쿡-레빈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쿡-레빈 정리는 모든 NP 문제가 부울 만족 문제(SAT)로 다항 시간 안에 환원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이 정리는 SAT가 NP-완전 문제임을 보이며, P 대 NP 문제 해결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쿡-레빈 정리는 스티븐 쿡과 레오니드 레빈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표되었으며, 튜링상 수상의 기반이 되었다. 쿡-레빈 정리는 카프의 21개 NP-완전 문제 목록 제시의 기반이 되었으며, 복잡도 이론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의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쿡-레빈 정리 |
---|
2. 역사적 배경
스티븐 쿡은 1971년 전산 이론 심포지엄에서 "정리 증명 절차의 복잡성"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NP-완전 개념의 기초를 마련했다.[1] 리처드 카프는 "조합 문제 간의 환원 가능성"이라는 논문에서 21개의 NP-완전 문제 목록을 제시하며 쿡의 연구를 발전시켰다.[14] 쿡과 카프는 이 연구로 튜링상을 수상했다.
NP에 속하는 결정 문제는 비결정적 튜링 기계가 다항 시간 내에 이 문제를 결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1]
쿡-레빈 정리는 SAT 문제가 NP에 속하며, 모든 NP 문제를 SAT 문제로 다항 시간 안에 환원할 수 있음을 보인다.[17] 이 증명은 NP 문제의 검증 과정을 논리식으로 표현하고, 이 논리식이 만족 가능한지 판별하는 SAT 문제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소련의 레오니드 레빈도 "보편적 탐색 문제"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NP-완전 문제 연구에 기여했다.[4] 레빈은 해결책을 찾는 탐색 문제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쿡, 카프와 차이가 있었다.
1975년, 테오도어 P. 베이커, 존 길, 로버트 솔로베이는 특정 오라클 기계 모델에서 NP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수 시간이 필요함을 보였다.[2] 이는 P''A'' ≠ NP''A''임을 보여 P ≠ NP 추측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결과이다.
3. 정의
불 만족 문제의 사례는 불 변수들을 논리 연산자를 사용하여 결합한 불 대수식이다. 이러한 식은 전체 식을 참으로 만드는 변수에 대한 진리값 할당이 존재할 경우 만족가능하다고 한다.[1]
4. 쿡-레빈 정리 증명
NP에 속하는 임의의 결정 문제에 대해, 다항 시간 내에 문제를 해결하는 비결정적 튜링 기계가 존재한다. 이 기계에 특정 입력을 주었을 때, 기계가 올바르게 실행되어 "예"라고 답하는지 여부를 계산하는 부울 식을 만들 수 있다. 이 부울 식은 기계가 올바르게 실행되어 "예"라고 답하는 경우에만 만족 가능하므로, 부울 식의 만족 가능성 여부는 기계가 "예"라고 답할지 여부와 동일하다.
4. 1. SAT ∈ NP
주어진 논리식과 각 변수의 값 할당이 주어졌을 때, 그 논리식이 참인지 거짓인지는 결정적 튜링 머신에 의해 다항 시간 안에 검증될 수 있다.[17] 따라서 SAT는 NP에 속한다.
4. 2. 모든 NP 문제의 SAT 환원
임의의 NP 문제를 다항 시간 안에 SAT로 변환하기 위해, NP 문제에 대응하는 논리식을 구성한다. 우선 주어진 NP 문제에 대해, 그 문제를 검증할 수 있는 비결정론적 튜링 기계 가 존재한다.[17] 여기서 는 상태 집합, 는 테이프 기호 집합, 는 초기 상태, 는 빈 심볼, 는 최종 상태 집합, 는 전이 함수이다.
크기 인 입력에 대해 이 최대 번 계산 후 멈춘다고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변수들을 정의한다. 여기서 , , , 이다.
변수 | 의미 | 변수 전체 개수 |
---|---|---|
테이프 셀 가 번째 계산에서 기호 를 가지는 경우 참 | ||
의 테이프 헤드가 번째 계산에서 테이프 셀 에 있으면 참 | ||
이 번째 계산에서 상태 에 있으면 참 |
이제 이 변수들을 이용하여 다음 논리식들을 정의한다.
논리식 | 논리식 조건 | 논리식의 의미 | 논리식 전체 개수 |
---|---|---|---|
테이프 셀 가 기호 를 값으로 갖는 경우 | 테이프의 초기 값을 표현한다. 과 의 경우 셀의 값은 이다. | ||
의 초기 상태를 표현한다. | 1 | ||
테이프 헤드의 초기 위치를 표현한다. | 1 | ||
테이프 셀이 여러 개의 심볼 값을 동시에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표현한다. | |||
쓰기 명령이 아닌 경우 테이프의 헤드 위치가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표현한다. | |||
기계가 여러 개의 상태를 동시에 가지지 않는다. | |||
테이프 헤드가 동시에 여러 위치에 있지 않는다. | |||
번째 계산에서 테이프 헤드가 에 있을 모든 가능성을 표현한다. | |||
계산이 끝난 후의 테이프 값을 표현한다. | 1 |
마지막으로, 논리식 를 위에서 정의한 모든 논리식의 논리곱으로 정의한다. 만약 이 어떤 입력을 받아들일 경우, 그 계산에 대응하는 , , 를 에 대입했을 때 는 참값을 갖는다. 반대로 가 참인 경우 이 입력을 받아들이는 계산이 존재한다. 를 생성하는데 다항 시간이 소요되므로, NP 문제를 SAT로 다항 시간 안에 환원하는 것이 가능하다.[17]
5. 복잡도
쿡-레빈 정리의 원래 증명은 비결정적 튜링 기계를 `O(log(p(n))p(n)^3)`의 복잡도로 인코딩한다.[7] 그러나 문헌에서는 더 정교한 접근 방식을 통해 `O(p(n)log(p(n)))`의 복잡도를 갖는 인코딩 방법을 설명한다.[8][9][10][11] 이러한 준선형 결과는 쿡의 원래 논문 발표 후 7년 뒤에 처음 등장했다.
6. 의의 및 영향
쿡-레빈 정리는 모든 NP 문제가 SAT 문제로 환원될 수 있음을 보여주어, SAT가 NP-완전 문제임을 증명했다.[1] 이는 P-NP 문제 해결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만약 SAT를 다항 시간 안에 풀 수 있다면, 모든 NP 문제를 다항 시간 안에 풀 수 있으므로 P=NP가 된다.[15]
리처드 카프는 쿡-레빈 정리를 바탕으로 21개의 다양한 NP-완전 문제를 제시하여 NP-완전성 개념을 널리 알렸다.[14] 그는 다른 문제(이미 NP-완전으로 증명된)를 해당 문제로 축소함으로써 각 문제가 NP-완전임을 보였다. 예를 들어, 3SAT(절당 정확히 세 개의 변수 또는 변수의 부정으로 이루어진 결합 정규 형식 (CNF)의 표현에 대한 부울 만족 문제) 문제가 NP-완전임을 보였다.[15]
개리와 존슨은 저서 ''컴퓨터와 난해성: NP-완전성 이론 안내서''(Computers and Intractability: A Guide to the Theory of NP-Completeness)에서 300개 이상의 NP-완전 문제를 제시했으며,[16] 새로운 문제들이 여전히 해당 복잡도 종류 내에 있는 것으로 발견되고 있다.
7. P-NP 문제와 연관성
SAT 문제, 더 나아가 NP-완전 문제에 대한 다항 시간 알고리즘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여전히 미해결 난제이다. (P 대 NP 문제) 많은 학자들이 이 문제에 도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다.[16] SAT의 많은 실제 인스턴스가 휴리스틱 방법으로 해결될 수 있지만, SAT(및 결과적으로 모든 다른 NP-완전 문제)에 대한 결정적 다항 시간 알고리즘이 있는지 여부는 복잡도 이론가, 수리 논리학자 및 기타 전문가들의 수십 년간의 치열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유명한 문제이다.
참조
[1]
서적
The complexity of theorem proving procedures
[2]
간행물
Relativizations of the P = NP question
[3]
간행물
On the impossibility of eliminating exhaustive search in computing a function relative to its graph
[4]
간행물
Универсальные задачи перебора
http://www.mathnet.r[...]
[5]
문서
This column uses the big O notation.
[6]
문서
The number of literals in each clause does not depend on , except for the last table row, which leads to a clause with literals.
[7]
간행물
Satisfiability is quasilinear complete in NQL
https://www.ccs.neu.[...]
1978-01
[8]
간행물
Relations among complexity measures
https://www.ccs.neu.[...]
1979-04
[9]
conference
A new proof of the NP completeness of satisfiability
null
null
1979-02
[10]
간행물
An reduction from RAM computations to satisfiability
1991-05
[11]
간행물
Short propositional formulas represent nondeterministic computations
https://www.ccs.neu.[...]
1988-01
[12]
conference
Multiple-person alternation
https://ieeexplore.i[...]
IEEE
[13]
간행물
Lower bounds for multiplayer noncooperative games of incomplete information
2001-04
[14]
서적
Reducibility Among Combinatorial Problems
Plenum
[15]
문서
First modify the proof of the Cook–Levin theorem, so that the resulting formula is in conjunctive normal form, then introduce new variables to split clauses with more than 3 atoms. For example, the clause can be replaced by the conjunction of clauses , where is a new variable that will not be used anywhere else in the expression. Clauses with fewer than three atoms can be padded; for example, can be replaced by .
[16]
서적
Computers and Intractability: A Guide to the Theory of NP-Completeness
W. H. Freeman and Company
[17]
서적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