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강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특유의 매운맛과 향을 지닌다. 고대 인도에서 기원한 영어 단어 'ginger'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어 명칭 '생강'은 중국어 '生薑'에서 비롯되었다. 생강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에 의해 재배되기 시작하여 동남아시아, 인도, 중국 등지로 전파되었으며, 향신료 및 약재로 널리 사용되었다. 요리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한국, 일본, 중국, 서양, 인도 등 각 지역의 음식 문화에 깊이 자리 잡고 있다. 생강은 진저롤, 쇼가올 등의 성분으로 인해 항염증, 소화 촉진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감기, 소화 불량 등의 증상 완화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강 - 진저베렌
    진저베렌은 파르네실 피로인산을 시작 물질로 하여 이소프레노이드 경로를 통해 생성되는 세스퀴테르펜 화합물이며, 특정 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복잡한 생합성 과정을 거쳐 최종 구조를 완성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생강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1896년 쾨러의 약용 식물 그림
학명() (1807년)
쇼우가속
쇼우가
이명(1904년)
영어 이름Ginger
일본어 이름쇼우가
분류 체계
식물계 Plantae
피자식물 Angiosperms
외떡잎식물 Monocots
쇼우가목 Zingiberales
쇼우가과 Zingiberaceae
생태
개화인위적으로 조절 가능
기원동남아시아
영양 정보
열량333 kJ
79 g
단백질1.82 g
지방0.75 g
탄수화물17.77 g
섬유질2 g
당류1.7 g
칼슘16 mg
철분0.6 mg
마그네슘43 mg
34 mg
칼륨415 mg
나트륨13 mg
아연0.34 mg
망간0.229 mg
비타민 C5 mg
티아민0.025 mg
리보플라빈0.034 mg
니아신0.75 mg
판토텐산0.203 mg
비타민 B60.16 mg
엽산11 ug
비타민 E0.26 mg
기타 정보
사용향신료, 약용
재배 시작약 5,000년 전

2. 어원

'생강'이라는 단어는 14세기 중세 영어 'gingifer'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중세 라틴어 'gingiber', 그리스어 'ζιγγίβερις (zingiberis)'[5], 프라크리트어(중세 인도 아리아어) 'siṅgabera', 산스크리트어 'śṛṅgavera'로 거슬러 올라간다. 산스크리트어 단어는 '뿔'을 의미하는 'srngam'과 '몸'을 의미하는 'vera'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지만, 민간어원일 가능성도 있다.[7]

한국어 명칭 '생강'은 중국어 '生薑(shēngjiāng)'에서 유래했으며, '미야우가'(茗荷)의 영향을 받아 음운 변화를 겪었다는 설이 있다.[60]

3. 역사

생강 꽃


생강 꽃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이 기원이며, 재배식물로서 야생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9][19] 가장 오래된 재배 증거는 오스트로네시아인들 사이에서 발견되는데, 이들은 고대부터 여러 종의 생강을 재배하고 활용했다.[10][11][12][13][14][15]

생강은 약 5,000년 전 BP부터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 팽창 동안 카누 식물로서 항해에 함께 실려 태평양 섬들에 전파되었다.[16][12] 원형 말레이-폴리네시아어 단어 ''*laqia|라치아mis''의 반사어는 하와이에 이르기까지 오스트로네시아어 전역에서 발견된다. 오스트로네시아 선원들은 약 3,500년 전 BP에 드라비다어를 사용하는 스리랑카남인도 사람들과 초기 접촉을 했을 때, 다른 동남아시아 식량 작물과 오스트로네시아 항해 기술과 함께 인도에도 생강을 전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14][17] 이들은 1세기경 마다가스카르코모로로 생강을 전파하기도 했다.[18]

인도에서 생강은 기원후 1세기경 상인들에 의해 중동지중해 지역으로 전파되었다.[19] 향신료 무역 동안 후추, 정향 등과 함께 주로 남인도와 큰 순다 열도에서 재배되었다.[19][20]

중국에서 생강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전국시대(기원전 475년–221년)에 공자의 제자들이[21] 저술한 논어에 나온다.[22] 공자는 매 끼니마다 생강을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2] 406년, 승려 법현은 생강이 화분에서 재배되어 괴혈병을 예방하기 위해 중국 배에 실려 다녔다고 기록했다.[22] 송나라(960년–1279년) 시대에는 남쪽 나라에서 중국으로 생강이 수입되고 있었다.[22]

생강 향신료는 아랍인들에 의해 지중해로 전파되었고, 디오스코리데스(40년–90년)와 플리니우스(24년–79년)와 같은 저술가들에 의해 기술되었다.[22] 150년, 프톨레마이오스는 생강이 실론(스리랑카)에서 생산된다고 기록했다.[22] 로마 제국에서는 친척뻘인 갈랑가와 함께 매우 비싼 약초 치료제의 일부로 수입되었는데, 이는 부유한 사람들만이 감당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신장 질환에 사용되었다.[23] 아미다의 아에티우스는 복잡한 약초 처방에 생강과 갈랑가 모두를 재료로 사용했다고 기록했다. 중세 시대에 유럽인들의 미각이 생강의 요리적 특성에 호의적으로 바뀌면서 생강의 원물과 가공품이 유럽으로 더 많이 수입되었다. 이 기간 동안 생강은 여러 국가의 공식 약전에 기재되었다.[24] 14세기 잉글랜드에서는 생강 1파운드의 가격이 양 한 마리와 같았다.[22]

북서 유럽에서 생강의 고고학적 증거는 덴마크-노르웨이 깃발함인 ''그립스훈덴''의 난파선에서 나왔다. 이 배는 1495년 여름 스웨덴 남부 해안에서 침몰했는데, 당시 한스 왕이 스웨덴 의회와의 정상 회담에 가는 중이었다. 배에 실린 고급품에는 생강, 정향, 사프란, 후추가 있었다.[25]

16세기 언젠가 스페인 왕실의 장려로 생강 식물은 아시아에서 카리브해 섬으로 후추, 정향, 계피와 함께 밀반입되었지만, 생강만이 번성했다. 17세기 말까지 히스파니올라와 푸에르토리코에서 주요 수출 작물이 되어 설탕을 대체했는데, 이는 아프리카에서 노예 노동이 도입되어 설탕 생산이 더 경제적으로 되기 전까지였다.[26]

일본에는 2~3세기경에 중국에서 전래되어 나라 시대에는 재배가 시작되었다.[64]고사기』에 기록이 있는 것처럼 일찍부터 사용되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생강의 수요가 후추에 필적할 만큼 높아졌다. 14세기 영국에서의 시세는 생강 1파운드(약 450그램)가 양 한 마리의 가격에 해당했다. 유럽인이 식물로서의 생강을 처음 보고 기록한 것은 13세기에 마르코 폴로가 인도와 중국에서 본 것이 처음이다. 15세기 말 신대륙이 발견되자 생강은 곧바로 재배 작물로 반입되었고, 16세기 중반에는 서인도 제도가 생강의 산지가 되었다.[65]

4. 특징

생강은 여러해살이풀이다.[27] 따뜻한 지방이나 온실에서 재배된다. 땅속줄기는 다육질이고 연한 노란색이며, 매운맛과 독특한 향이 있다. 땅 위로는 잎만 나오는데, 곧게 선 줄기에서 양쪽으로 타원형 잎이 어긋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줄기는 헛줄기로 각 잎의 엽초가 겹쳐서 말린 것이다.

개화기는 여름부터 가을까지이다. 따뜻한 지방에서는 꽃이 땅속줄기에서 다른 줄기처럼 높이 약 20cm의 꽃줄기를 뻗어 그 끝에 겹쳐진 포엽이 달린다. 꽃은 그 포엽 사이에서 피며 노란색이고, 순판은 적자색에 노란색 반점이 있다. 그러나 열대 원산인 생강은 한국에서는 기온이 낮아 꽃이 피는 것은 매우 드물며,[66] 땅속줄기를 통한 영양 번식이 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품종 분화는 적다.

생강의 땅속줄기는 진저롤과 징게론, 쇼가올에서 유래하는 특유의 매운맛과 징기베렌, 징기베롤, 시네올, 시트랄에서 유래하는 독특한 향을 지닌다. 산지에 따라 향의 경향이 다르며, 아프리카산은 장뇌와 같은 냄새, 인도산은 시트랄 냄새가 특징적이다. 생강은 1미터(3~4피트) 정도 높이로 자라는 다년생 식물로, 매년 잎이 무성한 줄기가 자란다.[27]

5. 주요 성분 및 효능

생강 특유의 매운맛은 진저롤, 쇼가올, 진저론 등의 성분 때문이며,[91] 특유의 향은 징기베렌, 징기베롤, 시네올, 시트랄 등에서 비롯된다.[24][48]

생강은 수분(79%), 탄수화물(18%), 단백질(2%), 지방(1%) 등으로 구성된다. 100g 기준으로 333kJ의 식품 에너지를 제공하며, 칼륨(일일 권장 섭취량의 14%), 마그네슘(10%), 망간(10%)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

생강의 주요 영양 성분 (100g 기준)
영양소함량영양소함량
수분79g칼슘16mg
탄수화물17.77g0.6mg
단백질1.82g마그네슘43mg
지방0.75g34mg
섬유질2g칼륨415mg
당류1.7g나트륨13mg
아연0.34mg망간0.229mg
비타민C5mg티아민0.025mg
리보플라빈0.034mg나이아신0.75mg
판토텐산0.203mg비타민B60.16mg
엽산11ug비타민E0.26mg



한의학에서는 생강을 따뜻한 성질을 가진 약재로 보며, 발한, 건위, 진토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91] 말린 생강은 한약재로도 쓰인다. 감기 예방, 혈액 순환 개선, 소화 촉진, 항염증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91]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아직 부족하다.

생강의 정유 성분(0.25-3.0%)과 매운맛 성분(0.6-1.0%, 진저롤, 진저론)은 타액 중 디아스타제 작용을 촉진한다.[77] 진저롤, 진저론, 쇼가올은 위액 분비를 촉진하고 소화를 돕는다.[77] 시네올은 식욕 증진, 피로 회복, 여름철 무기력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77] 최근에는 생강에 혈중 콜레스테롤혈압 저하 성분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7]

5. 1. 부작용 및 주의사항

생강은 적당량을 섭취하면 부작용이 거의 없지만, 과다 섭취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위장관계 불편함이나 처방약과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작용과 같은 유해사건이 발생할 수 있다.[24][45]

생강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물질"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만,[46] 항응고제와파린[47]과 심혈관계 약물인 니페디핀[2]을 포함한 일부 약물과 약물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지만, 특히 분말 형태로 섭취할 경우 속쓰림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2] 담석이 있는 사람에게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와파린이나 아스피린과 같은 항응고제 및 기타 처방약의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2][24]

다량 섭취 시 복부 불쾌감, 속쓰림, 설사, 구강 및 인후의 염증 등이 발생할 수 있고,[86]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 사례도 있다.[87][88]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항응고제와 함께 복용하면 약효가 증가할 수 있으며,[87] 고혈압 치료제의 약효도 증가시켜 혈압 저하 또는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87][89]

6. 재배

생강은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생육 적온은 25~30로 높은 편이다. 햇빛은 필요하지만 강한 직사광선은 피해야 하며, 적당한 그늘이 지는 환경에서 잘 자란다. 또한, 추위, 건조, 과습, 연작을 싫어하는 성질이 있다. 토란이나 오크라와 같이 키가 큰 식물 사이에 심으면 직사광선을 막고 토양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생강밭


봄에 심을 때는 지온이 15℃ 이상이 된 후 밭에 정식한다. 종생강(씨생강)은 색깔이 좋고 싹이 잘 난 것을 골라, 50그램(g) 정도로 나누어 얕게 심고 5cm 정도 흙을 덮는다. 기온이 낮을 때는 육묘 포트에 심어 따뜻한 곳에서 묘목을 만들어도 좋다. 발아 후, 여름까지 3회 정도 추비를 하고, 중경토압을 하여 근경이 지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풀이나 짚을 깔아 멀칭을 하면 토양 건조를 막는 데 효과적이다.

인도에서는 관개 생강 작물을 보통 3~6월 사이에 심는데, 이는 우기 또는 장마철의 시작에 해당한다.[35] 심기 전에는 해충, 뿌리줄기 부패, 종자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종자를 처리한다.[35] 종자 처리 방법으로는 소똥 유제에 담그기, 훈증, 열탕 처리 등이 있다.[35] 심은 후에는 수분 보존, 잡초 억제, 토양 유실 방지를 위해 멀칭을 한다.[36] 멀칭은 심은 직후와 생장 45일, 90일 후에 푸른 잎 등을 밭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35] 강우량이 적을 경우 보충 관개를 해야 하며, 인도에서는 9~11월 사이에 2주마다 관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35]

수확은 심은 후 4~5개월(채소, 청량음료, 사탕 등) 또는 8~10개월(건조 생강, 생강 기름 등) 후에 한다.[35] 건조 생강용 뿌리줄기는 완전히 성숙했을 때(8~10개월) 수확하며, 물에 담근 후 대나무 조각이나 나무 칼로 겉껍질을 벗긴다.[37]

생강은 크기와 출하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크기에 따른 분류출하 방법에 따른 분류



;주요 품종


  • '''금시생강(金時生姜)''': 크기가 작고 향과 매운맛이 강하며,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 함량이 높다.
  • '''야나카생강(谷中生姜)''': 줄기 밑 부분이 붉게 물드는 품종으로, 잎생강으로 초여름에만 출하된다.
  • 산슈생강(三州生姜): '''황생강'''이라고도 불리며, 뿌리줄기 속이 노란색이고 매운맛이 강하다.

7. 생산 및 유통

2020년 전 세계 생강 생산량은 430만 톤이었으며, 인도가 세계 총 생산량의 43%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나이지리아, 중국, 네팔도 상당한 생산량을 기록했다.[28]

생강 생산량, 2020년
국가생산량 (톤)
भारत|인도hi1,844,000
Nàìjíríà|나이지리아yo734,295
中国|중국중국어618,904
नेपाल|네팔ne298,945
Indonesia|인도네시아id183,518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167,021
전 세계4,328,277
출처: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통계국 (FAOSTAT)[28]



생강은 인도 남서부에서 재배 및 수출된 가장 오래된 기록된 향신료 중 하나이다.[29] 인도는 세계 최대 생강 생산국이지만, 세계 생강 수출량은 7위이다.[38]

생강은 따뜻하고 습한 환경, 300m에서 900m 고도, 그리고 최소 30cm 깊이의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재배할 때 최상의 생산성을 보인다.[31]

인도에서 생산되는 생강은 대부분 가족 농가에서 재배되며, 가용한 가족 구성원과 지역 사회 구성원이 적응적으로 일을 분담한다.[31][33][34] 농부들은 생산량의 일부를 마을 상인들에게 판매하고, 상인들은 농산물을 수집하여 가장 가까운 집산 시장으로 운송한 후, 주요 지역 또는 지구 수준의 마케팅 센터로 이동한다.[38] 생산량이 많은 농부들은 생산물을 직접 지역 또는 지역 시장으로 가져가기도 한다. 농산물이 지역 시장에 도착하면 세척, 등급 분류되고 약 60kg들이 자루에 포장된 후 뉴델리, 코치, 봄베이와 같은 종합 도매 시장으로 이동한다.[38]

생강을 수출하는 경우, 지역 중계 센터를 거친 후 종합 도매 시장에 도착하는 대신, 수출 시장에 도착한 후 차량, 항공기 또는 선박으로 최종 국제 목적지로 보내지며, 현지 소매 시장에 도착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판매된다.[38]

건조 생강은 소규모 소매점 네트워크를 통해 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며, 신선한 생강과 가공 생강은 종종 슈퍼마켓 체인에 직접 판매된다.[38] 일부 국가에서는 신선한 생강이 특정 민족 공동체 고유의 작은 상점에서만 판매되기도 한다.[38] 인도는 파키스탄, 방글라데시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모로코, 미국, 예멘, 영국, 네덜란드에도 생강 및 기타 채소를 자주 수출한다.[38]

인도는 세계 최대 생강 생산국이지만, 대규모 수출국은 아니며 전체 생강 수출의 약 1.17%만 차지한다.[38]

8. 활용

생강은 신선한 상태, 건조 분말, 절임, 기름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한국 요리에서 생강은 주로 갈거나 채 썰어 양념, 국물, 김치 등에 넣어 음식의 풍미를 더하며, 특히 생선이나 육류 요리의 비린내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40] 서양 요리에서는 주로 진저 에일, 생강 과자, 생강 스냅 등 단 음식에 사용한다.[40] 일본에서는 생강을 절여 ''베니 쇼가''와 ''가리''를 만들거나 강판에 갈아서 두부에 날것으로 사용한다.[40]

한방에서는 말린 생강을 '생강(生薑)'이라 하고, 쪄서 말린 것은 '건강(乾薑)'이라 하여 약재로 쓴다.[74] 민간요법에서는 식욕 부진, 오심, 구토, 딸꾹질, 감기 증상 완화 등에 생강을 사용한다.[74] 생강차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면역력을 높여 감기 민간요법에 자주 사용되며, 영국에서도 감기 초기 증상에 생강차를 마신다.[74]

생강의 유효 성분으로는 정유와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gingerol), 진저론(zingerone) 등이 있으며, 가열하면 진저롤이 쇼가올(shogaol)로 변화한다.[77] 이들은 디아스타제 작용을 촉진하고, 위액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 촉진 효과가 있다.[77] 또한 혈액 순환을 높이고 발한을 촉진하며, 향기 성분인 시네올은 식욕 증진, 피로 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77] 최근에는 생강에 혈중 콜레스테롤 값이나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다는 것도 밝혀지고 있다.

8. 1. 요리

한국 요리에서 생강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주로 갈거나 채 썰어 양념, 국물, 김치 등에 넣어 음식의 풍미를 더한다. 특히, 생선이나 육류 요리에서 비린내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40] 생강즙은 고기나 생선의 양념에 넣거나, 요리에 함께 넣고 끓이거나 찌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생강의 향기 성분은 껍질 바로 아래에 많으므로, 껍질을 벗기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비린내 제거에 더 효과적이다. 간장과 섞어 생강 간장을 만들거나, 채 썬(실생강) 생강을 국물에 넣어 사용하기도 한다. 전통 한국 요리인 김치에서는 생강을 잘게 다지거나 즙을 내어 섬유질을 제거하고 발효 과정 직전에 매운 양념에 첨가한다.[40]

서양 요리에서는 주로 진저 에일, 생강 과자, 생강 스냅 등 단 음식에 생강을 사용한다.[40]

일본에서는 생강을 절여서 ''베니 쇼가''와 ''가리''를 만들거나 강판에 갈아서 두부에 날것으로 사용한다.[40] 초밥이나 회와 같은 생선 요리에 곁들이거나, 절임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8. 2. 약용

한방에서는 생강을 말린 것을 '생강(生薑)'이라 하여 약재로 사용하며, 쪄서 말린 것은 '건강(乾薑)'이라 한다.[74] 생강은 발산, 건위, 진토 작용이 있어 발한을 통해 오한을 동반하는 감기 초기 증상 치료에 사용되고, 위장의 냉증 등에 의한 위장 기능 저하 방지에 사용된다.[91] 건강은 흥분, 강장, 건위 작용이 있어 위장의 냉증에 의한 기능 장애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74]

일본약전에서는 단순히 건조시킨 근경을 생강, 찐 후 건조시킨 것을 건강으로 구분한다. 건생강(乾生姜)은 신선한 생강(선강, 鮮姜)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며, 일본약전의 “생강”과 같다.

민간요법에서는 식욕 부진, 오심, 구토, 딸꾹질, 감기 증상 완화 등에 생강을 사용한다.[74] 위장이 좋지 않을 때 생강을 달여 마시거나, 숙취, 입덧, 메스꺼움, 속쓰림에는 생강을 갈아 된장 등과 섞어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시는 방법이 있다.[74] 생강차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면역력을 높여 감기 민간요법에 자주 사용된다.[74] 영국에서도 감기 초기 증상에 생강차를 마시는 습관이 있다.[74]

유효 성분으로는 정유와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ジンゲロール), 진저론(ジンゲロン) 등이 있다.[77] 생강을 가열하면 진저롤이 쇼가올로 변화한다.[77] 이들은 디아스타제 작용을 촉진하고, 위액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 촉진 효과가 있다.[77] 또한 혈액 순환을 높이고 발한을 촉진하며, 향기 성분인 시네올은 식욕 증진, 피로 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77] 최근에는 생강에 혈중 콜레스테롤 값이나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다는 것도 밝혀지고 있다.

9. 문화

공자논어에서 "매 끼니마다 소량의 생강을" 먹었다고 그의 제자들이 기록했다.[21][22]

14세기 잉글랜드에서는 생강 1파운드(약 450g)가 양 한 마리와 같은 가격으로 거래되었다.[22][90]

에도 막부 11대・12대 장군도쿠가와 이에나리도쿠가와 이에요시 부자(父子)는 모두 생강을 좋아했다. 노중 미즈노 타다쿠니의 덴포의 개혁 당시 생강이 사치품으로 금지되었는데, 이 때문에 이에요시의 식탁에 생강이 오르지 않게 되자 이에요시가 격노하여 미즈노 타다쿠니가 실각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는 속설이 있다.

참조

[1] GRIN 2017-12-10
[2] 웹사이트 Ginger, NCCIH Herbs at a Glance https://www.nccih.ni[...] US NCCIH 2023-09-04
[3] 서적 Plant resources of South-East Asia: no.13: Spices Backhuys Publishers
[4] 웹사이트 ''Curcuma longa'' L. http://powo.science.[...] Plants of the World Online, Kew Science, Kew Gardens, Royal Botanic Gardens, Kew, England 2018-03-26
[5] LSJ
[6] 서적 Perspectives of Plant Biodiversity: Proceedings of National Seminar on Plant Biodiversity – Systematics, Conservation and Ethnobotany, Department of Botany, North Bengal University, November 9-11, 2000 https://books.google[...] Bishen Singh Mahendra Pal Singh 2002
[7] OEtymD
[8] 서적 A Comparative Grammar of the Dravidian Or South-Indian Family of Language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98-01-01
[9] 서적 Ginger: The Genus Zingiber CRC Press 2016
[10] 서적 Where Flavor Was Born: Recipes and Culinary Travels Along the Indian Ocean Spice Route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11] 서적 The lexicon of Proto Oceanic: The culture and environment of ancestral Oceanic society Pacific Linguistics
[12] 학술지 The Austronesian Comparative Dictionary: A Work in Progress https://www.research[...] 2013
[13] 학술지 Ginger Species and Their Traditional Uses in Modern Applications https://docplayer.ne[...] 2015
[14] 서적 Dangerous Tastes: The Story of Spic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 서적 Language Description, History and Development: Linguistic indulgence in memory of Terry Crowle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2019-01-23
[16] 학술지 The Austronesian Homeland: A Linguistic Perspectiv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7]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18] 학술지 The first migrants to Madagascar and their introduction of plants: linguistic and ethnological evidence https://halshs.archi[...] 2011
[19] 서적 Genetic Resources, Chromosome Engineering, and Crop Improvement CRC Press 2011
[20] 서적 South East Asia in the World-Ec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1] 서적 Confucius and Confucianism: The Essential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2]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2005
[23] 서적 Dangerous Tastes: The Story of Spic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24] 웹사이트 Ginger https://www.drugs.co[...] Drugs.com 2023-09-04
[25] 학술지 The king's spice cabinet–Plant remains from Gribshunden, a 15th century royal shipwreck in the Baltic Sea 2023-01-26
[26] 학술지 Caribbean ginger and Atlantic trade, 1570–1648 2015
[27] 서적 Medicinal and Poisonous Plants of Southern and Eastern Africa E & S Livingstone
[28] 웹사이트 Ginger production in 2019, Crops/Regions/World/Production/Quantity (from pick lists) http://www.fao.org/f[...] FAO, Statistics Division 2021-11-25
[29] 학술지 Ginger is a gamble 2015-03-01
[30] Citation Turmeric (Curcuma longa L.) an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 - World's Invaluable Medicinal Spic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9
[31] Citation Ginger CRC Press
[32] 학술지 Rainfall And Water Requirement of Rice During Growing Period 2013-02-10
[33] Citation Wild Edible Fruits of Northeast India: Medicinal Values and Traditional Practices Springer Singapore 2019-09-11
[34] 학술지 Do They Matter? The Impact of Atmospherics on Farmers' Market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https://lib.dr.iasta[...] 2017
[35] Citation Turmeric (''Curcuma longa'' L.) an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 - World's Invaluable Medicinal Spic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9
[36] 논문 An Evaluation of Several Mulch Materials on Landscape Plant Growth, Weed Control,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 Interim Report 1975
[37] 서적 Ginger CRC Press 2016
[38] 서적 Ginger CRC Press 2016
[39] 서적 Ginger CRC Press 2016
[40] 웹사이트 Zingiber officinale Roscoe http://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7-11-25
[41] 서적 Applied health research manual: anthropology of health and health care https://books.google[...] Het Spinhuis 2001
[42] 서적 Common medicinal plants of the Cordillera region (Northern Luzon, Philippines) Community Health Education, Services and Training in the Cordillera Region (CHESTCORE) 1984
[43] 웹사이트 National registration of Gorgan gingerbrea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national monuments of the country (translated from Farsi) https://www.isna.ir/[...] Iranian Students News Agency
[44] 웹사이트 Aristolochic Acid: FDA Warns Consumers to Discontinue Use of Botanical Products that Contain Aristolochic Acid https://www.fda.gov/[...] US FDA 2001-04-11
[45] 서적 The Psychopharmacology of Herbal Medications: Plant Drugs That Alter Mind, Brain, and Behavior https://archive.org/[...] MIT Press 2001
[46] 웹사이트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Part 182, Sec. 182.20: Essential oils, oleoresins (solvent-free), and natural extractives (including distillates): Substance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http://www.accessdat[...] US FDA 2014-12-21
[47] 논문 Risk of warfarin-related bleeding events and supratherapeutic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s associated wi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 longitudinal analysis 2007
[48] 논문 Comparison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Chinese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Changes in volatiles, chemical profile, antioxidant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2016
[49] 논문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milk coagulating properties of ginger proteases 2011-05-01
[50] Systematic review Treatments for Hyperemesis Gravidarum and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https://research.tee[...] 2016-10
[51] 논문 Ginger as an antiemetic modality for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03
[52] 논문 Can nausea and vomiting be treated with ginger extract? https://www.european[...] 2015
[53] 논문 Efficacy of ginger for nausea and vomiting: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2000
[54] 논문 Dietary supplements for dysmenorrhoea 2016
[55] 논문 The use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for the treatment of pain: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2011
[56] 논문 The Effect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on Platelet Aggreg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2015-10-21
[57] 논문 The effects of ginger intake on weight loss and metabolic profiles among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ttps://www.tandfonl[...] 2019
[58] 웹사이트 2023-01-14
[59] 웹사이트 2023-01-14
[60] 웹사이트 ショウガ/生姜/しょうが https://gogen-yurai.[...] 2023-06
[61] 간행물 料理書にみる中国,朝鮮,日本料理中のショウガ利用比較 https://dl.ndl.go.jp[...]
[62] 서적 世界の食用植物文化図鑑 柊風社 2010
[63] 서적 世界食物百科 原書房 1998
[64] 서적 ガリ屋がまとめた生姜の話 創元社 201
[65] 서적 香辛料の世界史 白水社 1987
[66] 서적 日本の野菜 八坂書房 2000
[67] 서적 世界で使われる256種:ハーブ&スパイス事典 誠文堂新光社 2013
[68] 웹사이트 野菜ブック しょうが http://vegetable.ali[...] 農畜産業振興機構 2013-04-16
[69] 웹사이트 やさい図鑑(根菜類) http://www.pref.aich[...] 愛知県 2013-04-16
[70] 웹사이트 ちば旬鮮図鑑 ちばの葉しょうが http://wwwp.pref.chi[...] 千葉県 2013-04-16
[71] 뉴스 ショウガに花が咲いた! 原産地インドでも「まれ」 浜松市西区 https://www.at-s.com[...] 静岡新聞
[72] PDF アニサキス症と天然物由来の有効化学物質の検索 http://www.tokyo-eik[...]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
[73] 웹사이트 奥深いガリの世界 https://www.sushiaca[...] 東京すしアカデミー 2020-09-16
[74] 간행물 薬食兼用の天産物 No.12 生姜(ショウガ) 漢方医薬新聞 2009-12-10
[75] 웹사이트 医薬品の範囲に関する基準 http://www.mhlw.go.j[...] 厚生労働省 2015-04-01 # H27 4 改正46通知本文(最新版)을 2015년 4월 1일로 추정
[76] 보고서 Herbs at a Glance - Ginger https://nccih.nih.go[...] 미국国立보완통합의학센터 2016-11-30
[77] 서적 和漢薬の辞典 朝倉書店 2018-12-13 # accessdate
[78] 논문 スパイス類の大腸菌増殖抑制と促進効果 1985-11-01 # 추정 날짜
[79] PDF 酵母の増殖・醗酵特性に及ぼすショウガの作用に関する研究 http://www.kochi-tec[...]
[80] 논문 食品の持つ抗菌性を調べる実験の教材化 http://id.nii.ac.jp/[...] 山形大学紀要 2010-01-01 # 추정 날짜
[81] 논문 食中毒菌に対する香味野菜の発育阻止作用 http://id.nii.ac.jp/[...] 1989-03-31
[82] 논문 調理食品での腸管出血性大腸菌O157:H7をはじめとする食中毒菌に対する食酢の抗菌作用 1998-01-01 # 추정 날짜
[83] 논문 Ethnopharmacologic investigatio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http://www.sciencedi[...] 1989-11-01 # 추정 날짜
[84] 논문 Ginger and Its Bioactive Component Inhibit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Heat-Labile Enterotoxin-Induced Diarrhea in Mice 2007-01-01 # 추정 날짜
[85] 논문 がん予防と食品 2009-01-01 # 추정 날짜
[86] 웹사이트 ショウガ https://www.ejim.ncg[...] 厚生労働省eJIM
[87] 웹사이트 Ginger https://www.drugs.co[...]
[88] 논문 生姜による食物依存性運動誘発アナフィラキシーの1例
[89] 서적 健康食品・サプリ〈成分〉のすべて : ナチュラルメディシン・データベース日本対応版
[90]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2005-01-01 # 추정 날짜
[91] 뉴스 찬 바람 불 때 생각 나는 ‘생강’ 효능과 복용법 http://news1.kr/arti[...] news1 2018-11-07 # 확인날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