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 케드커하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 케드커하크는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최고 왕으로, 여러 전승 문학에서 그의 생애와 통치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즉위 과정에서 타라 언덕의 리아 파일이 울부짖는 등 초자연적인 징후를 보였으며, '배일 인 스칼' 사가에서는 주권의 여신과의 만남을 통해 그의 통치에 대한 예언을 받는다. 그의 통치 기간은 먼스터의 왕 무그 누아다트와의 전쟁으로 점철되었으며, 아일랜드를 분할 통치하기도 했다. 콘은 티프라이테 티레흐에게 살해되었으며, 그의 아들 아르트 막 쿤이 그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 신화 (열왕 대계) - 코르막 막 아르트
    코르막 막 아르트는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인물로, 늑대에게 길러진 후 왕위를 차지하고 법률을 편찬했으며, 40년간 통치하다 연어 가시에 걸려 사망했다.
  • 아일랜드 신화 (열왕 대계) - 아단 막 가브란
    아단 막 가브란은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 달 리어타 왕국을 통치한 왕으로, 주변 민족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603년 데그사스탄 전투 패배를 겪었으며, 성 콜룸바로부터 왕으로 서품을 받은 최초의 대관식 사례로 여겨진다.
  • 아일랜드 신화 (피어너 대계) - 코르막 막 아르트
    코르막 막 아르트는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인물로, 늑대에게 길러진 후 왕위를 차지하고 법률을 편찬했으며, 40년간 통치하다 연어 가시에 걸려 사망했다.
  • 아일랜드 신화 (피어너 대계) - 오시안
    오시안은 제임스 맥퍼슨이 번역, 발표했다고 주장한 고대 스코틀랜드 영웅 오시안의 서사시로, 켈트 문학 부흥과 낭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나 진위성 논란이 있으며 맥퍼슨의 창작 부분이 상당한 것으로 평가받지만 유럽 문화와 예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아르드리 - 코르막 막 아르트
    코르막 막 아르트는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인물로, 늑대에게 길러진 후 왕위를 차지하고 법률을 편찬했으며, 40년간 통치하다 연어 가시에 걸려 사망했다.
  • 아르드리 - 에레원
    에레원은 아일랜드 신화에서 밀레시안의 지도자로서 아일랜드 침공을 이끌고 투아하 데 다난을 물리친 후 아일랜드의 최고 왕이 되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으며, 그의 후손인 헤레모니안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문장학에 상징인 붉은 사자를 남겼다.
콘 케드커하크
기본 정보
이름콘 케드커하크
로마자 표기Kon Kedkeohakeu
아일랜드어 표기Conn Cétchathach
아일랜드어 발음[kɒn ˈkeːdxəθax]
통치 정보
직책에린의 지고왕
재위 기간AFM 기원후 122년 ~ 157년
전임자카하르 모르
후임자코나러 콤

2. 전승 문학

콘 케드커하크에 관한 이야기는 여러 문헌에서 전해져 내려온다.

사대 명인 연대기에 따르면 콘이 태어난 밤, 이전에 보이지 않던 타라로 가는 다섯 개의 길이 발견되었다고 한다.[1] 레보르 가발라 에렌에 따르면 콘은 전임 왕 카헤르 모르를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2] 다른 자료에서는 콘의 전임 왕이 다레 도임테흐라고도 한다.[3] 정당한 왕이 그 위에 서면 울부짖는다고 알려진 타라의 대관식 돌인 리아 파일은 쿠 훌린이 루가이드 리아브 너그를 위해 울부짖지 않자 칼로 쪼갠 이후 콘 아래에서 처음으로 울부짖었다.[4]

"환영의 황홀경"이라는 뜻의 배일 인 스칼 사가에서는 콘이 타라의 성벽을 걷다가 실수로 돌을 밟는 장면이 나온다. 이 돌은 쿠 훌린 시대 이후 사라져 반쯤 묻혀 있었다. 한 드루이드가 나타나 돌의 의미를 설명하는데, 돌이 낸 울음소리의 횟수가 콘의 뒤를 이을 왕들의 수라고 말한다. 그러나 드루이드는 왕들의 이름을 말하지는 않는다. 마법의 안개가 피어오르고, 기마병이 나타나 콘에게 세 개의 창을 던진 후 콘과 드루이드에게 금빛 나무 옆 평원에 있는 자신의 집으로 따라오라고 한다. 그들은 금관을 쓴 여인의 환영을 받는다. 먼저 그들은 금 테두리로 묶인 붉은 에일이 가득 찬 은색 통과 금잔, 국자를 본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왕좌에 앉은 키 크고 아름다운 남자를 본다. 그 여자는 아일랜드의 주권을 상징하며, 콘에게 약 7.3m 길이의 소 갈비와 돼지 갈비로 구성된 식사를 제공한다. 그녀가 음료를 따를 때 "이 잔은 누구에게 주어져야 하는가?"라고 묻자, 루는 콘에게 그가 얼마나 오랫동안 통치할지, 그리고 그를 따를 왕들의 이름을 알려주는 시를 읊는다. 그런 다음 그들은 루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고 집은 사라지지만 잔과 국자는 남는다.[5][6][7]

더 오래된 텍스트인 ''배일 쿠인 케트카타이히''(Baile Chuinn Cétchathaigh, "백 전투의 콘의 황홀경")는 왕들의 목록을 시 형식으로 제공한다. 이 목록의 왕들 중 다수는 전통적인 아일랜드의 역대 최고 군주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서사적인 내용은 없다.[8]

2. 1. 초기 생애와 즉위

사대 명인 연대기(The ''Annals of the Four Masters'')에 따르면 콘이 태어난 밤, 이전에 보이지 않던 타라로 가는 다섯 개의 길이 발견되었다고 한다.[1] 레보르 가발라 에렌(The ''Lebor Gabála Érenn'')에 따르면, 콘은 전임 왕 카헤르 모르(Cathair Mór)를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2] 다른 자료에서는 콘의 전임 왕이 다레 도임테흐(Dáire Doimthech)라고도 한다.[3] 정당한 왕이 그 위에 서면 울부짖는다고 알려진 타라의 대관식 돌인 리아 파일(The ''Lia Fáil'')은 쿠 훌린(Cúchulainn)이 루가이드 리아브 너그(Lugaid Riab nDerg)를 위해 울부짖지 않자 칼로 쪼갠 이후 콘 아래에서 처음으로 울부짖었다.[4]

배일 인 스칼(Baile in Scáil, "환영의 황홀경")이라는 사가에서 콘은 타라의 성벽을 걷다가 실수로 돌을 밟는다. 이는 쿠 훌린 시대 이후 돌이 사라져 반쯤 묻혔음을 뜻한다. 한 드루이드(druid)가 나타나 돌의 의미를 설명하는데, 돌이 낸 울음소리의 횟수가 콘의 뒤를 이을 왕들의 수라고 말한다. 그러나 드루이드는 왕들의 이름을 말하지는 않는다. 마법의 안개가 피어오르고, 기마병이 나타나 콘에게 세 개의 창을 던진 후 콘과 드루이드에게 금빛 나무 옆 평원에 있는 자신의 집으로 따라오라고 한다. 그들은 금관을 쓴 여인의 환영을 받는다. 먼저 그들은 금 테두리로 묶인 붉은 에일이 가득 찬 은색 통과 금잔, 국자를 본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Lugh)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왕좌에 앉은 키 크고 아름다운 남자를 본다. 그 여자는 아일랜드의 주권을 상징하며, 콘에게 약 7.3m 길이의 소 갈비와 돼지 갈비로 구성된 식사를 제공한다. 그녀가 음료를 따를 때 "이 잔은 누구에게 주어져야 하는가?"라고 묻자, 루는 콘에게 그가 얼마나 오랫동안 통치할지, 그리고 그를 따를 왕들의 이름을 알려주는 시를 읊는다. 그런 다음 그들은 루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고 집은 사라지지만 잔과 국자는 남는다.[5][6][7]

더 오래된 텍스트인 ''배일 쿠인 케트카타이히''(Baile Chuinn Cétchathaigh, "백 전투의 콘의 황홀경")는 왕들의 목록을 시 형식으로 제공한다. 이 목록의 왕들 중 다수는 전통적인 아일랜드의 역대 최고 군주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서사적인 내용은 없다.[8]

2. 2. 베일 인 스칼

배일 인 스칼(Baile in Scáil) ("환영의 황홀경") 사가에 따르면, 콘은 타라의 성벽을 걷다가 실수로 돌을 밟았다. 이 돌은 쿠 훌린 시대 이후로 사라져 반쯤 묻혀 있었다.[5]드루이드는 돌의 의미를 설명하며, 돌이 낸 울음소리의 횟수가 콘을 따를 왕들의 수라고 말했지만, 그들의 이름을 말할 사람은 아니라고 한다. 마법의 안개가 일어나고, 기마병이 다가와 콘을 향해 세 개의 창을 던진 다음 그와 드루이드에게 금빛 나무 옆 평원에 있는 자신의 집을 따라오라고 요청한다. 그들은 들어가 금관을 쓴 여인의 환영을 받는다. 먼저 그들은 금 테두리로 묶인 붉은 에일로 가득 찬 은색 통과 금잔과 국자를 본다. 그러고 나서 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왕좌에 앉은 키 크고 아름다운 남자 유령을 본다.[5]

그 여자는 아일랜드의 주권을 상징하며, 콘에게 약 7.32m 길이의 소 갈비와 돼지 갈비로 구성된 식사를 제공한다. 그녀가 음료를 제공할 때 "이 잔은 누구에게 주어져야 하는가?"라고 묻자, 루는 콘에게 그가 얼마나 오랫동안 통치할지, 그리고 그를 따를 왕들의 이름을 알려주는 시를 읊는다. 그런 다음 그들은 루의 그림자에 들어가고 집은 사라지지만 잔과 국자는 남아있다.[6][7]

2. 3. 치세

콘 케드커하크는 『레보르 가발라 에렌』의 다양한 판본에 따르면 20년, 25년, 35년, 심지어 50년 동안 아일랜드를 통치했다. 그의 통치 기간 대부분은 먼스터의 왕 무그 누아다트와의 전쟁으로 점철되었다.[9]

중세 텍스트 『마그 레나 전투』에 따르면, 무그 누아다트의 아버지 데르그티네의 아들 무그 네이트가 먼스터의 왕 코네어 코엠과 마크 니아드 막 루그다크를 추방했다. 두 왕은 콘에게 피신했고, 콘은 자신의 딸 사라이드와 사드브를 각각 그들과 결혼시켰다. 무그 네이트는 콘에게 전쟁을 걸었지만, 오팔리 주에서 벌어진 두 번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죽었다. 무그 누아다트는 아버지의 군대를 이끌고 먼스터를 거쳐 후퇴했고, 콘과 교착 상태에 빠졌으나 바다를 통해 베어 섬(아일랜드어로 ''Oileán Béarra,'' 현재 베어 아일랜드)으로 도망친 후 스페인으로 갔다. 콘은 코네어와 마크 니아드를 그들의 왕국으로 복위시키고 철수했다.[9]

9년 후, 스페인 왕의 딸과 결혼한 무그 누아다트는 반트리 만 근처에 군대를 상륙시켜 코네어와 마크 니아드가 자신의 종주권을 인정하도록 강요했다. 얼스터와 레인스터의 왕들과 함께 그는 북쪽 마그 나이로 진격하여 콘에게 조약을 맺도록 강요했다. 이 조약으로 아일랜드는 둘로 나뉘었는데, 콘은 북쪽(레트 쿠인, "콘의 절반")을, 무그 누아다트는 남쪽(레트 모가, "무그의 절반")을 통치하게 되었으며, 국경은 서쪽 골웨이에서 동쪽 더블린까지 이어졌다.[9]

15년의 평화 후, 무그 누아다트는 조약을 깨고 얼스터와 레인스터의 왕들과 함께 콘에게 전쟁을 선포했다. 그는 군대를 이끌고 오팔리 주 툴라모어 근처의 마그 레나로 진격했다. 콘은 코나흐트로 후퇴하여 군대를 모은 후 미스를 얼스터 왕으로부터 되찾았다. 그 후 그는 남쪽 마그 레나로 진격하여 밤에 기습 공격을 감행, 무그 누아다트의 야영지를 파괴하고 그의 군대를 전멸시켰다. 무그 누아다트는 전투에서 죽었고, 콘은 아일랜드 전체의 왕이 되었다.[9]

케이팅은 이 이야기를 다르게 전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무그 누아다트는 레인스터 왕의 군대를 얻어 먼스터의 왕들(루가이드 알라타흐, 다이레 도른모르, 아옹구스)을 추방했다. 아옹구스는 콘에게 피신했고, 콘은 그에게 왕국을 되찾을 군대를 주었다. 그러나 무그 누아다트는 콘의 아홉 번에 걸친 먼스터 탈환 시도를 모두 물리쳤고, 결국 콘은 그와 아일랜드를 나누는 조약을 맺게 되었다. 적대 행위가 재개되었을 때, 콘과 무그 누아다트의 군대는 마그 레나에서 전투를 벌였지만, 콘은 이른 아침 공격으로 무그 누아다트를 그의 침대에서 살해했다.[10]

중세 자료에 따르면, 영웅 피온 막 쿠마일은 콘의 시대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쿠말은 콘의 부하 전사였으며, 타드그 막 누아다트의 드루이드 무이르네의 구혼자였다. 그러나 타드그는 쿠말의 구혼을 거절했고, 쿠말은 무이르네를 납치했다. 콘은 쿠말에게 전쟁을 선포했고, 쿠말은 골 막 모르나에 의해 크누차 전투에서 죽었다. 무이르네는 이미 임신한 상태였고, 타드그는 그녀를 불태워 죽이라고 명령했다. 무이르네는 콘에게 피신했고, 콘은 그녀를 쿠말의 매형인 피아칼 막 콘친의 보호 아래 두었다. 피아칼의 집에서 무이르네는 아들 데임네를 낳았고, 데임네는 나중에 피온으로 개명되었다.[11] 피온은 열 살이 되었을 때 타라로 와서 콘을 섬겼다. 그는 매년 사윈에 괴물 알렌이 타라의 모든 사람을 음악으로 잠들게 하고 불타는 숨결로 궁전을 불태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피온은 창의 머리를 이마에 대고 깨어 있는 방법으로 알렌의 불길을 마법 망토로 막아 알렌을 죽였고, 콘은 그를 골 대신 피아나의 수장으로 임명했다.[12]

2. 4. 피온 막 쿠마일

콘 케드커하크 시대에 영웅 피온 막 쿠마일이 태어났다. 피온의 아버지 쿠말은 콘의 부하 전사였고, 타드그 막 누아다트의 드루이드 무이르네에게 구혼했으나 거절당했다. 쿠말은 무이르네를 납치했고, 콘은 그에게 전쟁을 선포했다. 쿠말은 골 막 모르나와의 크누차 전투에서 전사했지만, 무이르네는 이미 임신 중이었다. 타드그는 무이르네를 불태우려 했으나, 그녀는 콘에게 도망쳤고, 콘은 그녀를 쿠말의 매형 피아칼 막 콘친에게 맡겼다. 피아칼의 집에서 무이르네는 아들 데임네(후에 피온으로 개명)를 낳았다.[11]

열 살이 된 피온은 타라로 와 콘을 섬겼다. 그는 매년 사윈에 괴물 알렌이 타라 사람들을 음악으로 잠재우고 궁궐을 불태운다는 것을 알았다. 피온은 창을 이마에 대고 깨어있었고, 마법 망토로 알렌의 불을 막아 그를 죽였다. 콘은 피온을 피아나의 수장으로 임명했다.[12]

2. 5. 가족

콘에게는 두 아들, 콘라와 아트가 있었다. 콘라는 마그 멜에서 온 요정 여성과 사랑에 빠져 그녀의 수정 배를 타고 그녀가 사는 다른 세상으로 떠났고, 아트만 홀로 남겨졌다. 그 후 아트는 '오엔페르'(Oenfher) – "고독한" 또는 "외로운"으로 알려졌다.[13] 콘라의 이야기는 ''에흐트라 콘들라''에 실려 있다.

콘의 아내 에이흐네 타에브호타[14]가 죽은 후, 투아하 데 다난에 의해 아일랜드로 추방된 또 다른 요정 여성 베 쿠일레는 멀리서 아트를 사랑하게 되었다. 베 쿠일레는 코라크를 타고 아트를 찾아 나섰지만, 콘을 만나 그에게 아내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자, 아트가 1년 동안 타라에서 추방되는 조건으로 그와 결혼하는 데 동의했다. 아일랜드의 남자들은 이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했고, 그 해 아일랜드는 척박해졌다. 드루이드들은 이것이 베 쿠일레의 잘못임을 알아내고, 타라 앞에서 죄 없는 부부의 아들을 희생하면 기근을 끝낼 수 있다고 선언했다. 콘은 베 쿠일레의 코라크를 타고 이 아이를 찾아 나섰다. 그는 사과 나무가 있는 이상한 섬에 도착했다. 그 섬의 여왕에게는 단 한 번의 성관계로 낳은 어린 아들이 있었다. 콘은 그녀에게 그 소년이 아일랜드 물에서 목욕하면 아일랜드가 구원받을 것이라고 말했고, 그녀는 동의했다. 그는 그를 아일랜드로 데려갔지만, 드루이드들이 그의 죽음을 요구했을 때, 그와 아트, 그리고 핀 막 쿰할은 그를 보호하겠다고 맹세했다. 바로 그때, 두 개의 자루를 든 소를 몰고 가는 여자가 다가왔고, 그 소는 아이 대신 희생되었다. 자루가 열렸다. 하나에는 다리가 하나인 새가, 다른 하나에는 다리가 열두 개인 새가 들어 있었다. 두 새가 싸웠고, 다리가 하나인 새가 이겼다. 그 여자는 다리가 열두 개인 새는 드루이드를, 다리가 하나인 새는 그 소년을 나타낸다고 말했고, 자신이 그의 어머니임을 밝혔다. 그녀는 콘에게 베 쿠일레를 내쫓으면 기근이 끝날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는 거절했다. 베 쿠일레는 나중에 그녀와 아트가 ''피드켈'' 게임을 두고 서로에게 가한 일련의 도전의 결과로 타라에서 추방되었다.[15]

2. 6. 죽음

콘은 결국 울라드의 왕 티프라이테 티레흐에게 살해되었다. 루아이드리 오 플라히브헤르타이흐는 그의 저서 'Ogygia: seu Rerum Hibernicarum Chronologia'(1685)에서 이 사건이 10월 20일 화요일에 일어났다고 기록했다.[16]

''레보르 가발라'',[17] 바일 인 스카일,[18] 질라 코에만[Gilla Cóemáin]의 시 "Annalad annall uile",[19] 플란드 마이니스트레흐의 시 "Rig Themra dia tesband tnú"[20]는 레인스터의 서와 ''연대기''에 실려있으며,[21][22][23][24][25] 모두 티프라이테가 투아스 암로이스에서 전투 중 콘을 물리쳤다고 전한다.

키팅[26]과 레이칸 대서[27]는 티프라이테가 에마인 마하에서 여자 옷을 입은 50명의 전사를 타라로 보내 콘을 죽였다고 기록한다. "코르마크의 검에 대한 결정"에서는 콘이 한때 쿠 쿨라인의 것이었던 검에 살해되었다고 한다.[28] "카 마이게 레나"는 콘이 살해된 언덕의 이름이 드루임 투이르레임이라고 명시하고 있다.[29]

콘의 사위인 코나이레 코엠이 최고 왕위를 이었고, 콘의 아들 아르트가 나중에 코나이레 코엠의 뒤를 이었다. ''레보르 가발라''는 콘의 통치를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61–180)의 통치와 일치시킨다. 제프리 키팅의 ''Foras Feasa ar Éirinn''의 연대기는 콘의 통치를 116–136년으로, ''4인의 대가 연대기''는 122–157년으로 기록한다.

3. 가계도

투아할 테흐트마르
colspan="15" |
페들리미드 레흐트마르카하르 모르
colspan="7" |colspan="8" |
콘 케드커하크에이르네 타브포타
메드 레스데르그아트 맥 쿠인아크탄콘라마크니아 막 루다크사브알릴 아울롬사루이트코나르 코엠
colspan="7" |colspan="4" |colspan="2" |colspan="2" |
코르마크 막 아르트루가이드 막 콘에오간 모르코르마크 카스
colspan="15" |
코나크타오닐 가문colspan="3" |오마인 가문아르기엘라에오가나크타달 카이스


참조

[1] 간행물 Annals of the Four Masters http://www.ucc.ie/ce[...]
[2] 서적 Lebor Gabála Érenn: The Book of the Taking of Ireland Part V Irish Texts Society 1956
[3] 웹사이트 Scéla Mosauluim http://www.hastings.[...] 2021-12-03
[4] 웹사이트 Lebor Gabála Érenn http://www.maryjones[...] 2021-12-03
[5] 웹사이트 Baile in Scáil': the Phantom's Frenzy http://www.ancientte[...] Oxford University Press 1946
[6] 웹사이트 Cycles of the Kings Web Project http://www.hastings.[...]
[7] 웹사이트 Baile in Scáil https://celt.ucc.ie/[...] CELT corpus 1901
[8] 웹사이트 Baile Chuinn Cétchathaigh http://www.hastings.[...]
[9] 서적 Cath Mhuighe Léana, or The Battle of Magh Leana https://books.google[...] The Celtic Society 1855
[10] 간행물 Foras Feasa ar Éirinn http://www.ucc.ie/ce[...]
[11] 웹사이트 The Cause of the Battle of Cnucha http://www.maryjones[...] Henry Holt & Co 1936
[12] 간행물 The Colloquy with the Ancients http://www.yorku.ca/[...] In Parentheses Publications
[13] 웹사이트 The Adventures of Connla the Fair http://www.maryjones[...] 1936
[14] 웹사이트 "Eithne Tháebfhota on Oxford Index" http://oxfordindex.o[...] 2021-12-03
[15] 웹사이트 The Adventures of Art son of Conn http://www.maryjones[...] 1936 2021-12-03
[16] 웹사이트 Ogygia : or, a chronological account of Irish events : collected from very ancient documents, faithfully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supported by the genealogical and prophane writings of the first nations of the globe http://archive.org/d[...] Dublin : printed by W. M'Kenzie 2021-12-03
[17] 웹사이트 Section IX : The Roll of the Kings : Conn Cétchathach https://archive.org/[...] 2021-12-03
[18] 웹사이트 Lectures on the manuscript materials of ancient Irish history http://archive.org/d[...] Dublin : J. Duffy 2021-12-03
[19] 웹사이트 Three Historical Poems Ascribed to Gilla Cóemáin http://elverdissen.d[...] 2021-12-03
[20] 웹사이트 Part 4 of Book of Leinster, formerly Lebar na Núachongbála https://celt.ucc.ie/[...] 2021-12-03
[21] 웹사이트 Annals of the Kingdom of Ireland by the four masters,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year 1616: Ed. From the autograph. Manuscript with a transl. And copious notes by John O'Donovan https://books.google[...]
[22] 웹사이트 The Annals of Tigernach https://archive.org/[...] 2021-12-03
[23] 서적 The Annals of Ulster (To A.D. 1131): Text and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24] 웹사이트 Revue celtique http://archive.org/d[...] 2021-12-03
[25] 학술지 A facsimile edition of the Annals of Roscrea https://www.academia[...] 2021-12-03
[26] 웹사이트 Part 50 of The History of Ireland https://celt.ucc.ie/[...] 2021-12-03
[27] 웹사이트 Zeitschrift für celtische Philologie http://archive.org/d[...] Tü¿bingen : Max Niemeyer Verlag 2021-12-03
[28] 웹사이트 Irische Texte : mit ersetzungen und Wterbuch http://archive.org/d[...] Leipzig : S. Hirzel 2021-12-03
[29] 웹사이트 Cath Maighe Léna https://celt.ucc.ie/[...] 2021-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