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네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이네 언어는 여러 방언 사용자들이 접촉하면서 형성된 공통 언어를 의미하며, 언어학적 현상 중 하나이다. 지역 코이네와 이민 코이네로 분류되며, 혼합, 평준화, 단순화, 재할당의 과정을 거쳐 형성된다. 코이네 그리스어, 호주 영어, 피지 힌디어 등이 코이네 언어의 예시이며, 한국어의 경우 중앙아시아 한국어(고려말)가 코이네화의 사례로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진과 크리올 - 히리 모투
히리 모투는 파푸아뉴기니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모투족의 전통 무역 방식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공용어로 사용되다 현재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 피진과 크리올 - 크리올 (언어학)
크리올은 여러 언어가 혼합되어 피진에서 발전, 모어 화자를 가지게 된 언어 유형으로, 식민지 무역의 결과로 발생하여 다양한 언어 요소들을 포함하며, 탈식민화 이후 언어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표준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표준어 -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는 해협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발전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20세기 초 네덜란드 식민지배 하에서 보급이 추진되어 1928년 인도네시아의 국어로 채택되었으며, 독립 후 정부의 지원으로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2억 명 이상의 화자를 보유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 언어의 변체 - 속어
속어는 특정 집단에서 비격식적으로 사용하는 표준어 규범에서 벗어난 말로, 집단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문학 및 대중문화에서 활용되지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 - 언어의 변체 - 방언
방언은 언어 내에서 지역, 사회 집단, 개인에 따라 나타나는 변이체로, 표준어 등장 이후 지방어를 의미하며, 지역적,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언어와의 구분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된다.
코이네 언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유형 | 인공어, 혼합어 |
사용 지역 | 언어 접촉 환경 |
기원 | 다양한 방언의 상호 이해 가능성 있는 언어들 피진 또는 크리올의 탈크리올화 |
언어 가족 | 언어 접촉 결과로 다양함 |
언어학적 정보 | |
특징 | 어휘 및 문법 단순화 방언 간 어휘 및 문법 통합 새로운 어휘 및 문법 요소 생성 |
사용 예시 | |
예시 언어 | 코이네 그리스어 힌디어 우르두어 상용어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링구아 프랑카 피진 크리올 탈크리올화 |
2. 배경
"코이네"라는 용어는 헬레니즘 시대와 고대 로마 시대에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된 그리스어 형태를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3] 이 언어는 아테네의 항구 도시인 피레우스에서 다양한 지역의 그리스인들이 섞여 살면서 혼합된 구어체로 생겨났다.[4][5]
2. 1. 코이네화의 정의
코이네화는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방언 사용자들이 접촉하면서 새로운 방언이 생겨나는 현상이다. 이는 방언 접촉의 특수한 경우로, 일반적으로 단일 언어 사용 지역의 여러 곳에서 인간 이동을 통해 사람들이 이주해 온 새로운 인간 정착지에서 발생한다. 코이네화는 보통 2~3세대 만에 완료되지만, 첫 세대 내에도 달성될 수 있다.[6]"코이네"라는 용어는 그리스어로 "공통의"라는 뜻으로, 헬레니즘 시대와 고대 로마 시대에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된 그리스어 형태를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3] 이 언어는 아테네의 항구 도시인 피레우스에서 다양한 지역의 그리스인들이 섞여 살면서 혼합된 구어체로 생겨났다.[4][5]
2. 2. 언어 변이와 사회적 요인
언어 변이는 체계적이어서, 계층 및 성별과 같은 공동체 내의 사회 계층과 관련될 수 있다. 변화는 그러한 분열에 기초한 특정 사회 집단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몇몇 언어학자들은 언어 변화가 개인에게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7][8]3. 유형
언어학자 폴 커스윌(Paul Kerswill)은 코이네를 지역 코이네와 이민 코이네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9]
- '''지역 코이네:''' 강력한 지역 방언이 해당 지역으로 이주해 온 화자들의 방언과 접촉하면서 형성된다.
- '''이민 코이네:''' 동일 언어의 상호 이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방언을 사용하는 이민자들이 정착한 공동체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방언이다.
3. 1. 지역 코이네
언어학자 폴 커스윌(Paul Kerswill)은 코이네를 지역 코이네와 이민 코이네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9]- '''지역 코이네'''는 강력한 지역 방언이 해당 지역으로 이주해 온 화자들의 방언과 접촉하면서 형성된다. 종종, 코이네의 사용은 형성된 지역을 넘어 확산된다. 지역 변종의 원래 코이네는 아티카 방언을 기반으로 했으며, 이 방언은 아테네 항구 피레우스에서 사용되던 다른 그리스 방언과 접촉하면서 코이네화 과정을 거쳤다. 이는 결국 헬레니즘 세계의 공용어가 되었다.
코이네 | 설명 |
---|---|
호주 영어 | 18세기 코크니 영어와 아일랜드 영어의 혼합으로 발생하여 19세기 용인발음의 영향을 일부 받아 형성되었다. |
고려말(중앙아시아 한국어) |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한 한민족 사이에서 육진 방언을 비롯한 여러 동북 방언의 혼합으로 발생했다. |
아시리아 신아람어의 이라크 방언 | 터키와 이라크 북부의 여러 산악 방언을 바탕으로 이란 우르미아의 표준 방언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이라크의 도시 지역으로 이주한 아시리아인들 사이에서 발생했다. |
코이네 그리스어 | 기원전 4세기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활동으로 그리스어 사용이 확장되면서 태동하였으며 지중해 많은 지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방언 평준화를 거쳤다. 이후 비잔틴 제국의 중세 그리스어로 발전하였다. |
덴마크-노르웨이어 | 노르웨이의 문어형인 보크몰의 기반이 된 덴마크어의 노르웨이 지역 방언 |
샤먼 호키엔과 타이완 호키엔 | 취안저우와 장저우의 방언을 바탕으로 형성된 호키엔어(민난어 취안장 방언)의 사실상의 표준 형태이다. |
명청관화 | 명나라와 청나라의 궁중에서 사용된 행정 언어로 여러 북부 관화 방언으로 이루어졌으며 이후 현대 중국어 관화로 발전하였다. |
대안다만어 코이네 | 아카제루어를 기반으로 아카코라어, 아카보어, 아카차리어가 합쳐져 형성된 코이네 |
응코어 | 응코 문자 표기를 기반으로 한 만딩 제어의 코이네 형태 |
피지 힌디어 | |
카리브 힌두스탄어 | |
후터라이트 독일어 | |
현대 히브리어 | |
팔렘방어 |
3. 2. 이민 코이네
동일 언어의 상호 이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방언을 사용하는 이민자들이 정착한 공동체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방언이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다양한 힌디어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들이 식민주의 세계 전역에서 계약 노동자로 징집되었다. 이러한 방언 화자들은 다양한 조건하에서 서로 모여 독특한 힌디어 코이네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힌디어/보즈푸리어 방언은 피지, 가이아나, 모리셔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리남,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발견된다.[9]다음은 이민 코이네의 예시이다.
언어명 | 형성 과정 및 배경 |
---|---|
호주 영어 | 18세기 코크니 영어와 아일랜드 영어의 혼합으로 발생하여 19세기 용인발음의 영향을 일부 받아 형성되었다. |
고려말(중앙아시아 한국어) |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당한 한민족 사이에서 육진 방언을 비롯한 여러 동북 방언의 혼합으로 발생했다. |
아시리아 신아람어의 이라크 방언 | 터키와 이라크 북부의 여러 산악 방언을 바탕으로 이란 우르미아의 표준 방언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이라크의 도시 지역으로 이주한 아시리아인들 사이에서 발생했다. |
코이네 그리스어 | 기원전 4세기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활동으로 그리스어 사용이 확장되면서 태동하였으며 지중해 많은 지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방언 평준화를 거쳤다. 이후 비잔틴 제국의 중세 그리스어로 발전하였다. |
피지 힌디어 | |
카리브 힌두스탄어 | |
덴마크-노르웨이어 | 노르웨이의 문어형인 보크몰의 기반이 된 덴마크어의 노르웨이 지역 방언 |
후터라이트 독일어 | |
현대 히브리어 | |
팔렘방어 | |
응코어 | 응코 문자 표기를 기반으로 한 만딩 제어의 코이네 형태 |
대안다만어 코이네 | 아카제루어를 기반으로 아카코라어, 아카보어, 아카차리어가 합쳐져 형성된 코이네 |
샤먼 호키엔과 타이완 호키엔 | 취안저우와 장저우의 방언을 바탕으로 형성된 호키엔어(민난어 취안장 방언)의 사실상의 표준 형태이다. |
명청관화 | 명나라와 청나라의 궁중에서 사용된 행정 언어로 여러 북부 관화 방언으로 이루어졌으며 이후 현대 중국어 관화로 발전하였다. |
4. 코이네화 과정
Kerswill은 20세기 중반 하르당에르피오르의 쇠르피오르드 지류 꼭대기에 건설된 제련소 주변의 두 마을에서 나타난 노르웨이어 방언을 조사했다. 오다와 티세달 두 마을은 모두 노르웨이의 여러 지역에서 이주민을 끌어모았는데, 오다의 노동자는 주로 (86%) 서부 노르웨이에서 왔고, 티세달에서는 약 3분의 1만이 서부 노르웨이에서, 다른 3분의 1은 동부 노르웨이에서, 나머지 3분의 1은 다른 지역에서 왔다. 따라서 두 마을에서 진화한 방언은 서로 매우 달랐다.[10]
4. 1. 혼합 (Mixing)
피터 트루질은 메스트리(Mesthrie)가 적응 기간이라고 부르는 기간 동안 혼합, 평준화, 단순화의 세 가지 과정이 진행된다고 보았다. 평준화와 단순화 과정은 기여 방언의 상대적 위신, 새로운 방언이 발달하는 사회 정치적 맥락, 그리고 적응 과정에 참여하는 개인의 네트워크를 포함한 광범위한 요인에 달려 있다. 또한 트루질과 메스트리는 기여 방언에서 유지된 특징이 새로운 방언 내에서 새로운 의미나 기능을 갖게 되는 재할당 과정에 대해서도 언급한다.[11]트루질은 코이네의 발달에 대한 여러 세대에 걸친 모델을 제시한다. 첫 번째 (이민자) 세대 동안 기여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들이 섞이고, 어느 정도의 평준화가 이루어진다. 태어난 첫 번째 세대의 화자는 평준화 과정을 계속한다. 그러나 트루질이 문서화할 수 있었던 사례 (예: 티세달 및 오다 노르웨이어 방언의 첫 번째 세대 화자)에서 해당 세대의 말하기는 화자 간의, 그리고 개별 화자의 레퍼토리 모두에서 특징적인 형태의 사용에 상당한 변동성을 여전히 반영했다.
변동에 집중하고 방언을 안정시키는 것은 세 번째 세대이다. 트루질은 집중이 태어난 첫 번째 세대 화자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네 번째 또는 심지어 더 늦은 세대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경우도 인정한다. 트루질은 형태의 이질성으로 특징지어지는 방언의 부상 상태를 '방언간 언어'라고 부르며, 다른 방언 연구에서는 흔히 간언어라고 부른다.[12]
4. 2. 평준화 (Levelling)
평준화(Levelling영어)는 특정 방언의 두드러진 특징이 사라지고, 여러 방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강화되는 과정이다.[11]피터 트루질은 혼합, 평준화, 단순화의 세 가지 과정이 진행된다고 보았다. 평준화와 단순화 과정은 기여 방언의 상대적 위신, 새로운 방언이 발달하는 사회 정치적 맥락, 그리고 적응 과정에 참여하는 개인의 네트워크를 포함한 광범위한 요인에 달려 있다. 또한 트루질과 메스트리는 기여 방언에서 유지된 특징이 새로운 방언 내에서 새로운 의미나 기능을 갖게 되는 재할당 과정에 대해서도 언급한다.[11]
트루질은 코이네의 발달에 대한 여러 세대에 걸친 모델을 제시한다. 첫 번째 (이민자) 세대 동안 기여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들이 섞이고, 어느 정도의 평준화가 이루어진다. 태어난 첫 번째 세대의 화자는 평준화 과정을 계속한다. 그러나 트루질이 문서화할 수 있었던 사례 (예: 티세달 및 오다 노르웨이어 방언의 첫 번째 세대 화자)에서 해당 세대의 말하기는 화자 간의, 그리고 개별 화자의 레퍼토리 모두에서 특징적인 형태의 사용에서 상당한 변동성을 여전히 반영했다.[12]
변동에 집중하고 방언을 안정시키는 것은 세 번째 세대이다. 트루질은 집중이 태어난 첫 번째 세대 화자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네 번째 또는 심지어 더 늦은 세대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경우도 인정한다. 트루질은 형태의 이질성으로 특징지어지는 방언의 부상 상태를 '방언간 언어'라고 부른다.[12]
4. 3. 단순화 (Simplification)
피터 트루질은 메스트리(Mesthrie)가 적응 기간이라고 부르는 기간 동안 혼합, 평준화, 단순화의 세 가지 과정이 진행된다고 보았다. 평준화와 단순화 과정은 기여 방언의 상대적 위신, 새로운 방언이 발달하는 사회 정치적 맥락, 그리고 적응 과정에 참여하는 개인의 네트워크를 포함한 광범위한 요인에 달려 있다.[11] 트루질과 메스트리는 기여 방언에서 유지된 특징이 새로운 방언 내에서 새로운 의미나 기능을 갖게 되는 재할당 과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11]4. 4. 재할당 (Reallocation)
Kerswill영어은 20세기 중반 하르당에르피오르의 쇠르피오르드 지류 맨 위에 건설된 제련소 주변의 두 마을에서 나타난 노르웨이어 방언을 조사했다. 오다와 티세달 두 마을은 모두 노르웨이의 여러 지역에서 이주민을 끌어모았는데, 이 두 마을에서 진화한 방언은 서로 매우 달랐다.[10]피터 트루질은 Mesthrie영어가 적응 기간이라고 부르는 기간 동안 혼합, 평준화, 단순화의 세 가지 과정이 진행된다고 보았다. 또한 트루질과 Mesthrie영어는 기여 방언에서 유지된 특징이 새로운 방언 내에서 새로운 의미나 기능을 갖게 되는 재할당 과정에 대해서도 언급한다.[11]
4. 5. 트루질의 코이네 발달 모델
피터 트루질(Peter Trudgill)은 코이네의 발달 단계를 여러 세대에 걸친 모델로 제시했다.[12]
트루질은 형태의 이질성으로 특징지어지는 방언의 부상 상태를 ''방언간 언어''라고 부르며, 다른 방언 연구에서는 흔히 간언어라고 부른다.[12]
5. 코이네 방언 및 코이네 언어 예시
코이네화는 특정 방언뿐만 아니라, 여러 언어가 혼합되어 새로운 언어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나타난다.
5. 1. 코이네 방언
- 오스트레일리아 영어는 18세기 코크니 영어와 아일랜드 영어가 혼합되어 처음 등장했으며, 19세기에 어느 정도 표준 발음의 영향을 받았다.[13]
- 중앙아시아 한국어(고려말)는 육진 방언과 여러 동북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14]
- 아시리아 신아람어 이라크 코이네는 수레트어의 한 종류로, 터키와 북부 이라크의 다양한 산악 방언(예: 티아리, 질루, 노치야)을 기반으로 하며, 표준 우르미아 방언(이란)의 영향을 받았다. 쉽게 말해, 이 방언은 산악 지역의 억양이 강한 "하층 계급" (티아리)과 우르미아의 권위 있는 "상류층" 방언 사이의 타협이다. ''이라크 코이네''는 아시리아인들이 이주해 온 이라크의 도시 지역 (바그다드, 바스라, 하바니야, 키르쿠크)에서 발전했다.[15]
5. 2. 코이네 언어
코이네 그리스어는 기원전 4세기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활동으로 그리스어 사용이 확장되면서 태동하였으며 지중해 많은 지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방언 평준화를 거쳤다. 이후 비잔틴 제국의 중세 그리스어로 발전하였다.[16]언어 | 설명 |
---|---|
피지 힌디어 | - |
카리브 힌두스탄어 | - |
덴마크-노르웨이어 | 노르웨이의 문어형인 보크몰의 기반이 된 덴마크어의 노르웨이 지역 방언 |
후터라이트 독일어 | - |
현대 히브리어 | - |
팔렘방어 | - |
응코어 | 응코 문자 표기를 기반으로 한 만딩 제어의 코이네 형태 |
대안다만어 코이네 | 아카제루어를 기반으로 아카코라어, 아카보어, 아카차리어가 합쳐져 형성된 코이네 |
샤먼 호키엔과 타이완 호키엔 | 취안저우와 장저우의 방언을 바탕으로 형성된 호키엔어(민난어 취안장 방언)의 사실상의 표준 형태 |
명청관화 | 명나라와 청나라의 궁중에서 사용된 행정 언어로 여러 북부 관화 방언으로 이루어졌으며 이후 현대 중국어 관화로 발전 |
6. 한국어와 코이네화
(이전 출력이 원본 소스 부족으로 빈칸이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을 그대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서적
Creolization and Contact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
서적
Creative Evolution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014-04-20
[3]
문서
Siegel, 1985, p.358; Bubenik, 1993, Dialect contact and koineization: the case of Hellenistic Greek.
[4]
문서
Thomson, 1960, p.34, quoted in Siegel, 1985, p.358
[5]
서적
The Greek language
Cambridge: W. Heffer & Sons
[6]
서적
Sociolinguistic patterns
Philadelphia: Pennsylvania University Press
[7]
서적
Linguistic variation and change
Oxford: Blackwell
[8]
서적
Explaining language change: An evolutionary approach
Harlow: Longman
[9]
문서
McWhorter (1998)
[10]
문서
Arends, Muysken & Smith (1995)
[11]
웹사이트
Creole and pidgin language structure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 Abstracts
http://www.eva.mpg.d[...]
[12]
문서
Wardhaugh (2002:56–57)
[13]
간행물
Koineization and accommodation
Oxford: Blackwell
[14]
논문
Data and Ressarches for Korean dialect in Central Asia
http://s-space.snu.a[...]
[15]
서적
The Sound System of Modern Assyrian (Neo-Aramaic)
Weisbaden, Harrassowitz
[16]
논문
A brief history of Mandarin
[17]
문서
Weinreich (1953)
[18]
문서
Singler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