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멧 커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멧 커서는 1997년 코멧 시스템즈가 출시한 마우스 커서 변경 소프트웨어이다. 웹사이트 방문 시 사용자의 커서를 변경하여 브랜드 홍보에 활용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 55,000개 이상의 웹사이트에서 사용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사용자 추적 및 개인 정보 침해 논란, 스파이웨어 의혹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2004년 FindWhat.com에 인수된 후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며, PC World가 선정한 최악의 기술 제품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드웨어 - PDFCreator
    PDFCreator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다양한 파일 형식을 PDF 또는 이미지 파일 등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서명 및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며, 여러 에디션으로 배포되고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나 과거 툴바 번들링으로 논란이 있었다.
  • 애드웨어 - 광고주 식별자
    광고주 식별자는 모바일 기기에서 맞춤형 광고를 위해 사용자를 추적하는 고유 식별자이며, 애플은 사용자 추적 제한 및 앱 추적 투명성 정책을 통해 IDFA 접근에 대한 사용자 동의를 요구하고 있다.
  • 스파이웨어 - 트로이 목마 (컴퓨팅)
    겉으로는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시스템에 침투해 악성 행위를 하는 트로이 목마는 시스템 손상, 정보 탈취, 자원 악용 등 다양한 피해를 유발하는 악성코드의 일종이며, 정부에서 사용하는 스파이웨어 형태도 존재하여 개인 정보 침해 논란을 야기한다.
  • 스파이웨어 - 키로깅
    키로깅은 키보드 입력 내용을 몰래 기록하는 행위 또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의미하며, 악성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개인 정보 탈취에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대응 기술 및 수사 활용이 연구되고 있다.
코멧 커서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코멧 커서
종류브라우저 확장, 스파이웨어
개발사코멧 시스템즈(Comet Systems)
출시1990년대 말
운영 체제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라이선스사유
상태중단

2. 역사

1990년대 말 이메일 응용 소프트웨어는 매우 대중화되고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11][12] 워너 브라더스, 코미디 센트럴, 코믹 스트립 딜버트, 스타 트렉의 웹사이트를 포함, 350,000개 이상의 웹사이트들이 방문자를 위해 커서 그림을 변경하는 기업 기술을 사용하였다. 더 작은 수많은 사이트들은 이 기업의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041413/http://www.benaustin.com/press/articles/business20/business2_082200.html 라이브 커서](LiveCusors), 나중에 코멧존(CometZone)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코멧 커서는 뉴스위크, 뉴욕 타임스, USA 투데이의 기사를 장식했으며 애드위크의 2000년 한 해 최고의 마케팅 기술 부문에서 수상했다.[11][12]

1997년에 코멧 시스템즈(Comet Systems)가 설립되었고[2], 같은 해에 이 회사의 가장 유명한 제품인 코멧 커서(Comet Cursor)가 무료로 출시되었다.[1] 코멧 커서를 설치하면 사용자가 참여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사용자의 마우스 커서가 변경되었다. 웹사이트는 이러한 커서를 사용하여 표준 아이콘 대신 자체 브랜드를 표시할 수 있었다. 1999년까지 코미디 센트럴(Comedy Central), 마텔(Mattel), 워너 브라더스(Warner Bros.)를 포함한 55,000개의 웹사이트가 이 기술을 사용했다.[2] 배너 광고 또한 이 기술을 사용했다.[3] 코멧은 2001년에 소프트웨어에 가격 비교 서비스를 통합하면서 2천만 명의 사용자를 기록했다.[4]

이 회사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사용자를 비밀리에 추적한 혐의로 비판을 받았으며,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일련 번호가 부여되었다.[5] 1999년 11월, 이 회사는 여러 버전의 리얼네트웍스(RealNetworks)의 리얼플레이어(RealPlayer)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와 함께 소프트웨어를 패키지로 배포하기 시작했다.[1] 같은 달, 리얼플레이어는 리얼플레이어와 함께 어떤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를 침해하고 자체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위반했다는 비난을 받았다.[6] 스파이웨어 문제 외에도, 이 소프트웨어는 많은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채 자체적으로 설치되었다.[7]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는 코멧 커서와 같은 액티브X 컨트롤이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 허가를 요청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설치되도록 허용했으며,[1] 사용자들은 리얼플레이어와 함께 코멧 커서를 설치했는지 알지 못했다.[7]

이러한 이유로 코멧 커서는 ''PC 월드(PC World)''에서 선정한 최악의 기술 제품 25가지 중 하나로 꼽혔다.[1] 더 이상 배포되지 않지만, 이 제품은 Lavasoft 및 노턴 라이프락(NortonLifeLock)과 같은 일부 인터넷 감시 회사에 의해 스파이웨어로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다.[8]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이 애플리케이션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가 이를 제거할 것을 권장한다.[9] FindWhat.com은 2004년 2월 코멧을 인수했으며, 코멧 커서는 해당 제품군에서 단계적으로 제외되었다.[1]

2. 1. 개발 및 출시

1990년대 말 이메일 응용 소프트웨어는 매우 대중화되고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11][12] 워너 브라더스, 코미디 센트럴, 코믹 스트립 딜버트, 스타 트렉의 웹사이트를 포함, 350,000개 이상의 웹사이트들이 방문자를 위해 커서 그림을 변경하는 기업 기술을 사용하였다. 더 작은 수많은 사이트들은 이 기업의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041413/http://www.benaustin.com/press/articles/business20/business2_082200.html 라이브 커서](LiveCusors), 나중에 코멧존(CometZone)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코멧 커서는 뉴스위크, 뉴욕 타임스, USA 투데이의 기사를 장식했으며 애드위크의 2000년 한 해 최고의 마케팅 기술 부문에서 수상했다.[11][12]

1997년에 코멧 시스템즈(Comet Systems)가 설립되었고[2], 같은 해에 이 회사의 가장 유명한 제품인 코멧 커서(Comet Cursor)가 무료로 출시되었다.[1] 코멧 커서를 설치하면 사용자가 참여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사용자의 마우스 커서가 변경되었다. 웹사이트는 이러한 커서를 사용하여 표준 아이콘 대신 자체 브랜드를 표시할 수 있었다. 1999년까지 코미디 센트럴(Comedy Central), 마텔(Mattel), 워너 브라더스(Warner Bros.)를 포함한 55,000개의 웹사이트가 이 기술을 사용했다.[2] 배너 광고 또한 이 기술을 사용했다.[3] 코멧은 2001년에 소프트웨어에 가격 비교 서비스를 통합하면서 2천만 명의 사용자를 기록했다.[4]

이 회사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사용자를 비밀리에 추적한 혐의로 비판을 받았으며,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일련 번호가 부여되었다.[5] 1999년 11월, 이 회사는 여러 버전의 리얼네트웍스(RealNetworks)의 리얼플레이어(RealPlayer)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와 함께 소프트웨어를 패키지로 배포하기 시작했다.[1] 같은 달, 리얼플레이어는 리얼플레이어와 함께 어떤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를 침해하고 자체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위반했다는 비난을 받았다.[6] 스파이웨어 문제 외에도, 이 소프트웨어는 많은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채 자체적으로 설치되었다.[7]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는 코멧 커서와 같은 액티브X 컨트롤이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 허가를 요청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설치되도록 허용했으며,[1] 사용자들은 리얼플레이어와 함께 코멧 커서를 설치했는지 알지 못했다.[7]

이러한 이유로 코멧 커서는 ''PC 월드(PC World)''에서 선정한 최악의 기술 제품 25가지 중 하나로 꼽혔다.[1] 더 이상 배포되지 않지만, 이 제품은 Lavasoft 및 노턴 라이프락(NortonLifeLock)과 같은 일부 인터넷 감시 회사에 의해 스파이웨어로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다.[8]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이 애플리케이션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가 이를 제거할 것을 권장한다.[9] FindWhat.com은 2004년 2월 코멧을 인수했으며, 코멧 커서는 해당 제품군에서 단계적으로 제외되었다.[1]

2. 2. 초기 인기

1990년대 말 이메일 응용 소프트웨어는 매우 대중화되고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11][12] 워너 브라더스, 코미디 센트럴, 코믹 스트립 딜버트, 스타 트렉의 웹사이트를 포함, 350,000개 이상의 웹사이트들이 방문자를 위해 커서 그림을 변경하는 기업 기술을 사용하였다.[11][12] 더 작은 수많은 사이트들은 이 기업의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041413/http://www.benaustin.com/press/articles/business20/business2_082200.html 라이브 커서](LiveCusors), 나중에 코멧존(CometZone)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코멧 커서는 뉴스위크, 뉴욕 타임스, USA 투데이의 기사를 장식했으며 애드위크의 2000년 한 해 최고의 마케팅 기술 부문에서 수상했다.[11][12]

1997년에 코멧 시스템즈(Comet Systems)가 설립되었다.[2] 1999년까지 코미디 센트럴, 마텔, 워너 브라더스를 포함한 55,000개의 웹사이트가 이 기술을 사용했다.[2] 배너 광고 또한 이 기술을 사용했다.[3] 코멧은 2001년에 소프트웨어에 가격 비교 서비스를 통합하면서 2천만 명의 사용자를 기록했다.[4]

3. 기능

4. 비판 및 논란

코멧 커서의 다운로드 수가 10,000,000건을 돌파할 즈음 회사는 논란에 휩싸였다. 각 컴퓨터에 고유한 ID와 포닝 홈(phoning home)을 할당함과 동시에 1999년 11월 이 기업은 여러 버전의 리얼네트웍스 리얼플레이어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와 함께 패키지의 일부로 자사의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기 시작했다.[13] 같은 달, 리얼플레이어는 리얼플레이어와 나란이 설치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개인정보 정책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고소를 당했다. 이 고소는 온라인 프라이버시 문제가 뉴스 앞면을 장식했고 이 기사가 널리 알려지던 시기에 발생하였다.[14] 그 달이 지나 코멧 커서가 코멧 시스템즈의 서버의 백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데 대한 고소에 대해 AP 통신사, USA 투데이가 동시에 다루었다. 특히 AP 기사는 코멧 시스템즈가 온라인 상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했다고 주장하였다. 코멧 시스템즈는 이 주장을 반박했다. 부정적인 관심의 결과로 수많은 웹사이트들은 (USA 투데이 기사에 기술된대로) 코멧 커서 기술을 제거했다.

회사가 스스로를 방어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사람들은 코멧 커서가 스파이웨어였다고 결론을 내렸다.[15] 이러한 인상은 제품의 대중화에 의해 강제되었다.(궁극적으로 200,000,000회 이상 다운로드, 설치되었다) 이러한 비판은 의도하지 않은 설치로 이어지는 설치 방식에 초점을 두었다.[16]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는 코멧 커서와 같은 액티브X 컨트롤을 사용하였으며 사용자에 의해 한 번 클릭으로 설치되었다.(브라우저의 보안이 "낮음"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클릭하지 않고 설치됨)

4. 1. 사용자 추적 논란

코멧 커서의 다운로드 수가 10,000,000건을 돌파할 즈음, 코멧 시스템즈는 각 컴퓨터에 고유 ID를 할당하고 포닝 홈(phoning home) 기능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집했다는 의혹을 받았다.[13] 1999년 11월, 코멧 시스템즈는 리얼네트웍스리얼플레이어와 함께 자사 소프트웨어를 배포했는데,[13] 같은 달 리얼플레이어는 사용자 정보 수집으로 개인정보보호 정책 위반 혐의로 고소당했다.[14] 이러한 상황에서 AP 통신USA 투데이는 코멧 커서가 사용자 추적을 위해 코멧 시스템즈 서버와 통신한다는 의혹을 제기했다.[14] AP 통신은 코멧 시스템즈가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을 추적했다고 주장했지만, 코멧 시스템즈는 이를 부인했다. 이러한 부정적인 여론으로 인해 수많은 웹사이트들이 코멧 커서 기술을 제거했다.[14]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코멧 커서를 스파이웨어로 간주했다.[15] 이는 제품의 광범위한 배포(200,000,000회 이상 다운로드 및 설치)와 더불어,[16]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액티브X 컨트롤 설치 방식(보안 설정이 "낮음"일 경우 클릭 없이 자동 설치)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설치가 빈번했기 때문이다.[16]

4. 2. 무단 설치 문제

코멧 커서는 리얼네트웍스의 리얼플레이어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와 함께 번들로 배포되면서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논란이 되었다.[13] 1999년 11월, 리얼플레이어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개인정보 정책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고소를 당했는데, 이와 함께 코멧 커서도 개인정보 침해 논란에 휩싸였다.[14] AP 통신사와 USA 투데이는 코멧 커서가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을 추적한다고 보도했으나, 코멧 시스템즈는 이를 부인했다.[15]

이러한 부정적인 여론에도 불구하고 코멧 커서는 2억 회 이상 다운로드되었으나, 설치 방식이 문제가 되었다.[16]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액티브X 취약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한 번만 클릭해도 설치되거나, 보안 설정이 '낮음'으로 되어 있으면 클릭 없이도 자동 설치되어 많은 사용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코멧 커서를 설치하게 되었다. 이는 스파이웨어 논란으로 이어졌다.

4. 3. 스파이웨어 인식

코멧 커서는 여러 매체와 보안 업체로부터 스파이웨어로 인식되었다. PC 월드는 코멧 커서를 최악의 기술 제품 중 하나로 선정했으며,[15] Lavasoft, 노턴 라이프락 등 주요 보안 업체들은 코멧 커서를 스파이웨어로 분류했다.[15] 이러한 인식은 제품의 대중화(2억 회 이상 다운로드 및 설치)와 의도치 않은 설치 방식으로 인해 더욱 강화되었다.[15][16]

1999년 11월, 코멧 커서는 여러 버전의 리얼네트웍스 리얼플레이어와 함께 배포되었는데,[13] 같은 달 리얼플레이어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개인정보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고소를 당했다.[14] 이 사건은 온라인 프라이버시 문제가 주요 뉴스로 다루어지던 시기에 발생했다.[14] AP 통신사와 USA 투데이는 코멧 커서가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을 추적한다고 보도했으나, 코멧 시스템즈는 이를 부인했다.[14] 이러한 부정적인 관심으로 인해 수많은 웹사이트들이 코멧 커서 기술을 제거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코멧 커서와 같은 액티브X 컨트롤을 사용했으며, 사용자가 한 번의 클릭으로 설치하거나 브라우저 보안 설정이 "낮음"으로 설정된 경우 클릭 없이 설치되기도 했다.[16]

5. 인수 및 서비스 종료

1997년에 설립된 코멧 시스템즈(Comet Systems)는[2] 같은 해에 코멧 커서(Comet Cursor)를 무료로 출시했다.[1] 코멧 커서는 사용자가 참여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마우스 커서를 변경하여 표준 아이콘 대신 자체 브랜드를 표시하는 기술이었다. 1999년까지 코미디 센트럴, 마텔, 워너 브라더스 등 55,000개의 웹사이트와 배너 광고가 이 기술을 사용했다.[2][3] 2001년에는 가격 비교 서비스 통합으로 2천만 명의 사용자를 기록했다.[4]

그러나 코멧 커서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사용자를 비밀리에 추적하고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일련 번호를 부여했다는 비판을 받았다.[5] 1999년 11월, 리얼네트웍스리얼플레이어와 함께 소프트웨어를 패키지로 배포하면서[1] 사용자 개인 정보 침해 논란이 발생했다.[6] 마이크로소프트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의 액티브X 컨트롤 문제로 인해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었다.[1][7]

이러한 문제로 인해 코멧 커서는 ''PC 월드''에서 선정한 최악의 기술 제품 25가지 중 하나로 꼽혔으며,[1] Lavasoft 및 노턴 라이프락과 같은 회사에 의해 스파이웨어로 블랙리스트에 올랐다.[8] 마이크로소프트는 문제가 있는 사용자에게 제거를 권장한다.[9] 2004년 2월, FindWhat.com이 코멧 시스템즈를 인수하면서 코멧 커서는 단계적으로 중단되었다.[1]

6. 영향 및 평가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he 25 Worst Tech Products of All Time https://www.pcworld.[...] PCWorld
[2] 뉴스 Internet Company Offers Customized Cursors http://movies2.nytim[...] 1999-11-22
[3] 웹사이트 IQ News: 2 Entertainment Sites Make Deal with Comet https://www.adweek.c[...] 1999-11-15
[4] 뉴스 E-Commerce Report; A new feature turns a cursor into an automatic price-comparison service. https://www.nytimes.[...] 2001-12-03
[5] 뉴스 Cursor Software Monitors Customers http://movies2.nytim[...] 1999-11-29
[6] 웹사이트 RealNetworks faced with second privacy suit http://news.cnet.com[...] CNET News
[7] 웹사이트 The mystery of Comet Cursor: How it got on my PC (yours too) http://review.zdnet.[...] 2001-01-23
[8] 웹사이트 Spyware.CometCursor http://www.symantec.[...] Symantec
[9] 웹사이트 Versions of Comet Cursor That Are Earlier Than Version 4.0 Cause an Error Message http://support.micro[...]
[10] 웹인용 The 25 Worst Tech Products of All Time http://www.pcworld.c[...] PCWorld
[11] 웹인용 NY Times: Nov. 22, 1999 http://www.benaustin[...] 2004-07-05
[12] 웹인용 Adweek Online http://www.benaustin[...] 2009-04-25
[13] webarchive http://www.benaustin[...] 2005-01-22
[14] 웹인용 RealNetworks faced with second privacy suit http://news.cnet.com[...] CNET News
[15] webarchive http://www.benaustin[...] 2007-09-27
[16] webarchive http://review.zdnet.[...] 2007-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