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네다 울레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네다 울레딕은 5세기경 북웨일스 지역에서 활동한 인물로, 그의 이름은 "좋은 사냥개/전사"를 의미하는 고대 브리튼어에서 유래되었다. "울레딕" 칭호는 로마 귀족이나 정부와 연관된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로마령 브리타니아의 고위 관리였던 파단 베이스루드의 손자이며, 그위네드 왕국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쿠네다는 마나우 고도딘에서 북웨일스로 이동하여 아일랜드 침략자들을 방어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웨일스 왕조를 형성했다. 그의 족보는 카시벨라누스와 연결되며, 튜더 왕가 또한 그의 후손임을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브리튼인 - 머르딘 윌트
    머르딘 윌트는 초기 웨일스 시에 등장하는 칼레도니아 숲의 미치광이로, 아서 왕 전설 속 마법사 멀린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아르데러드 전투 패배 후 예언가적 면모를 보이다 웨일스 독립의 상징이 되었다.
  • 북브리튼인 - 클러드노 에이던
    클러드노 에이던은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며 마법의 말굴레를 소유하고 북부 통치자들과 연합하여 그위네드를 공격했으며, 그의 아들 키논 압 클리드노는 여러 작품에 등장하고 고대 브리튼 왕 코엘 헨의 계통을 이었다고 전해진다.
  • 5세기 웨일스의 군주 - 보티건
    보티건은 5세기 브리튼의 인물로, 앵글로색슨족의 정착을 초래한 인물이자 아서 왕 전설에서 왕으로 등장하며, 막시무스 막시무스의 딸과 결혼하여 포위스 왕가의 혈통을 이었다는 기록도 있는 등 역사와 전설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 5세기 웨일스의 군주 - 카라독
    카라독은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인물로 실존 여부에 논쟁이 있으며, 웨일스 삼인조에서는 아서 왕의 봉신으로, 프랑스 로망스에서는 원탁의 기사로 묘사되고, 특히 《카라독의 생애》에는 그의 기원과 모험, 아내의 정절을 시험하는 이야기가 담겨 용기, 지혜, 고뇌를 담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쿠네다 울레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Historia Regum Britanniae 에디션에 있는 15세기 쿠네다 삽화
Historia Regum Britanniae 에디션에 있는 15세기 쿠네다 삽화
작위귀네드 국왕
재위 기간기원후 450년경 – 460년경
이전자리 생성
이후에이니온 어르스
왕가쿠네다 왕가(귀네드)
아버지에데어른(Eternus (Edeyrn))
배우자코엘의 딸 그와울
출생386년경
출생지마나우 고도딘
사망460년 (74세)
사망지귀네드, 현재의 웨일스 또는 키드웰리의 알트 쿠네다
정보

2. 명칭

이름 ''쿠네다''는 828년의 역사서 ''브리튼인의 역사''에서는 ''쿠네다그''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공통 브리튼어 단어 ''*Cuno-dagoscel''에서 유래한 것으로 "좋은 사냥개/전사" 또는 "좋은 사냥개/전사를 거느린 자"를 의미한다.[2] 그의 칭호 "''울레딕''"은 모호하고 번역하기 어려운 별칭이다.[3] 문자 그대로는 "나라"(''gwlad'')의 라는 뜻이다.[3]

그러나 별칭으로서 ''울레딕''은 로마 계층 내의 일부 공식적이거나 주장된 지위에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 이 칭호를 가진 모든 알려진 인물들이 로마 귀족과 계보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로마 정부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용어는 로마 칭호의 번역일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4] 이 인물들은 또한 로마가 브리튼에서 철수한 후의 세기에 모두 통치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비판의 대상이 된다. 역사학자 레이첼 브롬위치는 라틴어 칭호를 웨일스어로 번역하는 것은 당시의 웨일스 지도자들에게는 드문 일이며, 그들은 일반적으로 원래의 라틴어 칭호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5] 이 용어의 진정한 의미에 관해서는 다른 경쟁적인 이론들이 있다. "''Gwledig''"이라는 단어는 통치자를 의미하는 아일랜드어 단어 "''flaith''"와 어원 동족어이다. 따라서 이 단어는 단순히 "영주" 또는 "통치자"를 의미할 수 있다.[6]

3. 초기 생애

쿠네다의 가계는 후기 로마령 브리타니아 시대에 활동했던 할아버지 파단 베이스루드로부터 시작된다.[8] 파단은 로마 제국과 연관된 인물로 여겨지며, 그의 지위는 아들 에데른(Æturnusla)을 거쳐 쿠네다에게 이어졌다.[7][26] 이러한 가문의 배경은 쿠네다가 훗날 그위네드 왕국을 세우는 기반이 되었다.[26]

3. 1. 계보

로마 황제 마그누스 막시무스가 새겨진 동전


쿠네다 가문의 역사는 후기 로마령 브리타니아 시대에 살았던 그의 할아버지 파단 베이스루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8] 파단의 이름은 문자 그대로 "붉은 튜닉" 또는 진홍색 망토를 의미하는데,[7] 이는 로마 제국 시대 로마 군대의 장교들에게 주어지던 복장의 색깔이었다. 한 전통적인 해석에 따르면, 파단은 로마-브리튼인 고위 관리였으며, 380년대 또는 그 이전에 로마 황제 마그누스 막시무스에 의해 스코틀랜드클라크매넌셔 지역에 주둔하던 보타디니 부족 군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른 해석으로는, 파단이 당시 로마 제국 국경 지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것처럼 로마 군대의 계급을 부여받은 변경 지역의 족장이었을 수도 있다. 파단 사후 스코틀랜드에서의 지휘권은 그의 아들 Æturnus|에데른la에게 넘어갔고, 이후 에데른의 아들인 쿠네다가 이를 계승하여 귀네드 왕국을 세우고 초대 왕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26]

쿠네다의 족보는 다른 많은 초기 웨일스 왕족 가문처럼, 벨리 마우르의 아들이자 카시벨라우누스 왕의 아버지인 아팔라크의 후손임을 주장한다.[8][9][10] 카시벨라우누스는 기원전 5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의 일환으로 브리튼을 침공했을 때 저항했던 철기 시대 브리튼의 역사적 인물로, 그의 이름은 갈리아 전기에 여러 차례 언급된다.[11] 그의 후계자는 쿠노벨리누스의 아버지인 타스키오바누스였다.

쿠네다와 그의 장인인 코엘 헨 (코엘 고데보그)은 모두 벨리 마우르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12][13][8] 그들의 족보 초기 버전은 현재 할리 도서관 소장 할리 계보와 예수 칼리지 필사본 20의 계보 모음집에 포함되어 있으며, 중세 초기 웨일스의 웨일스 왕조 역사에 대한 몇 안 되는 직접적인 역사적 자료 중 하나이다.[14][15] 귀네드 왕가의 시조인 쿠네다의 혈통은 그의 후손인 로드리 대왕을 거쳐 이후 아베르프라우가, 디네푸르가, 마스라팔가로 이어졌다.[26]

4. 생애

쿠네다 울레딕(Cunedda Wledigcym)은 5세기 중반 브리튼 섬 북부의 마나우 고도딘(Manaw Gododdin) 지역에서 활동한 것으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그는 로마 제국의 통치가 끝난 혼란기에 북웨일스로 이주하여 아일랜드인들의 영향을 줄이고, 훗날 귀네드 왕국으로 발전하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진다.[16] 그의 구체적인 활동 시기와 웨일스로 이동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쿠네다는 당시 에보라쿰(오늘날의 요크) 지역의 유력자였던 코엘 헨의 딸 가우얼과 혼인하여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으며, 슬하에 여러 아들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18] 이 아들들의 이름은 케레디기온이나 메이리어니드와 같은 웨일스의 옛 왕국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고도 한다. 쿠네다의 정확한 생애에 대해서는 기록이 부족하지만, 그의 증손자로 알려진 마엘군 구이네드의 활동 연대[19][20][21]를 통해 대략적인 시기를 추정하기도 한다. 쿠네다는 웨일스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4. 1. 귀네드로의 이동

고대 웨일스어 전통에 따르면, ''브리튼인의 역사'' 62절에는 쿠네다가 현대 스코틀랜드의 Falkirk 지역인 마나우 고도딘 출신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위대한 왕 마엘군이 귀네드 지역의 브리튼족 사이에서 통치하고 있었는데, 그의 조상인 쿠네다와 그의 여덟 아들이 마엘군이 통치하기 146년 전에 북쪽, 즉 마나우 고도딘이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은 대규모 살육으로 그 지역에서 스코티족을 몰아냈고, 그들은 다시 돌아와 그곳에 살지 않았다.[16]

쿠네다와 그의 조상들은 픽트족과 아일랜드의 침략에 맞서 하드리아누스 장벽 남쪽에서 보타디니를 이끌었다. 이후 쿠네다가 이끄는 보타디니 군대는 아일랜드의 침략, 특히 ''브리튼인의 역사''에 언급된 위 리아타인으로부터 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북웨일스로 이동했다. 쿠네다는 베네도티 영토인 웨일스에 정착했으며, 이 지역은 훗날 귀네드 왕국의 중심지가 된다.

로마의 하드리아누스 장벽. 쿠네다와 그의 가족이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경계의 안토니누스 장벽과 이 장벽 사이에서 보타디니를 지휘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이동의 배경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명이 제시된다. 하나는 쿠네다가 마그누스 막시무스 (또는 그의 후계자)의 명령을 받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로마 이후 시대 브리튼의 고위 왕이었던 보르티게른의 명령을 받았다는 것이다. 옥스퍼드의 계보학자 피터 바트럼은 이 이동 시기를 막시무스 설을 지지하는 370년대 후반부터 보르티게른 설을 지지하는 440년대 후반까지로 추정한다.

쿠네다가 로마의 지시를 받았다는 주장은 여러 역사가들에 의해 반박되었다. 데이비드 덤빌은 5세기에 로마 이후 브리튼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할 때 중앙 집권적 통제가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스코틀랜드에서 웨일스로 ''포에데라티''를 이주시켰다는 개념 자체를 일축한다. 막시무스는 388년에 사망했고, 콘스탄티누스 3세는 407년에 로마의 마지막 군대를 이끌고 브리튼을 떠났기 때문에, 로마가 막시무스나 다른 사절을 통해 보타디니의 군사적 이동에 상당 기간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마그누스 막시무스나 그의 후계자들이 영국의 변경 지역 통제권을 일찍이 지역 족장들에게 넘겼을 가능성도 있다. 체스터 요새가 370년대에 비워진 것을 보면, 그들에게 다른 선택지가 거의 없었을 수도 있다. 마이크 애슐리는 쿠네다가 처음 이 지역에 기지를 세운 곳이 체스터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고고학적 기록은 린 반도에 아일랜드인 정착지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4세기 말까지 로체스터까지 서쪽으로 약탈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로마군이나 동맹 브리튼군이 웨일스에서 효과적인 방어를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셰퍼드 프레어와 같은 학자들은 보타디니를 남쪽으로 이동시킨 주체가 보르티게른일 수 있다고 본다. 그는 색슨족 정착민을 초청하여 섬의 다른 지역을 보호하려 했던 인물이다.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보르티게른은 쿠네다와 그의 보타디니 병력에게 늦어도 442년까지, 즉 보르티게른의 전 색슨 동맹들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아일랜드 침략에 대응하여 웨일스로 이동하라고 지시했을 수 있다.

일부 역사가들은 쿠네다가 실제로 북웨일스로 이동한 적이 없으며, 픽트족과 싸우다 사망했고, 넨니우스의 기록은 단순히 귀네드 왕국의 정당성을 위한 선전일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넨니우스는 쿠네다가 "대규모 살육으로 아일랜드인을 몰아냈고 그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고 기록했지만, 6세기에도 남부 웨일스 왕국들과 앵글시에 아일랜드 세력이 강력하게 존재했기 때문에 이 기록이 완전히 사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4. 2. 생애와 계승

쿠네다의 장인인 코엘 헨 왕


쿠네다 개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아마도 힘과 용기가 뛰어나고, 웨일스 지역에 흩어져 있던 로마-브리튼 군대를 하나로 모으는 능력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에보라쿰(오늘날의 요크) 지역의 로마-브리튼 통치자였던 마그누스 막시무스가 임명한 왕, 코엘 헨의 딸 가우얼과 정략결혼을 했다. 이 결혼을 통해 쿠네다는 정치적 입지를 다졌으며, 슬하에 아홉 명의 아들을 두었다고 전해진다.[17][18] 초기 웨일스 왕국 중 케레디기온과 메이리어니드는 그의 아들인 케레디그 왕과 메이리온 왕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쿠네다의 증손자인 마엘군 구이네드는 역사가 길다스와 같은 시대 인물이었으며,[19][20] ''캄브리아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547년에 사망했다.[21] 하지만 초기 웨일스 족보 기록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쿠네다의 후계자 수나 신원에 대한 많은 주장은 1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족보 정보를 사실로 받아들인다면, 마엘군 구이네드의 사망 연도로부터 역산하여 쿠네다가 활동했던 시기를 5세기 중반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5. 알트 쿠네다

웨일스 남서부 카마던셔의 키드웰리 인근에는 '''알트 쿠네다'''(Allt Cunedda|알트 쿠네다cym)라고 불리는 언덕이 있다. 빅토리아 시대 골동품 수집가들이 기록한 지역 민담에 따르면, 쿠네다와 그의 아들들은 키드웰리를 침략하려 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격에 패배하여 살해되었고, 이곳 알트 쿠네다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이곳에서는 아마추어적이고 부실하게 진행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그 과정에서 고지 요새로 추정되는 로마 이전 시대의 유적과 부서진 망치 도끼 머리,[22] 그리고 여러 개의 무너진 석조 석관묘(cist)가 발견되었다. 이 석관묘들 안에서는 엄청난 체격을 가진 여러 남성의 뼈가 잘 보존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최소한 한 구의 시신은 "앉은 자세"로 안치되어 있었고, 다른 한 구는 머리에 부상을 입고 살해된 것으로 보이며 거대한 돌 "방패" 아래에 묻혀 있었다.

그러나 1851년 존 펜턴(John Fenton)의 발굴과 1930년대 존 윌리엄 왓슨 스티븐스(John William Watson Stephens)의 발굴은 알트 쿠네다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증거의 상당 부분을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다.[23] 심지어 발굴된 뼈들은 분실되었는데, 펜턴은 뼈를 런던의 한 기관으로 보냈다고 주장했으나, 스티븐스는 오랜 수색 끝에도 이 뼈들을 찾지 못했다. 이러한 과정은 당시 유물 관리 및 발굴 조사의 허술함을 보여준다.

알트 쿠네다의 고분 중 하나는 현지에서 ''뱅크 베니젤''(Banc Benisel|뱅크 베니젤cym)로 알려져 있으며, 전설적인 브리튼의 왕인 사윌 페니헬(Sawyl Penuchel)의 무덤이라는 전승이 있다. 그는 아마도 후기 철기 시대 영국 출신 인물로 추정된다. 그의 별명인 ''페니헬''(Penuchel|페니헬cym) 또는 ''벤 우헬''(Ben Uchel|벤 우헬cym)은 "높은 머리"를 의미하는데, 이는 그가 키가 컸기 때문일 수 있다. 키드웰리 역사 사이트 웨일스어로 쓰인 ''성 카독의 생애''에 따르면, 사윌 페니헬이라는 왕이 알트 쿠네다에서 궁정을 열었다고 한다. 한편, 몬머스의 제프리는 그의 저서 ''브리타니아 열왕사''(1136)에서 사무일 페네실(Samuil Penessil)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 인물은 레데키우스(Redechius)의 뒤를 잇고 피르(Pir)에 의해 계승되는 전설적인 로마 이전 시대 브리튼의 왕으로 묘사된다.[24] 이 기록들이 동일한 왕을 가리키는지, 성 카독의 이야기가 오래된 민간 기억을 반영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동명이인이거나 ''생애''의 저자가 실수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6. 직계 가족

웨일스 국기의 웨일스 용은 쿠네다의 후손인 카드왈라더 왕과 관련이 있다.

6. 1. 직계 조상



쿠네다의 가문은 후기 로마령 브리타니아 시대에 살았던 할아버지 파단 베이스루드(Patern Pesrut)까지 거슬러 올라간다.[8] 그의 이름은 문자 그대로 '붉은 튜닉' 또는 진홍색 망토를 의미하는데,[7] 이는 로마 제국 시대 로마 장교에게 주어지던 복장의 색상이었다.

파단 베이스루드의 정체에 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하나는 그가 로마-브리튼인 고위 관리로서, 380년대 또는 그 이전에 로마 황제 마그누스 막시무스에 의해 스코틀랜드클라크매넌셔 지역에 주둔한 보타디니 부족 군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는 설이다. 다른 하나는 그가 당시 로마 제국 국경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것처럼, 로마로부터 군사 계급을 부여받은 변경 지역의 족장이었을 가능성이다.

파단이 맡았던 스코틀랜드에서의 지휘권은 그가 사망한 후 아들 에데른(Æturnus|아이투르누스lat)에게 이어졌고, 다시 에데른의 아들인 쿠네다에게 넘겨졌다. 쿠네다는 이후 웨일스로 이주하여 그위네드 왕국을 세우고 초대 왕이 되었다고 전해진다.[26]

쿠네다의 직계 조상은 아래와 같다.

관계이름비고
증조부타키투스(테기드)
조부파테르누스(파단 베이스루드, 붉은 옷의)보타디니 군대의 지휘관
부친에데른(Æturnus|아이투르누스lat)보타디니 군대의 지휘관


6. 2. 자녀


  • 루폰: 루포니오그 왕국의 통치자.
  • 두노드: 두노딩 왕국의 통치자.
  • 케레디그: 케레디지온 왕국의 왕이며, 성 다비드 주교의 할아버지.
  • 에이니온: 과네드의 통치자이며, 카드왈론 라우히르 아프 에이니온 왕의 아버지.
  • 도그페일: 작은 도그페일링 왕국의 왕.
  • 에데른: 과네드 아래에 있는 작은 에데르니온 왕국의 통치자.
  • 티비온
  • 이스파엘
  • 아플로에그

6. 3. 증손자

마엘군 귄네드는 그위네드 왕으로, 길다스는 그를 마엘군, 드래곤 또는 섬의 드래곤이라고 불렀다. 그는 카드왈라더 왕의 조상이기도 하다.[26]

훗날 튜더 왕가는 자신들이 쿠네다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붉은 용을 사용했다. 이 상징은 오웬 튜더와 헨리 튜더 왕을 거쳐 웨일스 기에 포함되었다.[27][28]

참조

[1] 서적 Yale genealogy and history of Wales: the British kings and princes, and other noted persons (1908) https://ia804503.us.[...] WorldCat.org 2022-08-27
[2] 서적 Celtic Culture ABC-CLIO
[3] 웹사이트 Welsh Medieval Law: The Laws of Howell the Good https://en.wikisourc[...] 1909
[4] 웹사이트 Welsh Medieval Law 2013-01-30
[5] 논문 Trioedd Ynys Prydein. The Welsh Triads
[6] 서적 Wales and the Britons, 350-1064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CUNEDDA WLEDIG (fl. 450?), British prince 2022-08-09
[8] 웹사이트 The Dynasty of Cunedag and the 'Harleian Genealogies' https://journals.lib[...] Honourable Society of Cymmrodorion 1908
[9] 서적 Medieval Welsh Genealogy 2022-08-24
[10] 웹사이트 11 The Britons and the Northumbrians, 547-685:The Evidence, by T.M. Charles-Edwards, page 343-380, November 2012 https://academic.oup[...] 2022-08-27
[11] 웹사이트 The Gallic Wars By Julius Caesar Translated by W. A. McDevitte and W. S. Bohn, Provided by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ttp://classics.mit.[...] 2022-08-24
[12] 웹사이트 A Genealogical and Heraldic History of the Landed Gentry of Great Britain https://ukga.org/bro[...] 2022-12-05
[13] 웹사이트 A neglected genealogy of Llywelyn ap Gruffudd https://www.academia[...]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2022-08-27
[14] 웹사이트 A neglected genealogy of Llywelyn ap Gruffudd https://www.academia[...]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2022-08-27
[15] 서적 The Earliest Welsh Genealogical Collections: The St Davids Recension and the Gwynedd Collection of Genealogi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3-02
[16] 문서 A Welsh Classical Dictionary National Library of Wales
[17] 웹사이트 Magnus Maximus https://www.historyf[...] 2022-08-14
[18] 웹사이트 Cunedda Wledig's Ancestry http://earlybritishk[...] 2023-10-02
[19] 문서 De Excidio
[20] 문서 De Excidio
[21] 문서 Annales Cambriae
[22] 웹사이트 Kidwelly History http://www.kidwellyh[...] 2022-12-11
[23] 웹사이트 Kidwelly History http://www.kidwellyh[...] 2022-12-11
[2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 https://en.wikisourc[...]
[25] 서적 A Welsh Classical Dictionary, people in History and Legend up to about A.D. 1000 https://www.library.[...] National Library of Wales
[26] 웹사이트 The Houses of Cunedda and Rhodri Mawr https://en.wikisourc[...]
[27] 웹사이트 The Red Dragon of Wales by Ben Johnson https://www.historic[...] 2022-08-25
[28] 웹사이트 King Arthur the Pendragon who was Born of Fire, by Nigel Dryden Cunningham https://www.academia[...] 2022-08-27
[29] 서적 Celtic Culture ABC-CLIO
[30] 웹사이트 Cunedda Wledig https://biography.wa[...]
[31] 서적 A History of Wale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dwardian Conquest, vol.1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11
[32] 문서 A Welsh Classical Dictionary National Library of Wales
[33] 문서 De Excidio
[34] 문서 De Excidio
[35] 문서 Annales Cambri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