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만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만어는 킵차크 칸국 이전 흑해 북부와 동유럽 스텝에 거주했던 쿠만인들이 사용했던 언어이다. 크림 타타르어, 카라차이어, 쿠미크어를 포함한 여러 튀르크계 언어와 관련이 있으며, 18세기 초 헝가리의 쿤샤그 지역에서 사멸되었다. 크림반도의 쿠만어는 크림 타타르어의 조상이 되었으며, 쿠만-킵차크족은 아나톨리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러시아, 조지아, 헝가리, 루마니아, 몰도바, 베사라비아, 불가리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존하는 언어 중 타타르어의 미샤르 방언과 가장 가깝다고 여겨진다. 쿠만어 연구의 주요 자료로는 코덱스 쿠마니쿠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 튀르크어족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튀르크어족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쿠만어
일반 정보
코덱스 쿠마니쿠스
코덱스 쿠마니쿠스
다른 이름키프차크어
사용 지역쿠만-키프차크 연맹, 황금 Orda
민족쿠만인, 키프차크인, 타타르족
사멸 시기쿤샤그: 1770년, 이슈트반 버로 사망
언어 계통튀르크어족
어파킵차크어파
하위 어군킵차크-쿠만어군
문자아랍 문자, 라틴 문자
ISO 639-3qwm
Glottologcuma1241
Glottolog 참조쿠만어

2. 역사

쿠만의 서


쿠만인은 킵차크 칸국이 들어서기 전에 흑해 북부와 동유럽 스텝에 살던 유목민들이었다. 쿠만인은 크림 타타르족, 카라차이인쿠미크인을 포함한 다른 튀르크계 민족의 공통 조상이다. 오늘날 이 민족들이 사용하는 여러 킵차크-쿠만계 언어는 쿠만어와 관련이 있다.[6][7][8][9]

쿠만어는 그 마지막 본거지인 헝가리의 쿤샤그/Kunság영어 지방에서 18세기 초에 사멸되었다. 버로 이슈트반/István Varró프랑스어(1770년 사망)이 마지막 화자로 알려져있다.[10][11][12]

쿠만족은 흑해 북쪽, 동유럽초원에 살았던 유목 민족으로, 킵차크 칸국 이전부터 존재했다. 크림 타타르족, 카라차이족, 쿠미크족, 크림 카라이트족, 크림차크족, 발카르족, 마나브족을 포함한 많은 튀르크 민족이 쿠만족의 후손이다. 오늘날, 킵차크어에 속하는 이 다양한 언어의 화자들은 쿠만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변형어를 사용한다.[6][7][8][9]

쿠만 문어는 헝가리 왕국의 쿠만족 지역에서 18세기 초에 소멸되었는데, 이곳이 쿠만어의 마지막 거점이었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헝가리에서 쿠만어를 구사했던 마지막 사람은 1770년에 사망한 카르차그 (헝가리)의 거주민인 이슈트반 바르로였다. 그러나 크림반도의 쿠만어는 살아남았다. 쿠만어는 현재 크림 타타르족 언어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여겨지며, 크림 고트어와 같이 이 지역의 다른 언어들이 통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0][11][12]

크림반도의 쿠만족이 다수를 차지하면서 "타타르족"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으며, 쿠만-킵차크 튀르크어를 유지하면서 반도의 다민족 복합체를 통합하는 과정이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크림 타타르 민족이 등장하게 되었다.[13]

쿠만-킵차크족은 아나톨리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러시아, 조지아, 헝가리, 루마니아 (예: 바사라브 왕조) 그리고 몰도바,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4][15][16][17]

라들로프는 현재의 언어들 중 쿠만어가 타타르어의 미샤르 방언과 가장 가깝다고 여겼다.[18]

2. 1. 쿠만족과 쿠만어



쿠만인은 킵차크 칸국이 들어서기 전에 흑해 북부와 동유럽 스텝에 살던 유목민들이었다. 쿠만인은 크림 타타르족, 카라차이인쿠미크인을 포함한 다른 튀르크계 민족의 공통 조상이다. 오늘날 이 민족들이 사용하는 여러 킵차크-쿠만계 언어는 쿠만어와 관련이 있다.[6][7][8][9]

쿠만어는 그 마지막 본거지인 헝가리의 쿤샤그/Kunság영어 지방에서 18세기 초에 사멸되었다. 버로 이슈트반/István Varró프랑스어(1770년 사망)이 마지막 화자로 알려져있다.[10][11][12]

크림반도의 쿠만족이 다수를 차지하면서 "타타르족"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으며, 쿠만-킵차크 튀르크어를 유지하면서 반도의 다민족 복합체를 통합하는 과정이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크림 타타르 민족이 등장하게 되었다.[13]

쿠만-킵차크족은 아나톨리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러시아, 조지아, 헝가리, 루마니아 (예: 바사라브 왕조) 그리고 몰도바,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4][15][16][17]

라들로프는 현재의 언어들 중 쿠만어가 타타르어의 미샤르 방언과 가장 가깝다고 여겼다.[18]

2. 2. 언어의 소멸

쿠만인은 킵차크 칸국이 들어서기 전에 흑해 북부와 동유럽 스텝에 살던 유목민들이었다. 쿠만인은 크림타타르인, 카라차이인쿠미크인을 포함한 다른 튀르크계 민족의 공통 조상이다. 오늘날 이 민족들이 사용하는 여러 킵차크-쿠만계 언어는 쿠만어와 관련이 있다.

쿠만어는 그 마지막 본거지인 헝가리의 쿤샤그/Kunság영어 지방에서 18세기 초에 사멸되었다. 카르차그/Karcag영어에 거주하던 버로 이슈트반/István Varró프랑스어(1770년 사망)이 마지막 화자로 알려져있다.

2. 3. 크림 타타르어와의 관계

쿠만족은 흑해 북쪽, 동유럽초원에 살았던 유목 민족으로, 킵차크 칸국 이전부터 존재했다.[6][7][8][9] 크림 타타르족, 카라차이족, 쿠미크족, 크림 카라이트족, 크림차크족, 발카르족을 포함한 많은 튀르크 민족이 쿠만족의 후손이며, 이들은 킵차크어군에 속하는 쿠만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를 사용한다.[6][7][8][9]

쿠만 문어는 헝가리 왕국의 쿠만족 지역에서 18세기 초에 소멸되었지만, 크림반도의 쿠만어는 살아남아 크림 타타르족 언어의 직접적인 조상이 되었다.[10][11][12] 크림반도의 쿠만족은 다수를 차지하면서 "타타르족"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으며, 쿠만-킵차크 튀르크어를 유지하면서 반도의 다민족 복합체를 통합하여 크림 타타르 민족이 등장하게 되었다.[13]

쿠만-킵차크족은 아나톨리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러시아, 조지아, 헝가리, 루마니아, 몰도바,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4][15][16][17] 라들로프는 현재의 언어들 중 쿠만어가 타타르어의 미샤르 방언과 가장 가깝다고 여겼다.[18]

3. 특징

3. 1. 분류

3. 2. 음운 체계

3. 3. 문법

4. 문헌 자료

'''코덱스 쿠마니쿠스'''는 쿠만 키프차크 튀르크어 파테르 노스터가 수록된 책이다.[19]

Atamız kim köktesiñ. Alğışlı bolsun seniñ atıñ, kelsin seniñ xanlığıñ, bolsun seniñ tilemekiñ – neçik kim kökte, alay [da] yerde. Kündeki ötmegimizni bizge bugün bergil. Dağı yazuqlarımıznı bizge boşatqıl – neçik biz boşatırbız bizge yaman etkenlerge. Dağı yekniñ sınamaqına bizni quurmağıl. Basa barça yamandan bizni qutxarğıl. Amen!qwm

Atamız kim köktesiñ. Alğışlı bolsun seniñ atıñ, kelsin seniñ xanlığıñ, bolsun seniñ tilemekiñ – neçik kim kökte, alay [da] yerde. Kündeki ötmegimizni bizge bugün bergil. Dağı yazuqlarımıznı bizge boşatqıl – neçik biz boşatırbız bizge yaman etkenlerge. Dağı yekniñ sınamaqına bizni quurmağıl. Basa barça yamandan bizni qutxarğıl. Amen![19]


  • 귀네르, 갈리프 (2013), 키프차크 튀르크어 문법, 케싯 출판사, 이스탄불.
  • 무스타파 아르군샤, 갈리프 귀네르 (2015), 코덱스 쿠마니쿠스, 케싯 출판사, 이스탄불.

4. 1. 쿠만의 서 (Codex Cumanicus)

'''코덱스 쿠마니쿠스'''는 쿠만 키프차크 튀르크어 파테르 노스터가 수록된 책이다.[19]

Atamız kim köktesiñ. Alğışlı bolsun seniñ atıñ, kelsin seniñ xanlığıñ, bolsun seniñ tilemekiñ – neçik kim kökte, alay [da] yerde. Kündeki ötmegimizni bizge bugün bergil. Dağı yazuqlarımıznı bizge boşatqıl – neçik biz boşatırbız bizge yaman etkenlerge. Dağı yekniñ sınamaqına bizni quurmağıl. Basa barça yamandan bizni qutxarğıl. Amen!qwm[19]

5. 예문

다음은 쿠만의 서에 나와있는 주님의 기도를 공통 튀르크 로마자/Common Turkic Alphabet영어으로 전사한 것이다.[22]

Atamız kim köktesiñ. Alğışlı bolsun seniñ atıñ, kelsin seniñ xanlığıñ, bolsun seniñ tilemekiñ – neçik kim kökte, alay [da] yerde. Kündeki ötmegimizni bizge bugün bergil. Dağı yazuqlarımıznı bizge boşatqıl – neçik biz boşatırbız bizge yaman etkenlerge. Dağı yekniñ sınamaqına bizni quurmağıl. Basa barça yamandan bizni qutxarğıl. Amen!qwm[22]

쿠만 키프차크 튀르크어 파테르 노스터가 수록된 책인 '''코덱스 쿠마니쿠스'''에서 발췌 (공통 튀르크 문자로 표기):[19]

Atamız kim köktesiñ. Alğışlı bolsun seniñ atıñ, kelsin seniñ xanlığıñ, bolsun seniñ tilemekiñ – neçik kim kökte, alay [da] yerde. Kündeki ötmegimizni bizge bugün bergil. Dağı yazuqlarımıznı bizge boşatqıl – neçik biz boşatırbız bizge yaman etkenlerge. Dağı yekniñ sınamaqına bizni quurmağıl. Basa barça yamandan bizni qutxarğıl. Amen!qwm[19]

참조

[1] 서적 Byzantium and the Pechenegs 2022
[2] Glottolog Glottolog entry for Cuman https://glottolog.or[...]
[3] 서적 The Other Europe in the Middle Ages: Avars, Bulgars, Khazars and Cumans
[4] 간행물 The Earliest Vocabulary of Romani Words (c. 1515) in the Collectanea of Johannes ex Grafing, a student of Johannes Reuchlin and Conrad Celtis 2010
[5] 웹사이트 Turkic written memorials http://old.unesco.kz[...] 2019-07-27
[6] 간행물 Bızans'in Anadolu'ya Yerleştırdığı Son Türkler https://www.academia[...] 2018
[7] 웹사이트 YALAKOVA'DAN YALOVA'YA Prof. Dr. Halil İnalcık Anısına Yalova Tarihi Araştırmaları http://www.yalovaoze[...]
[8] 웹사이트 Anadolu'ya yerleştirilen Kumanlar (Manavlar) http://m.belediyehab[...]
[9] 웹사이트 GAGAVUZ TÜRKÇESİ İLE KOCAELİ YERLİ (MANAV) AĞIZLARI ARASINDAKİ PARALELLİKLER, 2022, VI. Uluslararası Türklerin Dünyası Sosyal Bilimler Sempozyumu, PARALLELS BETWEEN GAGAVUZ TURKISH AND KOCAELİ NATİVE TURK (MANAV) DİALECTS, Kenan Acar, 2022, VI. International Turkish World Social Sciences Symposium https://academia.edu[...] 2022-01
[10] 문서 Cumans and Tat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문서 Stearns
[12] 인용구 Turk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Webarchive "Historical fate of the Crimean Tatars" http://kitap.net.ru/[...] 2006-07-11
[14] 웹사이트 Sun Language Theory, Part 2: The Steppes of Tartary (Tatar, Bashkir, Kazakh, Kyrgyz) https://medium.com/b[...] 2019-04-07
[15] 간행물 Bati Anadolu'dakı Türk Yayilișina Karși Bızans İmparatorluğu'nun Kuman-Alan Topluluklarini Balkanlardan Anadolu'ya Nakletmesi https://dergipark.or[...] Turkish Historical Society 2022-10-12
[16] 웹사이트 Latent Turkification of Byzantium (ca. 1071–1461) https://www.doaks.or[...] Dumbarton Oaks
[17] 간행물 The Cumans in Paphlagonia https://www.academia[...] 2015
[18] 웹사이트 Публикация ННР О языке куманов: По поводу издания куманского словаря http://books.e-herit[...] 2023-07-03
[19] 웹사이트 Codex cumanicus, Bibliothecae ad templum divi Marci Venetiarum primum ex integro editit prolegomenis notis et compluribus glossariis instruxit comes Géza Kuun https://archive.org/[...] XLIX 2016-08-11
[20] URL http://www.unesco.kz[...]
[21] 저널 The Earliest Vocabulary of Romani Words (c. 1515) in the Collectanea of Johannes ex Grafing, a student of Johannes Reuchlin and Conrad Celtis 2010
[22] 웹인용 Codex cumanicus, Bibliothecae ad templum divi Marci Venetiarum primum ex integro editit prolegomenis notis et compluribus glossariis instruxit comes Géza Kuun https://archive.org/[...] XLIX 2016-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