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타-주콥스키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타-주콥스키 정리는 고정된 익형 주위의 2차원 흐름에 적용되는 공식으로, 익형의 단위 길이당 양력은 유체 밀도, 유체 속도, 순환의 곱으로 나타낸다. 이 정리는 완전 유체의 2차원 흐름에 대해, 흐름에 노출된 기둥 모양 물체에 작용하는 단위 길이당 양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이차원 흐름뿐만 아니라 삼차원적 형상에도 정성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양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포일은 쿠타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쿠타-주콥스키 정리는 이 조건 하에서 에어포일 외부의 흐름을 비점성으로 가정하여 압력과 양력을 계산한다. 이 정리는 정상적이고 분리되지 않은 흐름에서는 실제 점성 흐름에도 정확하게 적용되지만, 비정상 흐름, 회전 흐름, 3차원 흐름 등 복잡한 상황에서는 다른 이론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학 정리 - 뇌터 정리
    뇌터 정리는 대칭성과 보존 법칙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정리로, 라그랑지안의 대칭 변환 불변성에 따라 에너지, 운동량 등 보존량이 존재함을 보여주며, 고전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물리학 정리 - 보어-판레이우언 정리
    보어-판레이우언 정리는 고전 역학으로는 자기 현상을 설명할 수 없음을 밝히는 정리이며, 양자 역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보어 모형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유체동역학 - 항력
    항력은 유체 내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유체 저항력이며, 유체의 밀도, 물체의 속도, 기준 면적, 항력 계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 유체동역학 - 비점성 흐름
    비점성 흐름은 유체 역학에서 점성을 무시할 수 있는 유체의 흐름을 의미하며, 레이놀즈 수가 무한대에 가까울 때 나타나 오일러 방정식으로 설명되고, 프란틀의 경계층 가설을 통해 실제 유체 흐름 모델링에 활용하며, 초유체는 점성이 없는 물질의 상태로 헬륨-4가 2.2K 이하로 냉각될 때 나타난다.
쿠타-주콥스키 정리
개요
유형유체 역학 정리
분야유체역학
공기역학
이름의 유래빌헬름 마르틴 쿠타
니콜라이 예고로비치 주콥스키
공식
공식L' = ρVΓ
변수L': 단위 길이당 양력
ρ: 유체의 밀도
V: 물체 주변의 유체 속도
Γ: 물체 주변의 순환
설명2차원 흐름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양력은 유체의 밀도, 속도, 물체 주변의 순환에 비례한다.
이 정리는 날개와 같은 에어포일에서 발생하는 양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적용
적용 분야항공기 날개 설계
회전익기 로터 설계
유체 기계 설계
풍력 터빈 블레이드 설계
가정
조건비점성 유체
비압축성 유체
2차원 흐름
정상 상태
제한 사항
제한 사항실제 유체는 점성을 가지므로 실제 흐름에서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3차원 흐름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관련 개념
관련 개념순환 (유체역학)
양력
에어포일

2. 쿠타-주콥스키 정리

쿠타-주콥스키 정리는 고정된 익형(또는 무한 길이의 모든 형태) 주위의 2차원 흐름에 적용된다.[4] 익형의 단위 길이당 양력 L'\,은 유체 밀도(\rho_\infty), 유체 속도(V_\infty), 순환(\Gamma)의 곱으로 주어진다.[20]

:L^\prime = \rho_\infty V_\infty\Gamma,

여기서 \rho_\inftyV_\infty는 익형의 훨씬 상류에서의 유체 밀도와 유체 속도이며, \Gamma는 익형을 둘러싸고 음의 (시계 방향) 방향으로 따라가는 닫힌 윤곽선 C 주위에서 선적분으로 정의된다.

:\Gamma = \oint_{C} V \cdot d\mathbf{s} = \oint_{C} V\cos\theta\, ds

적분 대상 V\cos\theta는 곡선 C에 접하는 방향의 국부 유체 속도 성분이며, ds는 곡선 C 상의 무한소 길이이다.[4] 이 경로는 포텐셜 흐름 영역에 있어야 하며 원통의 경계층에 있으면 안 된다.

쿠테와 셰처는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5]

:''임의의 단면을 가진 직립 원통에 작용하는 단위 길이당 힘은 \rho_\infty V_\infty \Gamma와 같으며, V_\infty의 방향에 수직이다.''

평행 흐름 속에 놓인 익형을 생각할 때, 익형의 상류 측 정체점에서 갈라진 유체가 하류에서 합류할 때까지, 양력이 위쪽 방향일 경우 물체의 윗면 측 흐름이 아랫면보다 빠르다. 비점성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 단면으로 본 익형 형상의 선 위에서 순환이 추정된다. 이 순환의 효과로서 익형에 작용하는 양력을 해석할 수 있다.

완전 유체의 이차원 흐름에 대해, 흐름에 노출된 기둥 모양 물체에 작용하는 단위 길이당 양력 L은 유체의 밀도 ρ, 유속 U, 물체 형상선상에서 추정되는 순환 Γ의 으로 표시된다.

:L = - \rho U \Gamma

이 정리는 이차원 흐름을 대상으로 하며, 삼차원적 형상에 대해서도 정성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마그누스 효과의 해석적인 이다.

3. 순환과 쿠타 조건

양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포일은 캠버를 갖거나 에어포일의 현선과 에어포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유체의 흐름 사이의 각도인 양의 받음각에서 작동하며, 날카로운 후미를 가져야 한다.

모든 실제 유체는 점성이 있으며, 이는 유체 속도가 에어포일에서 사라짐을 의미한다. 프란틀은 큰 레이놀즈 수와 작은 받음각에 대해, 얇은 에어포일 주변의 흐름이 몸체 근처의 경계층이라는 좁은 점성 영역과 외부의 비점성 흐름 영역으로 구성됨을 보였다.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적용할 때, 루프는 이 경계층 외부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날카로운 후미 요구 사항은 물리적으로 에어포일의 아래쪽과 위쪽 표면을 따라 움직이는 유체가 에어포일의 후미를 돌아가는 유체 없이 부드럽게 만나는 흐름에 해당하며, 이것이 쿠타 조건으로 알려져 있다.

쿠타와 주콥스키는 큰 레이놀즈 수와 작은 받음각에서 흐름에 대한 얇은 에어포일의 압력과 양력을 계산하기 위해 쿠타 조건이 부과되면 에어포일 외부의 전체 영역에서 흐름을 비점성으로 가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것이 포텐셜 흐름 이론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매우 잘 작동한다.

3. 1. 쿠타 조건의 중요성 (한국의 관점)

4. 정리의 유도

두 가지 유도가 아래에 제시된다. 첫 번째는 물리적 직관에 기반한 휴리스틱 논증이다. 두 번째는 기본적인 벡터 해석과 복소 해석을 필요로 하는 형식적이고 기술적인 것이다.

== 발견법적 유도 (Heuristic argument) ==

시위선 c를 가지고 무한한 스팬을 가진 얇은 에어포일이 밀도 \rho의 공기를 통과한다고 가정한다. 에어포일이 입사류에 대해 기울어져 에어포일의 한쪽 면에 속도 V의 공기 속도, 다른 쪽에 속도 V + v의 공기 속도를 생성한다고 할 때, 순환은 다음과 같다.

:\Gamma = Vc - (V + v)c = -v c.\,

에어포일의 양쪽 면 사이의 압력 차이 \Delta P베르누이 방정식을 적용하여 찾을 수 있다.

:\begin{align}

\frac {\rho}{2}(V)^2 + (P + \Delta P) &= \frac {\rho}{2}(V + v)^2 + P,\, \\

\frac {\rho}{2}(V)^2 + \Delta P &= \frac {\rho}{2}(V^2 + 2 V v + v^2),\, \\

\Delta P &= \rho V v \qquad \text{(무시 } \frac{\rho}{2}v^2),\ ,

\end{align}

따라서 단위 스팬당 공기에 작용하는 하향력은 다음과 같다.

:L' = c \Delta P = \rho V v c = -\rho V\Gamma\,

에어포일에 작용하는 상향력(양력)은 \rho V\Gamma.\,이다.

이 식의 미분을 평판 요소에 적용한 것이 박익형 이론의 기초가 된다.

== 엄밀한 유도 (Formal derivation) ==

복소해석학을 사용하여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먼저, 임의의 단면을 갖는 실린더의 각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힘(단위 길이당 힘) \mathbf{F}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6]

: \mathbf{F} = -\oint_C p \mathbf{n}\, ds,

여기서 ''C''는 실린더의 경계, p는 정압, \mathbf{n}\,는 실린더에 수직인 단위 벡터, ''ds''는 단면 경계의 호 요소이다. 법선 벡터와 수직선 사이의 각도를 \phi라 하면, 힘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 F_x = -\oint_C p \sin\phi\, ds\,, \qquad F_y = \oint_C p \cos\phi\, ds.

2차원 공간을 복소 평면으로 간주하면, 힘은 복소수로 표현할 수 있다.

:F = F_x + iF_y = -\oint_Cp(\sin\phi - i\cos\phi)\,ds .

F의 복소 켤레를 취하고 조작하면,

:\bar{F} = -\oint_C p(\sin\phi + i\cos\phi)\,ds = -i\oint_C p(\cos\phi - i\sin\phi)\, ds = -i\oint_C p e^{-i\phi}\,ds.

표면 세그먼트 ''ds''는 ''dz''와 관련이 있으며, 이를 적분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

dz &= dx + idy = ds(\cos\phi + i\sin\phi) = ds\,e^{i\phi} \\

{} \Rightarrow d\bar{z} &= e^{-i\phi}ds.

\end{align}

:\bar{F} = -i\oint_C p \, d\bar{z}.

베르누이 방정식을 사용하여 압력을 제거하고, 외부 힘장이 없다고 가정하면, 압력 p는 속도 v = v_x + iv_y와 다음과 같이 관련된다.

:p = p_0 - \frac{\rho |v|^2}{2}.

따라서 힘 F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bar{F} = -ip_0\oint_C d\bar{z} + i \frac{\rho}{2} \oint_C |v|^2\, d\bar{z} = \frac{i\rho}{2}\oint_C |v|^2\,d\bar{z}.

복소 포텐셜 w = f(z),를 도입하면, 속도 성분은 w' = v_x - iv_y = \bar{v},로 표현된다. 속도는 경계선 ''C''에 접선이므로, v = \pm |v| e^{i\phi}.이고, v^2 d\bar{z} = |v|^2 dz, 이다. 따라서 힘에 대한 표현식은 다음과 같다.

: \bar{F}=\frac{i\rho}{2}\oint_C w'^2\,dz,

이는 블라시우스 정리이다.

복소 포텐셜 w의 도함수는 로랑 급수로 나타낼 수 있다.

:w'(z) = a_0 + \frac{a_1}{z} + \frac{a_2}{z^2} + \cdots .

속도가 무한대에서 유한하게 유지되므로, a_0\,는 무한대에서 복소 포텐셜의 도함수를 나타내며, a_0 = v_{x\infty} - iv_{y\infty}\,이다. 잔류 정리를 사용하여 a_1\,을 구하면,

:a_1 = \frac{1}{2\pi i} \oint_C w'\, dz.

위 적분을 수행하면, 첫 번째 적분은 순환 \Gamma.이고, 두 번째 적분은 0이다. 따라서,

:a_1 = \frac{\Gamma}{2\pi i}.

급수의 제곱을 취하고, 블라시우스 정리에 대입하여 적분을 수행하면,

:w'^2(z) = a_0^2 + \frac{a_0\Gamma}{\pi i z} + \cdots.

: \bar{F} = \frac{i\rho}{2}\left[2\pi i \frac{a_0\Gamma}{\pi i}\right] = i\rho a_0 \Gamma = i\rho \Gamma(v_{x\infty} - iv_{y\infty}) = \rho\Gamma v_{y\infty} + i\rho\Gamma v_{x\infty} = F_x - iF_y.

결과적으로 쿠타-주콥스키 공식은 다음과 같다.[6]

:\begin{align}

F_x &= \rho \Gamma v_{y\infty}\,, &

F_y &= -\rho \Gamma v_{x\infty}.

\end{align}

4. 1. 발견법적 유도 (Heuristic argument)

시위선 c를 가지고 무한한 스팬을 가진 얇은 에어포일이 밀도 \rho의 공기를 통과한다고 가정하자. 에어포일이 입사류에 대해 기울어져 에어포일의 한쪽 면에 속도 V의 공기 속도, 다른 쪽에 속도 V + v의 공기 속도를 생성한다고 할 때, 순환은 다음과 같다.

:\Gamma = Vc - (V + v)c = -v c.\,

에어포일의 양쪽 면 사이의 압력 차이 \Delta P베르누이 방정식을 적용하여 찾을 수 있다.

:\begin{align}

\frac {\rho}{2}(V)^2 + (P + \Delta P) &= \frac {\rho}{2}(V + v)^2 + P,\, \\

\frac {\rho}{2}(V)^2 + \Delta P &= \frac {\rho}{2}(V^2 + 2 V v + v^2),\, \\

\Delta P &= \rho V v \qquad \text{(무시 } \frac{\rho}{2}v^2),\ ,

\end{align}

따라서 단위 스팬당 공기에 작용하는 하향력은 다음과 같다.

:L' = c \Delta P = \rho V v c = -\rho V\Gamma\,

에어포일에 작용하는 상향력(양력)은 \rho V\Gamma.\,이다.

이 식의 미분을 평판 요소에 적용한 것이 박익형 이론의 기초가 된다.

4. 2. 엄밀한 유도 (Formal derivation)

복소해석학을 사용하여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먼저, 임의의 단면을 갖는 실린더의 각 단위 길이에 작용하는 힘(단위 길이당 힘) \mathbf{F}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6]

: \mathbf{F} = -\oint_C p \mathbf{n}\, ds,

여기서 ''C''는 실린더의 경계, p는 정압, \mathbf{n}\,는 실린더에 수직인 단위 벡터, ''ds''는 단면 경계의 호 요소이다. 법선 벡터와 수직선 사이의 각도를 \phi라 하면, 힘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 F_x = -\oint_C p \sin\phi\, ds\,, \qquad F_y = \oint_C p \cos\phi\, ds.

2차원 공간을 복소 평면으로 간주하면, 힘은 복소수로 표현할 수 있다.

:F = F_x + iF_y = -\oint_Cp(\sin\phi - i\cos\phi)\,ds .

F의 복소 켤레를 취하고 조작하면,

:\bar{F} = -\oint_C p(\sin\phi + i\cos\phi)\,ds = -i\oint_C p(\cos\phi - i\sin\phi)\, ds = -i\oint_C p e^{-i\phi}\,ds.

표면 세그먼트 ''ds''는 ''dz''와 관련이 있으며, 이를 적분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

dz &= dx + idy = ds(\cos\phi + i\sin\phi) = ds\,e^{i\phi} \\

{} \Rightarrow d\bar{z} &= e^{-i\phi}ds.

\end{align}

:\bar{F} = -i\oint_C p \, d\bar{z}.

베르누이 방정식을 사용하여 압력을 제거하고, 외부 힘장이 없다고 가정하면, 압력 p는 속도 v = v_x + iv_y와 다음과 같이 관련된다.

:p = p_0 - \frac{\rho |v|^2}{2}.

따라서 힘 F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bar{F} = -ip_0\oint_C d\bar{z} + i \frac{\rho}{2} \oint_C |v|^2\, d\bar{z} = \frac{i\rho}{2}\oint_C |v|^2\,d\bar{z}.

복소 포텐셜 w = f(z),를 도입하면, 속도 성분은 w' = v_x - iv_y = \bar{v},로 표현된다. 속도는 경계선 ''C''에 접선이므로, v = \pm |v| e^{i\phi}.이고, v^2 d\bar{z} = |v|^2 dz, 이다. 따라서 힘에 대한 표현식은 다음과 같다.

: \bar{F}=\frac{i\rho}{2}\oint_C w'^2\,dz,

이는 블라시우스 정리이다.

복소 포텐셜 w의 도함수는 로랑 급수로 나타낼 수 있다.

:w'(z) = a_0 + \frac{a_1}{z} + \frac{a_2}{z^2} + \cdots .

속도가 무한대에서 유한하게 유지되므로, a_0\,는 무한대에서 복소 포텐셜의 도함수를 나타내며, a_0 = v_{x\infty} - iv_{y\infty}\,이다. 잔류 정리를 사용하여 a_1\,을 구하면,

:a_1 = \frac{1}{2\pi i} \oint_C w'\, dz.

위 적분을 수행하면, 첫 번째 적분은 순환 \Gamma.이고, 두 번째 적분은 0이다. 따라서,

:a_1 = \frac{\Gamma}{2\pi i}.

급수의 제곱을 취하고, 블라시우스 정리에 대입하여 적분을 수행하면,

:w'^2(z) = a_0^2 + \frac{a_0\Gamma}{\pi i z} + \cdots.

: \bar{F} = \frac{i\rho}{2}\left[2\pi i \frac{a_0\Gamma}{\pi i}\right] = i\rho a_0 \Gamma = i\rho \Gamma(v_{x\infty} - iv_{y\infty}) = \rho\Gamma v_{y\infty} + i\rho\Gamma v_{x\infty} = F_x - iF_y.

결과적으로 쿠타-주콥스키 공식은 다음과 같다.[6]

:\begin{align}

F_x &= \rho \Gamma v_{y\infty}\,, &

F_y &= -\rho \Gamma v_{x\infty}.

\end{align}

5. 양력 계수와의 관계

쿠타-주콥스키 정리는 양력 계수(C_L)와 순환의 관계를 보여준다. 날개의 이동 속도와 양력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 = {1 \over 2} \rho U^2 S C_{\rm L}


  • C_{\rm L}은 양력 계수
  • ρ는 유체의 밀도
  • U는 물체와 주류와의 상대 속도
  • S는 물체의 날개 면적(2차원으로 생각하므로 익현 길이)
  • L은 발생하는 양력(단위 스팬 길이당의 힘)


날개 주변 순환 Γ를 날개 단면선의 길이를 2S'로 하고, 선상의 평균 속도 u'로 바꾸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L = - \rho U \Gamma = \rho U u' 2S'

날개 단면이 얇은 판상에 가까울 때 등은 S \cong S'이며 u'\cong \frac{U C_{\rm L}}{4} 가 된다. 이는 날개 표면을 감싸는 유동의 규모와 양력과의 양적 관계를 나타낸다.

6. 복잡한 상황에서의 양력

쿠타-주콥스키 정리는 정상, 비분리 흐름에서 실제 점성 흐름에도 정확하다.[7] 그러나 비정상 흐름, 회전 흐름, 3차원 흐름 등 복잡한 상황에서는 더 복잡한 이론이 필요하다.


  • 특수한 경우


쿠타-주콥스키 정리는 점성이 없는 포텐셜 흐름 이론의 틀 내에서, 흐름이 정상적이고 분리되지 않은 경우, 실제 점성 흐름에도 꽤 정확하게 예측한다.[7]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유도할 때 비회전 흐름 가정이 사용되었지만, 물체 외부에 자유 와류가 있을 때 흐름은 회전하며 이 경우에는 양력을 유도하기 위해 더 복잡한 이론을 사용해야 한다.

  • 작은 받음각에서 충격적으로 시작된 흐름: 갑자기 에어포일을 가속하거나 받음각을 설정하여 얻는 것과 같은 충격적으로 시작된 흐름의 경우, 후연에서 지속적으로 와류 시트가 방출되며, 양력은 비정상적이거나 시간에 의존한다. 작은 받음각으로 시작하는 흐름의 경우, 와류 시트는 평면 경로를 따르며, 시간에 따른 양력 계수의 곡선은 와그너 함수로 주어진다.[8] 이 경우 초기 양력은 쿠타-주콥스키 공식에 의해 주어진 최종 양력의 절반이다.[9] 날개가 약 7개의 시위 길이를 이동했을 때 양력은 정상 상태 값의 90%에 도달한다.
  • 큰 받음각에서 충격적으로 시작된 흐름: 받음각이 충분히 높으면 후연 와류 시트는 처음에 나선형 모양을 이루며 초기 시간에 양력은 특이점(무한대)을 가진다.[10] 일반적으로 가정되는 단조 증가 양력 곡선에 도달하기 전에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양력이 감소한다.
  • 날카로운 앞전이 있는 날개의 큰 받음각에서 시작하는 흐름: 평판의 경우처럼 앞전도 날카로운 경우, 와류는 앞전에서도 방출되며 앞전 와류의 역할은 두 가지이다. 1) 앞전에 여전히 가까이 있을 때 양력을 증가시켜 와그너 양력 곡선을 올리고, 2) 후연으로 이동할 때 양력에 해로우며 양력 감소 방향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후연 와류 나선을 유도한다. 이러한 유형의 흐름의 경우 와류 힘선(VFL) 맵[11]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황(시작 흐름보다 더 많은 상황 포함)에서 다른 와류의 영향을 이해할 수 있으며, 와류 제어를 개선하여 양력을 향상시키거나 줄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와류 힘선 맵은 와류 힘선이 표시되는 2차원 맵이다. 흐름 내의 임의의 지점에 있는 와류의 양력 기여는 속도, 순환 및 유선과 와류 힘선 사이의 각도의 코사인에 비례한다. 따라서 와류 힘선 맵은 주어진 와류가 양력 생산에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해로운지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 외에도 라갈리 정리,[12] 일반화된 라갈리 정리,[13] 다중 물체 회전 흐름에 대한 각 물체의 개별 힘,[14] 일반적인 3차원 점성 흐름,[9][15][16][17] 양력선 이론 등 다양한 특수한 경우들이 존재한다.

  • 일반화된 라갈리 정리


쿠타-주콥스키 정리에 의해 예측되는 양력은 점성이 없는 포텐셜 흐름 이론의 틀 내에서, 흐름이 정상적이고 분리되지 않은 경우, 실제 점성 흐름에도 꽤 정확하다.[7]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유도할 때 비회전 흐름 가정이 사용되었으나, 많은 수의 비정상 흐름의 경우처럼, 물체 외부에 자유 와류가 있을 때 흐름은 회전한다. 이때 양력을 유도하기 위해 더 복잡한 이론을 사용해야 한다.

자유 와류 및 바운드 와류가 없고 와류 생성이 없는 다른 물체에 대해 일반화된 라갈리 정리가 적용된다.[13] 이 정리는 힘을 내부 특이점(각 물체 내의 이미지 와류, 소스 및 이중선)의 세기와 이 물체 내부를 제외한 모든 원인에 의해 이러한 특이점에서 유도된 속도의 곱으로 표현한다. 각 내부 특이점에 의한 기여는 합산되어 총 힘을 제공하며, 외부 특이점의 움직임 또한 힘에 기여한다. 이 기여에 의한 힘 성분은 특이점의 속도에 비례한다.

여러 자유 와류와 여러 물체 외에도 바운드 와류와 물체 표면의 와류 생성이 있는 경우에도 일반화된 라갈리 정리가 여전히 적용되지만, 와류 생성으로 인한 힘이 존재한다. 이 와류 생성 힘은 와류 생성 속도와 생성된 와류 쌍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다른 물체의 역할을 추가 특이점으로 나타내는 모든 원인(내부 특이점, 외부 와류 및 물체, 모든 특이점 및 물체의 움직임, 와류 생성)을 고려하여 각 물체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명시적이고 대수적인 힘 공식[14]이 적용된다. 따라서 다중 물체 회전 흐름에서 각 물체의 개별 힘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 3차원 점성 흐름


일반적인 3차원 점성 흐름의 경우, 힘은 적분 형식으로 표현된다.[9][15][16][17] 소용돌이 모멘트와 같은 특정 흐름 양의 체적 적분을 통해 힘을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적분 접근 방식이 무제한 도메인 및 인위적으로 잘린 도메인에 사용 가능하다. 2차원 에어포일에 적용되는 쿠타-주콥스키 정리는 흐름이 정상적이고 분리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적분 접근 방식에서 복구할 수 있다.[7]

  • '''양력선 이론'''


날개는 유한한 스팬을 가지며, 날개의 임의 단면에서의 순환은 스팬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변화는 와류 보존 또는 순환 보존의 켈빈 정리에 의해 후류 와류라고 하는 흐름 방향 와류의 방출로 보상된다. 이러한 흐름 방향 와류는 날개 길이와 가까운 거리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반대 회전 강력한 나선으로 합쳐지며, 상대 습도가 높으면 그 코어가 보일 수 있다. 후류 와류를 일련의 무한히 긴 직선 와류로 취급하면 잘 알려진 양력선 이론으로 이어진다. 이 이론에 따르면, 날개는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사용하는 순수 2차원 이론에 의해 예측되는 것보다 작은 양력을 갖는다. 이는 후류 와류의 상류 효과로 인한 날개의 받음각에 대한 다운워시가 추가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날개의 유효 받음각을 줄여 주어진 받음각에서 생성되는 양을 감소시키고 이 손실된 양력을 회복하기 위해 더 높은 받음각이 필요하다. 이 새로운 더 높은 받음각에서 항력도 증가했다. 유도 항력은 효과적으로 2차원 에어포일의 양력 곡선의 기울기를 줄이고 C_{L_\max}의 받음각을 증가시킵니다(동시에 C_{L_\max}의 값을 감소시킴).

6. 1. 특수한 경우

쿠타-주콥스키 정리는 점성이 없는 포텐셜 흐름 이론의 틀 내에서, 흐름이 정상적이고 분리되지 않은 경우, 실제 점성 흐름에도 꽤 정확하게 예측한다.[7]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유도할 때 비회전 흐름 가정이 사용되었지만, 물체 외부에 자유 와류가 있을 때 흐름은 회전하며 이 경우에는 양력을 유도하기 위해 더 복잡한 이론을 사용해야 한다.

  • 작은 받음각에서 충격적으로 시작된 흐름: 갑자기 에어포일을 가속하거나 받음각을 설정하여 얻는 것과 같은 충격적으로 시작된 흐름의 경우, 후연에서 지속적으로 와류 시트가 방출되며, 양력은 비정상적이거나 시간에 의존한다. 작은 받음각으로 시작하는 흐름의 경우, 와류 시트는 평면 경로를 따르며, 시간에 따른 양력 계수의 곡선은 와그너 함수로 주어진다.[8] 이 경우 초기 양력은 쿠타-주콥스키 공식에 의해 주어진 최종 양력의 절반이다.[9] 날개가 약 7개의 시위 길이를 이동했을 때 양력은 정상 상태 값의 90%에 도달한다.
  • 큰 받음각에서 충격적으로 시작된 흐름: 받음각이 충분히 높으면 후연 와류 시트는 처음에 나선형 모양을 이루며 초기 시간에 양력은 특이점(무한대)을 가진다.[10] 일반적으로 가정되는 단조 증가 양력 곡선에 도달하기 전에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양력이 감소한다.
  • 날카로운 앞전이 있는 날개의 큰 받음각에서 시작하는 흐름: 평판의 경우처럼 앞전도 날카로운 경우, 와류는 앞전에서도 방출되며 앞전 와류의 역할은 두 가지이다. 1) 앞전에 여전히 가까이 있을 때 양력을 증가시켜 와그너 양력 곡선을 올리고, 2) 후연으로 이동할 때 양력에 해로우며 양력 감소 방향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후연 와류 나선을 유도한다. 이러한 유형의 흐름의 경우 와류 힘선(VFL) 맵[11]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황(시작 흐름보다 더 많은 상황 포함)에서 다른 와류의 영향을 이해할 수 있으며, 와류 제어를 개선하여 양력을 향상시키거나 줄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와류 힘선 맵은 와류 힘선이 표시되는 2차원 맵이다. 흐름 내의 임의의 지점에 있는 와류의 양력 기여는 속도, 순환 및 유선과 와류 힘선 사이의 각도의 코사인에 비례한다. 따라서 와류 힘선 맵은 주어진 와류가 양력 생산에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해로운지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 외에도 라갈리 정리,[12] 일반화된 라갈리 정리,[13] 다중 물체 회전 흐름에 대한 각 물체의 개별 힘,[14] 일반적인 3차원 점성 흐름,[9][15][16][17] 양력선 이론(Lifting-line_theory) 등 다양한 특수한 경우들이 존재한다.

6. 2. 일반화된 라갈리 정리

쿠타-주콥스키 정리에 의해 예측되는 양력은 점성이 없는 포텐셜 흐름 이론의 틀 내에서, 흐름이 정상적이고 분리되지 않은 경우, 실제 점성 흐름에도 꽤 정확하다.[7]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유도할 때 비회전 흐름 가정이 사용되었으나, 많은 수의 비정상 흐름의 경우처럼, 물체 외부에 자유 와류가 있을 때 흐름은 회전한다. 이때 양력을 유도하기 위해 더 복잡한 이론을 사용해야 한다.

자유 와류 및 바운드 와류가 없고 와류 생성이 없는 다른 물체에 대해 일반화된 라갈리 정리가 적용된다.[13] 이 정리는 힘을 내부 특이점(각 물체 내의 이미지 와류, 소스 및 이중선)의 세기와 이 물체 내부를 제외한 모든 원인에 의해 이러한 특이점에서 유도된 속도의 곱으로 표현한다. 각 내부 특이점에 의한 기여는 합산되어 총 힘을 제공하며, 외부 특이점의 움직임 또한 힘에 기여한다. 이 기여에 의한 힘 성분은 특이점의 속도에 비례한다.

여러 자유 와류와 여러 물체 외에도 바운드 와류와 물체 표면의 와류 생성이 있는 경우에도 일반화된 라갈리 정리가 여전히 적용되지만, 와류 생성으로 인한 힘이 존재한다. 이 와류 생성 힘은 와류 생성 속도와 생성된 와류 쌍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다른 물체의 역할을 추가 특이점으로 나타내는 모든 원인(내부 특이점, 외부 와류 및 물체, 모든 특이점 및 물체의 움직임, 와류 생성)을 고려하여 각 물체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명시적이고 대수적인 힘 공식[14]이 적용된다. 따라서 다중 물체 회전 흐름에서 각 물체의 개별 힘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6. 3. 3차원 점성 흐름

일반적인 3차원 점성 흐름의 경우, 힘은 적분 형식으로 표현된다.[9][15][16][17] 소용돌이 모멘트와 같은 특정 흐름 양의 체적 적분을 통해 힘을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적분 접근 방식이 무제한 도메인 및 인위적으로 잘린 도메인에 사용 가능하다. 2차원 에어포일에 적용되는 쿠타-주콥스키 정리는 흐름이 정상적이고 분리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적분 접근 방식에서 복구할 수 있다.[7]

7. 양력선 이론

쿠타-주콥스키 정리에 의해 예측되는 양력은 점성이 없는 포텐셜 흐름 이론의 틀 내에서, 흐름이 정상적이고 분리되지 않은 경우, 실제 점성 흐름에도 꽤 정확하다.[7]

양력선 이론은 유한한 날개 길이(span)를 갖는 실제 날개에 적용되는 이론으로, 날개 끝 와류와 유도 항력을 고려한다. 날개는 유한한 스팬을 가지며, 날개의 임의 단면에서의 순환은 스팬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변화는 와류 보존 또는 순환 보존의 켈빈 정리에 의해 후류 와류라고 하는 흐름 방향 와류의 방출로 보상된다. 이러한 흐름 방향 와류는 날개 길이와 가까운 거리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반대 회전 강력한 나선으로 합쳐지며, 상대 습도가 높으면 그 코어가 보일 수 있다. 후류 와류를 일련의 무한히 긴 직선 와류로 취급하면 잘 알려진 양력선 이론으로 이어진다. 이 이론에 따르면, 3차원 날개는 쿠타-주콥스키 정리를 사용하는 순수 2차원 이론에 의해 예측되는 것보다 작은 양력을 생성하며, 유도 항력이 발생한다. 이는 후류 와류의 상류 효과로 인한 날개의 받음각에 대한 다운워시가 추가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날개의 유효 받음각을 줄여 주어진 받음각에서 생성되는 양을 감소시키고 이 손실된 양력을 회복하기 위해 더 높은 받음각이 필요하다. 이 새로운 더 높은 받음각에서 항력도 증가했다. 유도 항력은 효과적으로 2차원 에어포일의 양력 곡선의 기울기를 줄이고 C_{L_\max}의 받음각을 증가시킨다(동시에 C_{L_\max}의 값을 감소시킴).[9][15][16][17]

7. 1. 유도 항력과 한국형 날개 설계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Flight McGraw-Hill
[2] 논문 Lift and drag in two-dimensional steady viscous and compressible flow
[3] 웹사이트 Lift on rotating cylinders http://www.grc.nasa.[...] NASA Glenn Research Center 2010-11-09
[4] 서적 Aerodynamics Pitman
[5] 서적 Foundations of Aerodynamics John Wiley & Sons
[6] 서적 An Introduction to Fluid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Fundamentals of Aerodynamics McGraw-Hill Education
[8] 논문 Über die Entstehung des dynamischen Auftriebes von Tragflügeln http://edoc.hu-berli[...]
[9] 서적 Vortex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논문 The lift on an aerofoil in starting flow
[11] 논문 Unsteady lift for the Wagner problem in the presence of additional leading trailing edge vortices
[12] 서적 Theoretical Hydrodynamics Macmillan Education
[13] 논문 Generalized two-dimensional Lagally theorem with free vortices and its application to fluid-body interaction problems http://ntur.lib.ntu.[...]
[14] 논문 Generalized Kutta-Joukowski theorem for multi-vortex and multi-airfoil flow with vortex production — A general model
[15] 논문 Theory for aerodynamic force and moment in viscous flows
[16] 논문 On the force and moment on a body in an incompressible fluid, with application to rigid bodies and bubbles at high Reynolds numbers
[17] 논문 Integral force acting on a body due to local flow structures
[18] 문서 "#学び方(1986)"
[19] 서적 An Introduction to Fluid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Aerodynamics Pitm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