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콴청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콴청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창춘시에 위치한 구이다. 1898년 러시아가 하얼빈에서 뤼순까지 철도를 건설하면서 창춘 최초의 철도역이 콴청에 설치되었다. 콴청은 청나라 시대 장춘청으로 시작하여, 러시아와 일본의 영향 아래 놓였고, 만주국 시기를 거쳐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에 이르러 현재의 행정 구역으로 정비되었다. 현재 13개의 가도, 2개의 진, 1개의 향을 관할하며, 징하선, 창투선, 창바이선, 창춘-훈춘 고속철도, 창춘 지하철 노선과 고속도로, 국도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춘시의 행정 구역 - 난관구
    난관구는 중국 지린성 창춘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구로, 12개의 가도, 3개의 진, 2개의 향을 관할하며 창춘 궤도교통의 요충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창춘시의 행정 구역 - 눙안현
    눙안현은 중국 지린성 창춘시에 속한 현으로, 부여의 옛 수도이자 요나라의 황룡부가 설치되었던 역사적인 지역이며 현재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 지린성의 시할구 - 둥창구
    둥창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퉁화시에 위치한 구로, 7개의 가도, 1개의 진, 2개의 향을 관할하며 철도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이 연결되어 있다.
  • 지린성의 시할구 - 닝장구
    닝장구는 중국 지린성 쑹위안 시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와 민족의 교류지였으며 농업을 기반으로 쌀, 옥수수 등을 재배하고 차간호 관광 개발구를 비롯한 다양한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콴청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위치지린성 창춘시
면적877km2
인구 (2010년)680,631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우편 번호130051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이미지
구 만주국 황궁・緝煕楼
창춘시 중의 콴청구의 위치
행정 구역
행정 구역 종류
소속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소속 성지린성
소속 지급시창춘시
행정 구역 코드220103

2. 역사

콴청구의 역사는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청나라, 러시아, 일본, 만주국, 중화민국, 그리고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가와 시대의 영향을 받았다.

하위 섹션에서 시대별 자세한 역사를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각 시대별 주요 변화를 간략하게 요약한다.


  • 청나라 시대: 1800년 장춘청 설치를 시작으로, 1860년 연해주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고 동청철도가 건설되면서 콴청 지역에 철도역이 설치되고 러시아인 지구가 형성되었다.
  • 러시아와 일본의 영향: 1898년 러시아의 중국동청철도 건설로 콴청에 창춘 최초의 철도역이 들어섰다. 러일 전쟁 이후 러시아와 일본이 콴청역과 창춘역을 각각 관리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 만주국 시대: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일본의 영향력 아래 만주국이 성립되면서 콴청구는 신징시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었다.
  •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45년 일본 패전 후 중화민국을 거쳐 1948년 중국 공산당이 장악하면서 콴청구는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1957년 콴청구와 두다오거우구가 합병되어 현재의 콴청구가 되었다.

2. 1. 청나라 시대

1898년 5월, 러시아가 하얼빈에서 뤼순까지 철도(중국동청철도)를 건설하면서 콴청은 창춘 최초의 철도역이 있는 곳이 되었다.[4]

러일 전쟁으로 이 지선의 최남단 부분을 러시아가 잃은 후, 콴청역(당시 철자법으로는 Kuanchengtze)은 이 지선에서 마지막 러시아 역이 되었다. 남쪽으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는 새로운 "일본" 창춘역은 더 남쪽 뤼순까지 이어지는 모든 철도를 소유하게 된 남만주철도의 첫 번째 역이 되었다. 1907년의 특별한 러일 협정은 "러시아" 콴청역에서 "일본" 창춘역까지, 그리고 그 반대로, "남만주철도에서 채택한 궤간"(이는 표준궤와 같았다)의 철로가 창춘역에서 콴청역까지 계속 이어질 것을 규정했다.[4][5]

장춘 지역에 현급 행정 기구가 처음 설치된 것은 1800년(가경 5년)으로, 이 장춘보에 이사통판을 설치하여 '''장춘청'''으로 한 데서 시작한다. 그 후 1825년(도광 5년)에 청치가 관성자(현재의 난관구)로 이전되었고, 1889년(광서 15년)에는 장춘부로 승격되었으며, 1913년(중화민국 2년)에는 장춘현으로 개칭되었다. 당시 장춘현의 상인들은 장춘 대신 관성자라는 속칭을 사용했으며, 그것이 관성구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1860년(함풍 10년), 연해주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어 동청철도가 건설되면서, 그 지선이 하얼빈에서 다롄으로 부설될 때, 장춘 북서쪽의 이도구에 철도역(관성자역)이 설치되었다. 철도 개통으로 많은 러시아인들이 관성으로 이주하여 교회와 철도 클럽을 건축했으며, 일광가·이유가·삼보가라는 도로를 중심으로 5.7km2의 러시아인 지구가 형성되어 관성자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처럼 관성자로 불리는 지구가 변천하면서 "관성자의 이사"라고 현재 칭하게 되었다.

2. 2. 러시아와 일본의 영향

1898년 5월, 러시아가 하얼빈에서 뤼순까지 철도(중국동청철도)를 건설하면서 콴청은 창춘 최초의 철도역이 있는 곳이 되었다.[4]

러일 전쟁으로 이 지선의 최남단 부분을 러시아가 잃은 후, 콴청역(당시 철자법으로는 Kuanchengtze)은 이 지선에서 마지막 러시아 역이 되었다. 남쪽으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는 새로운 "일본" 창춘역은 더 남쪽 뤼순까지 이어지는 모든 철도를 소유하게 된 남만주철도의 첫 번째 역이 되었다. 1907년의 특별한 러일 협정은 "러시아" 콴청역에서 "일본" 창춘역까지, 그리고 그 반대로, "남만주철도에서 채택한 궤간"(이는 표준궤와 같았다)의 철로가 창춘역에서 콴청역까지 계속 이어질 것을 규정했다.[4][5]

2. 3. 만주국 시대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콴청 지구는 일본군 세력 하에 놓였고, 만주국이 성립되면서 신징시가 설치되었다.[3] 1937년 만철부속지가 만주국에 반환되면서 신징시에 18개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는데, 현재의 콴청구 남부는 길야구·부도구, 현재의 단산보·삼도구·상태자·소남·송가와자 지구는 합륭구, 소방신·양가분방 지구는 대둔구였다.[3] 1940년 1월, 신징시는 14개 구로 행정 정리되어 부도구는 관성구에 통합되었다.[3]

2. 4.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45년 일본의 패전과 함께 중화민국이 장춘시를 접수하면서, 콴청 지구에는 철도 북부의 콴청구, 철도 남부의 중산구, 서남부에는 종화구가 설치되었다. 1948년 공산당군이 진주하면서 장춘 특별시 정부가 성립되었고, 콴청구의 명칭은 유지되었지만 중산구는 두다오거우구로 개칭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0년 7월에 콴청구는 제6구, 두다오거우구는 제2구로 개칭되었지만, 1955년에 다시 원래 이름으로 돌아갔다. 1957년 8월, 두 구가 합병되어 새로운 콴청구가 탄생했다.

3. 행정 구역

콴청 구는 13개 가도, 2개 진, 1개 향을 관할한다.[6]

종류이름중국어 표기한국어 발음
흥룽산진흥룽산진
란자진란자진
분진 향분진 향


3. 1. 가도

콴청 구는 13개 가도, 2개 진, 1개 향을 관할한다.[6]

이름중국어 표기한국어 발음
신파 가도新发街道중국어신파 가도
승리 가도胜利街道중국어승리 가도
남광 가도南广街道중국어남광 가도
동광 가도东广街道중국어동광 가도
참전 가도站前街道중국어참전 가도
서광 가도西广街道중국어서광 가도
류영 가도柳影街道중국어류영 가도
군영 가도群英街道중국어군영 가도
개선 가도凯旋街道중국어개선 가도
흥업 가도兴业街道중국어흥업 가도
단산 가도团山街道중국어단산 가도
동안 가도东安街道중국어동안 가도
장통 가도长通街道중국어장통 가도


3. 2. 진


  • 흥룽산진()
  • 란자진()[6]

3. 3. 향

분진 향

4. 교통

장춘역


콴청구에는 중국 국가 철로 집단의 징하선, 창투선, 창바이선, 창춘-훈춘 고속철도가 지나가며, 창춘역이 있다.

창춘 궤도 교통의 노선은 다음과 같다.

  • 1호선: (인민 광장 방면) - 승리 공원역 - 창춘역 북역 - 이광가 역 - 칭펑루 역 - 북환성로 역
  • 3호선: 창춘역 - 랴오닝루 역 - 푸룽차오 역 - (해방교 방면)
  • 4호선: 창춘역 북역 - 북아태대가 역 - 위만 황궁 역 - (지린 대로 방면)
  • 8호선: 북환성로 역 - 123중학교 역 - 샤오난 역 - 샤오청쯔가 역 - 북호대교 역 - 북호공원 역 - 화안가 역 - 광지루 역 - 대학성로 역 - 지리소 역 - 올림픽 공원 역 - 광퉁루 역


콴청구를 지나는 고속도로와 국도는 다음과 같다.

  • 고속도로
  • 징하 고속도로(--)
  • 훈우 고속도로(--)
  • 창춘 링 고속도로(--)
  • 국도
  • G102 국도
  • G302 국도

4. 1. 철도

중국 국가 철로 집단

  • 징하선, 창투선, 창바이선, 창춘-훈춘 고속철도
  • * 창춘역

창춘 궤도 교통

  • 1호선: (인민 광장 방면) - 승리 공원역 - 창춘역 북역 - 이광가 역 - 칭펑루 역 - 북환성로 역
  • 3호선: 창춘역 - 랴오닝루 역 - 푸룽차오 역 - (해방교 방면)
  • 4호선: 창춘역 북역 - 북아태대가 역 - 위만 황궁 역 - (지린 대로 방면)
  • 8호선: 북환성로 역 - 123중학교 역 - 샤오난 역 - 샤오청쯔가 역 - 북호대교 역 - 북호공원 역 - 화안가 역 - 광지루 역 - 대학성로 역 - 지리소 역 - 올림픽 공원 역 - 광퉁루 역

4. 2. 도로


  • 고속도로
  • * -- 징하 고속도로
  • * -- 훈우 고속도로
  • * -- 창춘 링 고속도로
  • 국도
  • * G102 국도
  • * G302 국도

참조

[1] 간행물 Changchun Statistical Yearbook 2011 2014-07-08
[2] 간행물 2010 Census county-by-county statistics 2014-07-08
[3] 웹사이트 Kuancheng https://www.google.c[...] 2014-07-02
[4] 웹사이트 Changchun II- Le chemin de fer de Changchun http://www.cctv.com/[...]
[5] 서적 Manchuria: Treaties and Agreements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LLC
[6] 웹사이트 长春市-行政区划网 www.xzqh.org http://www.xzqh.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