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캠프 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캠프 롱은 1955년 R-401 비행장 관리 업무 인력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주한 미군 기지였다. 1978년 제19전구지원사령부 예하로 편입되었으며, 2010년 6월 4일 캠프 이글과 함께 폐쇄되어 캠프 험프리스로 통합되었다. 캠프 롱은 군인 및 민간인 군무원에게 의료, 상업, 오락 시설을 제공했으며, 지진 연구가 진행되기도 했다. 2007년에는 PX 관련 스캔들로 논란이 있었다. 2010년 폐쇄 계획이 발표되었고, 부지는 대한민국에 반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시의 역사 - 원주 왕국회관 화재
    1992년 원언식이 아내의 여호와의 증인 집회 참석에 대한 반감으로 원주 왕국회관에 휘발유를 뿌려 15명이 사망하고 25명이 부상당한 화재 사건이 발생했으며, 범인 원언식은 사형 확정 판결 후 최장기 사형수로 복역 중이다.
  • 원주시의 역사 - 제1·2차 원주 전투
    제1·2차 원주 전투는 한국 전쟁 중 북한군이 29번 국도 확보를 위해 전략적 요충지인 원주 일대에서 유엔군과 벌인 격전으로, 유엔군이 대유격전을 통해 북한군을 격퇴하고 전선을 안정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 원주시의 건축물 - 원주시외버스터미널
    원주시외버스터미널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하며, 전국 각지로 운행하는 고속 및 시외버스 노선을 제공하고, 2015년부터 경유 노선 예매가 가능해졌다.
  • 원주시의 건축물 - 원주공항
    원주공항은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에 위치하며, 공군 제8전투비행단과 활주로와 계류장을 함께 사용하는 공항으로, 1997년부터 민간 항공 수용을 시작하여 현재는 진에어가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횡성군에 여객터미널이 위치한 특징이 있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캠프 킴
    캠프 킴은 서울 용산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로, 서울시가 부지 매입 후 행정타운 조성을 계획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주한미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캠프 롱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캠프 롱의 현판
캠프 롱의 현판
명칭캠프 롱
원래 명칭Camp Long
위치강원도 원주시 태장동
종류군사 건축물
규모약 29,000 m2
사용 기간1955년 ~ 2010년 6월 4일
상태일부 공개 (2023년 국립과학관/원주시립미술관 건설 예정)
소유자원주시
공개 여부일부
역사
주둔 및 지휘
기타 정보

2. 역사

캠프 롱은 1955년 R-401 비행장 관리 업무 인력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 제1야전군 파견대 대장의 작전 통제를 받는 제20일반지원단 소속이었다가, 1978년에 캠프 페이지에 위치한 제19전구지원사령부 예하로 변경되었다.

캠프 롱에는 치과 진료소, 약국, 의무실 등의 의료 시설과 볼링 센터, 체육관, 레크리에이션 센터, 테니스 코트, 스쿼시 코트, 피트니스 센터, 소프트볼 구장, 미식축구 구장, 공예점, 장교 클럽, 부사관 클럽, 사병 클럽, 놀이터 등의 오락 시설이 갖춰져 있었다. 또한 은행, 세탁소, 이발소, PX 등 상업 시설도 있었다. 2007년에는 PX를 둘러싼 스캔들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12]

캠프 롱에 주둔했던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전투 지원 조정 팀 #1
B중대, 제168의무대대
제275신호분견대, 제41신호대대, 제1신호여단
제665의무분견대, 제18MEDCOM
치과 진료소
제524군사정보분견대
분견대 452(공군)
제62화학중대
제66AG 우편분견대 일부
제557헌병중대의 순환 헌병 소대



분류:1955년 설립

분류:2010년 폐지

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군사 시설

분류:주한 미군의 시설

2. 1. 설립 배경

1955년 캠프 롱은 R-401 비행장 관리 업무 인력을 지원하기 위해 세워졌다.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의 제1야전군 파견대 대장의 작전 통제를 받는 제20일반지원단 소속이었으나, 1978년 캠프 페이지 소재 제19전구지원사령부 예하로 편입되었다.[12] 1987년 캠프 롱과 캠프 페이지는 제501군단 지원단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1998년에는 기지에 500명의 현역 병력과 약 550명의 민간인이 배속되었다. 모든 인원은 기지 내에서 생활했으며, 대부분 1년 동안 비동반 근무를 했다.

캠프 롱에서는 지진 연구 및 관측이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태평양 인텔리셋 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이 조사되었는데, 그중 하나는 캠프 롱에 비표준 지구국을 설치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정보통신부에서 허가하지 않았다.

2. 2. 주요 연혁


  • 1955년: 캠프 롱이 R-401 비행장 관리 업무 인력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의 제1야전군 파견대 대장의 작전 통제를 받는 제20일반지원단 소속이었다.
  • 1970년: R-401 비행장에 주둔한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 1978년: 캠프 페이지 소재 제19전구지원사령부 예하로 편입되었다.
  • 1987년: 캠프 롱과 캠프 페이지는 제501군단 지원단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 1998년: 약 500명의 현역 군인 및 550여 명의 민간인 군무원이 배속되었다.
  • 2007년: PX를 둘러싼 스캔들로 논란이 되었다.[12]
  • 2010년 6월 4일: 캠프 롱과 캠프 이글이 폐쇄되어, 캠프 험프리스 미 육군 기지의 시설 지원 활동이 통합되었다.[13],[9]
  • 2016년: 미 육군은 한국 내 전 병력을 평택대구 두 곳의 허브 기지로 통합할 계획이었다.[14],[10]

2. 3. 폐쇄 및 부지 반환

2010년 6월 4일, 캠프 롱과 캠프 이글이 폐쇄되었고, 육군 주둔지 지원 업무는 캠프 험프리스로 통합되었다.[13][9]

제8군은 2010년 10월 5일, 미군 기지 재배치 및 대한민국에 부지 반환 조치의 일환으로 원주 지역 캠프 롱과 캠프 이글을 폐쇄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캠프 험프리스 및 제3구역사령관 조셉 P. 무어 대령은 양 캠프 군무원들에게 기지 폐쇄 관련 브리핑을 하며,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거나 새 기술을 습득하면 일자리를 잃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14][10]

당초 폐쇄 계획은 2008년이었으나 2010년에 실시될 예정이며, 부지는 대한민국에 반환된다. 폐쇄 및 반환 관련 상세 일정은 조율 중이다. 양 캠프의 모든 업무는 캠프 험프리스로 이관된다.[14]

미국 육군은 2016년까지 한국 내 전 병력을 평택대구 두 곳의 허브 기지로 통합할 계획이다. 이 조치로 인구 밀집 도심 지역에서 미군의 위협적인 인상을 줄이고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며, 낙후된 소규모 주둔지보다 향상된 삶의 질을 누리는 통합 기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14][10]

3. 주둔 부대

United States Army|미국 육군영어 소속 부대:


  • 제168의무대대 B중대
  • 제62화학중대
  • 제557헌병중대 순환소대
  • 제66우정분견대
  • 제1통신여단 제41통신대대 제275분견대
  • 제18의무사령부 제665의무분견대
  • 제524정보분견대
  • 제1전투지원협조단


United States Air Force|미국 공군영어 소속 부대:

  • 제425분견대


기타:

  • 치과


1998년, 캠프 롱에는 위 부대들 외에도 전투 지원 조정 팀 #1, 제524군사정보분견대, 제452분견대(공군) 등이 주둔했다.[4]

4. 시설

캠프 롱에는 의료, 상업, 오락 시설 등이 갖춰져 있었다.

종류시설
의료 시설치과 진료소, 약국, 의무실[1]
상업 시설은행, 드라이클리너, 이발소, 쇼핑몰 (AAFES Post Exchange; PX)[12]
오락 시설볼링장, 체육관, 레크리에이션 센터, 테니스 코트, 스쿼시 코트, 피트니스 센터, 웨이트룸, 소프트볼 구장, 미식축구 구장, 공예점, 장교 클럽, 부사관 클럽, 사병 클럽, 놀이터[12]



2007년에는 PX를 둘러싼 금융 스캔들이 발생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12]

기지 내 학교나 대학 프로그램은 없었지만, 캠프 요원들은 지역 교육 문제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예를 들어, 샤논 아이헨서 하사는 캠프 롱에 주둔하는 동안 원주시에 있는 고아원에서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자원봉사를 했다.

4. 1. 의료 시설

캠프 롱에는 치과 진료소, 약국, 의무실이 있었다.[1]

4. 2. 상업 시설

은행, 드라이클리너, 이발소, 쇼핑몰 (AAFES Post Exchange; PX) 등이 있었다. 2007년도에는 PX를 둘러싼 스캔들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12]

4. 3. 오락 시설

볼링장, 체육관, 레크리에이션 센터, 테니스 코트, 스쿼시 코트, 피트니스 센터, 웨이트룸, 소프트볼 구장, 미식축구 구장, 공예점, 장교 클럽, 부사관 클럽, 사병 클럽, 놀이터가 있었다.[12]

5. 지역 사회와의 관계

캠프 롱은 원주 지역 사회와 다양한 관계를 맺었다. 캠프 롱 내에는 은행, 드라이클리너, 이발소, AAFES PX 등 상업 시설이 있었으나, 2007년 PX에서 암시장 조직이 적발되어 폐쇄되기도 했다.[1] 의료 시설로는 치과 진료소, 약국, 의무실이 있었다. 오락 시설로는 볼링 센터, 체육관, 레크리에이션 센터, 테니스 코트, 스쿼시 코트, 피트니스 센터, 웨이트룸, 소프트볼 구장, 미식축구 구장, 공예점, 장교 클럽, 부사관 클럽, 사병 클럽, 놀이터 등이 있었다.

캠프 롱 자체에는 학교나 대학 프로그램이 없었지만, 캠프 요원들은 지역 교육 문제에 도움을 주었다. 일례로 샤논 아이헨서 하사는 원주의 고아원에서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자원봉사를 했다.[2] 사기, 복지 및 레크리에이션 기지 도서관은 비배정 기금 기관 (NAFI)에서 운영했으며, 로버트 리 해든이 관리 사서로 근무했다.[3]

1974년에는 캠프 롱과 용산 사이에 새로운 무선 장비(AN/FRC-109)가 설치될 예정이었으나, 유지 보수 및 서비스 품질은 확인되지 않았다.[4]

6. 논란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의 제1야전군 파견대 대장의 작전 통제를 받는 제20일반지원단 소속이었으나, 1978년 캠프 페이지 소재 제19전구지원사령부 예하로 편입되었다. 1998년에는 약 500명의 현역 군인 및 550여 명의 민간인 군무원이 배속되었다. 2007년도에는 PX를 둘러싼 스캔들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12]

Camp Long영어의 PX처럼 작은 곳에서 2004년도에 2770000USD(약 30억)을 벌었으나, 암시장 연결고리가 적발된 뒤 올해 매출이 180000USD(약 2억)로 떨어졌다. 2600000USD(약 28억) 차이가 난다. 그보다 규모가 더 큰 PX나 군 매점들은 대체 얼마나 많은 돈을 암시장으로 끌어들이고 있는지 가늠하기조차 힘든 액수이다.[12]

참조

[1] 간행물 Department of Defense Base Structure Report (A Summary of DoD's Real Property Inventory) Fiscal Year 2006 Baseline.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INSTALLATIONS AND ENVIRONMENT) WASHINGTON DC 2006
[2] 웹사이트 Camp Long Facility http://www.globalsec[...]
[3] 간행물 Alternate Approaches for Returning Seismic Data from Within the Worldwide Seismological Network To SDAC. https://web.archive.[...] Jorge Fuenzalida 1974
[4] 웹사이트 Black Market Scandal http://rokdrop.com/2[...] 2014-05-04
[5] 서적 Marquis Who's Who n.d.
[6] 뉴스 Converted Infielder Pitches Way to Army Female Athlete of Year Honors. http://www.army.mil/[...] 2007-01-31
[7] 서적 Directory of US Military Bases Worldwide Oryx Press 1998
[8] 서적 Marquis Who's Who n.d.
[9] 웹사이트 History of Camp Humphreys http://humphreys.kor[...] 2013-02-17
[10] 뉴스 Eighth U.S. Army to return Camps Eagle, Long. http://www.army.mil/[...] 2009-10-07
[11] 간행물 Department of Defense Base Structure Report (A Summary of DoD's Real Property Inventory) Fiscal Year 2006 Baseline. http://handle.dtic.m[...] OFFICE OF THE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INSTALLATIONS AND ENVIRONMENT) WASHINGTON DC 2006
[12] 웹인용 Black Market Scandal http://rokdrop.com/2[...] ROK Drop: Korea from North to South 2007-09-26
[13] 웹인용 History of Camp Humphreys https://web.archive.[...] 2015-03-23
[14] 뉴스 Eighth U.S. Army to return Camps Eagle, Long. http://www.army.mil/[...] 8th U.S. Army Public Affairs 2014-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