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프토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프토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부터 백악기 전기에 걸쳐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발견된 조각류 공룡의 한 속이다. 1879년 윌리엄 할로우 리드가 처음 발견했으며, 오스니엘 찰스 마시에 의해 캄프토노투스로 명명되었다가 1885년 캄프토사우루스로 개명되었다. 캄프토사우루스는 튼튼한 체형, 뒷다리, 넓은 발을 가지고 있었으며, 몸길이는 약 5~7미터, 몸무게는 500~1000kg 정도로 추정된다. 이족 보행과 사족 보행 모두 가능했을 것으로 보이며, 다른 조각류 공룡과 마찬가지로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캄프토사우루스는 계통발생학적으로 안킬로폴렉시아에 속하며, 이구아노돈류 및 하드로사우루스류 공룡의 조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공룡 - 프로케라토사우루스과
프로케라토사우루스과는 티라노사우루스상과에 속하며, 작은 크기에 긴 세 손가락 팔을 가지고 있고, 비골과 전상악골의 접합부에서 시작하는 시상 두정 능선 등의 특징을 보이는 공룡 과이다. - 유럽의 공룡 - 스목 (아코사우루스)
스목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살았던 악어와 공룡의 특징을 가진 아코사우루스류로, 폴란드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몸길이가 5~6m에 달하는 최상위 포식자였다. - 18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코엘루루스
코엘루루스는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몸길이 약 2.4m, 몸무게 13~20kg 정도의 소형 수각류 공룡 속으로, 긴 목과 다리, 가느다란 몸체를 가지고 코엘루로사우루스류에 속하며, 정확한 계통학적 위치는 불확실하지만 티라노사우루스상과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 18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브론토사우루스
브론토사우루스는 오트니엘 찰스 마쉬가 1879년에 명명한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한때 아파토사우루스와 동일 속으로 취급되어 사용이 중단되었으나 2015년 연구를 통해 유효한 속으로 재인정받았으며, "천둥 도마뱀"이라는 이름으로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 188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메가네우라
메가네우라는 석탄기 후기에 서식했으며 날개 길이가 70cm가 넘는 거대한 잠자리류 곤충 속으로, 높은 산소 농도와 포식자 부재 등으로 인해 큰 크기를 가졌고 다른 곤충이나 양서류를 잡아먹는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188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텝매머드
스텝매머드는 플라이스토세 시대 유라시아 북부에 서식한 거대한 매머드 종으로, 현생 코끼리보다 훨씬 큰 몸집을 지녔으며 주로 스텝 환경에서 혼합 사료를 섭취하는 방목 동물로 추정된다.
캄프토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mptosaurus |
명명자 | 마시, 1885년 |
속 | 카ンプトサウルス 속 |
종 | C. dispar (마시, 1879) (Camptonotus dispar 로서: 모식종) C. aphanoecetes (Carpenter & Wilson, 2008) C. hoggii (Owen, 1874) C. prestwichii (Hulke, 1880) |
학명의 어원 | 고대 그리스어 καμπτος (kamptos, "구부러진") + 고대 그리스어 σαυρος (sauros, "도마뱀") |
지질 시대 | 쥐라기 후기, |
하위 분류 | |
기타 종 | 'C. aphanoecetes' (Carpenter & Wilson, 2008) 'C. prestwichii' (Hulke, 1880 [원래 이구아노돈 prestwichii]) |
이명 |
2. 역사
오스니엘 찰스 마시는 1879년에 와이오밍주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캄프토사우루스를 처음 명명했다. 처음에는 '캄프토노투스'라고 불렀으나, 이 이름이 이미 귀뚜라미의 한 종류에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1885년에 '캄프토사우루스'로 변경되었다.[2][3]
마시는 ''C. 디스파르''(C. dispar), ''C. 앰플루스''(C. amplus), ''C. 메디우스''(C. medius), ''C. 나누스''(C. nanus) 등 여러 종을 명명했지만,[4][5][6] 이후 연구를 통해 ''C. 디스파르''만이 유효한 종으로 인정받았다.[4] 다른 종들은 ''C. 디스파르''의 성장 단계이거나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예를 들어, ''C. 앰플루스''의 모식표본으로 사용된 발 화석은 사실 알로사우루스의 것으로 밝혀졌다.[4][5] 또한, ''C. 데프레서스''는 ''오스마카사우루스''로,[12] ''C. 아파노이세테스''는 ''유테오돈''으로[12] 재분류되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유럽에서도 여러 종들이 캄프토사우루스 속으로 분류되었지만, 대부분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거나 불확실한 종으로 간주된다.
- ''C. 인케예이'': 루마니아에서 발견되었으나, 랍도돈과 공룡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유효하지 않은 종으로 간주된다.[13]
- ''C. 발덴시스'': 영국에서 발견된 대퇴골 화석으로, 이구아노돈류의 일종으로 간주된다.[14]
- ''C. 리드지'': ''칼로보사우루스''로 재분류되었다.[15]
- ''C. 호기이'': ''오웨노돈''으로 재분류되었다.[17]
- ''C. 프레스위치이'': 영국에서 발견되었으며, 한때 ''커넘니아''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스티라코스테르나''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1][12]
2022년에는 스페인에서 캄프토사우루스(aff. ''Camptosaurus'' .sp)에 속할 가능성이 있는 화석이 발견되어, 유럽에도 캄프토사우루스가 서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
2. 1. 발견
1879년 9월 4일, 윌리엄 할로우 리드는 와이오밍주 앨버니 군에서 작은 조각류 공룡의 유해를 발견했다. 같은 해, 오스니엘 찰스 마시 교수는 이 발견을 그리스어 κάμπτω ("굽히다")와 νῶτον ("등")에서 유래하여 "유연한 등"을 의미하는 ''캄프토노투스''(Camptonotus)로 명명하고 묘사했다. 이는 추정되는 천골의 유연성을 나타낸 것이다. 모식표본은 부분적인 골격인 YPM 1877이었다.[2] 이 속은 원래 이름이 이미 귀뚜라미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1885년 마시에 의해 ''캄프토사우루스''(Camptosaurus)로 개명되었다.[3]1879년, 마시는 모리슨 층의 와이오밍주 코모 블러프 근처 ''Quarry 13''에서 수집가들이 보내온 자료를 기반으로 이 속의 모식종인 ''C. 디스파르''(C. dispar)를 명명했고, ''Quarry 1A''에서 아서 레이크스가 발견한 발 화석인 YPM 1879를 모식표본으로 하여 ''C. 앰플루스''(C. amplus)를 명명했다. 이 발은 나중에 ''알로사우루스''에 속한 것으로 밝혀졌다.[4][5] 1880년대와 1890년대에 걸쳐, 그는 Quarry 13에서 표본을 계속 수집했고, 1894년에는 크기를 기준으로 ''C. 메디우스''(C. medius)와 ''C. 나누스''(C. nanus)의 두 종을 추가로 명명했다.[6] 찰스 W. 길모어는 1909년에[7] 마시의 표본을 재기술하면서 ''C. 브라우니''(C. browni)와 ''C. 데프레서스''(C. depressus)의 두 종을 추가로 명명했다. 모리슨 층에서 ''캄프토사우루스'' 화석은 지층대 2–6에 존재한다.[8]
이후 1980년, 피터 갤턴과 H.P. 파웰은 ''C. 프레스위치''(아래 참조)를 재기술하면서, ''C. 나누스'', ''C. 메디우스'', ''C. 브라우니''를 더 큰 ''C. 디스파르''의 서로 다른 성장 단계 또는 성별로 간주하여, 오직 ''C. 디스파르''만이 유효한 종이라고 여겼다.[4] 그들은 또한 1886년에 마시가 ''C. 앰플루스''로 분류하고, 나중에 길모어가 확인한 두개골 YPM 1887도 ''C. 디스파르''에 속한다고 생각했다. 길모어는 이 두개골을 사용하여 ''캄프토사우루스''의 두개골을 묘사했지만, 이 표본은 최근 브릴과 카펜터에 의해 ''캄프토사우루스''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2007년에, 그들은 이를 자체 속 및 종인 ''테이오피탈리아 케리''(Theiophytalia kerri)로 분류했다.[9]

''캄프토사우루스 데프레서스''(Camptosaurus depressus)는 사우스다코타주 핫 스프링스 마을 근처의 라코타 층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단편적인 후두부 골격인 모식표본이자 유일하게 알려진 표본인 USNM 4753을 기반으로, "장골의 좁음 또는 함몰된 특성"에 따라 1909년에 찰스 W. 길모어에 의해 묘사되었다.[7] 카펜터와 윌슨(2008)은 이 종을 플라니콕사의 장골과 ''Planicoxa venenica''의 모식표본 장골 사이의 유사성을 근거로 하여 ''플라니콕사''로, 즉 ''P. 데프레사''(P. depressa)로 분류했다.[10] 그러나 맥도날드와 동료들(2010)과 맥도날드(2011)는 ''C. 데프레서스''의 수평적인 아세타불럼 뒤 돌기가 왜곡의 결과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했다.[11] 따라서 맥도날드는 이를 자체 속인 ''오스마카사우루스''(Osmakasaurus)로 분류했다.[12]
2008년 카펜터와 윌슨은 다이노소어 국립 기념지의 표본을 기반으로 하여 추가 종인 ''캄프토사우루스 아파노이세테스''(Camptosaurus aphanoecetes)를 명명했다.[10] 이 종은 아래턱, 짧은 목 척추, 그리고 작은 "발"로 끝나는 더 곧은 좌골을 포함한 다른 특징에서 ''C. 디스파르''와 다르다. 2010년 앤드루 맥도날드와 동료들의 분석에 따르면, ''C. 아파노이세테스''는 사실 더 진화된 이구아노돈류(스티라코스테르나)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이 종은 새로운 속인 ''유테오돈''(Uteodon)으로 옮겨졌다.[12]

마시가 북아메리카에서 ''캄프토사우루스'' 종을 묘사하는 동안,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유럽에서도 많은 종들이 이 속으로 분류되었다.
- ''C. 인케예이''(Nopcsa, 1900)는 루마니아의 하체그 분지에서 발견된 백악기 상부 암석의 단편적인 자료, 즉 치골과 관절골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거의 확실하게 랍도돈티드이며, 더 이상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불확실한 이름'').[13]
- ''C. 발덴시스''는 완벽하게 보존되지 않은, 원위부가 없는 왼쪽 대퇴골인 모식표본이자 유일하게 알려진 표본인 NHMUK R167로 구성되어 있다. 이 표본은 이전에는 의심스러운 드라이오사우루스과로 여겨졌지만,[17][12] 최근의 분석에 따르면, 드라이오사우루스과의 진단적 특징이 이 자료와 일치하지 않으며, 대신 이구아노돈류로 간주된다.[14]
- ''C. 리드지''는 새로운 속인 ''칼로보사우루스''(Callovosaurus)로 옮겨진 유효한 드라이오사우루스과일 가능성이 높다.[15]
- ''C. 호기이''는 원래 리처드 오웬이 1874년에 ''이구아노돈 호기이''(Iguanodon hoggii)로 명명했고, 2002년 노먼과 배럿에 의해 ''캄프토사우루스''로 옮겨졌다.[16] 이후 이 종은 ''오웨노돈''(Owenodon) 속으로 옮겨졌다.[17]
남은 유럽 종인 ''캄프토사우루스 프레스위치이''(Camptosaurus prestwichii)는 영국 옥스퍼드셔의 철도가 언덕 측면에 설치되었을 때 발견되었다. 1880년 Hulke에 의해 ''이구아노돈 프레스위치이''(Iguanodon prestwichii)로 묘사되었고, 1888년 Seeley에 의해 자체 속인 ''커넘니아''(Cumnoria)로 분류되었지만, 1889년 Lydekker에 의해 곧 ''캄프토사우루스''로 흡수되었다.[18] 그러나 Naish & Martill (2008), 맥도날드와 동료들(2010), 맥도날드(2011)는 Seeley의 원래 속 구분이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커넘니아''는 ''스티라코스테르나''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캄프토사우루스 디스파르''보다 진화된 이구아노돈류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유테오돈''의 경우와 유사하다.[11][12]
2022년에, aff. ''캄프토사우루스'' .sp에 속하는 최초의 확인된 유럽 유해가 Sánchez-Fenollosa 외에 의해 기술되었다.[1] 단일 표본이 스페인의 비야르 델 아르조비스포 층의 푸엔테실라스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표본은 앞쪽 경추 중심, 앞쪽 등 중심, 등천골 중심, 4개의 천골 중심, 미천골 중심, 2개의 앞쪽 미추 중심, 3개의 중간 미추 중심, 그리고 왼쪽 상완골의 원위 단편으로 구성되었다. 푸엔테실라스 표본은 포르투갈의 쥐라기에서 발견된 ''드라코닉스''보다 ''캄프토사우루스''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이며,[19] 따라서 ''캄프토사우루스'' 속에 잠정적으로 포함되었다.[1]
2. 2. 연구사
1879년 9월 4일, 윌리엄 할로우 리드는 와이오밍주 앨버니 군에서 작은 조각류 공룡의 유해를 발견했다. 같은 해, 오스니엘 찰스 마시 교수는 이 발견을 "유연한 등"을 의미하는 ''캄프토노투스''(Camptonotus)로 명명했다. 이는 추정되는 천골의 유연성을 나타낸 것이다. 모식표본은 부분적인 골격인 YPM 1877이었다.[2] 이 속은 원래 이름이 이미 귀뚜라미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1885년 마시에 의해 ''캄프토사우루스''(Camptosaurus)로 개명되었다.[3]1879년, 마시는 모리슨 층의 와이오밍주 코모 블러프 근처 ''Quarry 13''에서 수집가들이 보내온 자료를 기반으로 이 속의 모식종인 ''C. 디스파르''(C. dispar)를 명명했고, ''Quarry 1A''에서 아서 레이크스가 발견한 발 화석인 YPM 1879를 모식표본으로 하여 ''C. 앰플루스''(C. amplus)를 명명했다. 이 발은 나중에 ''알로사우루스''에 속한 것으로 밝혀졌다.[4][5] 1880년대와 1890년대에 걸쳐, 그는 Quarry 13에서 표본을 계속 수집했고, 1894년에는 크기를 기준으로 ''C. 메디우스''(C. medius)와 ''C. 나누스''(C. nanus)의 두 종을 추가로 명명했다.[6] 찰스 W. 길모어는 1909년에[7] 마시의 표본을 재기술하면서 ''C. 브라우니''(C. browni)와 ''C. 데프레서스''(C. depressus)의 두 종을 추가로 명명했다. 모리슨 층에서 ''캄프토사우루스'' 화석은 지층대 2–6에 존재한다.[8]
1980년, 피터 갤턴과 H.P. 파웰은 ''C. 프레스위치''(아래 참조)를 재기술하면서, ''C. 나누스'', ''C. 메디우스'', ''C. 브라우니''를 더 큰 ''C. 디스파르''의 서로 다른 성장 단계 또는 성별로 간주하여, 오직 ''C. 디스파르''만이 유효한 종이라고 여겼다.[4] 그들은 또한 1886년에 마시가 ''C. 앰플루스''로 분류하고, 나중에 길모어가 확인한 두개골 YPM 1887도 ''C. 디스파르''에 속한다고 생각했다. 길모어는 이 두개골을 사용하여 ''캄프토사우루스''의 두개골을 묘사했지만, 이 표본은 최근 브릴과 카펜터에 의해 ''캄프토사우루스''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2007년에, 그들은 이를 자체 속 및 종인 ''테이오피탈리아 케리''(Theiophytalia kerri)로 분류했다.[9]
]''캄프토사우루스 데프레서스''(Camptosaurus depressus)는 사우스다코타주 핫 스프링스 마을 근처의 라코타 층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단편적인 후두부 골격인 모식표본이자 유일하게 알려진 표본인 USNM 4753을 기반으로, 1909년에 찰스 W. 길모어에 의해 묘사되었다.[7] 카펜터와 윌슨(2008)은 이 종을 ''플라니콕사''로, 즉 ''P. 데프레사''(P. depressa)로 분류했다.[10] 그러나 맥도날드와 동료들(2010)과 맥도날드(2011)는 ''C. 데프레서스''의 수평적인 아세타불럼 뒤 돌기가 왜곡의 결과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했다.[11] 따라서 맥도날드는 이를 자체 속인 ''오스마카사우루스''(Osmakasaurus)로 분류했다.[12]
2008년 카펜터와 윌슨은 다이노소어 국립 기념지의 표본을 기반으로 하여 추가 종인 ''캄프토사우루스 아파노이세테스''(Camptosaurus aphanoecetes)를 명명했다.[10] 2010년 앤드루 맥도날드와 동료들의 분석에 따르면, ''C. 아파노이세테스''는 사실 더 진화된 이구아노돈류(스티라코스테르나)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이 종은 새로운 속인 ''유테오돈''(Uteodon)으로 옮겨졌다.[12]
마시가 북아메리카에서 ''캄프토사우루스'' 종을 묘사하는 동안,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유럽에서도 많은 종들이 이 속으로 분류되었다.
- ''C. 인케예이''(Nopcsa, 1900)는 루마니아의 하체그 분지에서 발견된 백악기 상부 암석의 단편적인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거의 확실하게 랍도돈티드이며, 더 이상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불확실한 이름'').[13]
- ''C. 발덴시스''는 완벽하게 보존되지 않은 왼쪽 대퇴골 표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표본은 이전에는 의심스러운 드라이오사우루스과로 여겨졌지만,[17][12] 최근의 분석에 따르면, 이구아노돈류로 간주된다.[14]
- ''C. 리드지''는 새로운 속인 ''칼로보사우루스''(Callovosaurus)로 옮겨진 유효한 드라이오사우루스과일 가능성이 높다.[15]
- ''C. 호기이''는 원래 리처드 오웬이 1874년에 ''이구아노돈 호기이''(Iguanodon hoggii)로 명명했고, 2002년 노먼과 배럿에 의해 ''캄프토사우루스''로 옮겨졌다.[16] 이후 이 종은 ''오웨노돈''(Owenodon) 속으로 옮겨졌다.[17]
- ''C. 프레스위치이''는 영국 옥스퍼드셔의 커넘 오크](Cumnor Hurst)]에 있는 채울리 벽돌 채석장에서 발견되었다. 1880년 Hulke에 의해 ''이구아노돈 프레스위치이''(Iguanodon prestwichii)로 묘사되었고, 1888년 Seeley에 의해 자체 속인 ''
3. 특징
''캄프토사우루스 디스파르''(파란색)와 인간, 다른 조각류 공룡의 크기 비교
다른 이구아노돈류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자들은 캄프토사우루스가 시속 25km의 속도로 달릴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21] 유타주 공룡 국립 기념물의 모리슨 층에서 9인치 크기의 화석화된 배아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캄프토사우루스''의 것으로 여겨진다.[21]
화석은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쥐라기 후기 킴메리지안부터 백악기 전기 발랑기니안까지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면 다른 속으로 밝혀질 종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테고사우루스와 같은 곳에서 자주 발견되기 때문에, 스테고사우루스가 보디가드 역할을 하고 캄프토사우루스가 망을 보는 형태로 공생 관계를 이루었다는 설도 있다.
3. 1. 형태
복원도
''캄프토사우루스''는 비교적 튼튼한 체형을 가지고 있으며, 튼튼한 뒷다리와 넓은 발을 가지고 있었고, 여전히 네 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었다.[4] 모리슨 층에서 어떤 화석이 ''캄프토사우루스''에 속하는지, Uteodon의 별도 분류로 인해 문제가 발생했다. 확실히 ''캄프토사우루스 디스파르''에 속하는 표본들은 채석장 13에서 발견되었으며, 매우 깊은 지층에서 발견되어 칼로비안-옥스포드절 시기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0] 후기 지층에서 발견된 가장 큰 화석 조각들은 성체 개체의 길이가 약 6.79m에 달함을 나타낸다.[20] 채석장 13의 개체들은 이보다 작다. ''캄프토사우루스''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5m에서 6m에 달하고, 몸무게는 500kg에서 1000kg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1][22][10]
마쉬(Marsh)와 길모어(Gilmore)의 초기 복원도에서는 ''Theiophytalia''의 두개골을 바탕으로 하여 부정확하고 더 직사각형의 형태를 보였다. 두개골은 실제로는 부리가 달린 뾰족한 주둥이를 가진 삼각형이었다. 다른 모리슨 유오르니토포드에 비해 이빨이 턱에 더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었다.[21] 박물관 큐레이터 존 포스터(John Foster)는 이들의 이빨이 "측면에 두꺼운 중간 능선이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작은 이빨이 있다"고 묘사했으며, 이러한 특징은 ''드라이오사우루스''의 특징과 유사하지만 "더 발달"되었다고 설명했다.[21] ''캄프토사우루스''의 이빨은 빈번하게 광범위한 마모를 보이는데, 이는 이 속의 개체들이 비교적 질긴 식물을 먹는 식단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21]
전체 길이는 약 5~7미터이다. 전체적인 체형은 이구아노돈과 비슷하지만, 뒷다리의 발가락이 4개인 등의 차이점이 있다. 팔보다 다리가 더 길어 이족보행에 적합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발자국 화석으로 미루어 보아 평상시에는 네 발로 천천히 걸었을 것으로 보인다. 앞발은 5개의 짧은 발가락을 가지고 있었으며, 날카로운 발톱이 있었지만, 이구아노돈에 비해 빈약하여 무기가 될 만한 것은 아니었고, 육식 공룡으로부터의 방어 수단은 도망치는 것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파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등으로 대표되는 모리슨 층 동물군과 같은 시대에 생존하였으며, 알로사우루스나 케라토사우루스와 같은 대형 포식자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해서는 싸우는 것보다 도망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을지도 모른다.두개골
3. 2. 식성
''캄프토사우루스''는 턱에 이빨이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었고,[21] 측면에 두꺼운 중간 능선과 가장자리를 따라 작은 이빨이 있는 특징은 드라이오사우루스와 유사하지만 더 발달되었다.[21] 이빨은 마모가 심했는데, 이는 ''캄프토사우루스''가 질긴 식물을 먹었음을 시사한다.[21]
3. 3. 생태
다른 이구아노돈류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자들은 캄프토사우루스가 시속 25km(15mph)의 속도로 달릴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21] 유타주 공룡 국립 기념물의 모리슨 층에서 9인치 크기의 화석화된 배아, ''캄프토사우루스''로 여겨지는 화석이 발견되었다.[21]
전체 길이는 약 5~7미터이다. 전체적인 체형은 이구아노돈과 비슷하지만, 뒷다리의 발가락이 4개인 점 등이 다르다. 팔보다 다리가 더 길어 이족보행에 적합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발자국 화석으로 미루어 보아 평상시에는 네 발로 천천히 걸었을 것으로 보인다. 앞발은 5개의 짧은 발가락을 가지고 있었으며, 날카로운 발톱이 있었지만, 이구아노돈에 비해 빈약하여 무기가 될 만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육식 공룡으로부터의 방어 수단은 도망치는 것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생존 시대는 아파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등으로 대표되는 모리슨 층 동물군이었으며, 알로사우루스나 케라토사우루스와 같은 대형 포식자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해서는 싸우는 것보다 도망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을지도 모른다.
화석은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쥐라기 후기 킴메리지안부터 백악기 전기 발랑기니안까지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연구가 진행된다면 다른 속으로 밝혀질 종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스테고사우루스와 같은 곳에서 자주 발견되기 때문에, 스테고사우루스가 보디가드 역할을 하고, 캄프토사우루스가 망을 보는 형태로 공생 관계를 이루었다는 설도 있다.
4. 분류
힙실로포돈 등에 비해 크게 발달한 부리와 두 개의 치아가 하나의 치조에 세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몸집도 비교적 큰 등 이구아노돈 등의 진화한 조각류와 유사하여 이구아노돈과로 분류되기도 했다. 그러나 발가락의 수가 다르고, 가슴뼈의 구조가 더 원시적인 종과 같으며, 부리의 구조 등도 이구아노돈 등보다 원시적이기 때문에, 현재는 초기형 소형 조각류에서 이구아노돈이나 하드로사우루스과 등에 이르는 과도기적인 상태의 종으로 여겨진다.
영국의 칼로보사우루스(Callovosaurus), 포르투갈의 드라코닉스(Draconyx)와 함께 캄프토사우루스과(Camptosauridae)로 분류된다.
4. 1. 계통 분류
1885년 마시는 캄프토사우루스를 자체 과(科)인 캄프토사우루스과(Camptosauridae)에 할당했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이구아노돈과(Iguanodontidae)의 초기 구성원으로 여기기도 했다.[21]
현대 계통발생학에 따르면 캄프토사우루스는 정의상 분기도 안킬로폴렉시아(Ankylopollexia)에 속하며, 이 그룹의 기저 구성원이다. 이는 이 속이 후기 이구아노돈(iguanodontid) 및 하드로사우루스(hadrosaurid) 공룡의 조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동기형질에서 ''드라이오사우루스''(Dryosaurus), ''드링커''(Drinker), ''오스니엘로사우루스''(Othnielosaurus)와 같은 동시대 공룡보다 더 진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21]
2010년과 2011년 맥도날드와 그의 동료들의 분지학적 분석에서 캄프토사우루스는 다음과 같이 배치되었다:[12][23]왼쪽 맨 끝에 있는 ''캄프토사우루스''를 포함한 6마리의 조반류 공룡 복원도
{| class="wikitable"
|-
! 안킬로폴렉시아
|-
|
{| class="wikitable"
|-
| '''''캄프토사우루스'''''
|-
! 스티라코스테르나
|-
|
{| class="wikitable"
|-
| ''유테오돈''
|-
|
{| class="wikitable"
|-
|히포드라코 테이오피탈리아
|-
|
{| class="wikitable"
|-
| ''이구아나콜로서스''
|-
|
{| class="wikitable"
|-
| ''란저우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쿠쿠펠디아''
|-
|바릴리움 하드로사우루스류
|}
|}
|}
|}
|}
|}
|}
힙실로포돈 등에 비해 크게 발달한 부리와 두 개의 치아가 하나의 치조에 세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몸집도 비교적 큰 등 이구아노돈 등의 진화한 조각류와 유사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구아노돈과에 분류되기도 했다. 그러나 발가락의 수가 다르고, 가슴뼈의 구조가 더 원시적인 종과 같으며, 부리의 구조 등도 이구아노돈 등보다 원시적이기 때문에, 현재는 초기형 소형 조각류에서 이구아노돈이나 하드로사우루스과 등에 이르는 과도기적인 상태의 종으로 여겨진다.
영국의 칼로보사우루스(Callovosaurus), 포르투갈의 드라코닉스(Draconyx)와 함께 캄프토사우루스과(Camptosauridae)에 분류된다.
5. 캄프토사우루스에 속했던 종
1879년 오스니엘 찰스 마시는 윌리엄 할로우 리드가 와이오밍주 앨버니 군에서 발견한 화석을 바탕으로 캄프토노투스를 명명했지만, 이 이름이 이미 귀뚜라미에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1885년에 캄프토사우루스로 변경했다.[2][3] 마시는 모리슨 층에서 발견된 화석들을 바탕으로 ''C. 디스파르''(C. dispar), ''C. 앰플루스''(C. amplus), ''C. 메디우스''(C. medius), ''C. 나누스''(C. nanus) 등 여러 종을 명명했다.[4][5][6] 1909년 찰스 W. 길모어는 ''C. 브라우니''(C. browni)와 ''C. 데프레서스''(C. depressus)를 추가했다.[7]
1980년 피터 갤턴과 H.P. 파웰은 ''C. 나누스'', ''C. 메디우스'', ''C. 브라우니''를 ''C. 디스파르''의 성장 단계 또는 성별로 간주하여 ''C. 디스파르''만을 유효한 종으로 보았다.[4] 또한 마시가 ''C. 앰플루스''로 분류했던 두개골 YPM 1887도 ''C. 디스파르''에 속한다고 생각했으나, 이후 이 두개골은 테이오피탈리아 케리로 재분류되었다.[9]
''C. 데프레서스''는 사우스다코타주 라코타 층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길모어가 명명했으나,[7] 이후 플라니콕사를 거쳐[10] 오스마카사우루스로 재분류되었다.[11][12] 2008년 카펜터와 윌슨은 다이노소어 국립 기념지의 표본을 기반으로 ''C. 아파노이세테스''(C. aphanoecetes)를 명명했으나,[10] 이 역시 유테오돈으로 재분류되었다.[11][12]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유럽에서도 많은 종들이 캄프토사우루스 속으로 분류되었는데, ''C. 인케예이'', ''C. 호기이'', ''C. 리드지'', ''C. 프레스위치이'', ''C. 발덴시스''가 그 예이다. 그러나 ''C. 인케예이''는 불확실한 이름으로 간주되고,[13] ''C. 발덴시스''는 이구아노돈류로,[14] ''C. 리드지''는 칼로보사우루스로,[15] ''C. 호기이''는 오웨노돈으로 재분류되었다.[16][17] ''C. 프레스위치이''는 커넘니아로 분류되었다가[18] 다시 ''캄프토사우루스''로 흡수되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커넘니아로 재분류되었다.[11][12]
2022년에는 스페인 비야르 델 아르조비스포 층에서 aff. ''캄프토사우루스'' .sp에 속하는 화석이 발견되어 유럽에서도 캄프토사우루스가 존재했음을 확인했다.[1] 이 표본은 포르투갈의 드라코닉스보다 ''캄프토사우루스''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19]
참조
[1] 논문 Tracing Late Jurassic ornithopod diversity in the eastern Iberian Peninsula: Camptosaurus-like postcranial remains from Alpuente (Valencia, Spain) https://link.springe[...] 2022-01-08
[2] 논문 Notice of new Jurassic reptiles https://zenodo.org/r[...]
[3] 논문 Names of extinct reptiles
[4] 논문 The ornithischian dinosaur Camptosaurus prestwichii from the Upper Jurassic of England
[5] 서적 Lower and Middle Cretaceous Terrestrial Ecosystems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6] 논문 The typical Ornithopoda of the American Jurassic https://zenodo.org/r[...]
[7] 논문 Osteology of the Jurassic reptile ''Camptosaurus'', with a revision of the species of the genus, and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https://www.biodiver[...]
[8] 간행물 Jurassic West: The Dinosaurs of the Morrison Formation and Their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2007
[9] 서적 Horns and Beaks: Ceratopsian and Ornithopo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10] 논문 A new species of ''Camptosaurus'' (Ornithopoda: Dinosauria) from the Morrison Formation (Upper Jurassic) of Dinosaur National Monument, Utah, and a biomechanical analysis of its forelimb
[11] 논문 New Basal Iguanodonts from the Cedar Mountain Formation of Utah and the Evolution of Thumb-Spiked Dinosaurs
[12] 논문 The taxonomy of species assigned to ''Camptosaurus'' (Dinosauria: Ornithopoda) http://www.mapress.c[...]
[13] 논문 Juvenile ornithopod (Dinosauria: Rhabdodontidae) remains from the Upper Cretaceous (Lower Campanian, Gosau Group) of Muthmannsdorf (Lower Austria)
[14]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is on early ornithischian evolution https://www.research[...] 2024-12-31
[15] 서적 Horns and Beaks: Ceratopsian and Ornithopod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16] 문서 Ornithischian dinosaurs from the Lower Cretaceous (Berriasian) of England 2002
[17] 논문 Notes on Neocomian (Late Cretaceous) ornithopod dinosaurs from England - ''Hypsilophodon'', ''Valdosaurus'', "Camptosaurus", "Iguanodon" – and referred specimens from Romania and elsewhere
[18] 서적 Fossil Reptiles of Great Britain Chapman & Hall
[19] 논문 Draconyx loureiroi, a new camptosauridae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Late Jurassic of Lourinhã, Portugal https://linkinghub.e[...] 2001-01
[20] 논문 The largest ornithopod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Upper Jurassic of Europe sheds light on the evolutionary history of basal ankylopollexians https://academic.oup[...] 2023
[21] 간행물 Jurassic West: The Dinosaurs of the Morrison Formation and Their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2007
[22]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3] 논문 New Basal Iguanodonts from the Cedar Mountain Formation of Utah and the Evolution of Thumb-Spiked Dinosaurs
[24] 웹사이트 Amazon.co.jp: プラネット・ダイナソー (吹替版)を観る {{!}} Prime Video https://www.amazon.c[...] 2023-11-20
[25] 웹사이트 ステゴサウルスとカンプトサウルス◇恐竜名鑑⑥ http://nendosour.liv[...] 2021-04-30
[26] 웹사이트 地球ドラマチック「プラネットダイナソー(2)最強のハンターを探せ!」 http://tvmatome.papa[...] 2023-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