캬흐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캬흐타는 러시아와 중국의 무역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도시로, 1727년 캬흐타 조약 이후 무역 지점으로 설립되었다. 쾨펜 기후 구분상 습윤 대륙성 기후에 속하며, 러시아와 중국 간의 주요 교역 중심지였다. 1805년 도시 지위를 얻었지만, 1860년 이후 쇠퇴했다. 1915년 캬흐타 협정을 통해 외몽골의 자치를 획득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는 부랴트 공화국 캬흐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캬흐타 - 캬흐타 조약
캬흐타 조약은 1728년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간에 체결되어 양국 국경 확정, 무역 관계 규정, 외교적 교섭 방식 및 분쟁 해결 절차 등을 포함하며, 특히 캬흐타 무역 활성화와 베이징 러시아 종교 기관 설립을 통해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영향을 미쳤다. - 캬흐타 - 캬흐타어
캬흐타어는 러시아와 중국 간 교역에서 발생한 피진으로, 러시아어, 중국어,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러시아어 어휘를 주로 사용하면서도 중국어에서 영감을 받은 합성어를 포함하고, 제한적인 형태 범주와 독특한 음운 및 문법적 특징을 보이는 문화 교류와 경제적 필요를 반영하는 언어이다. - 부랴트 공화국의 도시 - 울란우데
울란우데는 1666년 코사크 부대가 건설한 요새에서 시작되어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 1934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된 러시아 부랴트 공화국의 수도이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몽골 횡단 철도의 분기점이자 헬리콥터 생산 기지가 있는 교통 및 항공 산업의 중심지이고, 부랴트족 문화와 러시아 불교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명소를 자랑한다. - 부랴트 공화국의 도시 - 자카멘스크
자카멘스크는 부랴티야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텅스텐 및 몰리브덴 매장량 개발을 위해 1933년 광산 마을로 시작되어 도시 지위를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금속 광석 채굴 및 처리를 기반으로 경제 활동을 하고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캬흐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좌표 | 50°21′00″N 106°27′00″E |
일반 정보 | |
도시 이름 | 캬흐타 |
러시아어 이름 | Кя́хта |
부랴트어 이름 | Хяагта |
부랴트어 로마자 표기 | Khiaagta |
몽골어 이름 | Хиагт |
몽골어 로마자 표기 | Hiagt |
행정 | |
국가 | 러시아 |
연방 주체 | 부랴트 공화국 |
행정 구역 | 캬흐틴스키 군 |
도시 지위 | 도시 |
군의 중심지 | 캬흐틴스키 군 |
도시 정착지 | 캬흐타 도시 정착지 |
시장 | 발레리 치렘필로프 |
역사 및 설립 | |
설립일 | 1728년 |
도시 지위 획득 | 1805년 |
인구 통계 | |
2010년 인구 조사 | 20,024명 |
2002년 인구 조사 | 18,391명 |
1989년 인구 조사 | 18,307명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671840, 671842, 671843 |
지역 번호 | 30142 |
상징 | |
![]() | |
![]() | |
위치 | |
![]() |
2. 지리
캬흐타가 위치한 지역은 러시아-중국 무역에 유리하다. 시베리아 강 경로는 시베리아의 모피 생산 지역과 바이칼 호를 연결한다. 거기에서 셀렝가 강 계곡은 바이칼 호 남동쪽에 있는 셀렝가 고원을 지나 몽골 평원으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길이다.
캬흐타는 쾨펜 기후 구분상 습윤 대륙성 기후(''Dwb'')에 속한다. 겨울은 건조하고 매우 추우며, 여름은 따뜻하고 습하다.[19][16][17]
3. 기후
3. 1. 상세 기후 정보
캬흐타의 기후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이며, 연중 기온 변화가 크고 강수량은 여름철에 집중된다. 상세 기후 정보는 다음과 같다.[19][16][17]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최고 기온 기록 (°C) | -0.1 | 8.6 | 20.5 | 29.3 | 35.0 | 37.2 | 40.6 | 37.1 | 31.5 | 26.6 | 11.8 | 5.4 |
평균 최고 기온 (°C) | -15.7 | -10.7 | -0.9 | 9.5 | 17.5 | 23.8 | 25.2 | 22.9 | 16.2 | 7.5 | -4.7 | -13.2 |
평균 기온 (°C) | -20.8 | -16.7 | -7.4 | 2.4 | 10.1 | 16.7 | 19.0 | 16.5 | 9.4 | 1.0 | -10.1 | -18.0 |
평균 최저 기온 (°C) | -25.3 | -21.9 | -13.2 | -3.8 | 3.0 | 10.0 | 13.3 | 10.9 | 3.8 | -4.1 | -14.9 | -22.4 |
최저 기온 기록 (°C) | -55.2 | -49.1 | -39.7 | -27.4 | -12.1 | -4.5 | 1.4 | -2.7 | -9.7 | -26.8 | -34.7 | -42.1 |
강수량 (mm) | 4mm | 3.3mm | 4.7mm | 11.9mm | 26.4mm | 58.7mm | 86.2mm | 75.2mm | 38.7mm | 13.2mm | 6.6mm | 4.4mm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0.7 | 6.3 | 7.2 | 7.8 | 10.7 | 10.4 | 11.9 | 12.1 | 9.6 | 8.0 | 8.3 | 9.4 |
평균 상대 습도 (%) | 79.1 | 73.9 | 65.8 | 53.0 | 53.0 | 58.7 | 64.1 | 68.0 | 66.5 | 68.0 | 73.9 | 79.1 |
평균 일조 시간 | 158.1 | 187.6 | 235.6 | 243.0 | 275.9 | 276.0 | 279.0 | 254.2 | 234.0 | 186.0 | 153.0 | 127.1 |
4. 역사
캬흐타는 1727년 셀렌긴스크에서 캬흐타 조약이 체결된 직후 설립되었다. 이곳은 현재 몽골 북쪽 국경을 정의하는 경계 표지들의 출발점이었다. 캬흐타를 설립한 세르비아인 사바 블라디슬라비치는 이곳을 러시아와 청나라 간의 무역 지점으로 만들었다.[5]
19세기 후반, 서구 열강의 압력으로 청나라가 무역 확대를 받아들이면서 러시아와의 무역도 각지에서 이루어져 캬흐타의 지위는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4. 1. 캬흐타 조약과 무역 발전
1727년 캬흐타 조약이 체결된 직후, 캬흐타는 러시아와 청나라 간의 무역 지점으로 설립되었다.[5] 세르비아인 사바 블라디슬라비치가 캬흐타를 건설하면서, 이곳은 현재 몽골 북쪽 국경을 정의하는 경계 표지들의 출발점이 되었다. 초기에는 국영 대상이 베이징까지 이동했으나, 1762년 이후에는 주로 캬흐타와 마이마이청에서 물물 교환 방식으로 무역이 이루어졌고, 상인들은 국경을 넘어 거래했다.[2][7]
1782년, 영국의 모험가이자 엔지니어인 새뮤얼 벤담은 캬흐타와 마이마이청을 방문하여 중국 관리들로부터 환대를 받았다. 당시 러시아는 모피, 직물, 의류, 가죽,[2] 하드웨어, 소를 팔았고, 중국은 비단, 면직물, 차,[2] 과일, 도자기, 쌀, 양초, 대황, 생강, 사향을 팔았다. 특히 차 무역이 활발했는데, 대부분은 오늘날 후베이성 츠비시 근처의 羊楼洞|양러우둥중국어에서 생산된 것이었다.[8]
캬흐타는 19세기에 신고전주의 양식의 차 증권 거래소 (1842)와 정교회 대성당 (1807–1817) 등이 건설되었지만, 전반적으로 붐비고 불결하며 계획성이 부족했다.[9]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 그리고리 포타닌, 표트르 코즐로프, 블라디미르 오브루체프 등 많은 탐험가들이 캬흐타에서 몽골과 신장 내부로 탐험을 떠났다.
1805년, 캬흐타는 도시 지위를 받았다.[11] 그러나 1860년 러시아-중국 국경 전체가 무역에 개방되고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중국 동철도가 건설되면서 캬흐타의 중요성은 쇠퇴했다. 20세기 중반, 몽골 횡단 철도 지선이 건설되었지만, 이 철도는 캬흐타가 아닌 나우시키를 통과했다.[12]
신해혁명 이후 몽골 독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1915년 보그드 칸 정권은 러시아의 중재로 캬흐타 협정을 체결하여 외몽골의 자치를 획득했다.
4. 2. 19세기 이후의 변화
캬흐타는 1727년 캬흐타 조약이 체결된 직후, 세르비아인 사바 블라디슬라비치에 의해 러시아와 청나라 간의 무역 지점으로 설립되었다.[5] 그는 트로이츠코사브스키 요새를 건설하도록 지시했으며, 요새 내부에는 교회가 세워졌다. 이 교회는 트로이츠카야(삼위일체) 요새와 미래의 트로이츠코사브스크 마을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이 마을은 1734년 캬흐타의 무역 정착지와 합병되어 트로이츠코사브스크-캬흐타로 불렸다가 1934년에 캬흐타로 이름이 축소되었다.[6] 다른 자료에서는[2][7] 트로이츠코사브스크를 행정 및 군사 중심지로, 캬흐타를 국경의 무역 거점으로 보기도 한다. 청나라는 국경 바로 남쪽에 마이마이청을 건설했다. 1762년 이전에는 국영 대상이 캬흐타에서 베이징까지 이동했으나, 이후에는 주로 캬흐타-마이마이청에서 물물 교환 방식으로 무역이 이루어졌고 상인들이 국경을 넘어 사업을 했다.1782년, 영국의 모험가이자 엔지니어인 새뮤얼 벤담이 캬흐타와 마이마이청을 방문했다. 그는 중국 도시 지휘관으로부터 "어떤 나라에서든 이방인이 만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정중함"으로 환대받았다고 말했다. 당시 러시아는 모피, 직물, 의류, 가죽,[2] 하드웨어, 소를 팔았고, 중국은 비단, 면직물, 차,[2] 과일, 도자기, 쌀, 양초, 대황, 생강, 사향을 팔았다. 차의 대부분은 오늘날 후베이성 츠비시 근처의 주요 차 생산 및 무역 중심지인 羊楼洞|양러우둥중국어에서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캬흐타는 붐비고 불결했으며 계획성이 부족하여 이곳을 통해 흘러 들어오는 부를 반영하지 못했다.[9] 19세기에는 신고전주의 건물인 차 증권 거래소 (1842)와 정교회 대성당 (1807–1817) 등이 세워졌지만, 1996년에는 보스크레센스카야 교회가 마구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10]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 그리고리 포타닌, 표트르 코즐로프, 블라디미르 오브루체프는 캬흐타에서 몽골과 신장 내부로 탐험을 떠났다.
1805년, 캬흐타는 도시 지위를 받았다.[11]
1860년, 러시아-중국 국경 전체가 무역에 개방되고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중국 동철도가 우회하면서 캬흐타는 쇠퇴했다. 20세기 중반, 몽골 횡단 철도 지선이 울란우데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서 울란바토르를 거쳐 중국까지 건설되었는데, 이는 캬흐타의 옛 무역로와 평행했다. 그러나 이 철도는 캬흐타가 아닌 나우시키에서 러시아-몽골 국경을 통과한다.[12]
1727년 러시아 제국과 청나라는 캬흐타 조약을 체결하여 양국 간의 교역 거점으로 캬흐타를 발전시켰다. 러시아 상품은 이르비트를 집산지로 하여 모직물, 모피, 천 등이 운반되었고, 중국 상품은 차였다. 초기에는 화폐 수출이 금지되어 물물 교환이 이루어졌다. 중국 상인이 러시아 상인 창고에서 상품을 검사하고 가격이 결정되면, 러시아 상인은 대리인에게 상품 운반을 맡겼다. 차 중 약 30%는 고급품이었으며, 해로 운반이 활발해지기 전까지 빈번하게 거래되었다.[18] 19세기 후반, 서구 열강의 압력으로 청나라가 무역 확대를 받아들이면서 러시아와의 무역도 각지에서 이루어져 캬흐타의 지위는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고 몽골에서 독립 운동이 고조되자, 보그드 칸 정권은 1915년 러시아의 중재로 베이징 정부와 캬흐타 협정을 체결하여 외몽골에서 광범위한 자치를 획득했다. 다만, 이때의 영역은 러시아 제국의 몽골인 지역을 포함하지 않아 캬흐타는 해당 정권에 속하지 않았다.
4. 3. 몽골 독립 운동과의 연관성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한 후, 몽골에서 독립 운동이 활발해졌다. 보그드 칸 정권은 1915년 러시아의 중재로 베이징 정부와 캬흐타 협정을 체결하여 외몽골의 광범위한 자치권을 획득했다.[18] 그러나 캬흐타는 당시 러시아 제국 영토였으므로 보그드 칸 정권의 통치하에 있지 않았다.5. 행정 구역 및 경제
행정 구역 틀 내에서 캬흐타는 캬흐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14] 행정 구역으로서 캬흐타는 하나의 농촌 거주지(수자)와 함께 캬흐틴스키 구에 '''구의 시(러시아) 캬흐타'''로 통합되어 있다.[14] 지방 자치체 구역으로서 캬흐타는 캬흐틴스키 지방 자치구 내에 '''캬흐타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어 있다.[15]
캬흐타의 경제는 오늘날 러시아, 중국, 몽골 간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서의 지위에 주로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울란우데 공화국 수도에서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로 이어지는 고속도로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섬유, 목재, 식품 가공 공장도 보유하고 있다.
6. 문화
담딘 수흐바타르 기념 박물관이 있다.
7. 언어
부랴트어에서 유래한 캬흐타의 이름은 "개밀로 덮인 곳"을 의미하며,[3] 몽골어 단어 хиаг|히아그mn에서 왔다.[4] 캬흐타는 러시아 제국과 중국 제국 간의 국경에 위치한 최초의 시장 도시로, 러시아 상인과 중국 상인들이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했던 혼성어인 캬흐타 러시아-중국 피진으로 알려져 있다.[13]
7. 1. 다른 언어 명칭
몽골어로 캬흐타는 이전에는 Ар Хиагт|Ar Khiagtmn, 문자 그대로 "북 캬흐타"로 알려졌으며, 국경 너머의 알탄불라그 (당시 마이마이청)는 Өвөр Хиагт|Övör Khiagtmn, 문자 그대로 "남 캬흐타"였다. 이 도시가 트로이츠코사브스크로 알려졌을 때 몽골어 이름은 Дээд Шивээ|Deed Šhiveemn였다.[3]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2]
서적
Kiakhta
[3]
문서
[4]
논문
Торговля России и Китая через Кяхту и Маймайчен
https://www.academia[...]
SPb.
[5]
서적
Russia and China: their diplomatic relations to 1728, (Volume 61 of Harvard East Asian series, Center for East As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Photo of Bolshaya Street in Troitskosavsk - Nikolay Charushin. Подробное описание экспоната, аудиогид, интересные факты.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Artefact
https://ar.culture.r[...]
2024-03-27
[7]
문서
Muscovite and Mandarin
[8]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Scientific Symposium "Monuments and sites in their setting - conserving cultural heritage in changing townscapes and landscapes"
https://web.archive.[...]
2010-08-29
[9]
서적
The Conquest of a Continent: Siberia and the Russians
Cornell University Press
[10]
문서
The Tea Road
[11]
웹사이트
rbth.com
https://www.rbth.com[...]
[12]
뉴스
Stranded in Siberia: At an obscure border town, our correspondent discovers the biggest obstacle in negotiating the next 4,000 miles: The train has left without him
http://www.salon.com[...]
Salon Magazine
1999-11-10
[13]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Volume 2, Part 1. (Volume 13 of Trends in Linguistics, Documentation Seri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4]
문서
Resolution #43
[15]
문서
Law #985-III
[16]
웹사이트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 Климат КЯХТЫ
http://www.pogodaikl[...]
Pogodaiklimat.ru
2017-02-16
[17]
웹사이트
Kyakhta climate 1895–2012
http://climatebase.r[...]
climatebase.ru
2015-02-17
[18]
서적
市の社会史
[19]
웹인용
Kyakhta, Russia
http://climatebase.r[...]
Climatebase.ru
2013-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