kalkara
http://www.wirtilkal[...]
[4]
웹사이트
Imtarfa Military Cemetery
https://www.cwgc.org[...]
[5]
서적
A hand book, or guide, for strangers visiting Malta
https://books.google[...]
[6]
웹사이트
Malta Film Studios
https://maltafilmcom[...]
2019-10-10
[7]
웹사이트
Twinning
https://localgovernm[...]
Government of Malta
2019-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