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캘리포니아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캘리포니아걸은 북미 서부 내륙의 호수와 늪지대에서 번식하는 갈매기의 일종이다. 성체는 재갈매기와 유사하지만, 갈색 눈, 노란색 또는 연두색 다리, 둥근 머리를 가지며, 곤충, 물고기, 다른 새의 알과 어린 새끼 등을 먹는다. 겨울에는 태평양 해안으로 이동하며, 캘리포니아에서 자주 발견된다. 캘리포니아걸은 유타 주의 주 조류이며, 몰몬교 신자들이 몰몬 크리켓의 해충 피해를 극복하는 것을 도운 사건을 기념하는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4년 기재된 새 - 긴꼬리딱새과
    긴꼬리딱새과는 참새목에 속하며 곤충을 먹는 새의 과로, DNA 연구를 통해 공통 조상에서 유래되었음이 밝혀졌으며, 아프리카, 아시아 등 구세계에 주로 분포하고 15개 이상의 속과 100종 이상을 포함한다.
  • 1854년 기재된 새 - 아프리카뜸부기
    아프리카뜸부기는 뜸부기과에 속하는 작은 조류로, 아프리카 전역의 다양한 서식지에서 곤충, 씨앗 등을 먹고 살며, 수컷은 독특한 소리로 영역 표시를 하고, 우기에 번식하며, 개체수는 안정적인 관심 대상종이다.
  • 유타주의 상징 - 알로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대형 수각류 공룡으로, 짧은 앞다리, 머리의 뿔, 갈고리 발톱을 특징으로 하며, 모리슨층에서 발견되었고, 다른 육식 공룡과 함께 먹이 사슬의 정점에 있었다.
  • 유타주의 상징 - 벌집
    벌집은 벌이 유충을 기르기 위해 짓는 정교하고 복잡한 구조물로, 육각형 구조를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왁스 온도 조절로 안정성을 확보한다.
  • 도시동물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 도시동물 - 고양이
    고양이는 고양잇과 포유류로, 일반적으로 집고양이를 지칭하며, 리비아산 고양이의 가축화를 통해 기원, 다양한 털 색과 무늬, 뛰어난 사냥 능력, 유연한 신체, 독특한 미각, 특정 영양소 섭취 필요, 복잡한 사회성, 그리고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동물이다.
캘리포니아걸
지도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류강
도요목
갈매기과
갈매기속(Larus)
캘리포니아카모메(L. californicus)
일반 정보
팔로알토 오리 연못에서의 캘리포니아갈매기
팔로알토 오리 연못, 베이랜즈 자연 보호 구역, 팔로알토, 캘리포니아에서의 캘리포니아갈매기
학명Larus californicus
명명자Lawrence, 1854
보존 상태최소관심종(LC)
아종
아종 목록L. c. californicus Lawrence, 1854 (그레이트 베이슨 캘리포니아갈매기)
L. c. albertaensis Jehl, 1987 (그레이트 플레인스 캘리포니아갈매기)
분포
캘리포니아갈매기의 분포도
캘리포니아갈매기의 분포 번식,이동, 연중 서식, 비번식

2. 분포

캘리포니아걸은 주로 북아메리카 서부 내륙의 호수지대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태평양 연안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는 철새이다. 상세한 서식 환경과 이동 경로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2. 1. 서식지

겨울 깃털을 가진 캘리포니아걸, 캘리포니아


캘리포니아걸은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미국 동부 캘리포니아와 콜로라도에 이르는 북미 서부 내륙의 호수지대에서 번식한다. 다른 새들과 함께 무리를 이루어 번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둥지는 땅 위에 얕게 파인 구덩이에 초목과 깃털을 깔아 만든다. 암컷은 보통 2~3개의 알을 낳고, 암수 모두 번갈아 가며 새끼에게 먹이를 준다.

캘리포니아걸은 철새이며, 겨울에는 대부분 태평양 연안으로 이동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에서 자주 관찰된다.

일본에서는 미조(迷鳥, 길잃은새)로서 1988년 가나가와현에서 관찰된 기록이 있다.

3. 형태

성체는 재갈매기와 외형이 비슷하지만, 눈이 갈색이고 다리는 노란색 또는 연두색이며 머리가 더 작고 둥글고 몸통이 길다는 점에서 구분된다.[4] 몸은 주로 흰색이며, 등과 날개 윗부분은 회색이다. 부리는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고리가 있으며, 끝 부분 가까이에 붉은 반점이 있다. 검은색 날개깃 끝은 흰색이다. 몸길이는 46cm에서 55cm 사이(평균 약 53cm)이고, 날개 길이는 122cm에서 137cm 사이이며, 몸무게는 430g에서 1045g 사이이다.[4]

어린 새끼는 어린 재갈매기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어린 검은머리갈매기보다는 털 색깔이 더 갈색을 띤다.[4]

4. 생태

(내용 없음)

4. 1. 먹이

캘리포니아걸은 비행 중이나 수영, 걷기 또는 물속을 걸어 다니면서 물건을 줍는 방식으로 먹이를 찾는다. 주로 곤충, 물고기, 다른 새의 알과 어린 새끼, 특히 오리 새끼를 먹는다.[5] 기회주의적인 먹이 섭취를 하며, 쓰레기 처리장, 마리나 및 부두에서도 먹이를 찾아 먹는다. 공공 해변, 공원 및 사람들이 먹이를 주는 다른 장소에서 자주 먹이를 구걸한다. 소풍이나 야외 식당에서 사람들에게 직접 음식을 훔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선이나 밭의 경운기를 따라다니기도 하는데, 이는 해당 활동으로 인해 흩어진 곤충을 잡아먹기 위함이다.

캘리포니아 갈매기는 특히 체리를 포함한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먹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5] 결과적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작물 해충으로 간주될 수 있다.[6]

4. 2. 번식



번식 서식지는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동부 캘리포니아, 콜로라도에 이르는 북미 서부 내륙의 호수와 지대이다. 다른 새들과 함께 집단을 이루어 둥지를 트는 경우가 많다. 둥지는 땅 위에 얕게 파인 구덩이 형태로, 초목과 깃털로 덮여 있다. 암컷은 보통 2~3개의 알을 낳으며, 부모 모두 번갈아 가며 새끼에게 먹이를 준다.

캘리포니아걸은 철새이며, 대부분 겨울에는 태평양 해안으로 이동한다. 이 시기에는 특히 서부 캘리포니아에서 자주 관찰될 수 있다.

5. 아종


  • L. c. californicusla Lawrence
  • L. c. albertaensisla Jehl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 기준 아종인 L. c. californicusla는 그레이트 베이슨에서 몬태나 중부와 와이오밍까지 분포한다. 다른 아종인 L. c. albertaensisla는 더 북쪽에 분포하며, 그레이트 슬레이브 호에서 매니토바 서부와 사우스다코타의 대평원까지 서식한다. 이 아종은 기준 아종보다 약간 더 크고 옅은 색을 띤다. 두 아종은 mtDNA 동위 효소 변이로는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이처럼 유전적 분화가 낮은 것은 플라이스토세 동안 지리적으로 분리되었다가 최근 몬태나 지역에서 다시 만나게 되었기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

6. 보전 상태

캘리포니아에서는 한때 모노 호수의 역사적인 번식지에서 개체 수가 줄어들어 캘리포니아 특별 보호 종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이 종은 역사적으로 번식하지 않았던 샌프란시스코 만 남부 지역에서 번식을 시작했으며, 개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현재 이 캘리포니아 갈매기들은 샌프란시스코, 샌호세, 새크라멘토 등 인근 도시 지역의 매립지에서 제공되는 풍부한 먹이를 바탕으로, 크고 외딴 염전 연못과 제방에 서식하고 있다. 사우스 베이의 캘리포니아 갈매기 개체수는 1982년 번식 개체 1,000마리 미만에서 2006년 33,000마리 이상으로 급증했다. 이러한 개체 수 급증은 다른 종, 특히 다른 새의 알과 새끼를 기회적으로 잡아먹는 대규모 갈매기 무리를 형성하는 문제를 낳았다. 사우스 베이 서식지를 공유하는 심각한 위협을 받는 조류로는 눈깔매기와 캘리포니아 제비갈매기가 있으며, 검은목두루미, 미국 깝치, 포스터 제비갈매기, 카스피해 제비갈매기 등 덜 위협적인 조류 또한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캘리포니아 갈매기 무리의 먹이가 되고 있다. 이 종의 서식지를 줄이고 많은 수의 갈매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7. 문화적 상징성

캘리포니아갈매기는 유타주의 주 조류이다.[1] 이는 과거 몰몬교 신자들이 몰몬 크리켓이라는 해충으로 큰 농작물 피해를 입었을 때, 캘리포니아갈매기 떼가 나타나 이 해충들을 먹어치워 위기를 극복하도록 도왔다는 일화 때문이다.[1] 이 사건은 '갈매기의 기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솔트레이크시티에는 갈매기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uck Pond, Palo Alto Yacht Harbor https://pahistory.co[...] 2022-03-10
[2] 간행물 "Larus californicus" 2021-11-14
[3] 웹사이트 Gulls (Laridae) https://theworldbird[...] 2022-03-10
[4]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1992
[5] 논문 Food Habits of the California Gull in Utah https://www.jstor.or[...] 1952
[6] 웹사이트 Larus californicus California gull https://animaldivers[...] 2021-10-13
[7]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1992
[8] 서적 The Sibley Guide to Birds Alfred A. Knopf, New York 2000
[9] 웹인용 Utah State Bird http://pioneer.utah.[...] Utah.gov 2014-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