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럴 (음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럴은 원래 고대 프랑스어 "carole"에서 유래된 춤곡으로, 1150년대부터 1350년대까지 인기를 얻었다. 이후 축제 행렬 노래, 종교극 반주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종교 개혁 이후에는 라틴어 대신 모국어로 번역된 가사와 함께 대중에게 널리 불리게 되었다. 현대에는 크리스마스 캐럴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딩 동 메릴리 온 하이, 캐럴 의식, 크리스마스 캐럴 주제에 의한 환상곡 등이 대표적이다. 대중음악에서도 캐럴이라는 제목의 곡들이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무 - 강강술래
강강술래는 한국의 전통 춤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추석에 여성들이 보름달 아래에서 원을 그리며 춤과 노래를 함께하는 놀이이며, 고대 시대 달 숭배에서 기원하여 임진왜란 때는 군사 전략으로도 활용되었고, 다양한 놀이와 악기 반주에 맞춰 템포가 변화하며, 오늘날에는 학교 교육과 K팝 공연 등을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지고 있다. - 원무 - 나니사나흐
나니사나흐는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의례적, 사교적 목적으로 추는 원형 공동체 춤이며, 특히 19세기 후반 고스트 댄스 의식으로 확산되었으나 탄압 후 일부 부족에서 비밀리에, 라코타족을 중심으로 개인적인 의식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기독교 음악 장르 - 현대 기독교 음악
현대 기독교 음악(CCM)은 팝, 록 등 대중음악 장르와 기독교 음악 산업을 포괄하는 용어로, 1970년대 한국 개신교에서 시작되어 현재 교회 예배에서 사용되며, 예수 운동 부흥과 함께 발전하여 거대 산업으로 성장했다. - 기독교 음악 장르 - 복음성가
복음성가는 1873년 미국 부흥 운동에서 시작되어 인간 감성을 자극하는 대중적인 기독교 음악 형태로 발전했으며 흑인 영가와 재즈 리듬을 도입하여 대중성을 확보, 현대에는 CCM과 함께 널리 불리고 20세기 라디오 방송과 출판사들의 활동으로 인기를 얻어 가스펠 음악으로 발전했다.
캐럴 (음악) | |
---|---|
음악 장르 | |
장르 | 축제 음악, 종교 음악 |
파생 장르 | 크리스마스 캐럴 |
기원 | |
기원 시기 | 13세기 |
기원 장소 | 유럽 |
특징 | |
일반적인 주제 | 종교적인 축제, 계절적인 축제 |
일반적인 형태 | 절과 코러스, 반복 |
일반적인 악기 | 아카펠라 합창, 다양한 악기 반주 |
역사 | |
어원 | "carol"은 프랑스어 "carole"에서 유래했으며, 춤을 동반한 원형의 고리춤을 의미한다. 또한 라틴어 "choraula" (피리 연주자)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
초기 캐럴 | 원래 이교도적인 축제 노래였으며, 계절에 따라 불려졌다. |
중세 시대 | 13세기 경, 종교적인 주제가 더해지면서 크리스마스와 관련된 노래로 발전했다. |
인기 | 15세기에는 널리 인기를 얻었고, 다양한 형태의 캐럴이 등장했다. |
쇠퇴 | 청교도 혁명 시기에는 캐럴이 억압받기도 했다. |
부활 | 19세기 들어 캐럴이 다시 인기를 얻기 시작했으며, 새로운 캐럴이 많이 작곡되었다. |
추가 정보 | |
같이 보기 | 크리스마스 음악 찬송가 캐럴 (음반) |
2. 역사
캐럴은 본래 중세 시대에 춤곡으로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축제 행진곡과 종교극 반주 음악으로 사용되었다.[2]
"캐럴"이라는 단어는 가수들이 반주하는 원형 댄스인 고대 프랑스어 'carole'에서 파생되었다(이는 다시 라틴어 'choraula'에서 파생됨). 캐럴은 1150년대부터 1350년대까지 춤곡으로 매우 인기있었으며, 이후 축제 기간 동안 부르는 행렬 노래나, 1534년 이전에 작곡된 "코벤트리 캐럴"과 같은 종교적 신비극의 반주 음악으로 사용되었다.[2]
종교 개혁 이후 개혁가들은 음악을 "사람들에게 다시"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일반 사람들이 교회 음악을 부를 수 있도록 라틴어 음악 가사를 사람들이 사용하는 모국어로 번역하려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다. 루터교의 아버지인 마르틴 루터는 미사 중에 회중 찬송을 장려했을 뿐만 아니라 전례 밖에서도 캐럴을 부르는 관습을 전파했다.[3]
윌리엄 버드와 같은 작곡가들은 크리스마스를 맞아 캐럴이라고 부르는 모테트 같은 작품을 작곡했다. 그리고 시골 지역에서는 포크 캐럴이 계속해서 불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몇몇 유명한 캐럴이 작곡되었고, 19세기부터 더욱 강력하게 부활하여 저명한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되고 각색되기 시작했다.[4]
2. 1. 중세 시대의 캐럴
"캐럴"이라는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 단어 "carol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가수가 함께하는 원무를 의미한다(이는 다시 라틴어 "choraula"에서 유래되었다). 캐럴은 1150년대부터 1350년대까지 춤 노래로 매우 인기가 있었으며, 이후 축제 기간 동안 부르는 행진곡으로 사용이 확대되었고, 다른 캐럴은 종교적인 미스터리극을 위해 쓰여졌다(예: 1534년 이전에 쓰여진 "코벤트리 캐럴").[2]2. 2. 종교개혁과 캐럴
성가곡은 전통적으로 가톨릭 교회의 성직자나 지정된 성가대에 의해 라틴어로 불렸다. 종교 개혁 이후 개혁가들은 음악을 일반 대중에게 돌려주고자 했다. 일반 사람들이 교회 음악을 부를 수 있도록 라틴어의 음악 가사를 사람들이 사용하는 모국어로 번역하려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다. 루터교의 아버지인 마르틴 루터는 미사 중에 회중 찬송을 장려했으며, 전례 외에 캐럴을 부르는 관행을 전파했다.[3]2. 3. 근대 이후의 캐럴
윌리엄 버드와 같은 작곡가들은 크리스마스를 맞아 캐럴이라고 부르는 모테트 같은 작품을 작곡했다. 시골 지역에서는 포크 캐럴이 계속해서 불려졌다. 이 시기에 몇몇 유명한 캐럴이 작곡되었고, 19세기부터 다시 부활하여 저명한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되고 각색되기 시작했다.[4] 17세기 후반에는 비종교적인 캐럴에 새로운 기독교적인 가사가 부여되기도 했다.3. 현대의 캐럴
현대에는 크리스마스 노래처럼 한때 캐럴로 여겨졌던 노래들이 더 이상 캐럴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3. 1. 현대 캐럴의 특징
현대에는 한때 캐럴로 여겨졌던 노래들이 더 이상 캐럴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특히 크리스마스 노래). 캐럴의 전통적인 속성, 즉 계절의 주제를 기념하고, 절과 후렴을 반복하며, 춤을 출 수 있는 음악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조지 래트클리프 우드워드는 딩 동 메릴리 온 하이(Ding Dong Merrily on High)를 썼고, 윌리엄 모리스는 마스터스 인 디스 홀(Masters in This Hall)을 쓰는 등 일부 캐럴 작가들은 준 중세 스타일로 회귀했다. 이것은 20세기 초 크리스마스 캐럴 부흥의 특징이 되었다.
일부 작곡가들은 캐럴을 기반으로 확장된 작품을 썼다. 예로는 벤자민 브리튼의 캐럴 의식(A Ceremony of Carols), 랄프 본 윌리엄스의 크리스마스 캐럴 주제에 의한 환상곡(Fantasia on Christmas Carols), 빅터 헬리-허친슨의 캐럴 심포니(Carol Symphony) 등이 있다.
3. 2. 대표적인 현대 캐럴 작가
조지 래트클리프 우드워드와 윌리엄 모리스는 준 중세 스타일로 회귀했는데, 이는 20세기 초 크리스마스 캐럴 부흥의 특징이 되었다. 조지 래트클리프 우드워드는 딩 동 메릴리 온 하이(Ding Dong Merrily on High)를 썼고, 윌리엄 모리스는 마스터스 인 디스 홀(Masters in This Hall)을 썼다.3. 3. 캐럴 기반 확장 작품
일부 작곡가들은 캐럴을 기반으로 확장된 작품을 썼다. 예로는 벤자민 브리튼의 ''캐럴 의식'', 랄프 본 윌리엄스의 ''크리스마스 캐럴 주제에 의한 환상곡'', 빅터 헬리-허친슨의 ''캐럴 심포니'' 등이 있다.[1][2][3]4. 크리스마스 캐럴
기독교 문화권에서 크리스마스 이브 밤에 부르는 ''''캐럴'''''(노래)은 '크리스마스 성가'라는 의미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하며, 탄생과 관련된 다양한 장면과 일화를 가사로 담은 노래를 말한다.
4. 1. 대표적인 크리스마스 캐럴
기독교 문화권에서 크리스마스 이브 밤에 사람들이 부르는 '''캐럴'''(노래)은 '크리스마스 성가'라는 의미이다. 기독교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하며, 탄생과 관련된 다양한 장면과 일화를 가사로 담은 노래를 말한다.대표적인 곡으로는 '고요한 밤 거룩한 밤(Stille Nacht, heilige Nacht)', '천사들의 노래가(Les anges dans nos campagnes)', '기쁘다 구주 오셨네(Joy to the World)' 등이 있다. 서양에서는 크리스마스 이브 밤에 교회에 모인 아이들이 마을 집들을 방문하여 크리스마스 캐럴을 부르는 "캐롤링"(Caroling)이라는 관습이 있다.
그 외에도 유아 학살의 일화를 노래한 '코벤트리 캐럴(Coventry Carol)', 보헤미아 공작이었던 바츨라프 1세(Wenceslaus I)를 모델로 한 '좋은 왕 웬체슬라스(Good King Wenceslas)', 찰스 디킨스의 작품 『크리스마스 캐럴』에 나오는 '세상 사람들 기뻐하라(God Rest Ye Merry, Gentlemen)' 등이 있다.
4. 2. 크리스마스 캐럴링
기독교 문화권에서 크리스마스 이브 밤에 사람들이 부르는 '''''캐럴'''''(노래)은 '크리스마스 성가'라는 의미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하며, 탄생과 관련된 다양한 장면과 일화를 가사로 담은 노래를 말한다.대표적인 곡으로는 '고요한 밤 거룩한 밤(Stille Nacht, heilige Nacht)', '천사들의 노래가(Les anges dans nos campagnes)', '기쁘다 구주 오셨네(Joy to the World)' 등이 있다. 서양에서는 크리스마스 이브 밤, 교회에 모인 아이들이 마을 집들을 방문하여 크리스마스 캐럴을 부르는 "캐럴링"(Caroling)이라는 관습이 있다.
4. 3. 기타 크리스마스 캐럴
유아 학살의 일화를 노래한 코벤트리 캐럴, 보헤미아 공작이었던 바츨라프 1세를 모델로 한 좋은 왕 웬체슬라스, 찰스 디킨스의 작품 『크리스마스 캐럴』에 나오는 세상 사람들 기뻐하라 등이 있다.5. 대중음악에서의 캐럴
대중음악에서 '캐럴'은 노래 제목으로 자주 사용된다. 몇몇 예시는 다음과 같다.[1]
5. 1. 대중음악 캐럴 예시
6. 참고 문헌
다음은 캐럴의 중요한 선집(選集)들이다.
제목 | 편집자 | 출판년도 | 비고 |
---|---|---|---|
캐럴 북(The Carol Book) | 데이비드 일리프, 존 바나드 | 2005 | RSCM 출판 |
합창단을 위한 캐럴 (Carols for Choirs) | 데이비드 윌콕스, 레지날드 자크, 존 러터 | 1961–1988 | |
새롭고 오래된 크리스마스 캐럴(Christmas Carols New and Old) | H. R. 브램리, 존 스타이너 | 1871 | |
카울리 캐럴 북 (The Cowley Carol Book) | 조지 래트클리프 우드워드 | 1901–1919 | |
새로운 옥스퍼드 캐럴 북 (The New Oxford Book of Carols) | 휴 키이트, 앤드루 패럿 | 1992 | |
옥스퍼드 캐럴 북 (The Oxford Book of Carols) | 퍼시 디어머, 마틴 쇼, 랄프 본 윌리엄스 | 1928 | |
펭귄 캐럴 북(The Penguin Book of Carols) | 이안 브래들리 | 1999 | |
대학교 캐럴 북 (The University Carol Book) | 에릭 루틀리 | 1961 |
6. 1. 캐럴 관련 주요 서적
- ''캐럴 북(The Carol Book)'', 데이비드 일리프(David Iliff)와 존 바나드 편집, RSCM 출판 (2005)
- ''합창단을 위한 캐럴 (Carols for Choirs)'', 데이비드 윌콕스(David Willcocks), 레지날드 자크 및 존 러터 편집 (1961–1988)
- ''새롭고 오래된 크리스마스 캐럴(Christmas Carols New and Old)'', H. R. 브램리(H. R. Bramley)와 존 스타이너 편집 (1871)
- ''카울리 캐럴 북 (The Cowley Carol Book)'', 조지 래트클리프 우드워드 편집 (1901–19)
- ''새로운 옥스퍼드 캐럴 북 (The New Oxford Book of Carols)'', 휴 키이트(Hugh Keyte)와 앤드루 패럿 편집 (1992)
- ''옥스퍼드 캐럴 북 (The Oxford Book of Carols)'', 퍼시 디어머, 마틴 쇼 및 랄프 본 윌리엄스 편집 (1928)
- ''펭귄 캐럴 북(The Penguin Book of Carols)'', 이안 브래들리 편집 (1999)
- ''대학교 캐럴 북 (The University Carol Book)'', 에릭 루틀리 편집 (1961)
참조
[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inging Christmas carols
https://www.plymouth[...]
2024-05-22
[2]
서적
Carols; Their Origin, Music, and Connection with Mystery-Plays
Routledge, Read Books
1921
[3]
서적
Sacred Christmas Music: The Stories Behind the Most Beloved Songs of Devotion
Sterling Publishing Company
2008
[4]
서적
The Christmas Carol Reader
Routledge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