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이스 3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이스 39는 사회복지사 에밀리 젠킨스가 악마의 모습을 한 소녀 릴리스를 만나면서 겪는 이야기를 그린 2009년 미국의 공포 영화이다. 에밀리는 릴리스의 부모에게 학대받는 릴리스를 보호하지만, 릴리스가 주변 사람들에게 환각을 일으키고 죽음에 이르게 하는 악마임을 알게 된다. 에밀리는 릴리스를 없애려 하지만 실패하고, 릴리스를 익사시키려다 릴리스에게 붙잡히지만 간신히 탈출한다.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으며, 흥행에서도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큐버스 - 캐서린 (비디오 게임)
    캐서린은 빈센트 브룩스가 두 명의 캐서린 사이에서 갈등하며 악몽을 겪는 이야기를 다룬 크로스 장르 비디오 게임으로, 낮에는 소셜 시뮬레이션, 밤에는 플랫폼 및 퍼즐 해결 요소가 결합되었으며, 2019년에는 확장판인 《캐서린: 풀 보디》가 출시되었다.
  • 서큐버스 - 라미아 (신화)
    라미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형 괴물로, 제우스의 연인이었으나 헤라의 질투로 아이들을 잃고 식인 괴물로 변하여 아이들을 위협하거나 젊은 남성을 유혹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다양한 모습과 해석을 거쳐 현대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캐나다의 미스터리 영화 - 오펀: 천사의 비밀
    2009년 개봉한 영화 오펀: 천사의 비밀은 콜먼 부부가 입양한 고아 소녀 에스더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들과 에스더의 충격적인 비밀을 다룬 공포 영화로, 베라 파미가, 피터 사즈가드, 이사벨 퍼먼이 출연하고 자움 콜렛세라가 감독을 맡았으며, 살인적인 입양아 묘사로 논란이 있었으나 이사벨 퍼먼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다.
  • 캐나다의 미스터리 영화 - 큐브 2
    2002년 제작된 영화 《큐브 2》는 전작 《큐브》와 유사하게 정체불명의 4차원 공간 하이퍼큐브에 갇힌 사람들이 탈출을 시도하며 시간, 공간, 인력이 왜곡된 큐브 내부에서 다양한 트랩과 마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파라마운트 밴티지 영화 - 레볼루셔너리 로드
    샘 멘데스 감독의 영화 레볼루셔너리 로드는 195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불만과 권태에 빠진 부부의 이야기를 그리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케이트 윈슬렛이 주연을 맡아 사회적 순응주의와 파국으로 향하는 관계를 묘사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파라마운트 밴티지 영화 - 집으로...
    2002년 개봉한 이정향 감독의 영화 《집으로...》는 도시 아이 상우가 시골에 사는 귀머거리 할머니와 함께 지내면서 겪는 갈등과 화해를 따뜻하게 그린 작품으로, 세대 간의 소통과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영화이다.
케이스 39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제Case 39
감독크리스티앙 알바트
각본레이 라이트
제작스티브 골린, 케빈 미셔
출연레니 젤위거, 조델 퍼랜드, 이안 맥쉐인, 브래들리 쿠퍼
음악미힐 브리치
촬영하겐 보그단스키
편집마크 골드블라트
제작사파라마운트 밴티지, 미셔 필름스, 어나니머스 콘텐츠
배급사파라마운트 픽처스
개봉일2009년 8월 13일 (뉴질랜드)
2009년 11월 5일 (오스트레일리아)
2010년 10월 1일 (미국)
상영 시간109분
제작 국가미국, 캐나다
언어영어
제작비2600만 달러
흥행 수입미국/캐나다: 1326만 1851 달러
전 세계: 2818만 9979 달러

2. 줄거리

사회복지사 에밀리 젠킨스는 부모에게 학대받는 것으로 의심되는 10살 소녀 릴리스 설리번을 구출하여 자신의 집에서 함께 살게 된다. 하지만 릴리스가 에밀리의 집에 온 이후, 에밀리의 주변 사람들에게 이상한 일들이 벌어진다. 에밀리가 담당하던 다른 아이가 부모를 살해하고, 에밀리의 친구는 릴리스와 상담 후 말벌 떼에 대한 환각을 겪은 뒤 자살한다.

에밀리는 릴리스의 부모를 찾아가 릴리스가 평범한 아이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고, 결국 릴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시작한다.

2. 1. 상세 줄거리

에밀리 젠킨스는 사회복지사로, 10살 소녀 릴리스 설리번(애칭 릴리)의 가족 문제를 조사한다. 릴리스의 부모가 아이를 학대한다고 의심한 에밀리는 릴리스를 부모로부터 격리하려 한다. 결국 릴리스의 부모가 릴리스를 오븐에 넣어 죽이려 하자, 에밀리는 형사 마이크 배론의 도움으로 릴리스를 구출한다.[1]

릴리스는 아동보호시설 대신 에밀리와 함께 살기를 원했고, 위원회는 적합한 위탁 가정이 나타날 때까지 에밀리가 릴리스를 돌보는 것을 허락한다. 릴리스의 부모는 정신 병원에 수용된다.[2]

하지만 릴리스가 에밀리의 집에 온 후 이상한 사건들이 발생한다. 에밀리가 담당하던 다른 아이인 디에고가 부모를 살해하고, 범행 전날 밤 에밀리의 집에서 디에고에게 전화가 걸려온 사실이 밝혀진다. 또한 에밀리의 친구 더글러스는 릴리스와 상담 후 이상한 전화를 받고 말벌 떼에 대한 환각을 겪은 뒤 자살한다.[3]

에밀리는 릴리스의 부모를 찾아가 릴리스가 악마이며, 그녀를 죽여야 한다는 말을 듣는다. 릴리스의 아버지는 릴리스를 잠들게 한 뒤 죽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얼마 후, 릴리스의 부모는 정신 병원에서 사망한다.[4]

배론 형사는 릴리스에게서 이상한 전화를 받은 후 에밀리를 돕기로 하지만, 릴리스가 만든 환각 때문에 샷건으로 자살한다.[5]

동료들을 잃은 에밀리는 릴리스에게 진정제를 먹이고 집에 방화를 저질러 릴리스를 제거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이후 에밀리는 릴리스를 차에 태워 부두로 돌진하여 물에 빠뜨려 익사시키려 한다. 릴리스는 악마의 모습으로 변해 에밀리를 붙잡지만, 에밀리는 릴리스를 뿌리치고 탈출하여 릴리스를 제거하는 데 성공한다.[6]

DVD에는 삭제된 결말(alternate ending)이 수록되어 있는데, 릴리스와 에밀리가 구출되고 에밀리는 정신 분열증 치료를 위해 정신 병원에 보내진다. 한편, 릴리스는 새로운 위탁 가정에 도착하여 카메라를 향해 윙크한다.[7]

3. 등장인물


  • 르네 젤위거 - 에밀리 젠킨스 역: 릴리스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이다. 릴리스를 구출하고 자신의 집에 데려오지만, 이후 릴리스의 진실을 알게 되면서 사건에 휘말린다.
  • 조델 퍼랜드 - 릴리스 "릴리" 설리반 역: 겉보기에는 부모에게 학대받는 연약한 소녀지만, 실제로는 악마이다.
  • 이안 맥셰인 - 마이크 배런 형사 역: 에밀리의 친구이자 동료 형사이다. 에밀리를 도와 사건을 조사하지만, 결국 릴리스에 의해 죽음을 맞이한다.
  • 브래들리 쿠퍼 - 더글러스 J. 에임스 역: 에밀리의 남자친구이자 상담가이다. 릴리스를 상담하지만, 릴리스의 위협에 죽음을 맞이한다.
  • 칼럼 키스 레니 - 에드워드 설리반 역: 릴리스의 아버지이다. 릴리스의 정체를 알고 그녀를 죽이려 한다.
  • 케리 오맬리 - 마가렛 설리반 역: 릴리스의 어머니이다. 에드워드와 마찬가지로 릴리스를 죽이려 한다.
  • 에이드리언 레스터 - 웨인 역
  • 조지아 크레이그 - 데니스 역
  • 신시아 스티븐슨 - 낸시 역
  • 알렉산더 콘티 - 디에고 역

4. 제작

2006년 말 밴쿠버에서 영화 촬영이 완료되었다.[1] 2009년 8월 13일 영국, 기타 유럽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극장 개봉되었으며,[1] 미국에서는 원래 2008년 8월 개봉 예정이었으나 두 차례 연기된 후 2010년 10월 1일에 최종 개봉되었다.[1] 한편, 2006년 10월 31일 밴쿠버 영화 세트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촬영이 중단되기도 했다.[1] 당시 촬영장에는 출연진이 없었고 심각한 부상자는 없었지만, 세트와 스튜디오가 파괴되었다.[1]

5. 평가

Case 39영어는 평론가들에게 혹평을 받았고, 흥행에도 실패했다.

5. 1. 비평

Case 39영어는 평론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리뷰 집계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76건의 리뷰를 바탕으로 21%의 지지율과 10점 만점에 4.00점을 기록했고,[6] 메타크리틱에서는 15건의 리뷰를 기반으로 가중 평균 점수 25/100점을 기록했다.[7]

Dread Central의 가레스 존스는 이 영화에 5개 중 2개의 "칼"을 주면서, 2년 넘게 국내 시장에 개봉하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하며 "저는 이 영화가 결국 개봉될 때, 까다롭지 않은 주말 공포 영화 관객과 젤위거 팬들 사이에서 괜찮은 흥행을 거둘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볼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말했다.[2] 호주 ''At the Movies''의 마가렛 포머란츠는 이 영화에 별 5개 중 1개를 주며 "오랜만에 본 가장 무섭지 않고 멍청한 영화 중 하나"라고 평했고, 공동 진행자 데이비드 스트라튼은 별 1.5개를 주면서 "일단 플롯이 시작되면, 정말 핵심으로 들어가면, 많은 공포 영화처럼 정말 터무니없고 어리석어진다"고 평했다.[3]

5. 2. 흥행

제작비는 2600만달러였다.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과 Canada|캐나다영어에서 1330만달러, 기타 지역에서 1490만달러를 벌어들여 총 2820만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4]

2009년 8월 13일,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의 19개 영화관에서 개봉한 이 영화는 그 주말에 35056USD, 한 영화관당 1845USD를 벌어들여 12위에 랭크되었다.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에서는 85개 영화관에서 개봉하여 주말에 176526USD, 한 영화관당 2077USD를 벌어들여 12위에 랭크되었다. 다음 주에는 70%의 수입 감소를 기록했으며, 최종 흥행 성적은 332956USD였다.

6. 기타

미국에서는 당초 2008년 2월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여러 차례 연기되어 2010년 10월 1일에 최종 개봉하였다.[1]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개봉이 연기되어 2009년 11월 5일에 개봉하였다.[1] 일본에서는 DVD 직행으로 2010년 7월 23일에 DVD가 발매되었다.[1]

참조

[1] 뉴스 Special-effects fire destroys movie set https://www.theglobe[...] 2008-04-07
[2] 웹사이트 Case 39 (2009) https://www.dreadcen[...] 2010-02-09
[3] 뉴스 Case 39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0-02-09
[4] Box Office Mojo 2023-06-27
[5] 웹사이트 Case 39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1-08-23
[6] rt Case 39 2022-11-30
[7] mc Case 39 2022-11-30
[8] 웹인용 Movie projector: 'Social Network' looks strong; 'Let Me In' and 'Case 39' will struggle http://latimesblogs.[...] Tribune Company 2010-09-30
[9] 웹인용 Case 39 (2010) http://www.boxoffice[...] 2010-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